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31Y1 -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231Y1
KR200370231Y1 KR20-2004-0026916U KR20040026916U KR200370231Y1 KR 200370231 Y1 KR200370231 Y1 KR 200370231Y1 KR 20040026916 U KR20040026916 U KR 20040026916U KR 200370231 Y1 KR200370231 Y1 KR 200370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le
reducing valve
inlet
pressur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룡
Original Assignee
이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룡 filed Critical 이해룡
Priority to KR20-2004-0026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 F16K31/14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감압밸브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유입부와, 유출부와, 유입부와 유출부를 연결하는 유도공과, 압력유입공을 통하여 유출부와 연결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압력실이 있는 몸체와; 커버와; 커버의 하단부와 몸체의 압력실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과; 스프링과; 유동공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노말 오픈타입 감압밸브에 있어서,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압력실과 연결되는 수동밸브설치공이 몸체에 더 형성되고; 몸체의 압력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수동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수동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압시험용 수동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수압시험용 바이패스 배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기계적 잠금장치와는 달리 감압밸브 유출부측의 압력이 작동부쪽으로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품들의 손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본 고안은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압시험용 수동밸브가 더 설치된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감압(減壓)밸브는 고압의 유체를 저압으로 감압할 때, 또는 관로(管路)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밸브이다. 즉, 유출구측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으면 닫아주고 유출구측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으면 열어주어 유출구측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입구측의 압력을 감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압밸브는 크게, 유체종류에 따라 증기용과 물용이 있으며, 작동방식에 따라 파이롯트식과 다이아프램식이 있다. 그런데, 어떤 종류의 감압밸브이더라도 배관에 설치된 후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배관에 대하여 보통 최대 사용압력의 1.5배에서 수압시험을 하게 된다.
종래에는 수압시험을 위하여 감압배브 전후에 수동밸브가 설치된 바이패스 배관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별도의 바이패스 배관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따라서, 근래에는 감압밸브가 유입구측 및 유출구측의 압력과는 무관하게 열려있도록 감압밸브 내의 유로(流路)를 개폐하는 디스크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고정시켜주는 기계적 잠금장치, 즉 게그(gag)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계적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감압밸브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유입구측과 유출구측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내부 부품들에 무리가 가게 되어 많은손상이 발생되고, 그것은 수압시험후 감압밸브의 오작동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압시험을 추가적인 비용없이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내부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압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감압밸브에서 몸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감압밸브에서 수동밸브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유입부
120 : 유출부 130 : 유도공
140 : 압력실 150 : 압력유입공
160 : 수동밸브설치공 200 : 커버
300 : 다이아프램 400 : 스프링
510 : 디스크 520 : 스템
600 : 수동밸브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와,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를 연결하는 유도공과, 상측에 위치되고 압력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출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입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압력실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단부와 상기 몸체의 압력실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커버에 내삽되는 스프링과; 상기 다이아프램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의 유동공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노말 오픈타입 감압밸브에 있어서,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압력실과 연결되는 수동밸브설치공이 상기 몸체에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압력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수동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수동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감압밸브에서 몸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따른 감압밸브에서 수동밸브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는 몸체(100)와, 커버(200)와, 다이아프램(300)과, 스프링(400)과, 디스크 어셈블리와, 수동밸브(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특징은 수동밸브(600)와 그 수동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몸체(100)의 구성에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수동밸브(600)와 그 수동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몸체(100)의 구성을 제외한 부분은 종래의 일반적인 감압밸브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도 1에 도시된 형상 및 후술하는 설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감압밸브에 적용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과 결부하여 도 2a를 참조하면, 몸체(100) 내부에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110)와,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출부(120)와, 유입부(110)와 유출부(120)를 연결하는 유도공(130)과, 몸체(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압력실(140)이 있다. 압력실(140)은 몸체(100) 내에 별도로 형성된 압력유입공(150)을 통하여 유출부(120)와 연결된다. 개방된 압력실(140)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다이아프램(300)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유출부(120)에 흐르는 유체가 압력유입공(150)을 통하여 압력실(140)로 유입되면 압력실(140)에는 유출부(120)와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몸체(100)의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감압밸브의 공통적인 구성이다. 본 고안의 감압밸브에 사용되는 몸체(100)는 상술한 구성외에도 후술하는 수동밸브(600)를 설치하기 위한 수동밸브설치공(160)이 더 형성된다. 수동밸브설치공(160)은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압력실(14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데, 압력유입공(150)의 중심과 수동밸브설치공(160)의 중심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다이아프램(300)은 커버(200)의 하단부와 몸체의 압력실(140)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400)은 다이아프램(30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커버(200)에 내삽된다.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하로 이동되면서 몸체의 유도공(130)을 개폐하는 디스크(510)와, 디스크(510)가 다이아프램(300)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디스크와 다이아프램을 연결하는 스템(5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과 결부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수동밸브(600)는 몸체의 압력유입공(150)을 개폐하도록 몸체의 수동밸브설치공(16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때, 수동밸브(600)의 끝단에는 압력유입공(150)의 확실한 개폐를 위하여 연질의 고무가 설치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작동원리는 몸체의 압력실(140) 압력과 다이아프램(300)을 가압하는 스프링(400)의 가압력 차이에 의하여 스프링(400)과, 다이아프램(300) 및 그와 연동하는 디스크(51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몸체의 유도공(130)을 개폐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는 디스크(510)가 유도공(130)의 하측에 위치되는 노말 오픈타입이다. 노말 오픈타입 감압밸브는 평상시에는 감압밸브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지만 감압밸브 유출부(120)측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커지면 그 압력이 몸체의 압력실(140)에 전달되고, 그 압력이 다이아프램(300)을 누르는 스프링(400)의 가압력보다 커져서 스프링(400)과, 다이아프램(300) 및 그와 연동하는 디스크(51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몸체의 유도공(130)의 개폐면적을 줄이거나 유도공(130)을 폐쇄시키는 형태이다. 이 때, 설정압력은 유입부(110)측의 압력보다 작아야만 되므로 최대 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서 수압시험을 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디스크(510)가 몸체의 유도공(130)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압시험을 위하여 몸체의 유출부(120)와 압력실(140)을 연결하는 압력유입공(150)을 개폐하는 수동밸브(600)를 더 설치하였다. 즉, 수압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수동밸브(600)로 압력유입공(150)을 폐쇄하여 높은 압력이 압력실(140)에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몸체 유출부(120)측 압력과는 상관없이 디스크(510)가 몸체의 유도공(130)을 폐쇄하지 않도록 하였고, 정상적인 사용상태에서는 압력유입공(150)을 개방시킴으로써 감압밸브가 몸체 유출부(120)측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였다.
한편, 감압밸브의 설정압력 셋팅시에는 유출부(120)측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감압밸브의 설치위치에 따라 압력계의 설치위치가 바뀌어야 하므로 종래의 감압밸브에는 통상적으로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압력계 설치공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몸체의 수동밸브 설치공(160)에 압력계를 설치하게 되면 감압밸브의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유출부(120)측의 압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몸체의 수동밸브 설치공(160)은 수압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수동밸브(600)를 설치하지만, 정상 작동시에는 압력계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압력유입공을 개폐하는 수압시험용 수동밸브를 더 설치함으로써 수압시험용 바이패스 배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보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계적 잠금장치와는 달리 감압밸브 유출부측의 압력이 작동부쪽으로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품들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와,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를 연결하는 유도공과, 상측에 위치되고 압력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출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입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압력실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단부와 상기 몸체의 압력실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커버에 내삽되는 스프링과; 상기 다이아프램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의 유동공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노말 오픈타입 감압밸브에 있어서,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압력실과 연결되는 수동밸브설치공이 상기 몸체에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압력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수동밸브설치공에 설치되는 수동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입공의 중심과 상기 수동밸브설치공의 중심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동밸브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
KR20-2004-0026916U 2004-09-20 2004-09-20 감압밸브 KR200370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16U KR200370231Y1 (ko) 2004-09-20 2004-09-20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16U KR200370231Y1 (ko) 2004-09-20 2004-09-20 감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231Y1 true KR200370231Y1 (ko) 2004-12-13

Family

ID=4944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916U KR200370231Y1 (ko) 2004-09-20 2004-09-20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56B1 (ko) 2009-11-10 2012-04-25 김병문 감압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56B1 (ko) 2009-11-10 2012-04-25 김병문 감압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0200B2 (ja) 減圧弁
KR20130140447A (ko) 역류차단형 안전 체크밸브
KR200370231Y1 (ko) 감압밸브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US1841456A (en) Flush valve
CN107806524B (zh) 一种轴流式水控减压阀
CN210531741U (zh) 一种自动泄压结构的静音式止回阀
KR102205867B1 (ko) 멀티 체크 밸브
CN113309897A (zh) 一种阀芯缓冲结构
KR200416106Y1 (ko) 동축 유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35049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밸브결합체의 유량조절밸브응답속도향상을 위한 구조
KR100911933B1 (ko) 역류방지밸브
CN214534687U (zh) 一种杠杆安全阀
JP2003227571A (ja) ポペット弁
JPS5813176Y2 (ja) 逆止弁
KR200334612Y1 (ko) 파이롯트 밸브 작동형 안전밸브 구조
JPH1194106A (ja) パイロット操作式リリーフ弁
KR100985763B1 (ko) 파일럿 타입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KR940015335A (ko) 정유량 역지 밸브
KR200262430Y1 (ko) 가스안전밸브
KR200184773Y1 (ko) 유입 봉입형 자동 조절 밸브
JP3872464B2 (ja) 減圧弁装置
KR101049089B1 (ko) 소음완화용 감압 컨트롤밸브
JP3064454U (ja) 定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