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49B1 - 3압력식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3압력식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49B1
KR900003949B1 KR1019850009282A KR850009282A KR900003949B1 KR 900003949 B1 KR900003949 B1 KR 900003949B1 KR 1019850009282 A KR1019850009282 A KR 1019850009282A KR 850009282 A KR850009282 A KR 850009282A KR 900003949 B1 KR900003949 B1 KR 90000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piston
chamber
membra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118A (ko
Inventor
히데오 다마모리
미쓰구 쓰나자와
Original Assignee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겐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겐시로오 filed Critical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18Triple or other relay valves which allow step-wise application or release and which are actuated by brake-pipe pressure variation to connect brake cylinders or equivalent to compressed air or vacuum source or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60T13/40Compressed-air systems indirect, i.e. compressed air booster units indirect systems
    • B60T13/403Compressed-air systems indirect, i.e. compressed air booster units indirec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with dependent systems, e.g. tractor-trailer systems
    • B60T13/406Compressed-air systems indirect, i.e. compressed air booster units indirec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with dependent systems, e.g. tractor-traile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 of two or more command signals, e.g.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18Triple or other relay valves which allow step-wise application or release and which are actuated by brake-pipe pressure variation to connect brake cylinders or equivalent to compressed air or vacuum source or atmosphere
    • B60T15/184Railway control or brake valv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압력식 제어밸브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3압력식 제어밸브의 저(低)브레이크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3압력식 제어밸브의 고브레이크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3 도는 3압력식 제어밸브의 개략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체크밸브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 종래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고 브레이크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저 브레이크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다른 기술적 수단에 의한 3압력식 제어밸브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 9 도는 또다른 기술적 수단에 의한 3압력식 제어밸브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스톤 2 : 막판
3 : 밸브본체 5 : 밸브기구
9 : 턱부분 10 : 통로
22 : 비이드 91 : 림
92 : 턱부분벽면 10 : 통로
a : 제어실 b : 정압실
c : 출력실 e : 공급실
BC : 브레이크실린더 BP : 브레이크관
CR : 정압공기탱크 CHV : 체크밸브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자동 공기 브레이크 장치에서 사용되며, 브레이크관의 내부압력과 정압공기탱크의 내부압력과의 압력차에 따라 브레이크 실린더의 압력이 제어되는 3압력식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식의 종래의 3압력식 제어밸브의 전체구성이, 일본국 특공소 57-36185호 공보 및 특공소 59-l98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3압력식 제어밸브의 구성을 제 3 도에 도시하였다.
이것은 피스톤(1)을 안가장자리에서 간직하는 막판(2)의 바깥가장자리가 밸브본체(3)에 부착되고, 이들 막판(2)과 피스톤(1)에 의해서 밸브본체(3)의 내부공간이 브레이크관의 (BP)(이하 단지 BP라고 함)에 접속된 제어실(a)과 정압공기탱크(CR)(이하 단지 CR이라고 함)에 접속된 정압실(b)로 구획되고, 정압실(b)은 제어실(a)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3)에는 제어실(a)과 정압실(b)의 압력차에 따른 피스톤(1)의 변위에 의해서 브레이크 실린더(BC)(이하, 단지 BC라고 함)에 통하는 압력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5)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밸브기구(5)는 막판이 부착된 평형피스톤(51)의 한쪽에 형성되고 또한 BC에 접속된 출력실(c)과 평형피스톤(5l)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대기에 개방하는 배기구멍(EX)을 가진 배기실(d)과 스프링(52)에 의해서 밸브시이트(53)에 가압되는 공급밸브(54)를 통하여 상기 출력실(c)에 인접하여 공급공기탱크(SR)(이하, 단지 SR이라고 함)에 접속된 공급실(e)과 상기 평형피스톤(51)에 고착되어서 그의 한쪽 개구부에 상기공급밸브(54)에 대향하고, 그의 중간부분이 배기실(d)에 구멍이 트이며, 그의 다른쪽 부분이 배기실(d)과 제어실(a)과의 사이의 격벽을 기밀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일수 있게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1)에 연결된 배기밸브봉(55)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3압력실 제어밸브에 있어서, 브레이크 지령, 즉 BP가 감압되면, 체크밸브(CHV)의 기능에 의해서 제어실(a)의 압력만이 저하하여 정압실(b)은 일정압력으로 유지되고, 제어실(a)과 정압실(b)과의 사이에 생기는 압력차에 의해서 피스톤(1)이 왕동(도면에서는 상승)하고 이것에 연결된 배기밸브봉(55) 및 평형피스톤(51)이 상승하여 배기밸브봉(55)이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공급밸브(54)를 밀어 올려 밸브시이트(53)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따라 공급실(e)과 출력실(c)에 의해서 형성되는 압력공기통로가 열리고, 압력공기가 BC에 유입하여 BC압력이 증가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그리하여 BC 압력이 상기한 압력차에 따라 어느 압력에 도달하면 평형피스톤(51)이 밀려내려짐에 따라서 배기밸브봉(55)이 맞닿은 채로의 공급밸브(54)가 밸브시이트(53)에 자리잡고 공급밸브(54), 밸브시이트(53), 배기밸브봉(55)에 포개 합쳐져서 정지한다. 이 상태는 제동유지상태로서 BC 압력이 상기 압력차에 따른 압력에 제어된다.
브레이크 이완지령에 의해서 BP가 증압되면 제어실(a)이 승압되어 피스톤(1)이 복동(도면에서는 하강)하여 배기밸브봉(55)이 공급밸브(54)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BC의 압력공기가 출력실(c), 배기밸브봉(55)의 관통구멍, 배기실(d)을 거쳐 대기로 방출되고, 이완작동이 행하여진다.
상기 3압력실 제어밸브에 있어서의 피스톤(1)과 막판(2)과 밸브본체(3)와의 부착상태, 및 체크밸브(CHV)를 피스톤(1)에 짜넣은 상태의 일예를 제 4 도에 표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표시한 피스톤(1)과 막판(2)과 밸브본체(3)와의 부착상태는 실공소 58-15735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다. 이하에 실공소 58-l573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동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피스톤(1)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이 결합홈(11)의 내경보다도 직경을 약간 작게 구성한 막판(2)의 안가장자리에 상기 결합홈(11)보다도 폭이 좁은 돌출부(21)를 형성하고, 제어실(a)쪽의 피스톤 바깥둘레끝과 밸브본체(3)의 내벽과의 대향간격(△ℓ) 및 정압실(b)쪽의 피스톤 바깥둘레끝과 밸브본체(3)의 내벽과의 대향간격(△ℓ)을 극히 작게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피스톤(1)의 막판(2)의 부착과 떼어내는 것이 간단히 되고, 또한 막판(2)의 안가장자리를 피스톤(1)에 볼트등으로 죄어붙이지 않더라도 막판(2)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이 막판(2)이 결합홈(1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다음에 제 4 도에 도시한 체크밸브(CHV)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체크밸브(CHV)는 피스톤(1)의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이있는 통부분(12), 그의 내부를 정압실(b)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쓰로틀구멍(13)이 뚫어설치되고, 이 통부분(12)에 간격을 두고 끼워넣어진 배기밸브봉(55)의 하단에 상기 쓰로틀구멍(13)에 대향하는 고무밸브(6)가 설치되고, 통부분(12)의 내부와 제어실(a)과의 연락구멍(56)을 가진 배기밸브봉(55)의 칼라부(57)에 통부분(12)내에 설치된 스프링(7)이 가압되고, 칼라부(57)의 상부를 통부분(12)에 걸어고정시킨 고정링(8)에 의해 가압하여 배기밸브봉(55)과 통부분(12)상호간의 탈락을 방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제어실(a)이 브레이크 지령에 의해 감압되면, 복귀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막판(2)과 함께 피스톤(1) 및 그 통부분(12)이 상승하여 스프링(7)이 압축되어서 쓰로틀구멍(13)의 둘레가장자리가 고무밸브(6)에 가압된다. 따라서 정압실(b)과 제어실(a)이 차단된다. 이 상태는 제동유지상태일 때에도 계속된다.
또 브레이트 이완지령에 의해 제어실(a)의 중압에 수반하는 피스톤(1) 및 막판(2)의 하강과 함께 스프링(7)의 가압에 의해서 피스톤(1) 및 그의 통부분(12)이 배기밸브봉(55)에 대하여 하강되고, 고무밸브(6)가 쓰로틀구멍(13)을 개방하고, 정압실(b)이 쓰로틀구멍(13), 통부분(12)의 내부공간, 연락구멍(56)을 통하여 제어실(a)과 연이어 통하게 된다. 따라서 정압실(b)에 생기는 일이 있는 압력부족이 BP로부터 공급되는 압력공기에 의해서 보충 충전된다.
그러나 제 4 도에 표시한 것에 있어서는 고무밸브(6), 스프링(7), 고정링(8)등의 여분의 부품이 필요하여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더욱이 조립이 번거롭게 되고, 또 피스톤(1)에 통부분(12)을 형성하거나 배기밸브봉(55)에 칼라부(57)를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공이 복잡해지는 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제 4 도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제 5 도에 표시한 것이 종래 실시되었다.
제 5 도의 것은 제어실(a)의 벽면을 막판(2)에 대향하는 턱부분(9 ; ledge)을 설치하고 이 턱부분(9)에 정압실(b)에 연이어 통하게 된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를 트이게 설치하고, 배기밸브봉(55)의 하단부를 고정링(14)을 사용하여 피스톤(1)에 고착하여 이루어졌다.
이것에 의하면 브레이크 지령에 의해서 제어실(a)이 감압되면, 복귀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스톤(1) 및 막판(2)이 상승하고 제 6 도 및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막판(2)이 턱부분(9)의 끝 림(91 ; rim)과 상기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와의 사이의 턱부분 벽면(92)에 맞닿아서 이 끝부분 개구부(101)가 폐쇄되고, 정압실(b)이 제어실(a)로부터 차단된다.
또 브레이크 이완지령에 의해서 제어실(a)이 증압되면 피스톤(1) 및 막판(2)이 하강하여 이 막판(2)이 턱부분벽면(92)으로부터 떨어져서 제 5 도와 같이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가 개방되어서 정압실(b)과 제어실(a)이 통로(10)를 통하여 연이어 통하게 된다.
제 6 도는 제어실(a)과 정압실(b)과의 압력차가 큰 경우 즉 BP와 CR과의 압력차가 큰 경우(고 브레이크 상태)이며, 제 7 도는 제어실(a)과 정압실(b)과의 압력차가 작은 경우 즉 BP와 CR과의 압력차가 작은경우(저 브레이크 상태)이다.
여기서 고 브레이크 상태와 저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의 턱부분 벽면(92)과 막판(2)과의 접촉에 의한 밀봉성능에 대하여 검토한다.
제 7 도에 도시한 저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는 턱부분벽면(92)과 막판(2)과의 접촉압력이 비교적 작으므로 밀봉성은 약하고, CR로부터 BP에 대한 압력공기의 역류로 인한 압력누설이 생기기 쉽고, 그 경우는 브레이크가 이완되게 된다.
이 문제은 제 5 도에 브레이크 이완상태로부터 제 7 도의 저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된 경우에 발생하는 일도 있으나 그것보다도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은 제 6 도의 고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BP를 서서히 증압하는 소위단계 이완을 행하여 제 7 도의 저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 경우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전자의 경우가 피스톤(1)의 상승에 수반하여 막판(2)이 상방으로 당겨져서 소위 제멋대로 닫혀(끝부분 개구부(101)를 닫는 방향으로 막판(2)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지는데 대하여 후자의 경우가 고 브레이크상태로 막판(2)이 상방으로 강하게 당겨져서 신장된 상태로부터 BP의 증압에 의해 피스톤(1)이 하강하는데 따라 막판(2)이 이완되어, 소위 제멋대로 열리게 되기(끝부분 개구부(101)를 여는 방향으로 막판(2)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때문이다.
상기 저 브레이크 상태 또는 고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 CR의 압력을 PCR, BP의 압력을 PBP로 하면 밀봉력(F)은
F
Figure kpo00001
(PCR-PBP)XAX 1/2 …………………………………………………①
A는 턱부분(9)의 끝 림(91)과 막판(2)의 피스톤(1)의 결합홈(11)의 맞닿음부와의 대향간격(L')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판(2)의 환형부의 면적(이하, 환형부 면적이라고 한다)이다. 단, 각 스프링의 가압력을 생략하고 있다. ①식에 있어서 압력차(PCR-PBP)는 브레이크 제어상태에 따라 가변이기 때문에 상기한 압력누설의 문제의 원인은 환형부면적(A)이 작다는 것이다. 그래서 피스톤(1)의 외경을 작게하여 상기 △ℓ을 확대함으로써 환형부 면적(A)를 크게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ℓ을 확대함으로써 대향간격(L')을 크게하면 상기한 실공소 58-15735 호 공보에서 지적되어 있는 바와같이 피스톤(1)의 결합홈(11)에 끼워넣어진 막판(2)이 결합홈(11)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쉽게 되는 동시에 막판(2)을 보강포를 넣은 것으로 하여 그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의 3압력식 제어밸브는 이상과 같으며, 브레이크 상태에서의 밀봉성능에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대향간격(L')을 작게하여 ①식에 있어서의 환형부면적(A)이 작게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히 큰 밀봉력(F)이 얻기 어렵고, 그것이 원인으로 체크밸브(CHV)의 기능이 확실히 수행되지 않아 CR로부터 BP에의 압력공기의 역류가 생겨서 브레이크가 이완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피스톤(1)의 바깥둘레끝과 밸브본체(3)의 내벽과의 대향간격(△ℓ)을 확대하는 것에 의하지 않고 ①식에 있어서의 환형부 면적(A)을 크게함으로써 브레이크 이완상태로부터 저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시켰을 경우는 물론, 고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단계이완을 행하여 저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①식에 있어서의 밀봉력(F)을 충분히 크게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이 기술적 수단은 턱부분(9)의 끝 림(91)과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와의 사이의 턱부분 벽면(92)에 접촉분리되는 비이드(22)를 막판(2)에 설치한 것이다.
본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①식의 환형부면적(A)이 턱부분(9)의 끝 림(91)과 막판(2)의 피스톤(1)의 결합홈(11)의 맞닿음부와의 대향간격(L')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판(2)의 환형부 면적은 아니고, 비이드(22)와 막판(2)의 피스톤(1)의 결합홈(11)에의 맞닿음부와의 대향간격(L)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판(2)의 환형부의 면적으로 되고 L 〉 L'이므로 환형부 면적(A)이 종래의 경우보다도 확대된다. 따라서 밀봉력(F)이 크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저 브레이크 상태, 제 2 도는 고 브레이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에 있어서, 제 5 내지 제 7 도와 다른점은 턱부분(9)의 끝 림(91)과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와의 사이의 턱부분 벽면(92)에서의 상기 끝부분 개구부(101)에 근접한 곳에 접촉분리하는 비이드(22)을 막판(2)에 설치한 점이다. 이와같은 3압력식 제어밸브에 있어서 저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턱부분(9)에 제 1 도와 같이 비이드(22)만이 맞닿고, 고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턱부분(9)에 제 2 도와 같이 비이드(22)와 막판(2)의 비이드(22)보다도 안쪽이 맞닿는다.
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저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①식의 환형부 면적(A)은 상기 대향간격(L)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판(2)의 환형부의 면적으로 되고, 종래의 경우보다도 확대된다. 따라서, PCR-PBP가 작더라도 밀봉력(F)이 종래의 경우보다도 크게된다.
또 고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①식의 환형부 면적(A)이 종래와 같게 된다. 이 경우 PCR-PBP가 원래 크기 때문에 밀봉력(F)은 충분히 크다. 이 고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단계이완을 행하여 저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하려고 할경우, 막판(2)이 단계이완에 의해서 턱부분(9)의 끝 림(91)으로부터는 떨어지더라도 비이드(22)는 턱부분 벽면(92)에 맞닿는 채로 된다. 따라서 제 1 도의 상태로 되고, 충분히 큰 밀봉력(F)이 확보된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5 도에 도시한 종래예의 턱부분 측면에 접촉 분리하는 비이드를 형성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이완상태로부터 저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시켰을 경우 및 고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단계이완을 행하여 저 브레이크 상태로 유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제 4 도에 도시한 복잡한 구성으로 된 종래예와 같이 정압실과 제어실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고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의 경우는 물론, 저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이완이 생기지 않는 고성능이고 게다가 간단한 구성의 3압력식 제어밸브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기술적 수단에 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특유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다른 기술적 수단으로서는 제 8 도 및 제 9 도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 8 도의 것은 턱부분 벽면(92)에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의 끝 림(91)과의 사이에 환형돌기(9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①식의 환형부 면적(A)이 환형돌기(93)와 막판(2)의 결합홈(11)의 맞닿음부와의 대향간격(L1)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판(2)의 환형부의 면적으로 되고, 상기 대향간격(L1)은 턱부분(9)의 끝림(91)과 막판(2)의 결합홈(11)의 맞닿음부와의 대향간격(L')보다도 크기 때문에 환형부면적(A)이 종래의 경우 보다도 확대되어 제 1 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경우와 동등한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 경우는 환형돌기(93)를 일품씩 절삭가공에 의해 밸브본체(3)에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더욱이 그 작업은 곤란하며 또 막판(2)이 환형돌기(93)에 대한 금속접촉으로 되어 신축시의 이동이 걸리는 상태로 규제되기 때문에 막판(2)이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제 9 도의 것은 통로(10)의 끝부분 개구부(101)에 초크피팅(choke fitting
)으로 구성되어 유량억제부(102)를 제어실(a)내에 돌출하는 상태에서 고정시킨 것이다. 이 경우의 고정은 압입 혹은 나사식 붙이기 등의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서도 ①식의 환형부면적(A)을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및 제 8 도의 경우와 동등하게 확대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유량억제부(102)를 밸브본체(3)와는 별도가공에 의해서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고정도 번거롭고 또 유량억제부(102)의 선단에 막판(2)이 접촉함으로써 이 막판(2)이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설명한 다른 기술적 수단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막판(2)에 비이드(2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달성되므로, 막판의 성형용 금형을 변형하는 것만의 수고로 끝나고, 모든 막판(2)및 비이드(22)의 치수정밀도가 일정하게 되어 조립작업도 종래와 변함이 없으므로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설명한 난점이 없다고 하는 특유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5)

  1. 전달 포오트에서 유효한 유체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피스톤 밸브 조립체를 갖춘 3압력식 제어밸브에 있어서, (a) 상기 피스톤 밸브 조립체가 작동적으로 배치된 상기 제어밸브본체(3)에 형성된 개구부(101), (b) 제어 피스톤(1)과 상기 제어 피스톤(1)의 안 가장자리에서 연결된 막판(2)으로 구성된 상기 피스톤 밸브조립체, (c) 상기 본체(3)에서 상기 개구부(101)와 오목부의 교차점에서 림(91)을 형성하며 상기 막판(2)의 바깥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3)에 연결된 상기 본체(3)의 상기 개구부(101)에서의 상기 환형오목부, (d) 상기 막판(2)의 한쪽에 형성된 제어실(a), (e) 상기 막판(2)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정압실(b), (f) 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제어실(b)쪽으로 개방된 한쪽끝과 유체압력이 연통하도록 상기 정압실(b)쪽으로 대향쪽 끝을 갖춘 상기 본체(3)에서의 통로(10), (g) 턱부분(9)과 상기 통로(10)의 상기 한쪽 끝 중간을 따른 위치에서 상기 막판(2)과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유체 압력 밀봉을 실시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제어 피스톤의 (1)의 상기 제어실(a)에서 유체압력의 감소에 대응하여 한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통로(10)의 상기 한쪽끝은 상기 제어실(a)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어 피스톤(1)이 상기 제어실(a)에서 유체 압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대향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통로(10)의 상기 한쪽끝은 상기 제어실(a)과 연통하며, 상기 정압실(b)과 상기 제어실(a)과의 사이에서 유체 압력 연통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피스톤(1)의 운동에 대응하여 작동가능한 체크 밸브 부재(CHV) (h) 상기 제어 피스톤(1)이 상기 제어실(a)과 상기 정압실(b)과의 사이에서 유효한 소정의 압력차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한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것에 의해 소정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막판(2)의 제 1 압력면적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압력면적은 상기 림(91)과 상기 제어 피스톤(1)과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상기 막판(2)의 환형부 면적(A)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림(91)과 더 맞물리며, 상기 피스톤(1)이 상기 소정의 압력차보다 작은 상기 정압실(b)과 제어실(a)과의 사이에서 압력차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기 한쪽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것에 의해 상기 더 적은 압력차에 따라서 상기 막판(2)의 제 2 압력 면적을 설정하며, 상기 제 2 압력 면적은 상기 제 1 압력면적보다 크며, 상기 제어 피스톤(1)과 맞물리는 지점과 상기 밀봉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막판(2)의 환형부 면적(A)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림(91)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막판(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압력식 제어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1)는 유량억제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압력식 제어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한쪽 및 대향쪽 방향으로의 상기 제어 피스톤(1)의 운동으로 상기 오목부의 인접 표면으로부터 연결 및 분리가능한 상기 제어실(a)과 면하고 있는 상기 막판(2)쪽에 환형 비이드(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압력식 제어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한쪽 및 대향쪽 방향으로의 상기 제어 피스톤(1)의 운동으로 연결 및 분리가능한 상기 제어실(a)과 면하고 있는 상기 막판(2)쪽으로 상기 오목부의 표면상에 환형 비이드(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압력식 제어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개구부(101)의 상기 한쪽 끝에 초크 피팅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유량억제부(102)를 제공하며 상기 초크 피팅은 상기 제어 피스톤이 상기 한쪽 및 대향쪽 방향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실(a)과 면한 상기 막판(2)쪽으로부터 연결 및 분리되기 위해 상기 오목부 쪽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압력식 제어밸브.
KR1019850009282A 1985-03-11 1985-12-10 3압력식 제어밸브 KR900003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35296U JPH0345896Y2 (ko) 1985-03-11 1985-03-11
JP60-35296 1985-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18A KR860007118A (ko) 1986-10-08
KR900003949B1 true KR900003949B1 (ko) 1990-06-05

Family

ID=1243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282A KR900003949B1 (ko) 1985-03-11 1985-12-10 3압력식 제어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55510A (ko)
JP (1) JPH0345896Y2 (ko)
KR (1) KR900003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5241C1 (ru) * 2018-02-14 2021-09-14 Отикер Швайц Аг Клапан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пути поток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820A (en) * 1968-12-31 1970-12-08 Westinghouse Air Brake Co Brake control valve
JPS5683664A (en) * 1979-12-11 1981-07-08 Nippon Air Brake Co Ltd Comparison switching valve making low-pressure side into output pressure with respect to two system input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18A (ko) 1986-10-08
JPS61150266U (ko) 1986-09-17
US4655510A (en) 1987-04-07
JPH0345896Y2 (ko) 199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6244A (en) Flush valve improvements for controlling flushing volume
US20020017327A1 (en) Single seat valve apparatus
CN100376831C (zh) 减压阀
EP1181182B1 (en) Sealed brake actuator
WO2017202032A1 (zh) 一种便器水箱及水箱活塞拉杆、液压控制阀门
JP4189711B2 (ja) 2ポート弁
JPS6111571Y2 (ko)
US4643221A (en) Vacuum check valve
KR900003949B1 (ko) 3압력식 제어밸브
US4738282A (en) Zero leakage valve
US5158111A (en) Pilot valve for pneumatic control systems with improved poppet
JPS63262396A (ja) 制動装置を備えた電気サーキットブレーカ制御用油圧式差動ジャッキ
EP0234801A3 (en) Fluid control valve
CN109642592B (zh) 位置致动器
JPH0942454A (ja) キャップ
US3572376A (en) Poppet valve
JP2003040102A (ja) 牽引車両のブレーキ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特にトラクタユニットの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に使用するバルブユニット
EP1394368A3 (en) A Hydraulic Damper for an Electromechanical Valve
JPH07317824A (ja) 液圧緩衝器のロッドガイド構造
EP0474437A2 (en) Fluid pressure relay valve
JP3995879B2 (ja) 可逆型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H0325477Y2 (ko)
JP2585092Y2 (ja) リレーバルブ
CN219013325U (zh) 双阻尼孔及主、辅助油路复合节流的操纵阀
CN116989151B (zh) 一种多段控制的气动截止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