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62B1 -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62B1
KR900003662B1 KR1019870012028A KR870012028A KR900003662B1 KR 900003662 B1 KR900003662 B1 KR 900003662B1 KR 1019870012028 A KR1019870012028 A KR 1019870012028A KR 870012028 A KR870012028 A KR 870012028A KR 900003662 B1 KR900003662 B1 KR 90000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ing
received
subse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519A (ko
Inventor
최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662B1/ko
Publication of KR89000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의 구체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3a)는 교환기 본체의 데이타 흐름도.
(3b)는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타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환기 본체 12 : 리얼타임클럭 발생기
13 : 램 14 : 롬
15 : 제1송수신부 21 : 제 2송수신부
22 : 콤보코덱 23 : 음성제어스위치부
30 : 표시부 28 : 제 2중앙처리장치
32 : 키보드 24 : 송수화기
25 : 스피커폰 26 : 톤링거
27 : 스피커
본 발명은 데이타 전송시 에러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기술을 이용한 서브세트와 교환기 본체사이의 데이타 전송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동일 데이타를 소정 회수 송신하여 소정 회수 같은 데이타가 입력되었을시 입력데이타 비교로 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러 체크 방법은 여러방법이 있지만 교환기 본체와 서브세트(이하 "디지탈 전화기"라 칭함)간의 데이타 통신은 종래의 패리티 체크(Parity Check)나 순회용장 코드(Cyclic Redundancy Code) 체크등의 기술이 많이 채택되고 었으나 상기한 방법들은 모두 하드웨어(Hardware)에 의해 복잡한 구성을 요하므로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하드웨어나 좀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방안이 개발되기는 하지만 아직 에러 체크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프로세서의 부하 및 데이타베이스를 점유한다고 하는 측면에서 데이타전송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 본체와 디지탈 전화기간의 데이타 통신에서 에러검출 및 수정을 위한 기존 하드웨어 구성에서 수정 및 변경없으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일 데이타를 소정 반복 전송하여 비교에 의해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를 쉽게 복구(Retection & Recovery)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로써, 단말부로부터 이벤트(Event)를 감지하는 부분과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분석하는 부분과 상기 분석된 결과를 써비스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서브세트간의 신호(Signalling)만을 전담 프로그램을 일정주기로 구동하여 분석부와 통신하는 교환기 본체(10)와, 독립된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화기 혹은 유사장치로 상기 교환기 본체와의 신호 포로토콜에 따라 수행하는 서브세트(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간단히 기술하면 교환기 본체(10)에서는 이벤트 검출과 서비스부를 합하여 독립된 프로세서에 의해 프론트-앤드-프로세서 구조로 서브세트와 CCITT권고신호에 해당하는 일만을 전담하고 교환기 본체(10)내의 분석부에서는 타임스위치를 제어한다. 서브세트에서는 상기 프론트-앤드 프로세서와의 신호 포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기본동작으로써 교환기 본체(10)는 마스터(Master)로서 슬레이브(Slave)인 서브세트(20)에 소프트웨어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동기 코드를 보낸다.
즉 일정시간 동기코드를 전송한후 동일 데이타를 교환기 본체(10)와 서브세트(20)간에 송수한 래치를 통해 소정회수 송수신하여 이중에서 소정 갯수이상 같은 데이타가 있을때 올바른 데이타로 판정하여 처리하고 상기 소정 갯수이상 같은 데이타가 없을때는 데이타 프로세싱부에서 에러 데이타로 처리하여 적절히 에러를 복구하도록 한다.
상기 하드웨어 구성은 널리 공지된 블럭 구성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의 구체 회로도로써 교환기 본체(10)는 통화시간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제어하에 실시간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얼타임 클럭발생기(12)와,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동기 코드를 보내고 일정시간후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며 에러를 판정하는 제 1 중앙처리장치(11)와, 상기 제 1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처리되는 동기 데이타 및 수신 데이타 및 수신된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램(13)과, 상기 제1중앙처리장치(11)가 상기 리얼타임클럭 발생기(12)의 발생클럭에 따라 동기코드를 전송하고 동일 데이타를 소정회수 전송하여 에러를 판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롬(14)과, 상기 제 1중앙처리장치(11)로부터 동기 코드 및 송수신 데이타를 래치하는 제 1송수신부(15)로 구성되고, 서브세트(20)은 디지탈 전화기로써 상기 교환기 본체(10)와의 동기 코드 및 송수신 데이타를 래치하고 송수신시 신호와 데이타를 분리 및 혼합하며 상기 분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송수신부(21)와, 서브세트(20)의 전 부분은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2송수신부(21)의 수신신호를 받아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며 교환기 본체(10)와의 신호에 따른 동기 코드를 체크하여 에러검출과 그에 따른 모든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고 교환기 본체(10)로부터 신호 송신시 제어하는 제2중앙처리장치(28)와, 상기 제2중앙처리장치(28)로 사용자 사용목적 모드 및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32)와, 상기 제2중앙처리장치(28)에서 처리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0)와, 상기 제2송수신부(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필터링되며 음성신호를 송수화기(24), 스피커폰(25), 스피커(27)를 통해 선택하여 통화되도록 하고 톤링거(26) 신호를 받도록 제어하는 음성제어스위치부(23)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3a)는 교환기 본체(10)에서의 흐름도이고, (3b)는 서브세트(20)에서의 흐름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 2,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시스템 전원을 온하면 시스템프로그램 및 에러체크 프로그램이 롬(14)로부터 램(13)으로 전송되고 리얼타임클럭 발생기(12)의 소정 발생신호가 제 1중앙처리장치(11)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얼타임 발생기(12)의 발생신호가 10ms일때 처음 10ms에서 동기신호를 송출하고 다음 10ms에서 송수신 데이타를 처리한다. 즉 처음 10ms에서 tm0을, 다음 10ms에서 tm1를 순차적으로 제 3 도(3a) 과정에서 제 1중앙처리장치(11)시 체크하여 동기코드와 송수신 데이타를 총 20ms내에서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3a)과정에서 tm0일때 (3b)과정에서 교환기 본체(10)의 전송 래치에 동기 코드를 기입하고, tm1일때 (3c)과정에서 제 1중앙처리장치(11)가 교환기 본체(10)로부터 서브세트(20)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는가를 체크한다.
상기 (3c)과정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있을시 (3d)과정에서 제 1송수신부(15)의 송신용 전송래치에 전송할 데이타를 기입하고 상기 (3c)과정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없을시 서브세트(20)로부터 수신데이타가 있으므로 상기 리얼타임클럭 발생기(12)의 발생주기를 소정 나누어 나누어진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 2송수신부(21)의 전송 래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받는다. 즉, 리얼타임클럭 발생기(12)의 출력인 10ms를 n타이밍(tpn)으로 나누어(3e)-(3k)과정에서 타임에 따라 데이타를 수신하는데 (3e)과정에서 tp1타이밍일때 (3f)과정에서 서브세트(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제1송수신부(15)의 수신래치에 저장하고, 상기 (3e)과정에서 tp1가 아닐시 (3g)과정에서 타이밍이 tp2인가를 체크하여 tp2일때 수신데이타를 (3h)과정에서 제1송수신부(15)의 수신 래치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3k)과정까지 P회 동일 데이타로 반복하여 모두 저장을 완료했을시 (3e)과정에서부터 (3k)과정까지 수신한 데이타를 (31)과정에서 비교한후 (3m)과정에서 연속하여 P회 같은 데이타가 입력되었는가를 제1중앙처리장치(11)에서 체크하여 같을때 수신데이타를 처리하여 교환기 본체(10)에서 정확한 데이타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상기 (3m)과정에서 연속하여 P회까지 같지 않을때 (3o)과정에서 에러로 검출하여 데이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한편 디지탈 전화기인 교환기 서브세트(20)에서는 동기 발생이 필요없으므로 주기적인 폴링방식으로 교환기 본체(10)로부터 동기코드가 오는지만 체크하여 만약 동기코드가 오지 않으면 폴링을 계속한다. 따라서(4n)과정에서 제2송수신부(21)의 수신래치를 읽어 (4c)과정에서 교환기 본체(10)로부터 온 동기 코드 유무를 제 2중앙처리장치(28)에서 체크한다. 상기 (4c)과정에서 동기 코드가 있을때 (4e)과정에서 교환기 본체(10)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는가를 제2중앙처리장치(28)에서 체크한다.
상기 (4e)과정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있을때 (4f)과정에서 제 2송수신부(21)의 전송래치회로에 전송데이타를 기입하고 (4g)과정에서 동기 플랙을 세트한다. 상기 (4e)과정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없을때도 일단 (4c)과정의 동기코드를 (4g)과정에서 세트하면 상기 (4a)과정에 수신 데이타를 다시 읽어내어도 (4c)과정에서는 동기코드는 읽혀지지 못하므로 (4d)과정에서 상기 (4g)과정에서 수행한 동기 플랙 세팅여부를 제 2중앙처리장치(28)에서 체크한다. 상기 (4d)과정에서 동기 플랙이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4b)과정에서 에러를 처리하며, 동기 플랙이 세팅되어 있을때 (4h)과정에서 tQ1타이밍을 제 2중앙처리장치(28)에서 체크하여 맞는 타이밍일때 제 2송수신부(21)의 수신용 메모리에 데이타를 저장하며, 상기 (4h)과정에서 tQ1타이밍이 아닐때 tQ2타이밍인가를 체크하여 tQ2타이밍일때 (4k)과정에서 수신래치에 데이타를 저장한다. 상기 tQ1과 tQ2와 같은 타이밍을 n회까지 반복하여 (4n)과정에서 수행한후 상기 (4h)∼(4n)까지 수신 저장한 데이타를 (4o)에서 비교하여 (4p)과정에서 연속하여 Q회 이상 같은 동일 데이타인가를 체크한다.
상기 (4p)과정에서 Q회 이상 같은 데이타가 없을 경우 (4r)과정에서 에러로 처리하고, 같은 데이타가 있을 경우 올바른 데이타로 판정되어 (4g)과정에서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드웨어 수정 및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교환기 본체와 서브세트와의 타이밍 맞추기 위해 동기 코드를 송출하고 임의의 주기적인 시간으로 동일 데이타를 소정 횟수 송수신하여 같을때 정확한 데이타로 판정하므로 데이타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고 하드웨어의 단순화로 원가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교환기 본체(10)와 서브세트(20)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본체(10)의 소정 주기로 발생되는 타이밍에서 동기 타이밍과 데이타 송수신 타이밍을 검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동기 타이밍시 교환기 본체(10) 전송부에 동기 코드를 기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데이타 송수신 타이밍시 전송 데이타 유무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교환기 본체(10)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있을시 전송 래치에 데이타를 기입하고 전송할 데이타가 없을시 상기 제1단계의 동기 타이밍을 n개로 나누어 나누어진 n개의 타이밍에 따라 각각 체크하여 서브세트(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n번을 교환기 본체(10)의 수신용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저장한 n개의 데이타를 비교하여 연속 P회 같은 데이타였나를 체크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서 연속 P회 같은 데이타가 아닐때 에러 처리하고 같을때 정확한 데이타로 판정하여 처리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교환기 본체(10)의 전송부에 래치된 상기 서브세트(20)의 수신래치에서 읽어내는 제 7단계와, 상기 제 7단계로부터 읽어낸 데이타에서 교환기 본체(10)로 부터 송출된 동기 고드 유무를 체크하는 제 8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동기 코드가 있을시 서브세트(20)에서 교환기 본체(10)로 전송할 데이타의 유무를 체크하여 있으면 전송래치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동기 플랙을 세팅하고 상기 제7단계로 궤환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8단계에서 동기 코드가 없을시 동기 플랙이 세팅되었냐를 체크하여 세팅되지 않았을때 에러 처리하는 제 10단계와, 상기 제 10단계에서 동기 플랙이 세팅되었을시 상기 제 4과정에서 나눈 n타이밍으로 데이타 수신타이밍을 N회 체크하여 N회 저장하는 제 11단계와, 상기 제 11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타를 비교하여 연속하여 Q회 이상 같은 데이타가 수신했는가를 체크하는 제 12단계와, 상기 제 12단계에서 Q회 이상 같은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았을때 에러처리하며 수신되었을때 정확한 데이타로 처리하는 제 1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교환기가 서브세트간의 전송데이타와 에러 검출방법.
KR1019870012028A 1987-10-29 1987-10-29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KR90000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028A KR900003662B1 (ko) 1987-10-29 1987-10-29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028A KR900003662B1 (ko) 1987-10-29 1987-10-29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19A KR890007519A (ko) 1989-06-20
KR900003662B1 true KR900003662B1 (ko) 1990-05-28

Family

ID=1926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028A KR900003662B1 (ko) 1987-10-29 1987-10-29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6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19A (ko) 198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179A (en) Transmission of voice-frequency signals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KR900003662B1 (ko) 교환기와 서브 세트간의 전송데이타 에러 검출방법
JP2659558B2 (ja) 選択無線呼出方式
CN1104108C (zh) 便携终端设备
JPS62141875A (ja) 復号誤り伝播防止方式
JPS5829243A (ja) 伝送システムの信号監視装置
US5881052A (en) Line signal analyzing method for use in a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JPH0773380B2 (ja) 選択呼出通信方式
JPH0234043A (ja) 選択無線呼出方式
JPH04336788A (ja) Dtmf信号受信装置
JPH06284121A (ja) 同期ワード検出方式
KR100230240B1 (ko) 복합 무선호출 장치 및 그 장치의 무선호출 신호처리 방법
JP2923992B2 (ja) デマンドアサイン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チャネル制御方式
JP2690343B2 (ja) 無線呼出方式
JPH01175341A (ja) パケット信号伝送方式
JPH10294772A (ja) Atコマンド受信方式
JPH0637738A (ja) データ伝送誤り制御方式
JP2775889B2 (ja) インターカム付電話装置および電話機
CN116915367A (zh) 数据检测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SU8327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делени сигналовАдРЕСНОгО ВызОВА
JPH0918454A (ja) データ信号の誤り訂正方法
JPH0823301A (ja) 誤同期防止方式
JPS5989053A (ja) 同期・誤り検出装置
JPH0560698B2 (ko)
KR970031511A (ko) 무인중계장치의 통신 포트 접속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