KR900005264B1 - 컬러전자 사진방법 - Google Patents

컬러전자 사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64B1
KR900005264B1 KR1019870009729A KR870009729A KR900005264B1 KR 900005264 B1 KR900005264 B1 KR 900005264B1 KR 1019870009729 A KR1019870009729 A KR 1019870009729A KR 870009729 A KR870009729 A KR 870009729A KR 900005264 B1 KR900005264 B1 KR 90000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hotosensitive member
photoconduct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358A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모도
유우지 다까시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07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30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34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85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34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857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1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컬러전자 사진방법
제1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현상기를 설명하기 위해서 표시한 장치의 요부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현상기의 요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사용한 컬러전자 사진장치의 1실시예의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사용한 컬러전자 사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사용한 컬러전자 사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로나 대전기의 개략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코로나 대전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토우너용기 24 : 비자성토우너
25 : 토우너담지체
26,45,57,72 : 모피브러시로울러(크리이닝장치)
27,67 : 브레이드 28,36 : 직류전원
29,30,46,65 : 감광체(드럼) 31,47,66,74,75 : 대전기
32,73 : 그리드 33,48,67 : 발광다이오우드
34,49,68 : 로드렌즈어레이 35,61,62,63 : 현상로울러
37,38,50,51,52,58,59,60 : 현상기
39,40,53 : 제전램프 41,54,70 : 대전기(전사용)
42,56,71 : 종이 76,77,78 : 코로나와이어
본 발명은, 컬러복사기 혹은 컬러프린터등의 컬러 경(硬)복사본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컬러전자 사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전·노광·현상을 복수회 반복하여 전자사진 감광체(이하, 감광체라고 함)상에 미리 색이 다른 복수의 토우너상을 형성한 후, 토우너상을 종이에 일괄 전사하여 컬러화상을 얻는 컬러전자 사진방법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은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사용한 장치의 종래예를 제1도에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Se-Te 감광체, (2)는 감광체(1)의 표면을 똑같이 정대전(正帶電)하는 코로나 대전기, (3)은 레이저비임 스캐너, (4)∼(7)은 각각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의 현상제가 따로따로 들어있는 현상기, (8)은 보통종이, (9)은 토우너상을 보통종이(8)에 정전(靜電)전사하기 쉽게하기 위한 제전(除電)램프, (10)은 토우너상을 보통종이에 정전전사하기 위한 코로나 대전기, (11)은 가열정착기, (12)는 토우너상을 보통종이(8)에 정전전사한 후 감광체(1)에 잔류하는 토우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블레이드, (13)은 감광체의 표면전위를 초기상태로 하기위한 제전램프이다.
다음에 현상기(4)∼(7)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제2도에 표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14)는 정대전성의 토우너와 자성(磁性)캐리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2성분 현상제(이하, 현상제라고 함), (15)는 알루미늄등의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현상슬리이브, (16)은 복수의 자극을 가진 메거로울, (17)은 현상슬리이브(15)상의 현상제(14)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두께규제블레이드, (18)은 현상후 현상슬리이브(15)상의 현상제(14)를 긁어떨어뜨리는 긁어떨어뜨리는 판, (19)는 현상제(14)를 교반하는 회전날개, (20)은 보급용의 토우너, (21)은 토우너보급로울러, (1)은 현상슬리이브(15)상이 현상제(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간격을 벌려서 설치한 감광체, (22)는 현상슬리이브(15)상의 현상제(14)로부터 토우너를 감광체(1)를 향해서 전기적으로 비상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여기서 현상기를 현상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전원에 플러스의 직류전압에 고압의 교류전압을 중첩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원을 사용하여 현상슬리이브(15)와 전원(22)를 접속한다.
또, 현상기를 현상에 제공하지 않는 상태로하기 위해서는, 현상 슬리이브(15)를 전기적으로 뜨게하거나, 접지하거나, 혹은 현상슬리이브(15)에 마이너스의 직류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상술한 컬러전자 사진장치를 사용하여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코로나 대전기(2)로 감광체(1)를 정대전한 후, 레이저비임스캐너(3)로 엘로우의 화산신호를 스캐닝 노광하고, 네가티브의 정전잠상(화선부가 노광되어 감광체의 표면전위가 감쇄해 있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정전잠상을 Y 토우너가 들어있는 현상기(4)로 네가티브·포지티브 반전 현상하여, 감광체(1)위에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한다. 이때, Y 토우너가 들어있는 현상기(4)만이 전원(22)에 접속되어 있으나, 그 외의 현상기 (5)∼(7)는 토우너가 비상하지 않는 상태로 조정되어 있다. Y 토우너로 현상한 후, 감광체(1)를 제전램프(13)로 전면조사하여, 엘로우의 정전잠상을 광제전 한다.
다음에,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한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대전·노광·현상·광제전의 공정을 반복해서, 감광체(1)상에 Y,M,C 및 Bk의 토우너상을 형성한다. 모든 토우너상의 형성이 종료한 후, 미리 제전램프(9)로 정전잠상을 광제전하고, 코로나 대전기(2)로 토우너상을 보통종이(8)에 정전전사한다. 보통종이(8)에 전사한 토우너상은 가열정착기(11)로 가열해서 정착된다. 한편, 정전전사후, 감광체(1)의 잔류한 토우너는, 클리닝 블레이드로 제거되어 컬러화상 형성의 1사이클이 완료한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0-95456호 공보).
제1도에서 설명한 종래의 컬러전자 사진방법에 있어서, 제1의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에 제2의 토우너상을 형성하면, 신호광을 조사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제1의 토우너상 위에 제2의 토우너가 부착해서 색흐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색흐림량은, 제1의 토우너상의 층두께에 정비례해서 증가하며, 특히 토우너층 두께가 두꺼운 고농도의 컬러화상을 선명하게 얻을 수가 없었다.
이 원인을 추구하였든바, 1) 사용하는 감광체의 정전용량에 정비례하여 감광체상의 제1의 토우너상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 2) 그리고, 감광체의 정전용량이 소망치 이상이 되면, 제1의 토우너상에 인가되는 전압이 방전개시전압 이상이 되어 방전하기 때문에, 상기 토우너상부의 표면전위가 저하한다는 것, 3) 따라서, 사용하는 감광체의 정전용량 및 토우너층의 정전용량을 바람직한 값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 각 사이클마다의 감광체의 대전단위와 현상에 제공하는 현상기의 현상바이아스전위를 모두 동일하게 하면, 적·녹등 2종류 이상의 토우너의 중합에 의해서 재현한 합성색의 농도가 낮고, 또한 합성색의 색도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의 토우너상을 탐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한 후, 토우너 부착부와 비토우너 부착부의 감광체 자체의 노광전위가 잔류전위로 될때까지 충분히 상(像)노광하였다고 해도, 토우너부착부의 표면전위는 토우너가 대전된 몫만큼 비토우너 부착부에 비해서 높아지기 때문에,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화선부와 비화선부와의 콘트라스트 전위가 비토우너 부착부의 그것에 비해서 작게된다. 따라서, 제2의 토우너로 현상하면, 토우너 부착부에 부착하는 제2의 토우너의 부착량은 비부착부의 그것보다 적어지기 때문에, 합성색의 색농도가 낮아진다. 또한, 토우너 부착부의 표면전위는 제1의 부착량에 의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제2의 토우너의 부착량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합성색의 색농도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하였을때,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전위저하를 방지하고, 색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을 수 있는 컬러전자 사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색의 색농도가 높은 컬러화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컬러전자 사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정전용량이 170pF/㎠ 이하인 감광체와, 현상수단이 박층화(薄層化)된 토우너를 담지한 토우너담지체를 상기 감광체에 상기 토우너가 접촉하지 않도록 대향시켜, 상기 토우너담지체와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토우너를 전계의 작용으로 비상시키는 전계 비상현상수단을 사용하고, 대전·노광·현상의 공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상기 감광체상에 색이 다른 공정을 포함하는 컬러사진 사진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비유전률이 3이상의 색이 다른 토우너를 2종류이상 사용하고, 대전·노광·현상을 복수회 반복하여 색이 다른 복수의 토우너상을 동일 감광체 위에 형성하므로서,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하였을때의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전위저하를 방지하고, 색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대전·노광·현상의 사이클을 복수회 반복하여 색이 다른 복수의 토우너상을 감광체상에 형성하는 컬러전자 사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대전전위를 상기 사이클마다 높게해가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합성색의 색농도를 높게한 컬러전자 사진장치이다.
감광층의 정전용량이 170pF/㎠ 이하의 감광체를 사용하면,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하였을때, 토우너상에 걸리는 전압을 낮게 억제하고 토우너상부에서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유전률이 3이상의 토우너를 사용하면, 감광체 위의 토우너층에 걸리는 대전전압이 낮게되어 토우너층에서의 방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토우너상부의 표면전위의 저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토우너상에 불필요한 색의 토우너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현상방법에 따라서는, 전자사진방법 특유의 에지효과에 의해서 화상부의 에지의 토우너층 두께가 중앙부에 비해서 두꺼워지고 에지부에 있어서 토우너층이 방전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현상에 에지효과가 나오지 않고 균일하게 현상할 수 있는 직류전계 비상현상법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노광·현상의 사이클마다에 감광체의 대전전위를 높게해 감으로,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화선부와 비화선부와의 콘트라스트 전위를 종래예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우너 부착부에 제2의 토우너를 충분히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합성색의 색농도가 높아지고 또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감광체로서는, 무정형셀렌, 셀렌화비소, CdS, ZnO, a-Si, 유기광도전체 등의 감광층을 도전성 지지체에 형성한 통상의 전자사진용의 감광체라면 무엇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감광층의 정전용량이 20∼170pF/㎠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층의 정전용량을 상술한 범위로 할려면, 감광층의 층두께를 규제함으로서 얻게 된다. 예를들면 셀렌 감광체에서는 층두께를 35∼90㎛로, 또 셀렌화비소 감광체에서는 60∼90㎛로, 또 유기 감광체에서는 15∼50㎛로 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정규현상법, 반전현상법의 어느것에나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재대전때에 토우너의 극성이 반전하지 않는 반전현상법이 바람직하다.
또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제대전하였을 경우 토우너층의 전위가 높아지지 않도록, 현상때, 1색의 현상에 의해 감광체상에 형성되는 토우너 층두께를 5∼30㎛의 범위내로 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토우너로서는, 비유전률이 3이상 바람직하게는 4이상의 토우너라면 아무것이나 좋다. 특히, 감법혼색용의 컬러토우너로서는, 투명성이 뛰어난 비자성토우너가 바람직하다. 또, 토우너의 평균입자직경은, 작을수록 토우너층의 정전용량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좋게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이하가 좋다.
토우너의 비유전률을 3이상으로 할려면, 예를들면 비유전률이 3이상의 중합체수지를 사용하거나, 토우너 조성물에 비유전률이 3이상의 무기의 유전체를 분산 혼합함으로서 얻게 된다. 또 토우너의 비유전률을 4이상으로 할려면, 토우너 조성물에 비유전률이 4이상의 무기의 유전체를 혼입하므로서 얻게 된다. 여기서 토우너 조성물이란, 통상의 전자사진에 사용하는 토우너 조성물, 즉 착색제, 전화제어제, 분산제등을 수지결착제에 분산한것, 또 토우너 표면에 코우팅하는 실리카 미세분말등의 외첨제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한다.
비유전률이 3이상의 중합체 수지로서는, 에폭시수지, 메라민수지, 페놀수지, 알킬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이 있다. 이들 중합체수지는, 수지결착제로서 겸용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다른 수지결착제와 병용해서 사용한다.
무기의 유전체로서는, 비유전률을 될 수 있는한 크게, 그리고 입자직경이 1㎛ 이상의 백색 미세분말이 좋다. 이러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황산바륨(비유전률 ε: 11.4), 알루미나(ε: 9.3∼11.3), 티탄산바륨(ε: 250∼4500), 산화티탄(ε: 90∼170), 2산화규소(ε: 4.5)등이 있다. 이들 유전체는, 필요에 따라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서 사용한다. 토우너의 비유전률은, 토우너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유전체의 양을 변경하므로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토우너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황산바륨 혹은 알루미나라면 10∼40중량부 함유시킴으로서, 토우너의 비유전률을 3∼6으로 할 수 있다. 또, 티탄산 바륨을 0.1∼5중량부 함유시키면 4∼200으로, 산화티탄올 1∼5중량부 함유시키면 3∼10으로, 또 2산화규소를 20∼50중량부 함유시키면 3∼4로 할 수 있다.
현상수단으로는, 토우너의 박층을 담지한 토우너담지체를 상기 박층이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대향 설치하고, 토우너담지체와 감광체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토우너담지체상의 토우너를 비상시키는 전계비상현상이 바람직하다. 특히, 토우너담지체와 감광체와의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직류 전계비상현상이 적합하다. 비자성 토우너를 사용한 직류 전계비상현상에 의한 현상수단의 1구성예를 제3도에 표시한다.
제3도에 있어서, (23)은 토우너용기, (24)는 비자성 토우너, (25)는 예를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등의 원통형상의 금속으로 구성된 토우너담지체, (26)은 예를들면 카아본이 들어있는 수지섬유, 혹은 금속선등을 도전성 로울러에 담지시킨 도전성 모피브러시로울러, (27)은 고무블레이드, (28)은 직류전원이다. 토우너담지체(25)는, 토우너담지체(25)상의 토우너가 감광체(29)에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벌리고 대향 설치한다. 토우너담지체(25)와 감광체(29)와의 간격은,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200㎛의 범위가 좋다.
토우너담지체(25) 및 모피브러시로울러(26)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우너(24)가 마찰대전되어 토우너담지체(25)에 정전적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고무블레이트(27)로 바닥을 고르게 하여, 토우너담지체(25)상에 층두께 20∼50㎛의 토우너의 박층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모피브러시로울러(26)는, 전기적으로 뜨게하거나, 접지시키거나 어느쪽이라도 좋다. 또, 사용하는 토우너의 극성에 따라서 적당하게 모피브러시로울러(26)와 토우너담지체(25)와의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서, 토우너담지체(25)에 공급하는 토우너량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제4도를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직경 100mm의 무정형 Se-Te 감광체드럼(30)(감광층의 층두께 60㎛, 정전용량 92pF/㎠)을 주속 75mm/s으로 회전시켜, 대전기(31)(코로나전압 : +7kV, 그리드 32의 전압 +850V)를 사용하여 표면전위 +800V로 대전시켰다. 다음에, 출력 7㎼, 파장 670mm의 발광다이오우드(33)를 발광시켜, 자기집광성 로드렌즈 어레이(34)를 통해서 노광하고, 황색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정전잠상을, 표면에 전하량 +3μC/g, 평균입자직경 10㎛의 황토우너(토우너 층두께 30㎛)를 담지한 현상로울러(35)(직경 16mm, 주속 75mm/s, 진행방향은 감광체(30)되 동일방향)와 형상갭 150㎛ 벌려서 대향시켜, 직류전원(36)으로부터 현상 바이아스 +700V를 인가하였든바, 황토우너는 현상로울러(35)로부터 감광체(30)상의 잠상부를 향해서 비상하여 부착하였다. 감광체(30)에 부착한 토우너 층두께는 약 10㎛였다. 그후, 황색현상된 감광체(30)는, 정지하고 +850V의 바이아스를 인가 마젠타현상기(37)와 시안현상기(38)를 통과한다. 이렇게 하여(37)(38)의 현상기를 통과한 감광체(30)위의 토우너상은 종이에 전사하지 않고, 한번 제전(除電) 램프(39)로 감광체(30)전체면을 제전한 후, 다시 코로나대전기(31)로 대전한다. 코로나대전에 의해, 황토우너가 부착하고 있지 않는 알몸의 감광체(30)는 +800V로, 황토우너가 부착해 있는 감광체(30)도 똑같이 +800V로 대전하였다. 여기서 황토우너가 부착해 있는 감광체(30)의 표면전위중, 토우너의 전위는 +50V 정도로, 감광체(30)자체는 +750V 대전하고 있었다.
다음에 이 감광체(30)에 발광다이오우드(33)에 의해 마젠타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조사하였다. 황토우너가 부착하고 있지 않는 감광체(30)의 표면전위는 약 +30V로 저하하였다. 황토우너가 부착하고 있는 부분에서, 노광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전위는 약 +80V로 저하하였다. 이것은, 발광다이오우드(33)의 파장이 670mm이기 때문에, 황토우너는 대부분이 파장의 광을 투과하고, 감광체(30)상에 토우너가 존재하여도 감광체(30)의 표면전위의 광감쇠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 황토우너로 현상되고, 또한 마젠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가진 감광체(30)는, 최초 황현상기(35)를 통과한다. 다음에 감광체(30)은 +700V의 현상바이아스를 안가한 마젠타현상기(37)(토우너전하량 +3μC/g, 평균입자직경 10㎛, 층두께 30㎛)를 통과하고, 마젠타 토우너에 의해 현상된다. 끝으로 감광체(30)는, 시안현상기(38)를 통과한다.
다음에 감광체(30)을 다시 대전기(31)에 의해 +800V로 대전하고, 발광다이오우드(33)에 의해, 시안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700V의 현상바이아스를 인가한 시안현상기(38)(토우너전하량 3μC/g, 평균입자직경 10㎛, 토우너 층두께 30㎛)로 현상한다.
이렇게하여 감광체(30)상에 얻은 컬러토우너상은 전사전에 제전램프(40)에 의해서 감광체(30)전체면을 제전한 후, 전사대전기(41)에 의해서 종이(42)에 전사한 후, 박기대전기(43)에 의해 감광체(30)로 부터 종이(42)를 박리하고, 그후 열정착하였다. 감광체(30)상의 토우너를 종이(42)에 전사한 후, 감광체(30)의 표면을 제전기(44)에 의해 제전하고, 클리이닝장치(45)에 의해 전사나머지의 토우너를 제거하여 재사용하였다. 얻게된 컬러화상은 최고농도가 1.7로 높고 또한 색흐림이 없는 양질의 것이었다.
[구체적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Se-Te 감광체의 대신에 셀렌화비소감광체(감광층의 층두께 90㎛, 정전용량 104pF/㎠)를 사용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프린트하였다. 얻게된 컬러화상은 최고농도 1.5의 또한 색흐림이 없는 양질의 것이였다.
[구체적 실시예 3]
감광체에 아조계의 안료를 사용한 유기감광체(감광층의 층두께 30㎛, 정전용량 80pH/㎠)를 사용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프린트하였다. 얻게된 컬러화상은 최고농도가 1.7로 높고 또한, 색흐림이 없는 양질의 것이였다.
[구체적 실시예 4]
다음에 표시하는 제법에 의해, 엘로우(C), 마젠타(M), 시안(C) 3종류의 정(正)대전용의 토우너를 작성하였다.
(1) 이하의 조성물을 150℃로 약 2시간, 혼련한 후 냉각시켜, 분쇄, 분급하여 5∼15㎛(평균입자직경 : 10㎛)의 엘로우토우너를 얻었다. 얻게된 토우너의 비유전률은, 약 7이였다.
유전체 : 티탄산바륨(ε: 2500) …1g
착색제 : C.I. 피그먼트엘로우 12 …25g
결착제 : 스티렌아크릴수지 …464g
전하제어제 : 아미노화 스티렌수지 …10g
(2) 이하의 조성물을 150℃로 약 2시간, 혼련한 후 냉각시켜, 분쇄, 분급하여 5∼15㎛(평균입자직경 : 10㎛)의 마젠타토우너를 얻었다. 얻게된 토우너의 비유전률은, 약 7이였다.
유전체 : 티탄산바륨(ε: 2500) …1g
착색제 : C.I. 피그먼트레드 5 …30g
결착제 : 스티렌아크릴수지 …454g
전하제어제 : 아미노화 스티렌수지 …15g
(3) 이하의 조성물을 150℃로 약 2시간, 혼련한 후 냉각시켜, 분쇄, 분급하여 5∼15㎛(평균입자직경 : 10㎛)의 시안토우너를 얻었다. 얻게된 토우너의 비유전률은, 약 7이였다.
유전체 : 티탄산바륨(ε: 2500) …1g
착색제 : C.I. 피그먼트블루우-15 …25g
결착제 : 스티렌아크릴수지 …464g
전하제어제 : 아미노화 스티렌수지 …10g
다음에, 상기 3종류의 토우너를 사용하여 제5도에 표시하는 장치로 컬러화상을 작성하였다. 제5도에 있어서, (46)은 알루미늄드럼에 셀렌텔루륨을 증착한 감광체(감광층의 층두께 : 60㎛, 정전용량 : 92pF/㎠), (47)은 스코로트론 대전기(코로나전압 : +70kV, 그리드전압 : +850V), (48)은 발광다이오우드어레이(출력 : 7㎼, 발광파장 670mm), (69)는 자기(自己)집광성 로드렌즈 어레이, (50)(51)(52)는 각각 Y.M.C의 토우너가 따로따로 들어있는 현상기(53)은 제전램프, (54)는 전사용의 코로나대전기, (55)는 종이박리용의 AC 제전기, (56)은 보통종이, (57)은 클리닝브러시이다.
현상기는, 제3도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토우너담지체에는 표면을 조면(粗面)처리한 알루미늄관, 모피브러시 로울러에는 비저항이 106Ωcm의 카아본이 들어있는 레이온섬유를 알류미늄관에 식모한 것을 사용하였다. 현상기를 구동하였을때의 토우너담지체 위에 있어서의 각 토우너의 전하량은 2∼5μC/g이었다. 또, 감광체와 토우너담지체와의 간격을 150㎛로 하였다. 다음에, 상(像)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광체(46)을 화살표 방향으로 주속 100mm/s로 회전시키면서, 스코로트론 대전기(47)로 감광체(46)를 +80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어레이(48)로 엘로우의 화상신호를 스캐닝 노광하여, 비화선부가 +800V, 화선부가 +40V의 네가티브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노광후, 감광체를 3개의 현상기에 통과시켜 Y 토우너로 반전현상하였다. 현상된 Y 토우너의 층두께는, 약 12㎛이였다. 이때의 각 현상기의 설정조건을 다음에 표시한다.
(1) 엘로우의 현상기(50)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750V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850V
토우너담지체의 토우너층두께 : 약 40㎛
(2) 마젠타 및 시안의 현상기(51)(52)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접지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접지
토우너담지체상의 토우너층두께 : 약 40㎛
현상후, Y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46)를 제전램프(53)로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광제전한 후, 다시 스코로트론 대전기(47)로 대전하였다. 감광체(46)의 표면전위는, 토우너의 유무에 관계없이 +800V이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 어레이(48)로 마젠타의 화상신호를 스캐닝 노광하여, 네가티브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Y 토우너가 없는 부분에 있어서의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40V, 또 Y 토우너부착부에 있어서의 화선영역의 표면전위는 +160V였다. 노광후, 감광체(46)를 다음에 표시하는 조건으로 각각 설정한 3개의 현상기(50)(51)(52)에 통과시켜, M 토우너로 반전현상하였다. 얻게된 토우너상의 토우너층 두께는, M 토우너만의 부분에서 약 12㎛, Y와 M 토우너의 겹쳐진 부분에서 약 21㎛였다. Y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비화선영역에는, M 토우너는 전혀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1) 엘로우 및 시안의 현상기(50)(52)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750V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550V
토우너담지체의 토우너층두께 : 0
(2) 마젠타의 현상기(51)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750V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850V
토우너담지체상의 토우너층두께 : 약 40㎛
다시 감광체(46)를 광제전한 후 스코로트론 대전기(47)로 대전하였다. 토우너의 유무에 관계없이 감광체의 표면전위는, +850V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어레이(48)로 시안의 화상신호를 스캐닝 노광하였다.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토우너가 없는 부분에서 +40V, Y 및 M 토우너만이 부착하고 있는 부분에서 +160V, 또 Y 토우너와 M 토우너가 겹쳐진 부분에서 +220V였다.
다음에 감광체(46)를 다음에 표시하는 조건으로 각각 설정한 3개의 현상기(50)(51)(52)에 통과시켜, C토우너로 반전현상하였다. Y 및 M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비화선영역에는, C토우너는 전혀 부착하지 않았다.
(1) 엘로우 및 마젠타의 현상기(50)(51)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750V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550V
토우너담지체상의 토우너층두께 : 0
(2) 시안의 현상기(52)
토우너담지체에의 인가전압 : +750V
모피브러시에의 인가전압 : +850V
토우너담지체상의 토우너층두께 : 약 40㎛
다음에, 제전램프(53)로 감광체(46)전체면을 조사한 후, 전사용의 코로나대전기(54)(코로나전압 : -5.5kV)로 감광체(46)상의 토우너상을 보통종이(56)에 전사하고, AC제전기(55)로 보통종이(56)를 제전하여 감광체(46)로부터 박리하였다. 보통종이(56)에 전사된 토우너상을 가열정착기(도시하지 않음)로 가열해서 컬러프린트를 얻었다. 전사후, 감광체(46)에 잔류한 토우너를 클리이닝브러시(57)로 제거하고, 다시 감광체(46)를 다음 화상형성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해도, 토우너 부착부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전위가 저하하지 않고, 색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프린트를 얻게 되었다.
[비교예 1]
구체적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토우너조성물로부터 티탄산 바륨만을 제외한 토우너를 작성하였다. 얻게된 3종류의 토우너의 비유전률은 약 2.2였다. 이 토우너를 사용하여 구체적 실시예 4와 동일한 과정으로 화상작성을 하였던바, 적(Y토우너와 M토우너를 겹친색)으로 재현해야 할곳에 C토우너가 부착하여, 선명한 적색을 재현할수 없었다. 이때, M토우너로 현상한 감광체를 제대전한 후 Y토우너와 M토우너가 겹쳐있는 부분(토우너층두께 : 약 24㎛)의 표면전위를 측정하였던바, 약 400V였다.
[구체적 실시예 5]
셀렌텔루륨 감광체 대신에 비소셀렌 감광체(감광층의 층두께 : 60㎛, 정전용량 : 156pF/㎠)를 사용하여, 구체적 실시예 4와 동일한 과정으로 화상을 작성하였던바, 구체적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색 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프린트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설명한 토우너를 사용하여, 구체적 실시예 5와 마찬가지 과정으로 화상을 작성하였던바, 엘로우로 재현해야 할곳에 M와 C토우너가, 또 마젠타와 적색으로 재현해야 할곳에 C토우너가 부착하고, 색흐림이 많은 화상으로 되었다. 이때, 1종류의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한후, 토우너부착부(토우너층두께 : 약 12㎛)의 표면전위를 측정하였던바, 약 400V였다. 또, 2종류의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한후, 2종류의 토우너가 겹쳐있는 부분(토우너층두께 약 : 24㎛)의 표면전위를 측정하였던바, 약 250V였다.
[구체적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6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형상기(58)(59)(60)은 직류전계로 토우너를 비상시키는 비접촉형의 비자성 1성분 현상기로, 알루미늄제의 현상로울러(61)(62)(63)상에, 블레이드(64)에 의해 토우너의 박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현상기(58)에는 엘로우(Y), 형상기(59)에는 마젠타(M), 현상기(60)에는 시안(C)의 절연성 토우너가 들어있다. 그리고 현상로울러(61),(62),(63)과 감광체(65)와의 간격(현상갭)을 일정하게하여 각 현상기를 감광체(65)의 주면에 대향 설치하였다. 각 현상기는 현상시에는 감광체에 근접하고, 비현상시에는 이간하는 이접기구가 부착되어있다. 현상기의 제원 및 현상조건과 토우너의 물성을 다음에 표시한다.
현상기의 제원 및 현상조건
현상로울러의 주속 : 150mm/s
현상로울러의 직경 : 16mm
현상로울러상의 토우너층두께 : 30㎛
현상로울러의 회전방향 : 감광체(65)와 역방향
현상갭 : 현상시 150㎛
비현상시 700㎛
토우너의 물성
토우너 전하량 : +3μc/g
평균입자직경 : 10㎛
감광체로서 직경 100mm의 무정형 Se-Te 감광체 드럼(65)을 사용하고, 주속 150mm/s로 회전시키면서 대전기(66)(코로나전압 : +7kV)에 의해 표면전위 +800V로 대전시켰다. 다음에, 출력 7㎼, 파장 670mm의 발광다이오우드(67)를 발광시켜, 로드렌즈어레이(68)를 통해서 감광체(1)상에 네가티브의 엘로우신호를 노광하고,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상기 잠상을 현상로울러에 +7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엘로우의 현상기(58)에서 반전현상한 후,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마젠타현상기(59)와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66)(코로나전압 : +7.3kV)로 감광체(65)를 +8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감광체(65)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마젠타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마젠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Y토우너상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현상로울러(62)에 +8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마젠타의 현상기(59) 및 비현상 상태의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마젠타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66)(코로나전압 : +7.5kV)에 의하여 감광체(65)를 +9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시안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시안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M토우너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 Y토우너와 M토우너가 겹쳐진 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2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및 마젠타의 현상기(59), 현상로울러(63)에 +9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시안의 현상기(60)에 통과시켜, 시안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이렇게하여 감광체(65)상에 얻어진 컬러토우너상을 전사대전기(70)에 의해서 종이(71)에 전사한 후, 열정착하였다. 한편, 전사후 감광체(65)의 표면을 제전램프(69)에 의해 제전한 후, 모피브러시(72)를 감광체(65)에 압접하여 클리이닝하였다.
그결과, 적,녹,청의 합성색의 색농도가 1.5이상, 또 Y,M,C 3색 중합농도가 1.7이상이고, 또한 바닥흐림이 없는 선명한 화상을 얻을수 있었다.
[비교예 3]
제6도에 설명한 장치를 사용하여, 각 사이클마다의 감광체의 초기 전위를 +800V, 현상기의 현상바이아스를 +700V로 일정하게 해서 컬러화상을 작성하였던바, Y사이클때의 콘트라스트 전위가 750V, M사이클에서는 700V, C사이클에서는 600V로 되고, 적,녹,청의 합성색의 색농도가 1.2, 또 Y,M,C 3색 중합농도가 1.3으로 되었다.
[구체적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장치의 코로나대전기(66)대신에 제7도에 표시한 그리드전극(73)을 형성한 스코로트론 대전기(74)를 사용하여 컬러화상을 작성하였다.
감광체드럼(1)을 주속 150mm/s로 회전시키면서 대전기(74)(코로나전압 : +7kV, 그리드전압 750V)에 의해 표면전위 +800V로 대전시켰다. 다음에, 출력 7㎼, 파장 670mm의 발광다이오우드(67)를 발광시켜, 로드렌즈어레이(68)를 통해서 감광체(65)상에 네가티브의 엘로우신호를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상기 잠상을 현상로울러(61)에 +7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엘로우의 현상기(58)에서 반전현상한후,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마젠타 현상기(59)와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 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74)(코로나전압 : +7kV, 그리드전압 800V)로 감광체(1)를 +8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감광체(65)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마젠타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마젠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Y토우너상 상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현상로울러(62)에 +8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마젠타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74)(코로나전압 : 7kV, 그리드전압 900V)에 의해서 감광체(65)를 +9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시안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시안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M토우너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 Y토우너와 M토우너가 겹쳐진 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2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이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및 마젠타의 현상기(59), 현상로울러(63)에 +9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시안의 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시안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해서 감광체(65)상에 얻어진 컬러토우너상을 전사대전기(70)에 의하여 종이(71)에 전사한후, 열정착하였다. 한편, 전사후 감광체(65)의 표면을 제전기(69)에 의해 제전한 후, 모피브러시(72)를 감광체(65)에 압접하여 클리이닝하였다.
그결과, 적,녹,청의 합성색의 색농도가 1.5이상, 또 Y,M,C 3색 중합농도가 1.7이상의 또한 바닥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을수 있었다.
[구체적 실시예 8]
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 6과 동일한 코로나대전기(66)를 사용하고, 재전기(69)를 제외하고 다른 장치구성은 모두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감광체드럼(65)을 주속 150mm/s로 회전시키면서 대전기(73)(코로나전압 : +7kV)에 의해 표면전위 +800V로 대전시켰다. 다음에, 출력 7㎼, 파장 670mm의 발광다이오우드(67)를 발광시켜, 로드렌즈어레이(68)를 통해서 감광체(65)상에 네가티브의 엘로우신호를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이였다. 상기 잠상을 현상로울러(14)에 +7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엘로우의 현상기(58)에서 반전현상한 후,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마젠타현상기(59)와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66)(코로나전압 : +7kV)로 감광체(65)를 +8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감광체(65)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마젠타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마젠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Y토우너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현상로울러(62)에 +8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마젠타의 현상기(59) 및 비현상 상태의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마젠타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66)(코로나전압 : +7kV)에 의해서 감광체(65)를 +9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시안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시안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M토우너상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 Y토우너와 M토우너가 중합된 상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2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및 마젠타의 현상기(59), 현상로울러(63)에 +9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시안의 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시안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이렇게해서 감광체(65)상에 얻어진 컬러토우너상을 전사대전기(70)에 의해서 종이(71)에 전사한후, 열정착하였다. 한편, 전사후, 모피브러시(72)를 감광체(65)에 압접하여 클리이닝하였다.
그결과, 적,녹,청의 합성색의 색농도가 1.5이상, 또 Y,M,C 3색 중합농도가 1.7이상의, 또한 바닥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구체적 실시예 9]
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 6과 마찬가지 장치에서 코로나대전기(66)에 제8도에 표시한 코로나와이어가 6개의 대전기(75)를 사용하였다. 이 대전기를 사용하여 각색의 사이클마다. 코로나전압을 인가하는 코로나와이어의 수를 증가하여 감광체를 대전하는 시간을 차차로 길게 하였다. 감광체드럼(65)을 주속 150mm/s으로 회전시키면서 대전기(75)의 코로나와이어(76)에 코로나전압을 +75kV인가하고 표면전위 +800V에 대전시켰다. 다음에, 출력 7㎼, 파장 670mm의 발광다이오우드(67)를 발광시켜, 로드렌즈어레이(68)를 통하여, 감광체(65)위에 네가티브의 엘로우신호를 노광하고,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였다. 상기 잠상을 현상로울러(61)에 +7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에서 반전현상한후,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마젠타현상기(59)와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 엘로우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75)의 코로나와이어(76) 및 (77)의 2개에 코로나전압을 +7kV인가하고 감광체(65)를 +8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감광체(65)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마젠타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마젠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Y토우너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이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현상로울러(62)에 +8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마젠타의 현상기(59) 및 비현상 상태의 시안현상기(60)에 통과시켜 마젠타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다음에, 다시 코로나대전기(75)의 코로나와이어(76),(77),(78)의 3개의 코로나전압을 +7kV 인가하고 감광체(1)를 +950V로 대전하였다. 다음에, 발광다이오우드(67)에 의해 시안에 대응하는 신호광을 노광하여 시안의 정전잠상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M토우너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100V, Y토우너와 M토우너가 중합된 상의 위에 형성된 화선부의 표면전위는 +200V이고, 상기 잠상의 콘트라스트 전위는 750V이였다. 다음에, 감광체(65)를 비현상 상태의 엘로우현상기(58) 및 마젠타의 현상기(59), 현상로울러(63)에 +900V를 인가한 현상 상태의 시안의 현상기(60)에 통과시켜서 시안의 토우너상을 형성하였다. 현상후, 제전램프(69)로 전체면을 조사하여 잠상을 소거하였다.
이렇게해서 감광체(65)위에 얻어진 컬러토우너상을 전사대전기(70)에 의해서 종이(71)에 전사한 후, 열정착하였다. 한편, 전사후 감광체(65)의 표면을 제전기(69)에 의해 제전한 후, 모피브러시(72)를 감광체(65)에 압접하여 클리이닝하였다.
그결과, 적,녹,청의 합성색의 색농도가 1.5이상, 또 Y,M,C 3색 중합농도가 1.7이상의 또한 바닥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을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우너상을 담지한 감광체를 재대전하여도, 토우너부착부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전위저하가 없고, 색흐림이 없는 선명한 컬러화상을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색의 색농도가 높은 컬러화상을 안정적으로 얻을수 있는 컬러전자사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색밸런스의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바닥흐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컬러전자사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정전용량이 170pF/㎠ 이하인 감광체와, 현상수단이 박층화된 토우너를 담지한 토우너담지체를 상기 감광체에 상기 토우너가 접촉하지 않도록 대향시키고, 상기 토우너담지체와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토우너를 전계의 작용으로 비상시키는 전계비상 현상수단을 사용하고, 대전·노광·현상의 공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상기 감광체상에 색이 다른 토우너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컬러전자사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의 정전용량이 20pF/㎠ 이상인 컬러전자사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가 셀렌감광체이고, 또한 셀렌감광층의 층두께가 35∼90㎛인 컬러전자사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가 셀렌화비소 감광체이고, 또한 셀렌화비소 감광층의 층두께가 65∼90㎛인 컬러전자사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가 유기감광체이고, 또한 유기감광층의 층두께가 15∼50㎛인 컬러전자사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토우너 담지체와 감광체와의 간격이 250㎛ 이하인 컬러전자사진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현상이 반전현상인 컬러전자사진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화상부와 비화상부의 콘트라스트 전위가, 400V 이상인 컬러전자사진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1색의 현상에 의해 감광치상에 형성되는 균일한 토우너의 층두께의 평균이 5∼30㎛의 범위인 컬러전자사진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토우너가 비자성이고 또한 평균입자직경이 12㎛ 이하인 컬러전자사진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토우너의 전하량이 1∼5μc/g인 컬러전자사진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토우너의 비유전률이 3이상인 컬러전자사진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토우너에 무기의 유전체가 포함되어있는 컬러전자사진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유전체가 황산바륨, 알루미나, 티탄산바륨, 산화티탄의 어느 하나인 컬러전자사진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의 대전전위를 대전·노광·현상의 각색의 사이클마다 높게 해가는 수단을 형성한 컬러전자사진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대전전위를 높게하는 수단이, 감광체를 대전하는 코로나대전기에 인가하는 전압을 높게해가는 컬러전자사진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대전공정에 있어서, 감광체가 스코로트론 대전기로 대전되는 컬러전자사진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대전전위를 높게하는 수단이, 감광체를 대전하는 스코로트론 대전기의 그리드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높게해가는 컬러전자사진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대전전위를 높게하는 수단이, 인가전압이 일정한 코로나대전기를 사용하는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상기 전압의 인가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각 사이클 종료후의 감광체를 제전하지않고 감광체를 대전하는 컬러전자사진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대전전위를 높게하는 수단이, 인가전압이 일정한 코로나대전기를 사용하고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상기 전압의 인가시간을 길게하는 컬러전자사진방법.
KR1019870009729A 1986-09-03 1987-09-03 컬러전자 사진방법 KR90000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7235 1986-09-03
JP61207235A JPS6363061A (ja) 1986-09-03 1986-09-03 カラ−電子写真方法
JP61234816A JPS6388571A (ja) 1986-10-02 1986-10-02 カラ−電子写真方法
JP61234818A JPS6388573A (ja) 1986-10-02 1986-10-02 カラ−電子写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358A KR880004358A (ko) 1988-06-07
KR900005264B1 true KR900005264B1 (ko) 1990-07-21

Family

ID=2732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729A KR900005264B1 (ko) 1986-09-03 1987-09-03 컬러전자 사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6460A (ko)
EP (1) EP0258889B1 (ko)
KR (1) KR900005264B1 (ko)
DE (1) DE377330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2285A (ja) * 1987-01-12 1988-07-15 Minolta Camera Co Ltd 電子複写機
US5017967A (en) * 1988-04-13 1991-05-21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including a toner transporting memb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DE4416181C2 (de) * 1993-05-06 2003-01-30 Ricoh Kk Mehrfarben-Bilderzeugungseinrichtung
GB2310632B (en) * 1996-02-27 1998-09-09 Presstech Controls Ltd Apparatus for use in a gravure printing press
US6324365B1 (en) 1996-05-30 2001-11-27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6434351B2 (en) 1996-05-30 2002-08-1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120072844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정전하상 현상용 중합 토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3348A (en) * 1966-10-03 1970-05-28 Rank Xerox Ltd Xerographic Process and Apparatus
JPS6060056B2 (ja) * 1978-08-28 1985-12-2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画像合成複写方法
JPS6014255A (ja) * 1983-07-05 1985-01-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050553A (ja) * 1983-08-30 1985-03-20 Fujitsu Ltd 多色電子記録方法
US4599285A (en) * 1983-10-03 1986-07-08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Multiplex image reproducing method
US4669864A (en) * 1985-01-31 1987-06-02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S6239882A (ja) * 1985-08-16 1987-02-20 Fujitsu Ltd 多色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8889A2 (en) 1988-03-09
EP0258889B1 (en) 1991-09-25
DE3773307D1 (de) 1991-10-31
EP0258889A3 (en) 1988-10-12
US4766460A (en) 1988-08-23
KR880004358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264B1 (ko) 컬러전자 사진방법
US5079115A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US4809038A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KR920009349B1 (ko) 컬러전자사진방법 및 그 장치
JP3202746B2 (ja) 3レベル静電潜像をトナーで現像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52297B2 (ko)
JP2633248B2 (ja) カラー電子写真方法
US3738832A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 employing liquid developer containing gelatin
JPH083673B2 (ja) カラ−電子写真装置
KR910007441B1 (ko) 컬러전자사진장치
KR920002923B1 (ko) 컬러전자사진장치
JP2604714B2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KR920003907B1 (ko) 컬러전자사진장치
JP2537983B2 (ja) カラ―電子写真装置
US5260155A (en) Xeroprinting method, master and method of making
JPH0374388B2 (ko)
JP2537796B2 (ja) カラ−電子写真方法
JPS6271969A (ja) カラ−電子写真方法
KR920007716B1 (ko) 컬러전자 사진장치
JPH0447314B2 (ko)
JPS62115172A (ja) カラ−電子写真方法
JP2589793B2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S63149659A (ja) 像形成方法
JPH01113771A (ja) カラー電子写真方法
JPS62136667A (ja) カラ−電子写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