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043Y1 - 저수조용 볼탭 - Google Patents

저수조용 볼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43Y1
KR900004043Y1 KR2019900003217U KR900003217U KR900004043Y1 KR 900004043 Y1 KR900004043 Y1 KR 900004043Y1 KR 2019900003217 U KR2019900003217 U KR 2019900003217U KR 900003217 U KR900003217 U KR 900003217U KR 900004043 Y1 KR900004043 Y1 KR 900004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tubular body
reservoi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스오 이마이
가스오 하라이시
요오이찌로오 우에노
요시가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수조용 볼탭
제1도는 종래의 저수조용 볼탭의 한가지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수조용 볼탭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3도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로, 제3a도는 공기구 개방시의 상태를, 제3b도는 공기구 폐쇄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3a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진공 파괴밸브의 밸브체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저수조용 볼탭이 부착된 저수조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8도는 진공파괴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저수조 B : 볼탭본체
1 : 유출구부분 2 : 관형상체
3 : 진공파괴 밸브 4 : 공기구
5 : 통수공 6 : 밸브체
7 : 스프링
본 고안은 저수조용 볼탭(ball tap)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저수조용 볼탭으로서 여러가지 구조가 알려져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제1도에 표시하는 일본 실개소 54-58858호 공보의 것이 있다.
제1도의 것에 대해서 설명하면 볼탭본체(B)는 그 유출구 부분(1)에 앞끝이 저수조 바닥부분 근처까지 연장되어 개구하는 관형상체(2)를 접속하고 있고, 그 관형상체(2)에는 만일 상류쪽에 진공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그 진공상태를 파괴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만수시의 수위보다 위쪽에 공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것은 저수조에 급수할때 볼탭본체의 출구로 부터 유출되어 관형상체내를 흘러 내리는 물이 관형상체의 공구로부터 누수된다.
그 때문에 공기구로 부터 낙하하는 물에 의해 저수조내의 저류수면에 물결이 생기고 그 물결에 의해 저류 수면상에 떠 있는 플로우트(float)가 상하로 요동하게 되므로 밸브가 급격하고 빈번하게 개폐되어 밸브의 급격한 개폐에 의해 관형상체 내부의 압력이 급변하여 진동과 높은 충격음을 발생하는 수격작용(water hamer)의 원인으로 될뿐만 아니라 공기구로 부터 낙하하는 물이 저류수면을 때리는 소리나 물결에 의하여 밸브가 빈번하게 개폐되므로 발생하는 덜걱거리는 소리등의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여 공기구로 부터의 누수를 없게 해서 수격 작용이나 소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볼탭본체의 유출구부분에 접속하는 관형상체의 중간부에 저수조 만수시의 수위보다 위쪽에 진공파괴밸브를 설치하고 이 진공파괴밸브를 상기한 관형상체의 중간부에 천설한 공기구와 관형상체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자재하게 배설됨과 아울러 축방향으로 통수공(通水孔)이 천설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위쪽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구조로 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때에는 상기한 스프링으로 밸브체를 공기구보다 위쪽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물이 흐를때에는 물의 힘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체가 강하하여서 상기한 공기구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부호(B)는 저수조(A)내에 장비되어 유입구부분(8)과 유출구 부분(1)을 연락하는 유로(流路) (9)중간에 설치한 밸브부(10)를 저수조(A)내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플로우트(11)의 상하운동에 의해 개폐하는 종류 주지의 구조, 형태를 보유하는 볼탭 본체로서 도면에서는 밸브부(10)를 플로우트(11)의 상하운동에 의해 직접 개폐되는 파일럿 밸브(pilot valve)(a)와, 이 파이럿 밸브(a)의 개방에 의하여 밸브개방작동이 야기되는 주밸브(b)로 구성하는 파일럿 식의 볼탭본체(B)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볼탭본체(B)는 유출구 부분(1)에 관형상체(2)를 접속한다.
상기한 관형상체(2)는 앞끝이 저수조(A)의 바닥부분까지 연장되어 개구한다.
또 관형상체(2)는 중간부에 저수조(A)의 만수시의 수위보다 위쪽의 위치에 진공파괴밸브(3)를 설치한다.
진공파괴밸브(3)는 관형상체(2)를 중간부에 천설한 공기구(4)의 관형상체(2)내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자재하게 배설되어 상기한 공기구(4)를 개폐하는 밸브체(6)와 밸브체(6)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7)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구(4)는 관형상체(2) 중간부에 상하로 서로 대향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제2단부(段部)(12)(13)를 설치하고, 이들 단부(12))(13)사이에 직경이 큰 밸브실(14)을 형성하여 그 밑벽 즉 제2단부(13)에 천설한다.
밸브체(6)는 직경이 밸브실(14)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원판의 대략 중앙부에 밸브실(14) 바닥면의 내경 즉 제2단부(13)의 내경보다 약간 직경이 큰 통수공(5)을 개구천설함과 아울러 상기한 통수공(5)의 구멍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밸브실(14) 상류쪽의 관형상체(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안내통부(15)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통부(15)를 밸브실(15)보다 상류쪽의 관형상체(2)에 삽입하여 밸브실(14)내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자재하게 배치한다.
또 밸브체(6)는 윗면에 돌기(16) 몇개를 동일 원주상에 설치함과 아울러 안내통부(15)의 외주면에 돌조(突條)(17) 몇개를 축방향으로 설치하여 그 돌조(17)가 밸브실(14) 상류쪽의 관형상체(2)벽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한다.
스프링(7)은 밸브체(6) 아랫면에 있어서 통수공(5)의 구멍가장자리에 설치한 걸어맞춤용의 오목부(18)와 밸브실(14)보다 하류쪽에 있어서 관형상체(2)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환상의 블록부(19)에 걸쳐서 탄력 있게 설치하여 밸브체(6)를 상류쪽으로 부세한다.
그리고 이러한 볼탭은 통상 즉 저수조(A)가 만수로서 밸브부(10)가 폐쇄되어 있을때는 진공파괴밸브(3)의 밸브체(6)가 스프링(7)에 의해 상류쪽으로 밀려져 공기구(4)를 개방하고 있다.
한편 저수조(A)내의 수위가 내려가서 플로우트(11)가 하강하여 밸브부(10)가 개방하면 볼탭본체(B)의 유출구 부분(1)로부터 관형상체(2)내로 유입되어 흘러내리는 물의 힘에 의해 밸브체(6)가 스프링(7)에 대항하여 하류쪽으로 밀어내려져 밸브실(14) 아랫면을 구성하는 제2단부(13)에 밀착하여 공기구(4)를 폐쇄하여 공기구(4)로 부터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관형상체(2)내로 유입되는 물은 밸브체(6)의 안내통부(15) 외주면에 설치한 돌조(17)에 의하여 관형상체(2) 내주면과 안내통부(15) 외주면과의 사이에 확보되는 간격을 통하여 밸브체(6)의 윗면으로 돌아서 들어가지만 밸브체(6) 윗면은 그 면에 설치한 돌기(16)에 의해 밸브실(14) 윗면과의 사이에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공극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윗면의 대략 전체면에 의해 수압을 받을 수 있어 스프링(7)에 대항하여 확실하게 밀어내려진다.
또한 제7도는 진공파괴밸브(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구(4)는 관형상체(2)의 옆둘레면이 개선되고 밸브체(6)는 축방향으로 통수공(5)을 관통하여 개구천설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형상체(2)내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 스프링(7)는 밸브체(6)의 하단면과 공기구(4)로 부터 아래쪽에 있어서 관형상체(2)내주면에 계단지게 설치한 스프링수용부(20)에 걸쳐서 탄력있게 설치되어 밸브체(6)를 공기구(4)보다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진공파괴밸브(3)는 관형상체(2)내를 물이 흐를때 밸브체(6) 상단면이 흐르는 물의 압력을 받아 그 압력에 의해 밸브체(6)가 스프링(7)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미끄럼 운동해서 그 둘레측면으로 공기구(4)를 폐쇄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이므로 다음과 같은 이점을 보유한다.
(1) 공기구로부터 누수하여 그 물이 저수조내의 저류수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모든 물이 저류수의 수면아래로 토출되므로 저류수면에 물결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물결에 의해 저류수면상에 떠 있는 플로우트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지 않으므로 밸브가 빈번하게 개폐되지 않아 밸브의 급격한 개폐에 의해 관형상체 내부의 압력이 급변하여 진동과 높은 충력음을 발생하는 수격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2) 공기구로부터 누수하여 그 물이 저류수면에 낙하하여 그 수면을 때리는 소리나 물결에 의한 밸브의 빈번한 개폐에 수반하는 밸브체와 밸브 시이트의 충돌음이 없어서 조용하다.

Claims (1)

  1. 저수조(A)내에 장비되는 볼탭본체(B)의 유출구 부분(1)에 앞끝이 저수바닥부분 근처까지 연장되어 개구하는 관형상체(2)를 접속함과 아울러 이 관형상체(2)의 중간부에서 저수조(A)의 만수시의 수위보다 위쪽의 위치에는 진공파괴밸브(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진공파괴밸브(3)는 상기한 관형상체(2)의 중간부에 천설한 공기구(4)와 관형상체(2)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자재하게 배설됨과 아울러 축방향으로 통수공(5)이 천설된 밸브체(6)와 그 밸브체(6)를 위쪽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7)을 구비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상기한 스프링(7)으로 밸브체(6)를 공기구(4)보다 위쪽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물이 흐를때에는 물의 힘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체(6)를 강하하여서 상기한 공기구(4)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용 볼탭.
KR2019900003217U 1983-10-27 1990-03-17 저수조용 볼탭 KR9000040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02343A JPS6095037A (ja) 1983-10-27 1983-10-27 貯水槽用ボ−ルタツプ
JP???58-202343 1983-10-27
KR1019840004091A KR850003753A (ko) 1983-10-27 1984-07-12 저수조용(貯水槽用)볼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091A Division KR850003753A (ko) 1983-10-27 1984-07-12 저수조용(貯水槽用)볼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043Y1 true KR900004043Y1 (ko) 1990-05-08

Family

ID=16455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091A KR850003753A (ko) 1983-10-27 1984-07-12 저수조용(貯水槽用)볼탭
KR2019900003217U KR900004043Y1 (ko) 1983-10-27 1990-03-17 저수조용 볼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091A KR850003753A (ko) 1983-10-27 1984-07-12 저수조용(貯水槽用)볼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95037A (ko)
KR (2) KR85000375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753A (ko) 1985-06-26
JPS6095037A (ja) 1985-05-28
JPH0213100B2 (k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97674A (ja) 燃料遮断弁
US5645264A (en) Tilted seat diaphragm valve
KR19980070502A (ko) 특히 연료 증기에 적합한 가스-압력 방출 밸브 유닛
US5505427A (en) Flushometer handle seal
KR900004043Y1 (ko) 저수조용 볼탭
US5865420A (en) Flush valve refill ring
KR20010066796A (ko) 배수배출장치
US4777975A (en) Self-closing valve
CA2499169C (en) A cistern outlet valve assembly
KR910006088Y1 (ko) 급수밸브
JPH03172686A (ja) 逆止弁
RU2143625C1 (ru) Затвор клапана
JP2704972B2 (ja) 空気弁
AU2003254405B2 (en) A cistern outlet valve assembly
JPH059506Y2 (ko)
KR950019331A (ko) 파일럿 밸브
JPS649509B2 (ko)
JPH0142708Y2 (ko)
KR200370231Y1 (ko) 감압밸브
JP3878271B2 (ja) フロ―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2002048263A (ja) 空気弁の排気構造
JPH06300151A (ja) 流体用リリーフ弁
KR200412348Y1 (ko) 수격완화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의 급수포트
KR200162131Y1 (ko) 자동수도전 개폐밸브의 피스톤구조
JP2961343B2 (ja) パイロット式スチ―ム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