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27B1 -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27B1
KR900003927B1 KR1019860700738A KR860700738A KR900003927B1 KR 900003927 B1 KR900003927 B1 KR 900003927B1 KR 1019860700738 A KR1019860700738 A KR 1019860700738A KR 860700738 A KR860700738 A KR 860700738A KR 900003927 B1 KR900003927 B1 KR 90000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atform
batt
slit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127A (ko
Inventor
에릭구나 스텐베르그
Original Assignee
케이엠더블유 악티에블라그
라스 헤덴스코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더블유 악티에블라그, 라스 헤덴스코그 filed Critical 케이엠더블유 악티에블라그
Publication of KR88070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4Head boxes of cylinder machines
    • D21F1/046Head boxes of cylinder machines with non-immersed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본 발명은 뱃트 (Vat) 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인데, 예정된 수준을 유지하도록 뱃트내에 소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뱃트에 연결된 헤드박스, 뱃트 및 회전식 실린더 성형체를 구비한 실린더 - 뱃트 유니트로 구성된 것이며, 뱃트는 바닥벽을 구비하며, 실린더 성형체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데, 그 배치된 방식을 보면, 와이어로 덮인 실린더 성형체의 외피 표면의 하향이동부분은 뱃트내의 소재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외피표면을 통하여 소재로부터 물을 뽑아냄으로써 제 1 웨브(Web)를 형성하며, 또한 뱃트기계는 뱃트의 상기 바닥벽을 통한 다음 실린더 원주부위를 둘러싸며 또한 그 위에도 경유하여 브레스트롤 (Breast rol1) 상에 루프형태로 형성된 외측 와이어를 구비한다.
외측 탈수벨트와 상호 작용은 유사한 형의 드럼 필터가 노르웨이 특허 제67086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외측탈수 벨트는 뱃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말할수 있고, 소재를 탈수시키기 위하여 슬롯트와 인접 배열시킨 여러개의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 1 웨브는 드럼 필터상에 구비시키며, 제 2 웨브는 탈수 벨트상에 구비시킨다. 이 웨브들은 탈수벨트와 드럼 필터사이에 함께 눕혀서 단일체의 웨브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관찰되는 결점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탈수벨트가 드럼 필터를 만나는 곳 즉, 닙 (Nip) 앞에서 불규칙한 흐름이 소재내에 발생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닙 바로 위의 탈수벨트에서 탈수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하나 또는 두개의 웨브의 일부분이 씻겨버리게 되어 눕힌 웨브의 섬유분포 및 그램매이지 (Grammage) 가 불균일하게 된다는 점에서 상기 흐름은 웨브의 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이러한 드럼 필터는 웨브의 그램매이지 및 형성에 상당한 요건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진정한 함수(含水)지표를 가진 안전성의 종이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명세서 제2408304호는 함수지표를 구비한 안전종이의 생산을 위한 쌍의 와이어 형성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소재는 형성롤과 외측 와이어 삽입에 있는 닙속으로 소재를 주입한다. 이 공지된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기구와는 전혀 다른형의 형성기이다.
소위 진정한 함수지표를 구비한 안전 종이는 실린더 성형체상의 와이어 천이 상이한 두께의 종이를 생산할 수 있는 부위를 구비한 실린더 - 뱃트 유니트에서 일반적으로 생산된다. 그러나 이 형성기의 속도는 제한되어 있으며, 고도의 그램매이지의 종이를 생산하는 능력도 또한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와이어를 가진 실린더 - 뱃트 유니트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하여 종이가 고속도로 생산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 또는 종전의 실린더 - 뱃트 유니트와 비교할 때 고도의 그램매이지를 가능케하며, 한편 동시에 원하는 형성과 원하는 바의 균일한 그램매이지를 달성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이하여 달성한다. 즉 브레스트 를과 실린더 성형체 삽입에 위치하는 뱃트의 바닥벽의 일부분은 외측 와이어를 지지하는 기판을 구비하며, 이 기판에는 슬리트 (slit) 가 구비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통로를 형성하며, 이것은 즉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통로를 통하여 소재로부터 탈수시킴으로써 외측 와이어상에 제2의 웨브를 형성하며, 상기 슬리트는 실린더 성형체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하류에 위치하며 외측 와이어와 실린더 성형체에 의해 한정되는 닙으로부터 예정된 거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웨브는 제 1 웨브와 함께 눕혀져서 실린더 성형체로부터 분리해 낼수 있는 단일체의 웨브를 형성한다.
이 장치의 선호되는 태양에 있어서, 플랫홈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있어서, 실린더 성형체의 회전축과 상대적으로 브레스트 롤로부터 그 끝을 외면시킬 수 있어서, 실린더 성형체의 직경에 따라 플랫홈의 평평한 상부 표면을 외측 와이어에 평행하고 외측 와이어에 접촉하게끔 장치할 수 있다. 상이한 함수지표를 산출하는 표면부위를 가지고 직경이 상이한 기존 실린더 성형체는 동일한 형성기 또는 실린더- 뱃트 유니트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장착한 뱃트기계의 뱃트부위를 도시하는 부분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기계에서 전방부위를 제거한 상태로 본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도.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제 1 도는 회전식 실린더 성형체(2)를 구비한 실린더 - 뱃트 유니트(l)를 위시한 뱃트기계의 뱃트 부위를 도시하며, 상기 회전식 실린더 성형체(2)는 그 양끝이 개방된 드럼과, 그 주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끝이 없는 와이어(3)를 구비한다. 실린더 - 뱃트 유니트(1)는 또한 뱃트(4)를 구비하는데, 이 뱃트내에서 실린더 성형체가 작동하여 뱃트(4)에 들어있는 소재(5)를 계속 탈수시켜 웨브를 산출시키며, 배수된 물을 드럼내로 흘러들어 그 양끝을 통하여 용기(6)에 모아지며, 용기(6)는 실린더 성형체(2) 아래에 위치한다. 실린더 성형체(2)는 스프레이 파이프(6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깨끗하게 유지된다.
제 1 도에서 분명해진 바와같이 뱃트(4)는 수직 중앙평면상에서 보면 실린더 성형체(2)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며 또한 실린더 성형체(2)와 또한 서로 간격져있는 두개의 측벽 (57,58)에 의해, 그리고 바닥벽(8)(제 2 도 참조) 및 후방부품(9)에 의해 한정되어 있으며, 후방부품(9)은 입구(10)를 구비하며, 이 입구내에는 다공형의 수평롤(11)이 회전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헤드박스(12)는 입구(10)에 연결되어 소재를 뱃트(4)내로 다음과 같이 공급한다. 즉 원하는 수준의 소재가 뱃트(4)내에 유지되게끔 공급하는 것이다.
헤드 박스(12)는 수평형의 테이퍼진 인입쳄버(13)를 구비하는데 이 쳄버(13)는 소재입구 (도시되지 않음) 와 소재 초과분을 처리하기 위해 헤드박스(12)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출구(14)를 구비하며, 여기서 소재초과분은 소재 공급부로 반송된다. 헤드박스(12)는 수평장방형의 출구(15)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뱃트(4)의 입구(10)와 소통하며, 구멍이 있는 정지성판(16)을 구비하여 출구(15)의 전체길이에 걸쳐 소재가 균일하게 분포되게끔 보장한다.
실린더 성형체(2), 뱃트(4) 및 헤드박스(12)로 구성된 상기 요소들은 뱃트기계내의 설치대(17)에 의해 지지된다.
뱃트기계는 또한 외측 와이어(18)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실린더 성형체(2)의 원주 일부를 둘러싸게끔 배열되며, 이 외측 와이어(18)는 루프형상으로서, 브레스트 롤(19), 상부 및 하부 가이드롤(20,21) 및 스트레치 롤(22)등을 위시한 여러개의 를들을 타넘도록 배열되 있으며, 상기 스트레치 를은 유압식 또는 기압식 실린더 형태로된 운동 전달장치에 의해 이동되고 조정되어 와이어의 장력을 적정화시킨다. 실린더 성형체(2)의 바로 다음에는 흡입박스(23)가 있는데, 이것은 루프내의 외측 와이어와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다. 흡입박스는 실린더 성형체(2)에서 이전된 후 웨브의 건조 고체함량을 증가시키게끔 주선되어 있다. 두개의 유사한 흡입박스(24,25)는 상부 가이드롤(20) 다음에 설치되어 웨브로부터 추가적으로 수분을 흡입한다. 상부 가이드롤(20)은 닥터(Doctor) 블레이드(59)를 구비한다. 다른 롤들, 가령 브레스트 롤(19)과 연관시켜 유사한 와이핑 장치를 또한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분명히 나타나는 바와같이, 외측 와이어(18)는 뱃트(4)를 통하여 바닥벽(8)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동하며, 여기서 바닥벽(8)은 브레스트 롤(19)과 실린더 성형체(2) 삽입에 위치하며, 바닥벽은 또한 에프론(Apron)(26)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헤드박스(23)의 출구(15)로부터 브레스트 롤(19)까지 그리고 브레스토 롤을 충분히 지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외측 와이어(18)와 관련하여 소재의 흐름에 대한 폐쇄 브리지를 형성한다.
브레스트 롤(19)과 실린더 성형체(2) 삽입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의한 뱃트(4)의 바닥벽(8)의 부분은 지지플랫홈(27)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외측 와이어의 루프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외측 와이어(18)가 플랫홈(27)에 놓여 있게 되며 이 플랫홈을 따라 이동하게끔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분명히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브레스트 롤(19)의 회전축(47)은 실린더 성형체(2)의 외피표면을 최하부 접점에서 만나는 수평하부 평면과 실린더 성형체(2)의 수평 중앙평면 삽입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하부평면은 결과적으로 상기 중앙평면과 평행하다. 지지용 플랫홈(27)은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 성형체(2)의 표면쪽으로 기울어질 것이다.
도시된 플랫홈(27)은 설치대(28)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두개의 평행한 측면부품(61,62)과 전방 콘솔(console)(30)을 구비한다. 측면부품(61,62)삽입에서 설치대(28)는 평판(31)을 지지하는데, 이 평판(31)은 안정성을 얻게 되며, 또한 이것은 상부판요소(32)와 하부판요소(33)로 구성된다. 평판(31)은 평면적이고 평활한 상부표면을 구비하는데, 외측 와이어(18)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평활한 표면을 따라 접동해간다. 상부판요소(32)는 폴리텐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만드는 것이 좋으며, 또는 상부층만을 이러한 물질로 만들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외측 와이어(18)는 최소한의 마찰을 받게 된다. 평판(31)은 또한 폐쇄립(lip)(34)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상부판요소(32)에 고정시키며, 평판(31)의 상부표면의 평면에 위치하여 외측 와이어(18)를 실린더 성형체(2)의 와이어로 덮인 외피표면쪽으로 밀며 이에 의해 뱃트(4)의 소요되는 폐쇄상태가 보장되며, 한편 동시에 위치와 기하학적 형상에 있어서 닙(35)을 외측 와이어(18)와 실린더 성형체(2) 삽입에 유지시킨다. 설치대(28)의 콘솔(30)은 외측으로 개방된 홈을 가진 홀더(36)를 수반하는데, 홈속에는 고무호스(37)등과 같은 외부압력 발생장치가 배열되어 폐쇄립(34)을 향하여 확장될 수 있다. 변화를 받지 않은 시작위치에 있어서, 폐쇄립(34)은 고무호스(37)의 홀더(36)를 향하여 자유롭게 놓여 있다. 고무호스(37)가 확장되면, 폐쇄립(34)을 들어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예정된 크기의 압력으로서 외측 와이어(18)가 상술한 바와같이 실린더 성형체(2)쪽으로 압력을 가하게끔 된다.
또한 지지용 플랫홈(27)은 슬리트(38)를 구비하는데 이 슬리트는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외측 와이어(18)상에 제 2 웨브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트는 원하는 바에 따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닫을 수 있으며, 평판(31)내에 배치되어 실린더 성형체(2)의 회전축(39)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외측 와이어(18)의 양쪽 옆가장자리 삽입에 위치한다. 슬리트(38)는 상기 닙(35)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데, 이 위치는 즉 외측 와이어(18)가 실린더 성형체(2)의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는 곳이어서 물을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부위(40)를 형성한다. 이 부위(40)는 충분히 넓어야하며, 즉 예를 들면 뱃트(4)의 정상적 수준을 기준하였을때 최소한 20cm로 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즉 말하자면, 닙(35)의 근처에서 소재내에 불리한 흐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와이어(18)의 운동방향쪽으로, 부위(40)는 충분히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불리한 흐름은 상술한 구조를 갖지 않으면 실린더 성형체(2)상에 형성된 웨브를 파손시키며, 또한 외측 와이어(18)에 형성된 웨브도 파손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트(38)는 줄곧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 평행성의 길죽한 균일한 슬리트(43)를 구비하며, 이 슬리트(43)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판(31)을 가로건너 연장되어 있다. 즉 이 슬리트들은 실린더 성형체(2)의 회전축(39)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슬리트(43)는 외측 와이어에 대해 횡방향이며, 슬리트(43)와 같은 길이로된 튼튼하고 안전성있는 로드(44)의 형태로 구성된 폐쇄수단에 의하여 닫을 수 있으며, 상기 로드(44)는 플랫홈(27)쪽으로부터 슬리트내로 삽입할 수 있다. 로드(44)의 각각은 해당 슬리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맞추어진다. 즉 이 로드는 슬리트내로 쉽게 접동해 들어가서 평판(31)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며, 로드(44)의 상부표면은 평판(31)의 상부표면과 같은 평면에 있게 된다. 뱃트(4)내의 소재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에 견딜수 있게 하기 위해서, 로드(44)의 각각에는 양반대편 텅(Tongue)(45)이 구비되며, 슬리트(43)의 각각에는 마찬가지로 양반대편에 홈(46)이 구비된다. 각 슬리트(43)는 외측 와이어(18)를 거쳐 평판(31) 아래로 뱃트(4)와 공간(42)을 연결하는 배수통로(41)를 형성한다. 한대용 실시예 (도시되지 않음) 에 있어서는 슬리트들의 폭이 각각 상이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홈(27)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브레스트 롤(19)의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즉 플랫홈(27)은 브레스트 롤(19)의 회전축(47)에 배치된 상부 베어링(49)을 구비한 두개의 지지아암(48)에 의해 그 측방부품(61,62)이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아암(48)은 설치대(17)에 설치된 나사잭크(50)로 구성된 조정수단에 그 하부끝이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잭크(50)에 의해 지지아암(48) 및 전체플랫홈(27)은 브레스트 롤(19)의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이한 직경을 갖고 교환가능한 실린더 성형체(2)를 가진 실린더 - 뱃트 유니트(1), 또는 실린더 - 뱃트 유니트(1)의 규격에 따라 또는 원하는대로 외피표면을 크거나 작게하기 위해 실린더 성형체(2)의 드럼을 구간으로 나누어 그 직경을 변경시킬 수 있는 실린더 - 뱃트 유니트(1)등에 적용할 수 있다. 브레스트 롤 반대쪽의 플랫홈(27)의 이동가능한 끝을 나사잭크(50)에 의해 낮추거나 상승시킴으로서 평판(31)은 실린더 성형체의 상이한 직경들에 세트시켜 실린더 성형체(2)에 대해 밀폐적 위치에 두어 외측 와이어(18) 및 밀폐립(34)과 지지협력하는 관계로 만들 수 있다.
뱃트(4)의 전방측벽(57)은 개구(51)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는 카바(52)에 의해 닫을 수 있다. 이 개구(51)는 플랫홈(27)을 쉽게 접근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원할 경우 로드(44)를 그 관련 슬리트(43)에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빼낼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실린더 성형체(2) 및 외측 와이어(18)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용기(6)에 수집되며, 이 용기는 또한 플랫홈(27)의 아래에 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배수통로(41)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실린더 성형체(2)의 형성구역의 길이는 보통뱃트(4)내의 소재의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제 1 도에 분명히 나타난 바와같이, 적절한 물질로 만든 커텐(53)으로 구성된 물이 침투할 수 없는 폐쇄장치에 의해 상기 형성구역의 길이는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커텐(53)의 하부 자유 가장자리는 상술한 바와같이 조정 가능한 형성구역의 시작라인을 한정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드(44)를 플랫홈(27)으로부터 제거하면, 이렇게 노출된 배수통로(41)의 부위내에 형성구역을 만들어서 상기 제 2 웨브가 형성된다. 이 제 2 웨브는 곧 실린더 성형체(2)에 형성된 웨브와 함께 눕혀서 실린더 성형체(2)를 따로 남기는 단일성 웨브를 만들어 낸다. 이 단일성 웨브는 상기 사실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작조건하에서 실린더 성형체에 만들어진 웨브에 비해 증가된 그램매이지를 가진다. 반면에 실린더 성형체(2) 및 외측 와이어(18)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그램매이지가 유지된다.
원하면 배트와 관련하여, 연속적 안전 와이어의 공급을 공지된 방법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실린더 성형체에 투입시켜 형성되는 웨브에 매립시킨다. 주어진 슬리트(38)의 배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플랫홈(27)에 적절한 흡입박스를 구비시키며 이 흡입박스는 평판(31)을 통하여 자유상태의 베수통로(41)와 소통케하며, 이것은 예를 들면 양쪽 상부 및 하부측벽과 바닥벽을 설치대(28)의 두개의 측벽(61 및 62)사이에 배열하므로써 가능하다.
슬리트(38)는 카세트형의 교환가능한 몸체에 담을 수 있으며, 이 몸체의 폭은 예를 들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류의 가장 먼곳에 있는 홈과 상류의 가장 먼곳에 위치한 홈삽입의 거리와 거의 일치한다. 이 몸체는 개개로드(44)와 같은 방식으로 플랫홈의 측방으로부터 삽이할 수 있는데 단 더 넓은 해당구멍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교환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며, 각 몸체는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배수통로를 구비하며, 다른 몸체의 관통유통 단면적보다 크거나 작은 관통유통 단면적을 가진다. 한 몸체의 배수통로는 가령 상기 로드에 의하여 폐쇄할 수 있거나, 또는 폐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몸체는 완전히 폐쇄하여 보통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슬리트를 갖지 않게 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 도시하고 위에서 설명한 실린더 - 뱃트 유니트는 하나의 외측 와이어를 구비한 것이 진정한 함수지표를 가진 안전종이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안전종이는 고속으로 그리고 / 또는 고도의 그램매이지를 구비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한편 원하는 바의 성형과 원하는 바의 균일한 그램매이지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

Claims (11)

  1.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뱃트기계는 회전식 실린더 성형체(2), 뱃트(4) 및 헤드박스(12)를 구비한 실린더 - 뱃트 유니트(1)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박스(l2)는 뱃트(4)내에 예정된 수준으로 소재를 연속 공급하기 위하여 뱃트(4)에 연결되어 있으며, 뱃트(4)는 바닥벽(8)을 구비하며 실린더 성형체(2)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데, 그 배치된 방법은 와이어로 덮인 실린더 성형체의 외피표면의 하향이동부위가 상기 외피표면을 통해 소재로부터의 배수에 의해 제 1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뱃트(4)내의 소재와 접촉하게끔하며, 또한 뱃트기계는 뱃트의 상기 바닥벽(8)을 통한후 실린더 성형체(2)의 원주면의 일부위를 둘러싸는 한편 그 위에로 지나 브레스트 롤(19)상에 루프를 형성하며, 이동하는 외측 와이어를 구비하며, 브레스트 롤과 실린더 성형체(2) 사이에 위치하는 뱃트(4)의 바닥벽(8)의 일부는 외측 와이어를 지지하는 플랫홈(27)을 구비하며, 이 플랫홈(27)에는 슬리트(38)가 구비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 통로(41)를 형성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통로(41)를 통하여 소재로부터 배수시킴으로써 외측 와이어(18)상에 제 2 웨브를 형성하며, 상기 슬리트(38)는 실린더 성형체(2)의 회전축(39)에 평행하며, 또한 이 슬리트는 하류에 위치하는 그리고 외측 와이어(18)와 실린더 성형체(2)에 의해 한정되는 닙(35)으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웨브는 제 1 웨브와 함께 눕혀져 실린더 성형체(2)로부터 제거되는 단일성 웨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2.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슬리트(38)는 폐쇄장치로 폐쇄하여 배수통로(41)의 총관통유통 단면적을 조정하고 이에 의해 눕혀진 웨브의 그램매이지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범위 2 항에 있어서, 슬리트(38)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리트로 구성되며, 각 슬리트는 상술한 형의 배수통로(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범위 3 항에 있어서, 각 슬리트는 로드(44)등과 같은 형태의 폐쇄장치에 의해 폐쇄할 수 있으며 로드(44)의 상부표면은 외측 와이어(18)와 접촉하고 있는 플랫홈의 상부표면의 평면에 놓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플랫홈(27)에는 탄력성 폐쇄립(34)이 구비되며 이 립(34)은 하류에 위치하며, 외측 와이어(18) 및 실린더 성형체(2)에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범위 5 항에 있어서, 폐쇄립(34)은 외부 압력생성장치(37)에 의해 작동 되도록 만들어져 있어 폐쇄립이 외측 와이어(18) 및 실린더 성형체(2)에 대해 제어된 양만큼의 압력을 가할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플랫홈(27)은 수평측(47)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서, 그 끝이 실린더 성형체(2)의 회전축(3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리고 브레스트 롤(19)을 등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랫홈(27)의 평평한 상부 표면은 실린더 성형체(2)의 직경에 따라 외측 와이어(18)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와 접촉하여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범위 제 7 항에 있어서, 플랫홈(27)은 두개의 평행하는 지지아암(48)에 의해 지지되며, 이 지지아암(48)은 브레스트 롤(19)의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플랫홈을 회동시킴에 있어 축받이 역할을 하는 베이링(49)을 구비하며, 또한 플랫홈(27)의 운동제어를 위한 조정장치(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플랫홈(27)은 물이 침투할 수 없는 부위(40)를 구비하며, 이 부위(40)는 슬리트(38)와 상기 닙(35)삽입에 위치하며, 기계방향으로 상기 예정된 거리만큼의 폭을 가지는데 이 거리는 최소한 약 20cm가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실린더 성형체상의 형성구역의 시작라인은 실린더 성형체(2)의 외피표면을 따라 하강시키고 상승시킬 수 있는 커텐(53)에 의하여 조정가능하거나 이러한 커텐의 여러부분에 의하여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실린더 성형체(2)는 웨브내의 진실한 수위표 (water mark) 를 달성하기 위하며 이미 공지된 방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60700738A 1984-06-29 1985-12-20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KR900003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403472A SE442882B (sv) 1984-06-29 1984-06-29 Anordning vid en rundviramaskins rundviraparti
PCT/SE1985/000535 WO1987003920A1 (en) 1984-06-29 1985-12-20 A means in the vat section of a vat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127A KR880700127A (ko) 1988-02-15
KR900003927B1 true KR900003927B1 (ko) 1990-06-04

Family

ID=2035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738A KR900003927B1 (ko) 1984-06-29 1985-12-20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659432A (ko)
EP (1) EP0166189B1 (ko)
JP (1) JPS6183396A (ko)
KR (1) KR900003927B1 (ko)
BR (1) BR8507332A (ko)
CA (1) CA1236323A (ko)
CH (1) CH673127A5 (ko)
DE (2) DE166189T1 (ko)
FI (1) FI85038C (ko)
IN (1) IN164609B (ko)
MY (1) MY100310A (ko)
NL (1) NL8520456A (ko)
SE (1) SE442882B (ko)
WO (1) WO1987003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725A (en) * 1986-10-20 1988-11-15 Valmet Paper Machinery, Inc. Vat paper machine
US5160584A (en) * 1989-10-12 1992-11-03 Beloit Technologies, Inc. High consistency sheet former
GB2260772B (en) * 1991-10-25 1995-05-10 Portals Ltd Method for making sheet materials and security paper
SE535614C2 (sv) 2010-12-22 2012-10-16 Metso Paper Sweden Ab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förbättra avvattningen i en dubbelvirapress
CN107988837B (zh) * 2016-10-26 2019-07-16 南京造币有限公司 一种水印模快速定位装置及方法
CN107022914B (zh) * 2017-05-25 2018-10-30 昆明纳太科技有限公司 纤维连续成型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053A (en) * 1907-09-14 1908-11-24 Orville C Robinson Feltless wet-press for paper-making.
US1589120A (en) * 1922-08-10 1926-06-15 Willis S Crandell Method and means of making paper
US1571715A (en) * 1925-11-11 1926-02-02 Int Paper Co Method of and means for forming watermarks in paper
US1575518A (en) * 1925-11-20 1926-03-02 Eastern Mfg Company Process of watermarking paper and adjunct therefor
US2005839A (en) * 1933-01-26 1935-06-25 Downingtown Mfg Co Cylinder machine
GB626546A (en) * 1938-10-03 1949-07-18 Sandy Hill Iron & Brass Works Paper-making apparatus of the cylinder mould type
US2665615A (en) * 1949-01-12 1954-01-12 Nicholas J Niks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paper
US2723599A (en) * 1951-03-28 1955-11-15 Forming Machine Company Of Ame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pressure from tanks through openings having movable parts mounted therein
US3052296A (en) * 1958-11-04 1962-09-04 Beloit Iron Works Uniflow fourdrinier
US3224928A (en) * 1961-12-21 1965-12-21 Kimberly Clark Co Papermaking machine using a moving felt through a pressure forming slice and the same felt throughout the machine
US3252854A (en) * 1963-05-10 1966-05-24 Beloit Corp Inflatable barrier for converting a paper manufacture cylinder machine from conventional to dry vat operation and vice versa
US3401080A (en) * 1965-10-15 1968-09-10 Sandy Hill Corp Cylinder pressure forming paper machine with white water recovery
GB1234123A (ko) * 1969-01-27 1971-06-03
DE1960884B2 (de) * 1969-03-03 1975-03-06 Oy Tampella Ab, Tampere (Finnland) Papiermaschine
FI68275C (fi) * 1972-12-07 1985-08-12 Valmet Oy Banformningsfoerfarande vid en upptagnings- och torkningsmaskin foer cellulosa
DE2408304A1 (de) * 1974-02-21 1975-09-04 Claus Jung Wasserzeichenpapier-former zur herstellung von papieren mit echten, plazierten wasserzeichen und eingebetteten sicherheitsfaeden
US4267017A (en) * 1980-01-09 1981-05-12 Beloit Corporation Drainage roof for twin wire roll 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59432A (en) 1987-04-21
BR8507332A (pt) 1988-12-06
FI852396L (fi) 1985-12-30
FI852396A0 (fi) 1985-06-17
MY100310A (en) 1990-08-11
WO1987003920A1 (en) 1987-07-02
DE3569006D1 (en) 1989-04-27
DE166189T1 (de) 1986-05-22
CH673127A5 (ko) 1990-02-15
SE442882B (sv) 1986-02-03
IN164609B (ko) 1989-04-22
NL8520456A (nl) 1988-09-01
EP0166189A2 (en) 1986-01-02
KR880700127A (ko) 1988-02-15
JPH0160599B2 (ko) 1989-12-25
FI85038B (fi) 1991-11-15
EP0166189B1 (en) 1989-03-22
CA1236323A (en) 1988-05-10
JPS6183396A (ja) 1986-04-26
SE8403472D0 (sv) 1984-06-29
FI85038C (fi) 1992-02-25
SE8403472L (ko) 1985-12-30
EP0166189A3 (en) 198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9163A (en) Moisture control of felts and webs in papermaking systems
US4331510A (en) Steam shower for improving paper moisture profile
DE1303226B (ko)
FI93032B (fi) Paperikoneen kaksiviirainen rainanmuodostusosa
FI77281B (fi) Hybridformare foer en pappersmaskin.
KR900003927B1 (ko) 뱃트기계의 뱃트부위에 사용되는 장치
US3236724A (en) Apparatus for making formed fibrous webs
US4234382A (en) Former for a paper machine
US4249992A (en) Steam shower for adjusting paper moisture profile
EP0160615A2 (en) Top wire former
JPH09512592A (ja) 多層または単層の紙シートを作るためのフエルト下傾斜平フォーマ
US3455780A (en) Suction cylinder mold partially wrapped by and endless,porous control member
US4784725A (en) Vat paper machine
US20070089848A1 (en) Dewatering Arrangement on the Press Section of a Web-Forming Machine
US2696149A (en) Paper machine suction press
FI84638B (fi) Hybridformare foer en pappersmaskin.
US3472733A (en) Paper-forming suction cylinder roll with arcuate stock delivery nozzle and porous belt in wrapped engagement therewith
JP2722027B2 (ja) 円網抄紙機における供給紙料液の流量調整装置
US3814665A (en) Single endless strand mounted in a series of parallel convolutions as a fibrous web supporting surface in a papermaking machine
US3397111A (en) Cleaning apparatus for paper machine press felts
SE455000B (sv) Anordning vid en rundviramaskins rundviraparti
EP0969144A1 (en) Paper manufacturing machine and method with a means for eliminating edge trimmings, and mesh for the machine
GB15695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per quality in a foundrinier paper making machine
US2943677A (en) Paper making and the like machines
NL8600456A (nl) Stelsel voor het meten van een dwarsprofiel van de dikte van ee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