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60B1 -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60B1
KR900005160B1 KR1019870005419A KR870005419A KR900005160B1 KR 900005160 B1 KR900005160 B1 KR 900005160B1 KR 1019870005419 A KR1019870005419 A KR 1019870005419A KR 870005419 A KR870005419 A KR 870005419A KR 900005160 B1 KR900005160 B1 KR 900005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elephone number
unit
control unit
d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764A (ko
Inventor
김인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60B1/ko
Publication of KR88001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차량 무선전화기의 외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의 개요도.
제3도는 제2도중 콘트롤 유니트 및 DTS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트롤 유니트 101 : 제1키 처리부
102 : 제1마이크로 컴퓨터 104 : 제1버퍼
200 : 로직유니트 201 : CPU
202 : 롬 203 : 램
204 : 백업 전원회로 205 : SIO
300 : DTS 유니트 301 : 제2키 처리부
302 : 제2마이크로 컴퓨터 303 : 제2버퍼
본 발명은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화기에서 호를 발신하고자 할 경우, 10개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3디지트로 이루어진 지역 코드를 누른 뒤에 7디지트의 가입자 번호를 눌러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 차량 전화기 사용시 차량의 이동중에 상기와 같이 많은 키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불편함 및 안전에 대한 위험성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되는 전화번호들을 전화기 세트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한 후, 리콜(RECALL key)을 사용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차량 무선전화기 세트에서도 적어도 3 내지 4개의 키들을 사용해야 했다. 예를 들면 저장 전화번호를 송출할 시 리콜키에다 메모리에 저장된 어드레스에 상응되는 1개 또는 2개의 숫자키와 센드키(SEND key)를 눌러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저장 전화번호를 이용하기 위하여 저장영역의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키들을 기억하고 있어야 했으므로 불편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무선전화기에서 단지 1개 또는 키를 통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할 수 있는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무선전화기에서 단지 1개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할 수 있는 전화번호 직접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전화기의 외관 구성도로서, 안테나와 접속되어 셀사이트(cell cite)와 음성 및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고, 차량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unit)(11)를 차량의 트렁크에 위치시키고, 운전대 주변에 크레들(cradle)(15)과 핸드세트(hand set)(14)를 컬코드(Curl code)(16)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콘트롤 유니트(Control unit)(13)를 부착한 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수신기(14)에 연결하며, 운전대 주변에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Direct Telephone Number Selection:이하 DTS라 칭함)(17)를 설치하여 상기 콘트롤 유니트(13)의 송신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에 대한 개요도로서, 송수신기(11)에 내장되어 송수신기내의 모든 모듈(module)을 제어 및 통제하여 전반적인 차량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처리하는 로직유니트(200)와, 상기 로직유니트(200)와 직렬 통신하며, 사용자가 누른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 또는 버튼을 인식하여 상기 로직유니트(200)로 전송하고, 상기 로직유니트(200)에서 전송한 데이타를 분석하여 오디오 회로제어(Audio Circuit Control), LCD 표시처리(LCD display processing) 및 지시(indicator) 등을 처리하는 콘트롤 유니트(100)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송신단(TX Terminal)에 병렬 접속되어 원터치(one touch)에 의해 원하는 소정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기 위한 키 데이타를 발생하는 DTS 유니트(3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콘트롤 유니트(100)는 각종 기능 및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눌려진 키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1키 처리부(101)와, 상기 제1키 처리부(101)에서 발생하는 키 데이타 신호를 분석한 후 제1키 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로직유니트(2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로직유니트(2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분석하여 콘트롤 유니트(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와,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의 제어하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3)와, 상기 로직유니트(200)와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 사이에 접속되어 키 정보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1버퍼(104)로 구성된다. 또한 로직유니트(200)는 차량 무선전화기의 각 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이하 CPU라 칭함)(201)와, 상기 각종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202)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을 갖고 있는 램(203)과, 상기 램(203)으로 백업(back up) 전원을 공급하여 저장 데이타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백업 전원회로(Battery back Up Circuit)(204)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와의 직렬 통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SIO(Serial Input Output)(205)로 구성된다. 또한 DTS 유니트(300)는 원터치에 의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기 위한 키 데이타 신호를 발생하는 제2키 처리부(301)와, 상기 제2키 처리부(301)에서 발생하는 키 데이타 신호를 분석한 후 원키에 의해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기 위한 제2키 정보를 변환출력하는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송신단에 병렬 접속되어 키 데이타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의 출력을 로직유니트(200)로 출력하는 제2버퍼(303)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 중 콘트롤 유니트(100) 및 DTS 유니트(300)의 구체회로도로서, 콘트롤 유니트(100)는 디코더(decoder)(111), 키 매트릭스(key matrix)(112) 및 인버터(113-115)로 구성되어 소정의 스트로브신호(strobe signal)를 디코딩하여 n행×m열(n row by m column)로 이루어진 키 매트릭스(112)의 행(row)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해당 행에 접속된 소정의 키가 눌려질 시 열측으로 인버터(113-115)를 통해 키 눌림 신호(depressed key signal)를 발생하는 제1키 처리부(101)와, 상기 제1키 처리부(101) 측으로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며, 제1키 처리부(101)에서 키 눌림신호 발생시 이를 인식하여 해당 키 데이타를 제1키 정보로 변환한 후 로직유니트(2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로직유니트(200)의 전송 데이타를 분석하여 오디오 회로, 표시부 및 인디케이터를 제어하는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와, 인버터(116,117), 트랜지스터(118) 및 저항(119)로 구성되어 상기 로직유니트(200)와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 사이에 접속되며, 인버터(116)를 통해 상기 로직유니트(200)의 전송 데이타를 완충하고, 인버터(117) 및 트랜지스터(118)를 통해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의 전송데이타를 완충하여 키 데이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1버퍼(103)로 구성된다. DTS 유니트(300)는 디코더(311), 키 매트릭스(312) 및 인버터(313-315)로 구성되어 소정의 스트로브 신호를 디코딩하여 Y행×Z열(Y row By Column)로 이루어진 키 매트릭스(312)의 행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해당 행에 접속된 소정의 키가 눌려질 시 열측으로 인버터(313-315)를 통해 키 눌림신호를 발생하는 제2키 처리부(301)와, 상기 제2키 처리부(301)측으로 상기 키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며, 제2키 처리부(301)에서 키 눌림신호 발생시 이를 인식하여 해당 키 데이타를 제2키 정보로 변환한 후 로직유니트(200)측으로 출력하는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와, 인버터(316) 및 트랜지스터(317)로 구성되어 상기 제1버퍼의 송신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의 출력 키 데이타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버퍼(303)로 구성된다.
제4도는 콘트롤 유니트(100) 또는 DTS 유니트(300)에서 키 신호 발생시 로직유니트(200)의 처리흐름도로서,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 또는 DTS 유니트(30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1 또는 제2키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는 제1단계(402)(404)와, 상기 제1단계(402)(404)에서 저장키(store key)일시 메모리에 저장키 입력플래그를 세트하고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로 저장키 톤을 발생하는 제2단계(416)(418)와, 상기 제1단계(402)(404)에서 숫자키일 시 저장키 입력 플래그 상태를 분석하여 리세트 상태일시 메모리의 숫자키 영역에 저장하는 제3단계(406)(408)(404)와, 상기 제3단계(406)에서 저장키 입력 플래그 세트 상태일시 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수신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메모리의 전화번호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로 저장하는 제4단계(410)(412)(414)와, 상기 제1단계(414)(404)에서 DTS 기능키일시 해당 DTS 번호에 해당하는 메모리의 전화번호를 무선 송신 데이타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동시에 콘트롤 유니트(100)로 표시정보를 송출하는 제5단계(402)(422)(424)(426)(428)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2,3,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 무선전화기는 제1도와 같이 송수신기(tranceiver unit)(11), 콘트롤 유니트(Contral unit)(130), DTS 유니트(DTS unit)(17) 및 안테나(Antenna)(12)로 이루어져 있다. 차량 외부에 설치된 안테나(12)와 연결된 상기 송수신기(11)는 차량의 트렁크내에 위치해 있으며, 그 구성은 셀 사이트에서 들어온 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수신부(receiver), 셀 사이트로 전송할 신호를 혼합(mixing)하여 송출하는 송신부(transmitter),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주파수 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 송수신기의 모든 모듈을 제어, 통제하는 로직부(logic uni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 유니트(13)는 운전대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송수신기(11)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핸드세트(14)와 크레들(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핸드세트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는 크레들(15)의 송신 오디오를 거쳐 송수신기(11)로 보내지며, 송수신기(11)로 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송수신기의 연결부분에서 증폭되고, 사이드톤(side tone)으로서 핸드세트(14)의 수신부로 들어간다. 또한 크레들(15)에 내장된 콘트롤 유니트의 제어부는 키 매트릭스의 상태를 분석하여 송수신기(11)로 송출하고, 송수신기(11)의 전송 데이타를 분석하여 오디오 및 표시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DTS 유니트(17)도 운전대 근처에 설치하며, 4핀 모듈라 잭(modula Jack)으로 상기 콘트롤 유니트(14)의 송신단에 연결되는데, 송수신기(11)의 로직 유니트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원터치 키 신호로 직접 선택하여 다이알링하기 위한 키 데이타를 발생한다. 제2도에서 차량 무선전화기의 각종 기능 및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키 처리부(101)를 통하여 발생하며, 해당 키 정보는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에서 키 테이블에 의해 미리 약정된 코드로 변환되어 제1버퍼(104) 및 SIO(205)를 통해 CPU(201)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내부에 프로그램 및 데이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직렬 방식으로 CPU(201)와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CPU(201)는 SIO(205)를 통해 콘트롤 유니트(100)와 데이타를 주고 받으며, 제1마이크로 컴퓨터(205)를 통해 수신한 데이타를 분석하여 램(203)에 저장하는 동시에 이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타를 다시 SIO(205)를 통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이 데이타를 분석하여 표시부(103) 또는 오디오 회로(105)를 제어한다.
DTS 유니트(300)에서 제2키 처리부(301)를 통해 키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방법은 콘트롤 유니트(100)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제2키 처리부(301)에서 발생되는 키 정보는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와 동일한 시퀀스(sequence)를 갖는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에서 키 테이블에 의해 정의된 코드로 변환된 후 제2버퍼(303)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2키 처리부(301)에 의해 발생되는 키 정보를 정의한 키 테이블(이하 제2키 테이블이라 칭함)은 상기 제1키 처리부(101)에 의해 발생되는 키 정보를 정의한 키 테이블(이하 제1키 테이블이라 칭함)과 상이한 코드값을 갖는데, 이는 CPU(201)가 각각 해당 키의 기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2버퍼(303)는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송신단에만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서, 키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만 하고 다른 정보를 수신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원터치에 의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고자 할 시에는 콘트롤 유니트(100)의 제1키 처리부(101)를 통해 해당 전화번호를 로직유니트(200)의 램(203)에 미리 기억시키고, DTS 유니트(300)의 제2키 처리부(301)를 통해 해당 키 정보를 발생하면 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콘트롤 유니트(100) 및 DTS 유니트(300)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컴퓨터(102,302)는 원칩 마이컴으로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내부 마스킹 롬(masking ROM)과 데이타 버스 및 입출력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하는 프로그램 영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키 처리루틴은 콘트롤 유니트(100) 및 DTS 유니트(300)가 공히 같은 시퀀스를 갖고 처리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 유니트(100)와 DTS 유니트(300)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처리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며, 로직유니트(200)는 먼저 입력되는 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OKI"사에서 제작 판매하는 "MSM 80C49"를 사용하였다.
이제 구체적으로 원키에 의해 원하는 소정 전화번호를 직접 다이알링하는 과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램(Non Volatile RAM)(203)에는 전화번호 메모리맵(telephone number memory map)을 갖는데, 하기 표 1과 같다고 가정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상기 표 1에서 제1영역(00)은 자주 사용하거나 긴급을 요하는 전화번호로서, 제1키 매트릭스(102)의 "HOT"키에 의해 읽혀지고, 제2영역("1"-"9")은 제1키 매트릭스(102)의 "숫자키"+"SEND"키에 의해 읽혀지며, 제3영역("10"-"49")은 제1키 매트릭스(102)의 "RECALL"+"SEND"키에 의해 읽혀진다. 또한 제4영역("50"-"69")은 원터치에 의한 제2키 매트릭스(302)의 해당 "HOT"키(HOT1-HOT20)에 의해 읽혀진다. 그리고 제5영역("70"-"79")은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제4영역의 전화번호는 확장 긴급회선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제1-제4영역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전화번호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여야 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키 매트릭스(112)를 통해 저장할 전화번호 및 램(203)에 할당된 어드레스 정보를 발생해야 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포트 P14, P15, P16을 통해 제1키 매트릭스(112)의 키 발생유무를 스캔하기 위하여 순차적인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며, 디코더(111)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1키 매트릭스(112)의 행(row)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포트 P20, P21, P22를 통해 상기 제1키 매트릭스(112)의 열(column)의 상태를 검사하는데, 키 눌림신호가 발생되면 그 당시의 스트로브 신호 상태를 분석하여 해당키의 눌림을 분석한다. 이후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입력된 해당 키의 값을 하기 표 2와 같은 제1키 테이블을 참조하여 송신할 형태로 데이타를 편집한다. 상기 편집 데이타는 포트 P13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는 인버터(117) 및 트랜지스터(118)에서 완충되어 로직유니트(200)에 SIO(205)측으로 인가된다.
[표 2]
Figure kpo00002
상기와 같이 제1키 매트릭스(112)를 통해 발생되는 제1키 정보가 SIO(205)를 통해 CPU(201)로 인가되면, CPU(201)는 롬(202)의 프로그램을 읽어 입력키 데이타를 처리한다. 이때 (404)단계에서 입력한 키 값이 숫자키일 경우에는 (406)단계에서 "스토어"키의 누름 상태를 확인하는데, 스토어키 입력이 없었을 경우에는 (408)단계에서 해당 숫자키 데이타를 램(203)의 키 값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스토어"키 입력시에는 (416)단계에서 상기 램(203)의 스토어 입력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408)단계에서 스토어키에 해당하는 톤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톤신호는 SIO(205)를 통해 직렬 데이타로 변환된 후 인버터(116)를 통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로 인가된다. 그러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 회로를 제어하여 해당톤을 발생시킨다. 스토어 이때 상기와 같이 STORE 키 입력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에서 숫자키가 입력된 상태일시에는 CPU(201)는 현 입력 숫자키 값을 상기 표 1과 같이 상기 램(203)의 전화번호 저장영역에 대한 어드레스로 간주한다. 따라서 CPU(201)는 (410) 단계에서 스토어키 입력 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412)단계에서 현 입력 숫자키 값에 해당하는 램(203)의 전화번호 저장영역 이전에 입력된 숫자키 값을 전화번호로 저장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를 발생한다. 상기 표시 데이타는 SIO(205)를 통해 직렬 변환된 후 인버터(116)를 통해 제1마이크로 컴퓨터로 인가되는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이 데이타에 따라 표시부(103)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타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데이타는 하기와 같이 해당 전화번호 및 램(203)의 전화번호 저장영역의 어드레스이다.
SXX : XXX…XX
Store Address Telephone number
그리고 이때 저장되는 어드레스가 51-70일 경우에는 원키에 의해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 저장의 키 발생순서는 하기와 같다.
XX…XX+STORE KEY+XX
전화번호 숫자키(어드레스)
다음으로 원키에 의해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2키 매트릭스(312)는 20개(HOT1-HOT20)의 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키는 램(203)의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중 51-70번지에 각각 1:1로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는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와 동일한 키 처리 프로그램을 갖는데, 포트 P14, P15, P16을 통해 순차적으로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면, 디코더(311)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키 매트릭스(312)의 해당 행(row)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2키 매트릭스(312)를 통해 키 눌림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는 포트 P23, P24, P25를 통해 이를 인지하여 해당 키의 위치를 인지한다. 이후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는 하기 표 3과 같은 제2키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입력키를 코드화한 후 포트 P13을 통해 출력한다.
[표 3]
Figure kpo00003
상기 제2키 정보는 인버터(316) 및 트랜지스터(317)에서 일단 완충된 후 SIO(205)로 인가되는데, 이는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제1키 정보와 DTS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제2키 정보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롤 유니트 및 DTS 유니트 중 어느 한쪽이 동작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다른 쪽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후 CPU(201)는 (402)단계에서 SIO(205)를 통해 상기 제2키 정보를 수신하는데, 각각 독립적인 키 값을 갖고 있으므로, (404)단계에서 DTS 기능 키임을 인지한다. 따라서 CPU(201)는 (420),(422),(424)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DTS 키에 대한 고유 어드레스를 계산한 후 램(203)의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 중 해당 어드레스 위치의 전화번호를 억세스(access)하여 표시데이타로 만든다. 상기 DTS용 표시데이타는 SIO(205)를 통해 직렬 데이타로 변환되며, 인버터(116)를 통해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로 인가되고, 제1마이크로 컴퓨터(102)는 표시부(103)를 제어하여 이를 하기와 같이 표시한다.
DXX : XXX…XX
DTS 기능 어드레스 전화번호
또한 상기 CPU(201)는 억세스한 데이타(DTS 기능의 전화번호)를 읽어서 (426)(428)단계에서 무선 송신 데이타 형태(RF transmitting data format)로 변환 편집하여 램(203)의 RF 송신데이타 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RF 송신데이타를 송수신기 유니트(transceiver unit)의 송신부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송신부는 셀사이트(cell site)로 상기 데이타를 송출하기 위해 이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발사한다. 그러므로 원 키신호에 의해 제2키 매트릭스(312)에서 1:1로 대응되는 램(203)의 해당 전화번호 값이 송출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키 매트릭스(302)의 키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시, 키를 오입력하였거나 통화가 필요없게 된 경우에는 "CLEAR"키를 이용하면 해당 호출이 취소된다. 또한 통화 종료시에는 "종료""END" 키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료"키를 제1 및 제2키 매트릭스(102,302)에 동시에 설치하고, 해당 키값도 상기 표 2, 표 3에서와 같이 동일한 코드값으로 설정함으로서, 핸드프리(hands free) 기능으로 통화할 시 별도로 핸드세트를 들지 않아도 DTS 유니트(300)의 키를 이용하여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키에 의해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기 위한 램(203)의 전화번호 메모리 내용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즉 DTS 기능의 전화번호를 변경하고자 할 시에는 다시 "스토어"키를 이용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해당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무선전화기에서 가입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시킨 후 통화필요시 원키에 의해 해당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알링함으로서 통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운전 중 과도한 다이알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차량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할 시 해당 전화번호가 기억된 어드레스 번지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방법이 편리하며, "종료"키를 DTS 유니트에 동시에 설치함으로서 핸드프리 기능의 통화시 핸드세트를 들지 않고도 DTS 유니트를 통해 통화를 종료할 수 있으므로 통화시 번거로운 동작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제1키 처리부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번호 및 각종 기능에 대한 제1키 정보를 출력하며 수신 데이타를 분석하여 오디오 회로 또는 표시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 유니트(100)와,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제1키 정보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저장 기능일시 내부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해당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소정의 원터치 제2키 정보 발생시 해당 영역의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여 다이알링하도록 제어하는 로직유니트(200)를 구비한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에 있어서, 소정 스트로브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키 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하기 위한 제2키 처리부의 키 눌림신호를 발생하는 제2키 처리부(300)와,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2키 처리부(301)와 키 눌림신호를 분석하여 원터치 발신을 위한 상기 제2키 정보를 발생하는 제2마이크로 컴퓨터(302)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송신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제1키 정보와 제2키 정보를 완충(buffering)하여 상기 로직유니트(200) 출력하는 제2버퍼(30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2. 콘트롤 유니트(100), 로직유니트(200) 및 DTS 유니트(300)로 구성된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 또는 DTS 유니트(30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1 또는 제2키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는 제1단계(402)(404)와, 상기 제1단계(402)(404)에서 저장키(store key)일시 메모리에 저장키 입력플래그를 세트하고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로 저장키 톤을 발생하는 제2단계(416)(418)와, 상기 제1단계(402)(404)에서 숫자키일 시 저장키 입력 플래그 상태를 분석하여 리세트 상태일시 메모리의 숫자키 영역에 저장하는 제3단계(406)(408)(404)와, 상기 제3단계(406)에서 저장키 입력 플래그 세트 상태일시 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수신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메모리의 전화번호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로 저장하는 제4단계(410)(412)(414)와, 상기 제1단계(414)(404)에서 DTS 기능의 원키 신호일시 해당 DTS 번호에 해당하는 메모리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무선 송신 데이타 형태로 송출하는 동시에 콘트롤 유니트(100)로 표시정보를 송출하는 제5단계(402)(422)(424)(426)(428)로 이루어져 상기 제4단계(410)(412)(404)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의 DTS 전화번호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제5단계(420)(412)(414)에서 발생하는 DTS 번호에 의해 해당 번지의 전화번호를 직접 선택 출력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방법.
KR1019870005419A 1987-05-29 1987-05-29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KR90000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419A KR900005160B1 (ko) 1987-05-29 1987-05-29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419A KR900005160B1 (ko) 1987-05-29 1987-05-29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4A KR880014764A (ko) 1988-12-24
KR900005160B1 true KR900005160B1 (ko) 1990-07-20

Family

ID=1926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419A KR900005160B1 (ko) 1987-05-29 1987-05-29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4A (ko) 198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JPH02174448A (ja) 電話機
KR200100545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900005160B1 (ko)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직접 선택장치 및 방법
JP3433481B2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JPH06303298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9980057433A (ko) 무선전화기에서 언어선택기능 구현방법
KR200170113Y1 (ko) 핸즈프리킷용 키입력부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KR100251780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KR100319270B1 (ko) 전화단말기에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227331B1 (ko) 휴대폰에서의 발신방법
KR19990041501A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티티에스 방법
JPS6351728A (ja) ダイヤル音発生装置
JP2854579B2 (ja) 移動局装置
JPH073896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77927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60620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무선데이터 콜 형성방법
KR20030056437A (ko) 통신단말기의 무선키보드
JPH0720306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406955B1 (ko) 통신단말기의 단축전화번호 송출방법
JP3379494B2 (ja) 無線電話装置
AU601322B1 (en) Direct telephone-number selecting system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KR900004029B1 (ko)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페이저 호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