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61Y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61Y1
KR900003861Y1 KR2019860000585U KR860000585U KR900003861Y1 KR 900003861 Y1 KR900003861 Y1 KR 900003861Y1 KR 2019860000585 U KR2019860000585 U KR 2019860000585U KR 860000585 U KR860000585 U KR 860000585U KR 900003861 Y1 KR900003861 Y1 KR 900003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rush
roller
coll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376U (ko
Inventor
정득채
정희채
Original Assignee
정득채
정희채
전길호
이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득채, 정희채, 전길호, 이휘남 filed Critical 정득채
Priority to KR2019860000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861Y1/ko
Publication of KR870012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로울러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부설되는 물통과 걸레의 발췌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부설되는 안내편 부분의 발췌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부설되는 안내편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5,5', 12', 15', 26' : 축
4 : 수거용솔 6 : 격판
7 : 수거용침 8 : 이송벨트
10,10' : 로울러 11,13 : 안내판
14 : 돌기 15 : 안내로울러
18,18' : 지지판 19 : 안내편
20 : 수거통 23 : 물통
25,25',25",25"',25"" : 체인기어 26 : 뒷바퀴
27 : 체인
본 고안은 실내 바닥은 물론 포장된 노면의 청소도 할 수 있도록 한 청소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종류의 실내외용 청소기들이 있었는데, 그중 실내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진공청소기가 있으며 실외용 즉, 포장된 노면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는 대형의 회전솔과 살수노즐을 설치한 청소차가 있었다.
그러나 실내용 진공 청소기는 전력소모가 많고 소음이 크게 발생되며, 사용후 별도의 걸레로 바닥을 닦아주어야 되는 등의 번거로움도 있어 비능률적이고, 또 고가이므로 비경제적인 점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청소차의 경우에는 비록 포장된 도로에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인도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또 거액의 구입비와 운영비가 소요되므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여 노면의 청소는 주로 인력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에 착안하여 작당한 힘으로 밀고가는 것만으로 먼지나 휴지등의 수거는 물로 실내에서는 걸레로 바닥을 동시에 닦아줄 수 있으며 실외의 노면도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 저면의 양측 단부에는 수접용솔(2)(2')을 축(3)(3')으로 착설하고, 내측에는 비교적 빳빳한 솔로된 로울러형 수거용솔(4)을 축(5)으로 착설하며, 그 후측에는 ""형상의 격판(6)을 하단(6')이 수거용 솔(4)에 근접되게 상부에 부착하고 무수한 수거용침(7)이 돌출된 이송벨트(8)는 축(9)(9')으로 착설한 로울러(10)(10')로 뒤쪽이 상향되게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하며, 로울러(10')의 후측에는 안내판(11)을 고정 착설하고 이 안내판의 하측에는 송풍팬(2)을 축(12')으로 각기 착설하며, 하부에는 비교적 부드러운 솔로된 로울러형 수거용솔(4')을 축(5')으로 착설하고, 그 전면측에는 반원형 안내판(13)을 근접되게 부착하며, 이 안내판의 하단에는 외면에 다수의 돌기(14)를 돌출시킨 안내로울러(15)를 축(15')으로 착설하고, 이 축의 양단에는 지지판(18)(18')을 축착하며 이들 지지판의 상측에는 고정핀(16)이 끼워지는 활지구(17)를 각각 뚫고 하단부 사이에는 안내편(19)의 양단을 고정 부착하였다.
한편, 기체(1)의 후부에는 내선단부(20')가 로울러형 수거용솔(4')의 상측부와 근접되도록 수거통(20)을 결합하고, 그 하부에는 물통(23)을 부설하며 이 물통내에는 스폰지(21)를 내장하고 바닥면에는 수개의 소공(22)을 뚫어 설치하며 저면에는 걸레(24)를 붙이거나 뗄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축(5), (5'), (9), (12')의 일단은 기체()의 일측면판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이들 단부에 체인기어(25)(25')(25")(25"')를 고정착설시켜 됫 바퀴(26)의 축(26')에 착설한 체인기어(25"")에 체인(27)을 걸어 연결하고 수집용 솔(2)(2')의 축(3)(3')에 끼워진 풀리는 축(5)의 단부에 끼워진 풀리와 벨트(28)(28')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29"는 앞바퀴이고, "30"는 손잡이대의 일부이며, "3"은 수거통용 손잡이 이고, "32"는 수거통 지지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실내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체(1)에 안내편(19)을 고정부착한 지지판(18)(18')과 걸레(24)를 부착하는 물통(23)을 각기 부설한 상태로 제작하고, 실외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판(8)(18')과 물통(23)이 부설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하면 되는 것이며, 또 각구동부측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기어(25)(25')(25")(25"')(25")와 체인(27)의 설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체(1)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한 각축(5), (5'), (9), (12'), (26')의 일측단에만 설치하여도 되지만 각 축의 반대측 단부에도 동일하게 설치하면 각 구동부에 더욱 강력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사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에서는 제2도와 같이 지지판(18)(18')과 물통(23)을 부설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물통(23)의 저면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걸레(24)를 부착하고 물통(23)내에는 스폰지(21)가 충분히 젖을 수 있는 정도로 물을 넣어서 스폰지(21)가 흡수하고 있는 물이 수개의 소공(22)을 통해 걸레(24)에 공급되도록 한 다음 기체 손잡이(30)를 잡고 기체(1)에 적당한 힘을 가하면서 밀어 전진시키게 되면 뒷바퀴(26)가 회전됨에 따라 그 내측에 동일축(26')으로 축착된 체인기어(25"")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이 체인기어(25"")를 구동원으로 하여 체인(27)이 회동되면서 각축(5), (5'), (9), (12)에 축착된 체인기어(25)(25')(25")(25"')(25"")들을 회전시켜 주게 되어 각 축이 각각 회동하고, 이에 따라 수거용 솔(4)(4')과 이송벨트(8) 및 송풍팬(12)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각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되며, 또 축(5)이 회전됨에 따라 그 양단에 걸어준 벨트(28)(28')에 의해 축(3)(3')도 회전되어 수집용솔(2)(2')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각기 회전된다.
이와같이 기체(1)를 전진시키면 각 부분이 구동되는데, 수집용솔(2)(2')은 기체(1)가 전진하는 방향에서 이들 사이에 있게되는 휴지나 먼지등과 같은 쓰레기들을 수거용 솔(4) 측으로 모아주게되고, 수거용솔(4)은 비교적 빳빳한 솔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쓰레기를 뒤쪽으로 찍어 올려 주게되며, 이렇게 올라오는 쓰레기들은 수거용솔(4)과 닿는 상태로 부착된 격판(6)의 하단(6')에 의해 분리되어 수거용솔(4)과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이송벨트(8)위로 떨어지게 되어 이 벨트에 무수히 돌출된 수거침(7)에 의해 걸어져서 이송벨트(8)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안내판(11)위를 통과하여 수거통(20)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거과정에서 수거용솔(4)에 의해 대부분의 쓰레기는 수거가 되지만 크기가 작거나, 또는 미처 수거되지 못한 것들은 기체(1)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수거용솔(4) 보다는 비교적 부드러운 솔로된 후측의 수거용솔(4')에 의해 쓸어 올려지게 되며, 이렇게 쓸어올려지게되는 쓰레기는 수거용솔(4')의 상측과 닿는 상태로 결합되는 수거통(20)의 내선단부(20')에 의해 분리되어 수거통(20)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양측 지지판(18)(18') 사이에 부착된 안내편(19)은 마치 비로 쓰레기를 쓰레받기에 쓸어담는 것과 같이 수거용 솔(4')이 효과적으로 쓰레기를 쓸어 올릴 수 있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지지판(18)(18')은 고정핀(16)과 활지구(17)에 의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로만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안내편(19)이 수거용솔(4')과의 근접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어 쓸어올리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또 안내판(13)은 쓸어올려지는 쓰레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순조롭게 상승되도록 안내하여 준다.
또한, 수거용 솔(4)(4') 들의 작동에 의해 쓰레기들이 수거되는 과정에서 송풍팬(12)은 쓰레기를 수거통(20)내로 순조롭게 들어가도록 하여 주며, 걸레(24)는 스폰지(21)가 흡수하고 있는 물을 소공(22)을 통해 적절히 공급받으면서 수거용 솔(4)(4')이 지나간 부분을 닦아주게 되므로 본 고안의 청소기는 인력으로 밀고 가기만하면 쓸고 닦는 작동이 동시에 진행되어 청소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별도의 동력이 없어도 되는 것이지만, 뒷바퀴(26)등에 동력전달 장치를 연결하여 모터에 의해 본 고안의 청소기를 동작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실외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미세한 먼지까지의 수거와 걸레질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내편(19)을 부착한 지지편(18)(18')과 걸레(24)를 부착하는 물통(23)만 부설하지 않은 상태로 제작하면 되는 것으로, 그 작동은 실내용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지만, 실외용에서는 안내편(19)이 없기 때문에 안내 로울러(15)와 수거용솔(4')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이 되면서 수거용솔(4)이 수거하지 못한 쓰레기들은 안내로울러(15)에 돌출된 다수의 돌기(14)들에 의해 눌려서 들려지게 되므로 수거용솔(4')에 의해 용이하게 수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실내외의 청소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청소를 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부분의 교체가 간단하며, 전후측의 수거용솔에 의해 쓰레기의 수거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기체(1)의 하부 전후에는 로울러형 수거용솔(4)(4')을 각기 축착하고, 이들 수거용솔 사이에 수거용침(7)이 무수히 돌출된 이송벨트(8)를 로울러(10)(10')로 앞쪽은 수거용솔(4)의 하부후측에 위치하고 뒤쪽은 수거용솔(4')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또 수거용솔(4)의 상부후측에는 격판(6)을 착설하고, 수거용솔(4')의 상측에는 안내판(11)을 전면에는 반원형 안내판(13)을 각각 착설하며, 이 안내판의 하단측에는 다수의 돌기(14)가 돌출된 안내 로울러(15)를 수거용 솔(4')과 근접되게 축착하고, 기체(1) 후부에는 수거통(20)을 결합토록하며, 수거용솔(4)(4')의 축(5)(5')과 로울러(10)의 (9) 및 송풍팬의 축(12') 일단에는 각기 체인기어(25)(25')(25")(25"')(25"")를 고정 착설하여 이들 기어와 뒷바퀴(26)의 축에 착설한 체인기어(25"")에 체인(27)을 걸어주어서 된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로울러(15)의 축(15') 양단에는 안내편(19)의 양단을 고정부착한 지지판(18)(18)을 축착하고, 수거통(20)의 하측에는 걸레를 저면에 결합자재토록 하는 물통(23)을 부설하여서된 청소기.
  3. 제1항, 제2항에 있어서, 각축(5), (5'), (9), (12'), (26')의 타단에도 체인기어를 축착하여 체인으로 연결하여서된 청소기.
KR2019860000585U 1986-01-21 1986-01-21 청소기 KR900003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585U KR900003861Y1 (ko) 1986-01-21 1986-01-21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585U KR900003861Y1 (ko) 1986-01-21 1986-01-21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376U KR870012376U (ko) 1987-08-04
KR900003861Y1 true KR900003861Y1 (ko) 1990-05-03

Family

ID=192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585U KR900003861Y1 (ko) 1986-01-21 1986-01-21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23B1 (ko) * 2016-06-23 2016-11-11 지철권 자전거를 이용한 청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62B1 (ko) * 2000-07-01 2002-12-11 김승경 수륙양용 청소차
KR100915370B1 (ko) * 2007-11-08 2009-09-03 김재창 청소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23B1 (ko) * 2016-06-23 2016-11-11 지철권 자전거를 이용한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376U (ko) 198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538B2 (en) Cleaning implement
CN1306903C (zh) 表面清洁设备
US5241724A (en) Vacuum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wet wiping rag
US4407038A (en) Magnetic sweeper
KR100430041B1 (ko) 전기소제기
KR880003991Y1 (ko) 바닥 소제기
CN102525338A (zh) 外壳及真空清洁器
CA2403272A1 (en)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JP2639155B2 (ja) 電気掃除機
KR900003861Y1 (ko) 청소기
US6286177B1 (en) Under cabinet vacuum device
US5664276A (en) Brush-type sweeper
KR20110006014U (ko) 비 겸용 물걸레 수동청소기
CN214143479U (zh) 一种公路清扫垃圾回收装置
CN2910095Y (zh) 一种带双刷装置可变速的电动清扫器
CN212306454U (zh) 一种养猪场用清污装置
CN112075881B (zh) 一种瓷砖地面自动清洁机器人
CN114668337A (zh) 一种双辊扫地设备
CN2673276Y (zh) 室内地面自动扫地机
CN112155483A (zh) 一种带有水渍清理功能的拖地装置
JP3054416B1 (ja) 床掃除車
JPS59162964A (ja) 静電気クリ−ナ−
CN210784178U (zh) 一种干式布刷扫地机
CN220546223U (zh) 清洁装置
CN219397125U (zh) 一种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