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90B1 -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90B1
KR900003690B1 KR1019860009829A KR860009829A KR900003690B1 KR 900003690 B1 KR900003690 B1 KR 900003690B1 KR 1019860009829 A KR1019860009829 A KR 1019860009829A KR 860009829 A KR860009829 A KR 860009829A KR 900003690 B1 KR900003690 B1 KR 900003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record
bar
for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526A (ko
Inventor
에이시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에이시 고이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에이시 고이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Publication of KR87001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38Centering or locking of a plurality of discs in a single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consisting of a single rotatable tray carrying the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01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with vibrating mechanical coupling means between pick-up element and sound producing element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Toy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간이음향재생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의 덮개체의 부분을 제거하고 또한 일부를 절결한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 인덱스 테이블, 턴테이블, 캔슬장치, 종료장치, 바아, 걸어맞춤체, 전기접짐 등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의 평면도.
제 5 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서 각각 재생상태와 재생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의 바아, 암수 걸어맞춤부, 종료장치, 걸어 맞춤장치, 턱이진 기둥, 자른면, 수동종료 누름막대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서 재생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의 턴테이블, 바아, 전기접점, 재생침 등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함체
1b : 덮개체 1c : 경첩
2 : 도안의 무늬 3 : 녹음면
4 : 레코드판 5 : 재생침
6 : 복귀 스프링 7 : 토운 아암
8 : 침압 스프링 10 : 턴 테이블
11 : 스피커 다이어 프램 12 : 음 전달체
13 : 종료 장치 14 : 스타아트 장치
15 : 전동기 16 : 전기 접점
17 : 인덱스 테이블 18 : 바아(Bar)
19 : 풀리 홈 20 : 걸어맞춤 장치
21 : 캔슬 장치 22 : 노치(Notch)
23 : 걸어맞춤체 24 : 암수 걸어맞춤부
24a : 작은 구멍 30 : 보스
31 : 인덱스 축 32 : 안내 절결부
33 : 스프링 34 : 지점
35 : 힘을 가하는 수단 36 : 중심 핀
37 : 음향통 40 : 단턱면
41 : 턱이진 기둥 42 : 비틀림 스프링
44 : 수동 종료누름막대 47 : 경사면
48 : 돌기 F : 플랜지
본 발명은, 복수의 레코드 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레코드판을 가지고 있고, 케이스에 피버트 지지되어서 회전하여 특정의 레코드판을 상기 턴테이블에 대면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을 구비하여서, 소망의 레코드판을 인덱스 하여 재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도, 복수의 레코오판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는 제공되어져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번호 특공소 57-31201호, 특공소 57-589호 공보 등 참조).
이들의 간이음향재생기는, 턴테이블 상에 위로 향한 재생침을 가지는 토운아암을 구비하고, 그 위에 장전내지 장착되는 레코드판의 녹음면에, 그 재생침이 꼭맞는 다거나, 그 녹음면에서 후퇴하여 떨어진다거나할 수 있도록, 토운아암을 가지는 턴테이블을 전진 후퇴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간이 음향재생기는 레코드판은 각각 별개로 보관 또는 취급되어지는 것으로서, 재생기에는 1매 마다 장전 내지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조작상 불편하고, 복수의 레코드판을 기계적으로 인덱스하여 곧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나, 이와같은 조작에 있어서의 취미감을 만족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시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스(1)와, 이 케이스(1) 중에 녹음면(3)을 향하여 장착된 레코드판(4)과, 이 레코오드판(4)의 녹음면(3)에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재생침(5)을 구성하여, 상기 레코드판(4)의 재생시작점과 재생종료점의 사이에서 선회하여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재생시작점 쪽에 복귀 스프링(6)으로 힘을 가하게 된 상태에서 피버트 지지된 토운아암(7)을 구비하고, 또한 축방향에 침압 스프링(8)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는 턴테이블(10)과, 이 턴테이블(10)내에 장착된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이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상기 토운아암(7)에 접합되어 있어서 토운아암(7)의 재생진동을 상기 스피커 다이어프램(11)에 전달하는 움전달체(12)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후퇴시키는 종료장치(13)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시키는 스타트 장치(14)와, 상기 턴테이블(10)을 구동하는 전동기(15)와, 상기 스타트 장치(14)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에 통전하고, 상기 종료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로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전기접점(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판(4)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판(4)은 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 케이스(1)에 피버트 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특정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을 가지고 있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를 제 1 의 발명으로 하고 또한, 상기 레코드판(4)은 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 케이스(1)에 피버트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특정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 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에 가지고 있고, 상기 종료 장치(13)는 케이스(1)내에 길이 방향의 도중을 피버트 지지하고 있는 바아(18)의 한쪽 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ㅍ 풀리홈(19)에 마주대하고, 이 풀리홈(19)을 구성하는 플랜지(F)를 후퇴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누르도록 힘을 가하게 되어 있고, 스타트 장치(14)는 이것을 조작하면 상기 종료 장치(13)의 바아(18)를 그 힘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서 턴테이블(10)이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로 되도록 상기바아(18)의 다톤 끝단부에 관련되어 있고, 이 스타트 장치(14)를 조작하여 상기 바아(18)가 상기 턴테이블(10)에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아(18)가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유지되기 위한 걸어맞춤 장치(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 장치(20)를 재생침이 재생종료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 장치(20)가 풀려지도록, 상기 토운아암(7)의 재생침(5)과는 반대의 끝단부를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그 충돌로서 걸어맞춤이 풀려지도록한 캔슬 장치(21)를 구비한 복수의 레코드판(4)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를 제 1 의 발명과 병합발명으로 하고 또한, 상기 레코드판(4)은 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 케이스(1)에 피버트 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특정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 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에 가지며 이 인덱스 테이블(17)은, 그 회전둘레 면에 노치(22)를 형성하고, 이 노치(22)에 평상시에 인덱스 테이블(17)의 회전둘레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는 걸어맞춤체(23)가 걸어맞춤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종료장치(13)는 케이스(1)내에 길이 방향의 도중을 피버트 지지하고 있는 바아(18)의 한쪽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풀리홈(19)에 마주대하여, 플랜지(F)를 후퇴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누르도록 힘을 가하게 되어 있고, 스타트 장치(14)는, 이것을 조작하면 상기 종료 장치(13)의 바아(18)를 그 힘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서 턴테이블(10)이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바아(18)의 다른 끝단부에 관련되어 있고, 이 스타트 장치(14)를 조작하여 상기 바아(18)의 다른 끝단부에 관련되어 있고, 이 스타트 장치(14)를 조작하여 상기 바아(18)가 상기 턴테이블(10)에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아(18)가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유지되기 위한 걸어맞춤 장치(20)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걸어맞춤 장치(20)를 재생침(5)이 재생종료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 장치가 풀려지도록, 상기 토운아암(7)의 재생침(5)과는 반대 끝단부를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그 충돌로서 걸어맞춤이 풀려지도록한 캔슬 장치(21)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체(23)는, 그 일부가 상기 바아(18)의 아래에 마주대하고, 상기 바아(18)와 상기 걸어맞춤체(23)에는 암수 걸어맞춤부(24)를 구성하고 걸어맞춤체(23)가 상기 노치(22)에 걸어맞춤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바아(18)가 스타트 장치(14)에 의하여 조작된 상태로 있을때에만 암수를 걸어맞춤하여 노치(22)에 걸어맞춤체(23)가 걸어맞춤된 상태를 고정하도록한, 복수의 레코드판(4)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를 제 2 의 병합발명으로서 제공한다.
이들의 발명에서는, 인덱스 테이블을 회전하여 소정의 위치에 레코드판을 배치한 후에, 스타트 장치를 누르면,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하여 침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턴테이블을 후퇴한 위치에서 보호지지하고 있던 바아가, 그 턴테이블에서의 억압을 해제하여, 턴테이블이 전진하고, 동시에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로의 통전이 행하여져서 턴테이블이 회전된다.
그리하여 재생침은 레코판의 녹음면에 꼭맞아서 재생이 시작된다.
이 스타트 장치가 눌려서 조작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장치의 걸어맞춤보호지지 동작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재생이 종료될때까지 보호지지 된다.
재생이 종료되면, 토운아암에 구성된 캔슬장치가 턴테이블의 둘레부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돌출하여 종료장치에 충돌하므로 걸어맞춤장치가 상기 걸어맞춤 보호지지 동작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바아는, 그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턴테이블을, 침압 스프링에 저항하여 후퇴시킨다.
인덱스 테이블의 노치에는, 탄성력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는 걸어맞춤체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인덱스 테이블은, 이 걸어맞춤체가 힘이 가해짐에 저항하여 회전동작 할 수가 있고, 가지고 있는 레코드판을 소정의 재생 위치로 인덱스하여 배치할 수가 있으나, 스타트 장치에 의하여 재생이 시작되면, 바아에 대하여 걸어맞춤체에 구성되어 있는 암수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되어서 걸어맞춤체의 이동을 금지하기때문에, 걸어맞춤체는 노치에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리고 인덱스 테이블은, 레코드판의 녹음면에 재생침이 꼭맞아서 재생상태로 있을 때에는, 그 인덱스 된 위치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케이스(1)는 함체(1a)와 이것에 덮어 씌워진 덮개체(1b)로 이루어진다. 덮개체(1b)는 이 경우에 투명한 프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경첩(1c)으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함체(1a)내에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피버트 착설용의 보스부(30)가 위로향하게 돌출설치되어 있고, 덮개체(1b)에는, 상기 보스(30)에 대응하여, 인덱스 축(31)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덮개체(1b)에는 안내 절결부(32)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덮개체(1b)를 개방한 상태에서, 인덱스 테이블(17)을 상기 안내 절결부(32)에 안내하여 배치하고, 상기 인덱스축(31)에 피버트 착설하여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로 한다.
이때에 인덱스축(31)은 제 2 도의 보스부(30)에 삽입된다.
인덱스 테이블(17)은 이 경우에 4매의 레코드판(4)의 녹음면(3)(제 3 도 참조)을 함체(1a)내에 향하여 보호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도에서와 같이 이 레코드판(4)의 뒷쪽은, 케이스(1)이 윗면을 향하도록 케이스(1)에 정착되고, 거기에는 녹음내용에 관련되는 도안의 무늬(2)가 표시되어 있어서 이것은 인덱스된 레코드판(4)을 투명한 덮개체(1b)로부터 투시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다.
인덱스 테이블(17)의 둘레부에는, 레코드판(4)의 갯수에 상당하는 수의 노치(2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함체(1a)의 내부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한 걸어맞춤체(23)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 할 수 있도록 세워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체(23)는, 제 2 도에 나타낸 스프링(33)으로서, 한쪽 끝단이 평상시에, 인덱스 테이블(17)의 둘레면에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져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와 같이, 케이스(1)의 함체(1a)내에는, 바아(18)가 시이소 형상으로 피버트 착설되어져 있다.
제 3 도 중에 (34)는 그 지점이다.
이 바아(18)는 한쪽 끝단부가 2개의 다리로 나누어져 활대처럼 구부러진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쪽 끝단부는 T자 형상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이 바아(18)의 T자 형상으로 나누어진 다른쪽 끝단부는, 그 아래에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힘을 가하는 수단(35)에 의하여 평상시에 윗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2개의 다리로 나누어져 활대처립 구부러진 한쪽 끝단부는 평상시에 아래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함체(1a)의 중앙부에는, 턴테이블(10)이 피버트 착설되어져 있다.
이 턴테이블(10)은 특히 제 3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중심핀(36)에 의하여 피버트 지지되고, 어느 정도 축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서, 아래쪽 방향에서 침압 스프링(8)으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침압 스프링(8)의 탄성력은 상기 바아(18)의 힘을 가하는 수단보다 약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턴테이블(10)은, 그 내부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스피커 다이어 프램(11)을 구비하고, 그의 꼭대기 부에 형성한 음향통(37)을 약간 턴테이블(10)의 윗면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제 2 도와 제 3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턴테이블(10)의 회전둘레면에는, 그 축방향의 앞뒤에 플랜지(F)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풀리홈(19)이 구성되고 있다. 턴테이블(10)의 윗면에는, 막대 형상의 음전달체(12)가, 그 한쪽 끝단을 띄워 설치한 상태에서 대략 지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가설되어 있고, 이것은 그의 중도부분이 상기 음향통(37)의 윗쪽 끝단부에 접합하여 지지되고 있다.
또한, 턴테이블(10) 상에는, 앞끝단부의 윗부분에 위로 향하고 있는 재생침(5)을 가진 토운아암(7)이 뒤끝단부에 피버트 착설되어 있고, 재생침(5)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는 앞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둘레부와 중심부와의 사이에서 선회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토운아암(7)의 앞끝단부는, 재생침(5)의 아래쪽에서, 음전달체(12)에 미끄럼 접합하여 지지되고있다.
이 토운아암(7)의 피버트 착설부에는, 복귀 스프링(6)이 감겨져 있고, 재생침(5)을 형성하고, 있는 앞끝단부가 평상시에 턴테이블(10)의 둘레부의 방향, 레코드판(4)의 재생 시작점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그 피버트 착설부를 개재하여 재생침(5)을 형성한 앞끝단부와는 반대쪽의 부분에 돌출한 캔슬장치(21)가 형성되어쳐 있다.
이 캔슬장치(21)는 재생침(5)이 형성되어 있는 앞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중심부, 즉 레코드판(4)의 재생 종료점에 도달하면,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있다(제 4 도 참조).
제 2 도 및 제 3 도에 있어서 (15)는 전동기로서, 벨트를 풀리홈(19)에 걸어서 턴테이블(10)과 연락하고 있다.
또한, 바아(18)의 2개의 다리로 나누어져 활대처럼 구부러져 있는 한쪽끝단부는, 이 턴테이블(10)의 풀리홈(19)내에 가설되어 있고, 그 부분이 턴테이블(10) 축방향에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후퇴방향의 플랜지(F)를 눌러서,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후퇴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바아(18)의 T자형상으로 되어있는 다른쪽 끝단부의 1개의 아래쪽에는,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걸어맞춤체(23)의 다른쪽 끝단부를 마주대하고, 거기에 위쪽으로 향하는 돌기를 가지는 암수 걸어맞춤부(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바아(18)쪽의 대응부분에는 작은구멍(24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체(23)쪽의 암수걸어맞춤부(24)는 걸어맞춤체(23)가 인덱스 테이블(17)의 노치(22)에 걸어맞춤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은구멍(24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암수가 걸어맞춤될 수 있도록 하는 장소에 배치된다.
그리고 바아(18)의 아래쪽에는, 상기 전동기(15)로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기접점(16)을 배치하고 있고, 이 전기접점(16)은 특히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아(18)의 T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른쪽 끝단부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ON상태로 되고, 상승한 상태에서는 OFF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도면에는, 스타트 장치(14)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바아(18)의 T자형상을 이루는 다른쪽 끝단부상에 맞닿아서, 케이스(1)의 외부에서 이것을 눌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누름막대로서 형성되어 있다.
바아(18)의 T자형상을 이루는 다른쪽 끝단부의 다른 1개의 부분에는 위로 향하고 있는 단턱면(40)을 가지는 턱이진 기둥(41)이 형성되고, 함체(1a)중에서 상기 턱이진 기둥(41)의 측방향으로 종료장치(13)가 구성되어 있다.
이 종료장치(13)는, 수평방향으로 활대처럼 구부러진 절곡체의 중도부를, 수평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체의 피버트 착설부분에 약한 비틀림 스프링(42)이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절곡체가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 종료장치(13)의 절곡체의 한쪽끝단은, 턴테이블(10)의 윗면보다 약간 위로 또한 그 둘레의 약간 바깥쪽으로 마주대하고 있고, 또한 절곡체의 다른쪽 끝단은, 상기 턱이진 기둥(41)의 측면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42)으로 힘을 가하게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다.
그리하여 절곡체의 다른쪽 끝단은, 턱이진 기둥(41)의 단턱면(40)과 함께 걸어맞춤장치(20)를 구성한다. 즉, 바아(18)의 T자형상을 이루는 다른쪽 끝단부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절곡체의 다른쪽 끝단은 단턱면(40)에 걸어맞춤하여 걸어맞춤창치(20)는 걸어맞춤상태로 되고, 바아(18)를 그 힘을 가하는 수단(35)의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그의 다른쪽 끝단부의 하강위치를, 또한 그 한쪽 끝단부의 상승위치를 각각 보호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종료장치(13)의 옵션으로서, 수동종료누름 막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도, 제 2 도, 제 4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같이, 케이스(1)의 외부에서 눌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한 누름막대로서 형성하고 있고, 그 측면부에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47)을 가지는 돌기(48)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47)은, 상기 종료장치(13)의 절곡체의 활대처럼 구부러지는 내측에 접합하여, 절곡체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재생도중에 걸어맞춤장치(20)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바아(18)의 한쪽 끝단부를 하강시켜서, 턴테이블(10)을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7 도는, 턴테이블(10)의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에는, 캔슬장치(21)가 움직여서 이와같은 상태로 된 경우에도, 수동종료 누름막대(44)를 조작하여 이와같은 상태로된 경우도 포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하여 사용한다. 즉, 소망의 레코드판(4)을 가지는 인덱스 테이블(17)을, 케이스(1)의 인덱스 축(31)에 피버트 착설한다.
다음에, 인덱스 테이블(17)을 회전하여, 거기에 가지고 있는 레코드판(4)중에서, 소망의 레코드판(4)을, 투명한 덮개체(1b)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인덱스한다.
이때에, 인덱스 테이블(17)의 둘레면에 탄력적으로 접합하고 있던 걸어맞춤체(23)는 인덱스 테이블(17)의 노치(22)로 빠져내려서, 그 인덱스 위치를 임시로 고정한다.
다음에, 스타트 장치(14)를 누르면, 바아(18)의 다른쪽 끝단부가 눌려서 내려가게 되어 한쪽 끝단부는 상승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때까지 침압 스프링(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퇴하는 위치로 보호지지되어 있던 턴테이블(10)은, 억제를 해제하고 전진한다.
동시에, 바아(18)의 다른쪽 끝단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어서 바아(18)가 스타트 장치(14)에 눌려서 내려가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OFF로 되어있던 전기접점(16)은 ON상태로 되어 전동기(15)는 동작하므로 턴테이블(10)은 회전한다. 또한, 걸어맞춤장치(13)가 단턱면(40)에 걸려서 그 바아(18)의 하강한 위치를 보호지지함과 동시에 암수걸어맞춤부(24)는 바아(18)의 작은 구멍(24a)에 삽입되어 걸어맞춤되므로 걸어맞춤체(23)가 노치(22)에 걸어맞춤된 상태를 고정하여, 인덱스 테이블(17)의 인덱스 상태를 완전히 고정한다.
턴테이블(10)이 전진하면, 복귀스프링(6)에 의하여 평상시에 재생시작점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재생침(5)은, 그 재생시작점에서 레코드판(4)의 녹음면(3)에 꼭맞고, 턴테이블(10)의 회전에 따라서 녹음홈을 주사하여 재생종료점에 도달된다.
재생침(5)이 레코드판(4)의 녹음면(3)을 주사하고 있는 사이에는, 제 5 도에서와 같이 바아(18)의 턱이진 기둥(41)에 형성된 단턱면(40)이 걸어맞춤창치(20)에 의하여 힘을 가하는 수단(35)의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억제되고 있다.
그리하여, 재생침(5) 이 재생종료점에 도달하면, 캔슬장치(21) 가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턴테이블(10)의 회전에 따라서 종료장치(13)의 절곡체의 한쪽 끝단부에 충돌하여 절곡체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 턱이진 기둥(41)의 단턱면(40)에서 걸어맞춤장치(20)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걸어맞춤장치(2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바아(18)는 지지상태를 상실하고 힘을 가하는 수단(35)에 의하여 턴테이블(10)을 다시 후퇴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재생침(5)을 레코드판(4)의 녹음면(3)으로 부터 떨어 트린다.
그리하여, 1회의 녹음의 재생이 종료되지만, 재생도중에 중지하고 싶다면, 제 6 도에서와 같이 수동종료누름막대(44)를 누르면 캔슬장치(21)가 작동하였을때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어느것으로 하더라도, 재생침(5)이 레코드판(4)의 녹음면(3)에서부터 띨어진 상태에서는, 제 7 도에서와 같이 전기접점(16)은 OFF상태로 되고, 그리고 전동기(15)는 정지하여 턴테이블(10)도 정지된다.
또한,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와 같이, 암수걸어맞춤부(24)는 바아(18)의 작은 구멍(24a)으로부터 빠져서 걸어맞춤체(23)의 피버트 동작을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인덱스 테이블(17)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덱스 테이블에 복수의 레코드판을 가지고 있고, 이 인덱스 테이블을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소망의 레코드판을 인덱스하여 재생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복수의 레코드판을 선택하여 재생하는데에 매우 편리하고, 또한, 그 레코드판을 인덱스하여 재생하는 조작을 즐길 수가 있으며, 특히 교육완구로서도, 매우 흥미로운 간이음향재생기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중에 녹음면(3)을 향하여 장착된 레코드판(4)과, 이 레코드판(4)의 녹음면(3)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재생침(5)을 가지고 상기 레코드판(4)의 재생시작점과 재생종료점의 사이에서 선회하여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재생시작점쪽에 복귀스프링(6)으로 힘을 가하게 된 상태에서 피버트 지지된 토운아암(7)을 구비하고, 또한 축방향에 침압 스프링(8)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턴테이블(10)과, 이 턴테이블(10)내에 장착된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이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상기 토운아암(7)에 접합되어 있어 토운아암(7)의 재생진동을 상기 스피커 다이어 프램(11)에 전달하는 음전달체(12)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후퇴시키는 종료장치(13)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시키는 스타트 장치(14)와 상기 턴테이블(10)을 구동하는 전동기(15)와 상기 스타트 장치(14)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에 통전하고, 상기 종료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전동기(15)로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전기접점(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판(4)은 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 케이스(1)에 피버트 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특정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있도록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에 가지고 있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17)은 그 둘레부에 각 레코드판(4)에 대응하는 노치(22)를 가지고 있고, 평상시에 그 둘레부에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걸어맞춤체(23)와 상기 노치(22)가 걸어맞춤되어 인덱스 테이블(17)을 고정하도록 한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
  3.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중에 녹음면(3)을 향하여 장착된 레코드판(4)과, 이 레코드판(4)의 녹음면(3)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재생침(5)을 가지고 상기 레코드판(4)의 재생시작점과 재생종료점의 사이에서 선회하여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재생시작점쪽에 복귀스프링(6)으로 힘을 가하게된 상태에서 피버트 지지된 토운아암(7)을 구비하고, 회전둘레면에는, 그 축방향의 앞뒤에 플랜지(F)를 가지고 풀리홈(l9)을 구성하고 있고, 벨트 드라이브방식으로서 상기 모우터에 연락하고 있고 또한 측방향에 침압 스프링(8)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턴테이블(10)과, 이 턴테이블(10)내에 장착된 스피커 다이어프램(11)과 이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상기 토운아암(7)에 접합되고 있어 토운아암(7)의 재생진동을 상기 스피커 다이어 프램(11)에 전달하는 음전달체(12)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후퇴시키는 종료장치(13)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시키는 스타트 장치(14)와, 상기 턴테이블(10)을 구동하는 전동기(15)와, 상기 스타트 장치(14)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에 통전하고, 상기 종료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로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전기접점(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판(4)은 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 케이스(1)에 피버트 지지되어서 회전하고, 또한 특정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에 가지고 있고, 상기 종료장치(13)는, 케이스(1)내에 길이방향의 도중을 피버트 지지하고 있는 바아(18)의 한쪽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풀리홈(19)에 마주대하고, 플랜지(F)를 후퇴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누르도록 힘을 가하게 되어있고, 스타트 장치(14)는, 이것을 조작하면 상기 종료장치(13)의 바아(18)를 그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서 턴테이블(10)이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바아(18)의 다른쪽 끝단부에 관련하고 있고, 이 스타트 장치(14)를 조작하여 상기 바아(18)가 상기 턴테이블(10)에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아(18)가 힘을 가하는 수단(35)에 저항하여 유지되기 위한 걸어맞춤장치(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장치(20)를 재생침(5)이 재생종료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장치(20)가 풀려지도록, 상기 토운아암(7)의 재생침(5)과는 반대 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그 충돌로서 걸어맞춤이 풀려지도록한 캔슬장치(21)를 구비한,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17)은, 그 둘레부에 각 레코드판(4)에 대응하는 노치(22)를 가지고 있고, 평상시에 그 둘레부에 향하여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걸어맞춤체(23)와 상기 노치(22)가 걸어맞춤되어서 인덱스 테이블(17)을 고정하도록 한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
  5.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중에 녹음면(3)을 향하여 장착된 레코드판(4)과, 이 레코드판(4)의 녹음면(3)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재생침(5)을 가지고 상기 레코드판(4)의 재생시작점과 재생종료점의 사이에서 선회하여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재생시작점쪽에 복귀스프링(6)으로 힘을 가하게된 상태에서 피버트 지지된 토운아암(7)을 구비하고 회전둘레면에는, 그의 축방향의 앞뒤에 플랜지(F)를 가지고 풀리홈(19)물 구성하고 있고, 밸트 드라이브방식으로서 전동기(15)에 연락하고 있고, 또한 축방향에 침압 스프링(8)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턴테이블(10)과, 이 턴테이블(10)내에 장착된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이 스피커 다이어 프램(11)과 상기 토운아암(7)에 접합하고 있어서 토운아암(7)의 재생진동을 상기 스피커 다이어 프램(11)에 전달하는 음전달체(12)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후퇴시키는 종료장치(13)와, 상기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시키는 스타트 장치(14)와, 상기 스타트 장치(14)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에 통전하고, 상기 종료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15)로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전기접점(16)과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음향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판(4)은복수개로서, 이들의 레코드판(4)은, 상기케이스(1)에피버트 지지되어서 회전하고, 또한 특성의 레코드판(4)을 상기 턴테이블(10)에 대면시킨 위치에 고정할 수있도록 한 1매의 인덱스 테이블(17)에 가지고 있고, 이 인덱스 테이블(17)은, 그 회전둘레에 노치(22)를 가지고, 이 노치(22)에 평상시에 인덱스 테이블(17)의 회전둘레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는 걸어맞춤체(23)가 걸어맞춤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종료장치(13)는, 케이스(1)내에 길이방향의 도중을 피버트 지지하고 있는 바아(18)의 한쪽 끝단부가 턴테이블(10)의 풀리홈(19)에 마주대하고, 플랜지(F)를 후퇴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턴테이블(10)을 침압 스프링(8)에 저항하여 누르도록 힘을 가하게 되어있고, 스타트 장치(14)는, 이것을 조작하면 상기 종료장치(13)의 바아(18)를 그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서 턴테이블(10)이 침압 스프링(8)에 의하여 전진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바아(18)의 다른쪽 끝단부에 관련되어 있고, 이 스타트 장치(14)를 조작하여 상기 바아(18)가 상기 턴테이블(10)에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아(18)가 힘을 가하는 수단(35)에 저항하여 유지되기 위한 걸어맞춤장치(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장치(20)를 재생침(5)이 재생종료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장치(20)가 풀려지도록, 상기 토운아암(7)의 재생침(5)과는 반대 끝단부가과 턴테이블(10)의 둘레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그 충돌로서 걸어맞춤이 풀려지도록한 캔슬장치(21)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체(23)는, 그 일부가 상기 바아(18)의 아래에 마주대하고, 상기 바아(18)와 상기 걸어맞춤체(23)에는 암수 걸어맞춤부(24)를 가지고, 걸어맞춤체(23)가 상기 노치(22)에 걸어맞춤되고 있고, 또한 상기 바아(18)가 스타트 장치(14)에 의하여 조작된 상태에 있을때만 암수를 걸어맞춤하여 노치(22)에 걸어맞춤체(23)가 걸어맞춤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23)는, 인덱스 테이블(l7)이 회전하는 둘레면에 대하여 90도 이하의 내각을 형성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스(1)는, 경첩(1c)으로 구성되어 개폐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그 개폐할 수 있는 부분을 열어서 인덱스 테이블(17)을 착설하고 있는 복수의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KR1019860009829A 1986-04-30 1986-11-20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KR900003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0542 1986-04-30
JP61100542A JPS62257667A (ja) 1986-04-30 1986-04-30 複数のレコ−ド盤を用い得る簡易音響再生機
JP100542 198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526A KR870010526A (ko) 1987-11-30
KR900003690B1 true KR900003690B1 (ko) 1990-05-30

Family

ID=142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829A KR900003690B1 (ko) 1986-04-30 1986-11-20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S62257667A (ko)
KR (1) KR900003690B1 (ko)
CN (1) CN1013526B (ko)
GB (1) GB2189922B (ko)
HK (1) HK165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1534C (en) * 1989-03-07 1995-02-21 Yasukata Iyama Disc changer
US5151687A (en) * 1990-07-16 1992-09-29 Younger George G Apparatus for logging electronic media-taped material
JP2514759Y2 (ja) * 1990-09-11 1996-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型のディスクオートチエンジャー装置
JP3531200B2 (ja) * 1993-03-05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CN105788615A (zh) * 2015-01-12 2016-07-20 辛力彬 一种轮式光盘库光盘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8605A (en) * 1978-02-13 1979-08-25 Sony Corp Cassette changer
JPS5671846A (en) * 1979-11-19 1981-06-15 Toshiba Audio Kogyo Kk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DE3110480A1 (de) * 1981-03-18 1982-10-21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Kleinkassettengera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526A (ko) 1987-11-30
CN87102999A (zh) 1987-11-11
GB8630692D0 (en) 1987-02-04
GB2189922B (en) 1990-07-18
JPS62257667A (ja) 1987-11-10
HK16591A (en) 1991-03-15
CN1013526B (zh) 1991-08-14
GB2189922A (en) 1987-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44923Y2 (ko)
CA1223068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ignals on an information carrier provided with a loading mechanism for loading the information carrier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KR890004237B1 (ko) 복수의 녹음을 제생할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KR900003690B1 (ko)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US4464743A (en) Record playing apparatus
JPH01251466A (ja) 記録・再生装置用装てん装置及びディスクレコードプレーヤ
KR900006550B1 (ko)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선정하여 재생하기 위한 인덱스 캐리어 및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간이 음향 재생기
JPH0237017B2 (ko)
JPH0364921B2 (ko)
JPH0334122B2 (ko)
US4823332A (en) Simplified sound reproducing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a plurality of record discs
JPS62120601A (ja)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US3934883A (en) Disk record player
US3542371A (en) Combination player for discs and tape-cartridges
US4408310A (en) Simplified sound reproducing device driven by a spring motor
JPH067484Y2 (ja) デイスクプレ−ヤ
JP3493740B2 (ja) 再生装置
JPS592105B2 (ja) 玩具レコ−ドプレ−ヤ
JP2509543Y2 (ja) ディスクプレ―ヤのスライドテ―ブル摺動装置
JPS62257603A (ja) 複数のレコ−ド盤を割出し再生するためのインデツクステ−ブル
JPH0127481B2 (ko)
JPH0477361B2 (ko)
JPH0614318Y2 (ja) ディスク装置
JPH04306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