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97B1 -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 Google Patents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97B1
KR900002497B1 KR1019870009645A KR870009645A KR900002497B1 KR 900002497 B1 KR900002497 B1 KR 900002497B1 KR 1019870009645 A KR1019870009645 A KR 1019870009645A KR 870009645 A KR870009645 A KR 870009645A KR 900002497 B1 KR900002497 B1 KR 90000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washing
fabr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306A (ko
Inventor
요시가즈 산도오
히로시 이시도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Publication of KR88000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44Fibrous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직물세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 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물 2 : 세정조
3 : 가이드 로울 4 : 세정액
5 : 오우버 플로우구 6 : 백수구
7 : 오염도 검지센서 8 : 배수관
9 : 파이프 10 : 순환펌프
11 : 규준액 도통관 12 : 액공급관
13 : 오우버플로우관 14 : 발광체
15 : 수광체 16 : 제어회로
17 : 전자밸브 18 : 배수밸브
19 : 나사
본 발명은, 예를들면 직물의 연속세정처리시에 있어서 사용되는 세정조내 세정액의 오염도를 자동적으로 검출함과 동시에 그 세정액의 오염도가 높아지게되는 때에는, 세정액속에 청수를 추가하여 세정조내 세정액에 의한 직물의 세정효과를 높일수 있도록된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의 오염도 검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공업생산하는 장척직물을, 예를들면 사전처리, 염색처리등의 처리를 행한 후는, 이러한 처리에 이어서, 상기 직물을 세정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장척직물을 유효하게 세정하기위한 각족의 세정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세정장치를 대별하면, 세정액을 만수시킨 세정조내에 직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킨 침적형의 것과, 연속적으로 이송된 직물에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부착하는 수류형의 것으로 구분되지만, 전자의 침적형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직물의 세정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세정수가 오염되고, 세정효과가 차제에 저하되어가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또 후자의 수류형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청수를 직물로 향해서 항상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청수가 소비되어, 수자원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이 문제에 비추어, 세정해야 할 직물을 세정수내에 침적통과시킨 세정조내의 세정수의 오염도를 투광 혹은 수광에 의한 센서를 사용해서 오염수의 투과광량으로 검출하고, 이 세정수의 오염도가 소정의 설정치이상으로 높아질 때, 그 세정수내에 청수를 첨가하여 직물의 세정효과를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절약을 달성할수 있도록된 직물의 연속세정장치를 먼저 개발하고 있지만, 특히 염색직물의 세정시에 있어서는, 다종다색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그 오염수의 색 또는 오염농도에 따라서는, 투과광에 의한 오염도의 검지가 정확하게 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세정장치에서의 향상된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점인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는 발명의 세정조에 수직으로 있지 않은 배수관과, 배수관에 평행하게 접하여 보색액을 유통하는 규준액도통관으로 이루어지고, 양 관은 투광재로 만들어지고, 한쌍의 투광체와 수광체는 규준액도통관의 대향면위에 각각 놓인다. 이러한 센서의 적용에 있어, 오염된 세정수의 색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조차 세정수의 오염도는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검출되어, 직물의 세정이 우수하고 일정하게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세정장치의 예를 참고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세정해야할 장척직물이고, (2)는 그 직물(1)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세정액(4)이 담겨있는 세정조이고, (3)은 세정조(2)를 통하여 직물(1)을 사행상으로 가이드 이송하기 위하여 지그재그로 아래위로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로울이다. 또 세정조(2)에는 오우버플로우구(5)와, 이 오우버플로우구(5)보다 하방으로 배설된 배수구(6)가 설치되어있고, 이 배수구(6)에는, 본 실시예의 요지인 오염도검지센선(7)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센서(7)는, 상기 배수구(6)에 직립한 상태로 접속되고, 더구나 투명재료로서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배수관(8)과, 이 배수관(8)에 평행하게 접속되고, 역시 투명 재료로서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규준보색액도통관(11)으로 이루어진다. (9)는 배수관(8)과 세정조(2)를 연결하는 배수파이프이고, (10)은 세정수가 세정조(2)와 배수관(8)을 통하여 순환하는 순환펌프이다. 규준액도통관(11)은 액공급관(12)과 오우버플로우관(13)에 끼워져 있다. (14) 및 (15)는 세정수의 오염도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배수관(8) 및 규준액도통관(11)을 끼움에 의해서 그 좌우양측에 대설되 발광체 혹은 수광체여서, 그 발광체(14)는, 조명등 등이고, 수광체(15)는 수광작용에 따라서 전기적 출력을 내는 예를들면 수광소자, 태양전지, 저항가변소자등이 사용된다. (16)은 제어회로여서, 이 제어회로(16)는 수광체(15)에서의 신호를 기초로해서, 세정조(2)내로 청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기위한 전자밸브(17)을 개폐할수있도록 되어있다.
(18)은 배수밸브이고, (19)는 배수관(8)과 규준액도통관(11)을 각각 일괄하여 설비하기 위하여 설치한 나사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구조이지만,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진술하면, 세정조(2)내에 세정수(4)를 넣은 후, 직물(1)을 이 세정수(4)내에 침적하여서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직물(1)의 세정을 행하지만, 이 직물의 세정이 진행됨에 의하여, 그 세정조(2)내의 세정수는 차제에 오염되어가고, 이 오염된 세정수는, 순환펌프(10)에 이해 세정조(2)와 배수관을 통하여 순환된다. 또 이때, 발광체(14)는 제어회로(16)에서의 입력으로 발광하고, 이 광이 투명한 배수관(8)을 통해서 투과하여 수광체(15)로 투광된다. 이 수광체(15)의 수광량으로 배수관(8)내의 세정수의 오염도가 검출되는 것이지만, 이 세정수의 오염색을 예를들면 황색인 경우에는, 그러한 세정수를 통하여 투과된 광에 의한 오염도의 검지가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피세정직물에 따라서 생기는 세정수의 오염색 및 오염도가 광에 의해 검지가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염수의 검지를 위하여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색의 규준보액을 선택해서 규준액도통관(11)내로 충진한다. 그 결과, 그러한 세정수의 탁함의 정도가 명확하게 측정되어서, 세정조(2)에서의 세정수의 오염도는 정확하게 검지된다.
수광체(15)에 의해 받은 수광량이 모자라는 것이 제어회로(16)에 의해 검지되는 경우, 세정조(2)에서의 세정수의 오염도를 제어하는 오우버플로우구(5)를 통하여 세정수의 초과를 배출하는 동안 전자밸브(17)는 자동적으로 세정조(2)로 청수를 공급하도록 열린다. 이러한 청수공급에 따라서 세정조(2)에서의 세정수가 맑아지는 경우, 수광체(15)에 의해 받은 광량이 증가되고, 수광체(15)에서의 광의 하이레벨 출력때문에, 제어회로(16)는 전자밸브(17)를 닫도록 자동적으로 신호를 나타내어서, 세정조(2)로 청수의 공급을 중단한다. 직물세정에서의 세정수의 오염도를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작동은 청수를 공급하고 중단하는 반복에 의해 계속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오염된 세정수의 색이 광학적으로 거의 검출하기 어려운 경우조차, 검지감도는 세정수의 오염도 검지를 위한 적당한 보색액이 채워져있는 규준액의 사용으로 높인다. 따라서, 세정수의 오염도는 항상 정확하게 검출되고, 본 발명의 목적이 기술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얻어진다.

Claims (1)

  1. 직물을 세정해야 할 세정액을 넣은 세정액조내의 세정오염도를 발광체와 수광체에 의한 센서에 따라서 검출하고, 이 센서에서의 오염도검출 출력에서 상기 세정액조내로 청액을 추가공급하여, 상기 세정액조내의 세정액을 소망의 맑은 액으로 자동조정할수 있도록된 세정장치의 세정액오염도 검지센서에 있어서, 규준보색액을 유통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체와 상기 수광체사이에 놓인 규준액도통관과, 상기 규준액도통관에 접하고, 상기 세정조에 평행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고, 양 관은 투광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KR1019870009645A 1986-09-02 1987-09-01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KR900002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260 1986-09-02
JP61206260A JPS6366369A (ja) 1986-09-02 1986-09-02 布帛洗浄装置における洗浄液汚染度検知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306A KR880004306A (ko) 1988-06-07
KR900002497B1 true KR900002497B1 (ko) 1990-04-16

Family

ID=1652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645A KR900002497B1 (ko) 1986-09-02 1987-09-01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66369A (ko)
KR (1) KR900002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4523A (ja) * 1988-09-20 1990-03-26 Wakayama Tekko Kk 布帛洗浄水汚染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布帛洗浄水汚染検出装置
CN107764821A (zh) * 2016-08-18 2018-03-06 厦门市康保无尘科技有限公司 一种无尘布洁净度的快速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466A (en) * 1974-07-12 1976-01-26 Sanshin Jitsugyo Kk Ryutainyoru irooyobi kooryochoseisochi
DE2515499C3 (de) * 1975-04-09 1978-11-02 Original Hanau Quarzlampen Gmbh, 6450 Hanau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Aufziehens von mindestens einer in einer Färbeflotte enthaltenen Farbkqmponenten auf Textilgut o.dgl
JPS60110965A (ja) * 1983-11-21 1985-06-17 株式会社山東鉄工所 布帛洗浄液槽における洗浄液汚染度の自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161299U (ja) * 1984-04-03 1985-10-26 増田 忠昭 液体カ−テ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58388B2 (ko) 1990-12-07
JPS6366369A (ja) 1988-03-25
KR880004306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4557A (ko) 자동 세탁기와 자동 세탁기용 유체 재순환 시스템
ATE47437T1 (de) Vorrichtung zum ueberwachen und steuern einer waschmaschine.
EP0182364A3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900002497B1 (ko) 직물세정장치에서의 세정액 오염도 검지센서
US5259219A (en) Sensor holder for a machine for cleansing articles
KR870001254B1 (ko) 직물세정액 조(槽)에 있어서의 세정액 오염도의 자동제어방법 및 그 장치
DE3365605D1 (en) Liquids metering and distribut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JPH0426473Y2 (ko)
US345107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wet treatment of lengths of textile materials and the like
CN211498128U (zh) 一种服装生产用布料染色装置
DE19858386A1 (de) Transmissionsmeßvorrichtung
JPH0426472Y2 (ko)
JPS62215065A (ja) 供給水量自動調節装置
JPH0338878B2 (ko)
JPH0426471Y2 (ko)
CN216695790U (zh) 消泡器、水中油检测预处理系统和水中油检测系统
CN220789119U (zh) 一种具有节水效果的水洗机
KR0132863Y1 (ko) 세탁기의 탁도감지장치
JP3646392B2 (ja) 電気メッキラインの熱交換用熱媒再利用方法及び装置
CN110467311A (zh) 一种毛纺织印染废水处理装置
KR940003824B1 (ko) 세탁기의 급 · 배수 교반장치 및 제어방법
KR920012620A (ko) 퍼지(fuzzy) 추론을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4216755A (zh) 消泡器、水中油检测预处理系统和水中油检测系统
KR910000812B1 (ko) 연속포백세정액조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청정도검지 및 제어장치
KR100226817B1 (ko) 탈염소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