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36Y1 -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36Y1
KR900005236Y1 KR2019880006920U KR880006920U KR900005236Y1 KR 900005236 Y1 KR900005236 Y1 KR 900005236Y1 KR 2019880006920 U KR2019880006920 U KR 2019880006920U KR 880006920 U KR880006920 U KR 880006920U KR 900005236 Y1 KR900005236 Y1 KR 900005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flow rate
water level
valve
filt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607U (ko
Inventor
권이황
Original Assignee
권이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이황 filed Critical 권이황
Priority to KR2019880006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36Y1/ko
Publication of KR890022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1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를 자동으로 경보하는 여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서 역세척 시기를 자동으로 경보하는 회로의 기본 개요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지 2 : 여과층
3 : 집수판 4 : 여과통
5 : 수위 검출기 6 : 정수 유출관
7 : 유량 검출기 8 : 정수 밸브
9 : 배수관 10 : 수위 검출부
11 : 집수실 20 : 유량 검출부
30 : 밸브 개도 검출부 100 : 조작대
140,141 : 비교부 150 : 논리조합부
160 : 콘트롤부 170 : 역세척 알람부
본 고안은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를 자동으로 경보함과 동시에 역세척 개시를 콘트롤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지가 미리 설정된 손실수두에 도달할 때의 수위와 정수 유출관을 통하는 정수의 유량과 정수 밸브의 열림상태등을 감지하여 급속여과지의 역세척 시기를 알리는 장치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속 여과지의 손실수두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여과지의 조작대에 손실수두계를 사용하는데, 이는 여과 사위의 위치 수두와 정수관로내의 속도 수두차를 검출하여 손실수두를 측정하는 까닭에 밸브의 열림 상태나 정수관로의 압력손실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확한 손실수두인 실제의 손실 수두를 검출하지 못하였을 뿐아니라, 정수 생산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정수관로의 밸브 열림상태와 정수관로를 통하는 유량을 자동으로 검지하여 미리 설정된 급속 여과지의 손실수두 한계점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역세척 시기를 적시에 졍보함과 동시에 역세척 개시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인용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통(4) 내부의 여과층(2)을 하부 집수판(3)으로 지지시킨 일측에 배수관(9)을 설치하고, 여과층(2)의 상측에는 수위 검출기(5)를 상단이 여과지(1)의 만수위(HWL)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수직으로 착설하고, 수위 검출기(5)의 만수위(HWL) 위치에는 수위 검출부(10)를 부착하며, 집수실(11)에 연결된 정수 유출관(6)의 소정부분에는 유량 검출부(20)를 구비한 유량 검출기(7)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정수 유출관(6)의 정수 밸브(8)의 축에는 밸브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밸브 개도 검출부(30)를 설치하여서 수위 검출부(10)와 유량 검출부(20) 및 밸브개도 검출부(30)를 조작대(100)에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장치에서 역세척 알람 회로는 여과지(1)의 손실수도가 극한치에 달하여 역세척이 필요한 수위에 도달할 때 이를 감지하는 수위 검출부(10)와, 정수 유출관(6)을 통하는 정수의 유량과 정수밸브(8)의 열림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유량 검출부(20) 및 밸브 개도 검출부(30)에서 산출되어 출력되는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40),(141)와, 상기의 각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조합하여 밸브의 열림상태, 유량 및 만수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논리 조합부(150)와, 논리 조합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역세척 알람부(170)를 제어하는 콘트롤부(160)도 제2도와 같은 개요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유량 제어형 급속 여과 방식에 있어서, 초기의 정수 시기는 어느 정도의 원수를 여과층(2)상에 채워놓고 정수밸브(8)를 사용자가 임의로 개방시켜 일정량의 유량으로 여과를 하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밸브(8)를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으로 맞추어 놓게 된다.
이와같이 정수밸브(8)가 완전히 열린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만수위(HWL)가 되는 경우는 여과지(1)의 손실 수두가 한계점에 달하거나, 정수 유출관(6)의 압력손실로 인해 유량이 감소한 경우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양자의 경우에 발생하는 만수위(HWL)를 감지함으로써 전자의 경우에는 역세척을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정수 유출관(6)의 압력을 보충하기 위해 일정량의 역세척 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먼저, 정수 유출관(6)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만수위가 되어 역세척 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에 여과층(2)의 여과 저항 증대로 여과지(1)내의 수위가 점차로 상승하게 되고, 그 손실 수두가 극한치에 달하여 역세척이 필요한 만수위(HWL)에 도달하면 수위 검출기(7)에 취부되어있는 수위검출부(10)가 이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되는 신호를 논리조합부(50)에 인가한다.
한편, 유량 검출부(20)와 밸브 개도 검출부(30)는 정수 유출관(6)의 압력과 밸브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산출한 전압을 비교부(140)(141)에 각각 인가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얻은 저압을 전기한 논리조합부(150)에 인가한다.
따라서, 논리 조합부(150)는 입력단자에 인가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역세척 알람부(170)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부(160)에 공급하므로, 역세척 개시 릴레이(173)를 작동시켜 역세척하도록 한다.
다음은 정수 유출관(6)의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여과지(1)내의 수위가 만수위로 될때 압력손실을 보상하여 정수생산 효율을 높이는 과정을 살펴보면, 정수 유출관(6)의 내부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정수유출관(6)을 통하는 유량이 적어지므로 유량 검출기(7)에 취부되어 있는 유량 검출부(20)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유량 검출부(20)에서 유량의 감소로 인해 산출되는 전압이 비교부(140)에 공급이 되어 비교된 데이터가 논리 조합부(150)에 공급된다.
따라서, 콘트롤부(160)는 논리조합부(15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의해서 공기공급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하여 정수하여 정수 유출관(6)의 내부압력이 일정치로 되게 함으로써 여과지(1)내의 수위가 만수위에서 점차로 떨어지게 되어 정상적인 여과동작을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의 장치는 밸브의 열림상태와 정수 유출관의 입력에 따른 유량을 감지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작동을 제어하므로 실제 여과지의 손실수두를 검출하여 역세척함으로 정수생산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유출관(6)의 임의의 부분에 유량검출부(20)를 구비한 유량검출기(7)를 설치하고, 정수밸브(8)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밸브개도 검출부(30)를 상기 정수밸브(8)의 축에 연결함과 아울러 여과지(1)내의 만수위보다 높게 설치된 수위 검출기(5)에는 수위검출부(10)를 착설함으로써 밸브가 완전히 열린상태와 정수 유출관의 압력손실을 감지하여 실제의 손실수두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KR2019880006920U 1988-05-09 1988-05-09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KR900005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920U KR900005236Y1 (ko) 1988-05-09 1988-05-09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920U KR900005236Y1 (ko) 1988-05-09 1988-05-09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607U KR890022607U (ko) 1989-12-01
KR900005236Y1 true KR900005236Y1 (ko) 1990-06-15

Family

ID=1927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920U KR900005236Y1 (ko) 1988-05-09 1988-05-09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84B1 (ko) * 2014-11-03 2015-07-23 (주)보은정공 급속 여과지 자동 운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84B1 (ko) * 2014-11-03 2015-07-23 (주)보은정공 급속 여과지 자동 운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607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1120A (ja) 濾過器の目詰まり検出方法
KR900005236Y1 (ko) 급속 여과지의 역세척 시기 알람장치
JP3176290B2 (ja) フィルタの管理装置
JPH0150543B2 (ko)
SE503918C2 (sv) Anordning för rening av vatten innefattande en trycksatt membrankammare samt förfarande för bestämning av genomsköljningstid för en trycksatt membrankammare
US41070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filtrate quality
JPH11500054A (ja) 再生可能フィルタのコストを考えた制御
US6030525A (en) Cost-orientated control of a regenerable filter
KR100203062B1 (ko) 정수기의 수위센서 오동작 방지방법
KR0172704B1 (ko) 수압변동에 따른 정수기 제어방법
JPH0446163B2 (ko)
JPS6214908A (ja) フイルタ−プレス型脱水機の加圧停止方法
JP3084795B2 (ja) 浴槽水浄化装置
JPS6483134A (en) Detecting device of clogging of filter of filtering apparatus
GB2108862A (en) Automatic air humidifying apparatus
JP7259538B2 (ja) 液体濾過器
SU639169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режимом работы фильтра
JPH06315690A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JPH05126305A (ja) ボイラにおける濃縮ブロー弁の制御機構
SU15586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вода конденсата из паровой камеры вулканизаторов покрышек
KR0150574B1 (ko) 정수기의 정수배출장치 및 방법
KR0135331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스위치
KR0173765B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방법
JPS608476B2 (ja) 放射性廃棄物処理系統におけるろ過器制御装置
JPS5588999A (en) Operating method of pressurizing type sludge dehydr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