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70B1 -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70B1
KR900001770B1 KR1019850001546A KR850001546A KR900001770B1 KR 900001770 B1 KR900001770 B1 KR 900001770B1 KR 1019850001546 A KR1019850001546 A KR 1019850001546A KR 850001546 A KR850001546 A KR 850001546A KR 900001770 B1 KR900001770 B1 KR 900001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ick
pickup means
substrate
vacuum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440A (ko
Inventor
요한 스콜텐 게라트르
야코부스 게라르두스 보르스켄스 테오도루스
페르디난트 비덱 마티이스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 리켄
에이취 .제이.엘.하젤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 리켄, 에이취 .제이.엘.하젤제트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 리켄
Priority to KR101985000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770B1/ko
Publication of KR86000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진공 픽업 수단에의 소자 유무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검출장치의 선도
제1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픽업수단의 부분도
제2도는 기판상에 전기 및 전자 부품을 장착시키는 장치의 선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로서 제4도의 - 선으로 절취된 이동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 선으로 절취된 이동 장치의 횡단면도
제5도는 장착 위치에 놓여있으며 제6도의 Ⅴ-Ⅴ 선으로 절취한 이동장치의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 선으로 절취된 이동장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운반기 1 : 기판
9 : 테프 13 : 홀더
23 : 프레임 29 : 이동암
31 : 운반대 43 : 롤러
33 : 캠디스크 49 : 볼베어링
51 : 슬라이더블럭 53 : 픽업수단
73 : 스톱장치 80 : 전자기벨브
101 : 검출장치 103 : 소자
105 : 픽업수단 107 : 유연성 있는 튜브
109 : 진공원 111 : 밸브
113 : 압축공기원 119 : 맴돌이실
125 : 마이크로폰 127 : 전자신호 프로세싱 유닛
본 발명은 진공원과 서로 통하고 어떤 물체를 픽업, 운반 및 배치하는 진공픽업수단에서 소자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자는 진공 상태에서 픽업수단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수단에 보유되고,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수단으로부터 떼어지며, 진공원과 통하여 상기 수단상에 소자가 부착될때와 진공원과 통하여 상기 수단상에 소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픽업수단내의 압력차는 테스트 또는 결함신호를 생성시키는데 이용된다.
진공픽업수단으로 소자를 픽업하여 운반하고 배치시키기 위해 소자는 픽업수단에 의해 이끌려져서 픽업되고, 소자를 떼어놓는 순간까지의 모든 운반과정에 걸쳐서 픽업수단에 부착되며, 또한 적절한 위치에 내려져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센서나 검출기, 또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픽업수단의 상태 이동의 광학적 또는 역학적 수단이나, 압력 검출기 또는 유량계에 의한 검출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하는 픽업수단에의 소자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전술된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3,453,714호에 공지되었다. 상기 명세서는 진공차에 반응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간접 검출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간접 검출법에서는 미합중국 명세서 제4,116,348호에 공지되어 있는 압력차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다. 또 다른 간접 검출법에서는 미합중국 명세서 제3,731,867호 공지되어 있는 광전지에 의한 광학기초를 이용한 검출을 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럽 특허 출원 제10,036,826호에서는 광학검출법과 같은 압력 검출기를 이용한 검출법을 발표하였다. 공지된 검출 방법에서는 이동 부재를 이용하고 압력차에 따라 반응한다.
공지된 검출 방법을 개선시킬려는 목적으로 본 발명은 스스로 검출 과정을 가속시키고 검출의 신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테스트 또는 결함신호를 발생시기 위해, 픽업 수단이 진공원과 통하고 픽업수단상에 아무런 소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진공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함으로써 성취되며, 상기 공기흐름은 픽업 수단에 소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나내는 음향신호로 전환된다.
동일한 검출방법으로 차후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면 아주 간단한 방식에 의해 신속한 검출이 행해지며, 잡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의 강도로 신호의 진폭과 공기흐름을 측정할 수 있다. 진공상태가 되면, 최대 공기흐름과 여기서의 최대 음향신호는 픽업수단의 자유단자가 소자에 의해 개방되는 즉 픽업수단상에 아무런 물체가 없는 것으로 받아 들인다. 즉 공기흐름과 여기서의 음향신호는 픽업수단상의 어떤 소자에 의해 픽업수단이 밀폐될때에 최대가 된다. 픽업되고 전송되는 소자는 여러 차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데시미터 크기 정도의 비교적 큰 차원을 갖는 소자에는 여러 픽업수단이 사용된다. 밀리미터크기 정도의 차원을 갖는 더 작은 소자에는 단일 픽업수단이 사용된다.
음향신호는 공기흐름내에 배치되는 적음 또는 잡음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양호한 방법에 의해 음향신호는 공기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난류에 의해 생성된다. 음향신호는 양호하게 증폭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호한 방법에 있어서, 음향신호는 전기, 전자 및 광학 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및 전기 부품 처리 및 조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픽업운반 배치할때에 일부 잇점을 갖는다.
전자 산업에 있어서 증가되는 소형화는 칩형태의 선없는 판형, 블록형 또는 실린더형 소자로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밀리미터 크기 정도의 비교적 작은 차원을 갖는다. 예로써 3.2×1.6×0.8 밀리미터의 표준 차원을 갖는 소자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판상에 이러한 칩형태의 소자를 배치시키려면, 소자는 선정된 위채내에 놓여지고, 선정된 패키지로 패킹되며, 또한 기판의 트랙면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운반 부재에 의해 픽업된다. 소자는 기판 및 소자에 가해지는 땜납 액체 또는 아교와 같은 고정물에 의해 어떤 위치내에 지지된다. 결국 적절한 과정에서 소자는 어떤 위치내에 납땜된다.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같은 짧은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소자는 동일한 방식에 의해 기판에 운반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자의 작은 차원과 기판상의 밀집 트랙 패턴과 기판상에서 요구되는 소자의 정확한 위치를 고려한 이러한 소자는 연결 도선을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소자를 조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과 같은 순수한 역학 그래핑 수단에 의해 더 이상 운반 이동 배치되지 않는다. 칩형태의 소자를 다루는데 있어서 진공원과 연결되어 있는 진공픽업수단이 이용되며 선정된 패키지나 기타 등등으로부터 픽업위치에서 소자를 픽업하여, 상기 수단에 밑착된 소자를 픽업수단으로 기판상의 장착 위치까지 이동하여 소자를 기판상에 배치돈 후 상기 소자는 기판 및 소자에 가해지는 아교 또는 땜납물등의 고정물에 의해 기판상에 고정된다. 대기상태가 되면 픽업수단이 또 다시 픽업위치로 되돌아와서 새로운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판상에 전기 및 전자부품을 배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아주 편리하게 사용되며, 진공 픽업수단에 의해 각 부품은 픽업 위치에서 기판상의 배치 위치까지 운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픽업 위치에서 각 소자를 픽업하여 기판상에 소자의 배치를 점검하는 특징을 갖는다.
비교적 많은 소자, 예를 들어, 10개정도의 소자를 동일한 기판상에 배치시키고자 할 때, 소자의 픽업, 운반 및 배치를 아주 정확히 행해야만 한다. 하나의 소자가 픽업되지 않아서 기판상에 실제로 소자를 내려 놓을 수가 없게 된다면, 장착 과정이 수반되어야 할 뿐 아니라, 받아들여질 수 없는 일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장착과정을 정확하게 실지코져 할때 받아들여질 수 없는 불확실성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와 불확실성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 검출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여기서 “기판”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소자를 수용되는 구멍, 챔버 또는 삭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테이프형 패캐지 스트립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소자를 패킹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각 구멍, 챔버 또는 삭제부에 소자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기판상에 배치하기 바로전에 소자의 존재여부를 점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픽업위치에서 배치 위치까지 운반하는 동안 픽업수단에 부품이 부착되어 있는지 아니면 떨어졌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파 탐지 방법은 픽업위치에서 배치위치까지 운반하는 동안 중간 위치에서 각 부품이 일시적으로 멈춰지는 장착 과정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중간 위치에서 부품에는 고정물이 가해진다. 또한 중간 위치에서 부품의 존재 여부는 본 발명에 의한 음파 탐지 방법에 의해서 점검된다.
전술된 장착 방법에 의해 소자가 제공된 기판에는 배치에러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에러는 선정된 방식에 의해 소자가 제공되지 않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진공원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진공 픽업수단과 진공픽업수단과 진공원간의 유통을 막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진공 픽업수단과 진공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음향 발생기가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장치는 차후에 음파 검출기처럼 명명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음향 발생기는 적음을 생성토록 간단하게 구성진다. 그러나 양호한 실예에서 음향 발생기는 맴돌이실로서 구성된다. 맴돌이실에서는 진공에 의해 일어나는 공기 흐름의 난류가 생기며, 상기 난류는 음향 및 잡음에 의해 수반된다. 상기 실시에서는 압축에 의해 압력차를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면 이러한 단일 음향 또는 잡음 발생기는 이동부를 포함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가 흐르는 압축되지 않은 공기흐름을 위해 넓은 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압축에 의한 정지가 일어날 위험률이 매우 낮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양호한 실시에에서 맴돌이실에 마이크로폰을 배치함으로써, 난류 공기흐름에서 생기는 음향은 전자신호를 간단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전자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역학적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예스”및 “노”신호로 바꾸고 프로세스 하기위해, 상기 유닛은, 예를 들어, 고대역 필터와 증폭기와 임계치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난류 공기흐름에 의해 발생되지 않는 외부 음향신호는 증폭 및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음향 신호에 대해 예를 들자면 약 10.000H2정도까지의 주파수 영역내의 음성 및 음악 음향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음향신호는 고대역 필터에 의해 필터된다. 임계 조절장치에 의한 임계치 조절은 신호의 최소 조절치에 의해 음파 탐지기가 작동할때까지 조절된다. 진공 픽업 수단상에 소자가 부착되어 있으면, 음향은 최소치를 갖는다. 상기 수단상에 소자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음향은 최대치를 갖는다. 그러나 소자표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소자와 진공 픽업 수단 사이에는 항상 어떤 결여가 생긴다. 이러한 사실은 임계치에 의해 고려된다.
출원자명의로 특허출원서에 제안된 창지에 결합되어 있는 전술된 음파 탐지기의 장점으로부터 최대한 장점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 장점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기판상에 다수의 전자 및 전기부품을 배치시킬 뿐 아니라, 프레임, 구동 기구, 기판 운반기, 및 다수의 진공 픽업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변환기계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바와같이 장치 밖에 다수의 진공 픽업수단을 배치하는 것으로 특정지워지며, 또한 단일 또는 공통 밸브를 통해 공통 진공원과 유통하도록 배치된다. 음파 탐지기는 단순화와 높은 신뢰성을 가지므로 다목적으로 아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파 탐지기의 가격이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장치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소자 고정물을 적용시키는 기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며, 상기 기계는 적용기가 고정물을 받아들이는 정지 위치와 부품 하면과 접촉하는 작동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적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어떤 상황에서 소자를 운반하지 않는 픽업수단은 음파 탐지기에 의해 적용기들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관련한 진공 픽업수단의 진공관 고정물에 의해 막혀지지 않는다.
검출장치의 방법 및 실시예와 본 발명에 의한 장착장치는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흡입관(106)을 구비하고 있는 진공 픽업 수단(105)에 어떤 소자 (103)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검출장치(101)의 선도를 도시하고 있다.
픽업수단(105)은 유연성 있는 튜브(107)를 통해 진공원(109)에 연결된다. 픽업수단(195)은 밸브(111)에 의해 진공 원(109)또는 순환 대기 또는 압축 공기원 (113)과 유통할 수 있게 배치된다. 검출 장치(101)는 음파 기저상에서 작동한다. 끝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입구(121) 및 출구(123)를 구비하고 있는 맴돌이실 (119)로 구성되면서 압축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잡음 또는 음향 발생기 (115)를 포함하고 있다. 맴돌이실(119)은 전자 신호 프로세싱 유닛(12)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125), 더욱 양호하게는 전자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닛은, 예로써, 고대역 필터, 증폭기, 정류기, 평활 커패시터 및 임계치조절 장치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의 “예스” 및 “노”신호는 광학, 음향 및 전기신호 형태로 제어장치에 인가된다. 음향 발생기(115)는 탄성 또는 흡입 요소(131)에 의해 고정대(133)위에 장착된다. 음파 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어떤 소자(103)를 픽업, 운반 및 배치하는 진공 픽업수단(105)은 밸브(111)를 통해 진공원(109)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방되어 있는 자유 단부를 통해 픽업수단내로 삽입된 순환공기에 의해 흡입관(106)과 튜브내에는 공기흐름이 생기게 된다.
픽업수단(105)의 자유단부를 픽업되는 소자(103) 가까이 가져가면, 상기 소자는 공기 흐름에 의해 픽업수단의 자유단부로 올라 붙어서 상기 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차에 의해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부착된다. 선정된 위치에 소자를 내려 놓기 위해 진공원(109)과 픽업수단(105)과를 차폐하고 밸브를 통해 흡입관(106)내로 공기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소자를 픽업수단으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필요시, 픽업수단(105)은 소자(103)가 아주 양호한 방법으로 픽업수단(10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압축 공기원(11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는 아주 가벼운 불체를 다루고져 할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흡입관(106)을 구비하지 않고 진공원(109) 연결되어 있는 픽업수단(195)이 소자에 의해 밀폐되는 상태는 음향 또는 잡음발생기(115)에 의해 탐지되고 신호화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관(106)과 튜브(107)내의 공기흐름은 출구 (123)와 입구(121)간의 공기흐름의 급격한 방향 전환에 의해 맴돌이실(119)내에서 소용돌이 치게 된다. 이러한 공기난류는 음향 또는 잡음 신호를 일으키며, 이러한 신호들은 마이크로폰(125)에 받아 들여져서 전자, 음성, 광학 등의 신호로 전환되어 전자 신호 프로세싱 유닛(127)에 의해 증폭된다. 유닛(127)의 필터는 대략 10,000Hz까지의 가청 주파수 영역 밖의 음파 전송을 방해한다. 이러한 음파는 필터에 의해 여파된다. 마이크로폰에 의해 받아들여진 음성신호는 양 또는 부 표시를 형성하도록 처리된다. 즉, 픽업수단의 단부상의 소자 유무는 광학, 음성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신호화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일 소자를 적절히 픽업하는 단일 픽업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음파 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큰소자르르 픽업, 운반 및 배치할려면 다수의 진공 픽업수단이 되는데, 상기의 각 진공 픽업수단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 탐지장치를 포함할 뿐 아니라 여러 수단을 함께 작동할 수도 있다.
진공 픽업수단(105)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순한 흡입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일한 장점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튜브내에서 미끄러지는 흡입관을 구비한 진공 픽업수단을 들 수 있다.
파손 및 오염에 대한 신빙성과 낮은 예민성 및 소형화의 견지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음파 탐지장치는, 제2도에서 6도까지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판상에 전기 및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장착하는 장치에서 아주 양호하게 사용된다.
제2도에서는 종래 소자(3)의 밑면에 이미 제공되어 있는 프린트 회로판과 같은 기판(1)을 도시하고, 밑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도선은 기판내의 구멍에 삽입된다. 매우 작고 돌출해 있는 도선을 갖고 있지 않은 다수의 소자(103)은 기판의 상면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칩형태의 소자는 밀리미터 정도의 차원을 가지며, 이러한 소자는 서로간에 아주 좁은 간격으로 기판상에 아주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소자의 일반적인 차원은 3.3×1.6× 0.8mm이다. 기판(1)은 배치 요소(8)을 구비하고 있는 기판 운반기(7)에 의해 지지된다. 배치될 부품(103)은 금속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테프(9)내에 패키지 되며 또한 하부 포일로 덮혀 있는 밑면과 덮개 코일로 덮혀 있는 상면을 구비하고 있는 테츠 내의 개구에 늘쓴하게 배치된다.
많은 테프가 홀더(13)내의 회전가능한 릴(11)에 감긴다. 홀더(13)내에 있는 릴의 총수는 필요에 따라 다르다. 홀더(13)내에 두 레벨로 배열된 32개의 릴이 보통이다. 테프(9)는 릴(11)에서부터 테프를 주어진 픽업위치(P)에 감기 위한 장치(15) (설명되지는 않았지만)까지 연장된다. 장치(15)는 앞서 출원된 응용의 기초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각 사이클동안에 32개 소자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소자(103)은 테프(9)로 부터 제거되어 이동장치(21)에 의해 기판(1)에 이동된다. 장치(15)는 테프(9)가 같이 또는 개별적으로 픽업위치(P)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동장치 (21)는 프레임(23), 이동장치(25), 드라이브장치(27)와, 상기 한 기판캐리어(7)를 주로 구비한다. 이소자는 베어스(28)위에 놓인다.
제3도와 6도에서 참고로 설명된 이동장치(25)는 본 실시예에서 주로 동기 전달되는 32개 성분과 같은 다수의 이동암(29)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이동암(29)는 진공픽업수단(105)를 구비한다. 이동암(29)은 프레임(23)내의 상호방향으로 그 자체를 움질일 수 있는 단일이며 공통인 운반대(31)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운반대는, 제2도에 나타나 있으며, 모터(기재되지 않았지만)와 홀더(37)의 형태로 캠종동부를 구비하는 캠 디스크(33)와 클레버(35)를 구비하는 드라이브장치(27)에 의해 유도된다. 프레임(23)은, 제4도에서 제시한 바와같이 두개의 외벽(41)로 구성되어 있다. 운반대(31)는 구형단면인 관형태이다. 역율에 있어서, 운반대는 운반대 양측에 장치된 롤러(43)에 의해 유도되는데, 롤더(43)는 운반대 양측에 배치되며, 외벽의 내측에 장치되는 2개의 레일(45)를 따라 움직이며, 캐리어(7)위의 프레임(23)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다. 운반대(31)는 외벽(41)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운반대의 위쪽과 아래쪽 벽의 내부측면에는 병렬홈(47)로 공급되며, 본 실시예의 각 벽에는 32개의 홈이 있다. 홈(47)은, 볼 베어링(49)과 슬라이더블럭(51)과 협동하여, 슬라이더 방법으로 대응하는 수의 이동암(29)을 유도하는 데에 서브한다. 각 전달암의 상축과 하측으로 된 볼베어링(49)은 후부단말에서 이동암을 회전시키지 않고 지지한다. 이 지지는 이동암의 수직 위치가 유지되게 한다. 슬라이더 블럭(51)이 균형이 잘 잡혀서 약간의 플레이가 이동암(29)와 운반대(31)의 안쪽운반대(31) 사이에 있으며, 이동암은 볼베어링(49)에 의해 지정된 수직축에 대하여 이 플레이내에서 선회한다. 프레임(2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있는 각 이동암(29)는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흡입튜브로 구비되는 형식인 진공 픽업수단(105)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관(53)은 피스톤(55)에 의하여 수직방향(제3도 참조)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각 이동암(29)은, 결합된 가요성관(59)과 결합된 전자기 밸브(60)를 거쳐 압축공기원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픽업 수단(105)내의 피스톤(55) 위의 공간을 연결하는, 압축공기 덕트(57)를 구비한다. 전자기 밸브(60)는 흡입관(53)이 단독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암(29)에는 각각의 흡입관(53)을 연결하며 가요성관(107)을 통해 제1도에서 참고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진공원 (109)에 연결되는 진공덕트(61)가 공급된다. 각 진공덕트(61)는 음향 검출장치 (101)와 공동 압축공기실(135)을 통해 진공원(109)에 연결되며, 또한 압축공기원 (113)에 연결될 수 있다. 기준번호(111)는 제1도에서 참고로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밸브를 표시한다. 흡입관(52)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핑(65)에 의해 각각 중간위치에 유지되며, 그때 각각의 이동암(9)은 픽업위치에 있으며 픽업위치에 있는 소자(103)를 픽업한다. 이 위치에서, 각 픽업수단(105)의 위쪽 단부에 있는 돌기(67)는 리세스(7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고정된 접합을 서브하는 접합봉(69)에 대하여 걸린다. 기준번호(71)는 프러그램 플레이트를 표시하는데, 프로그램 플레이트는 프레임(3)위에 장치되며, 제5도에서는 도시한 위치에 있는 이동암(29)을 포착하기 위한 픽업수단(105)위의 돌기(67)에 관계되는 스톱장치(73)를 구비한다.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프로그램 플레이트(71)는 위치를 정하는 핀(77)과 하는 위피를 정하는 홀(hole)(75)에 의해 프레임(23)에 정확하게 장치된다. 프로그램 플레이트(71)는 프레임(23)의 외벽(41)에 장치된 두 개의 신장지지대(78)위에 있다.
기준번호(81)는, 납 유리나 아교와 같은, 고정액이나 접착액을 성분의 하측에 붙이는 장치를 표시한다. 장치(81)는 주로 줄지어 있는 작은 주걱(85)에 장치된 신장암(83)을 구비하며 작은 주걱의 총수는 놓이는 소자의 수와 같다. 작은 주걱(85)를 가지는 암(83)은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받침대 위치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때 작은 주걱(85)은 접착액을 내장한 용기(87)에 담그어지며, 동작위치에 대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은 주걱(85)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는 배치될 성분의 하축에 접촉할 수 있다.
위 장치의 동작 사이클이 이제 구체화한다. 먼저, 32개의 픽업수단(105)를 가지는 전체 32개 이동암(29)은 각각의 픽업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 단부에서, 운반대 (31)는, 드라이브장치(27)에 의해 접합봉(69)쪽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블럭 (51)은 정확하게 정해진 마찰력으로 운반대(31)의 홈(47)내에 미끄러진다. 마찰력은 그래서 운반대(31)가 유도될때 이동암(29)이 그것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동암 (29)의 픽업수단은 돌기(67)가 접합봉(69)과 접촉하자마자, 픽업수단과 관련된 암이 정지되며 암은 운반대가 계속해서 움직이는 동안에는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암의 슬러이더 블럭(51)과 볼베어링(41)은 운반대(31)에서 각각의 홈(47)에 고정되어 있다.
운반대(31)가 픽업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전체 픽업수단(105)의 돌기가 고정된 접합봉(69)과 접촉할 때까지, 이동암(29)은 순방향으로 움직인다. 전달암은 그후에 픽업위치에 모두 정지한다. 돌기(67)와 접합봉(69)에 있는 홈(70)은 아주 구체적으로 균형 잡히고 조정되어서 전달암의 픽업위치에 있는 흡입관(53)의 중심선은 한 라인에 있는 소자의 픽업위치(P)에 걸쳐서 한 라인에 정확히 놓인다.
계속적으로, 흡입관(53)은 스프링(65)의 힘에 대하여 압축된 공기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압축공기는 관 밸브(60)의 동작에 의한 이동암(29)에 있는 관(59)과 압축공기덕트(57)를 통해 공급된다. 그 다음에 픽업위치(P)에 있는 소자(103)는 픽업되며 각각의 진공덕트(61)와 관(107)을 통해, 압축공기실(135)에 연결되는 각각의 흡입관(53)에 의해 유지되며 압축공기실은 밸브(111)를 거쳐 진공원에 연결된다.
픽업수단에 대한 압축공기공급을 중지함에 따라 흡입관(53)은 스프링(65)에 의해 다시 위로 올라오며, 운반대(31)는 그때 드라이브장치(47)에 의해 뒤로 이동하며, 이동암(29)은 운반대를 따르며 픽업수단(105)를 프로그램 플레이트(71)의 엔트리측으로 가져온다. 그때, 전체 픽업수단(105)은 제 1거리(A)를 서로 병렬인 직선을 따라 이동할 것이며 거리(B)는 전체 픽업수단에 대해 같다. 본 출원자 명의로 된 상기한 출원서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같이, 프로그램 플레이트(71)의 엔트리측에는 가요성 유도소자의 선단부로 이끄는 캐쳐(catcher) 소자(도시되지는 않았지만)이 공급된다. 유도소자의 다른 단부는 프로그램 플레이트(171)에 있는 접합블럭에 고착되어 픽업수단 (105)이 소자(103)의 배치, 즉 소자가 기판(1)위에 장치되는 위치에 걸쳐 정확하게 장치하는 위치내의 관련된 스톱장치(73)에 의해 저지되도록 한다.픽업수단 (105)위의 돌기(67)은 스톱장치(73)만큼 멀리 떨어진 유도소자에 의해 유도되며, 여기서 이동암 (29)은 스톱장치(73)을 내장하는 돌기(67)의 맞물기에 의해 저지된다. 그 다음에 픽업장치는 측면이동으로 또는 측면이동 없이 제2거리(B)를 이동한다. 거리(B)는 모든 픽업수단에 대해서도 같을 수 있으며 한 픽업수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체 픽업수단(105)이 관련된 스톱장치(73)에 연결되었을 때, 흡입관(53)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소자(103)은 흡입관내에 연결하므로써 기판(1)위에 배치된다. 그 다음에, 픽업수단(105)내의 피스톤(55)위의 공간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다시 방해되어 흡입관(53)은 스프링(65)에 의해 올려진다. 최종적으로, 운반대(31)는, 전체 픽업수단(105)가 고정된 접합봉(69)에 재접촉될 때까지, 다시 순방향으로 이동된다. 우선, 전체테프(9)는 한 위치 전진하여 소자가 각 픽업위치 (P)에 나타나도록 한다.
픽업수단에 소자가 있는지 없는지와 정확한 픽업과 간편한 전송의 검출 그리고 상기한 동작주기동안에 소자의 정확한 배치는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픽업수단(105)의 흡입관(53)은 소자(103)를 픽업하는 동안과 성분을 전송하는 동안에 그것들이 배치 위치 아래에 놓일때가지 진공언(103)에 전달된다. 제1 “존재” 검출은 소자의 픽업으로 수행한다. 흡입관(53)중의 하나가 소자를 픽업하기 시작하는데, 어떤 소자도 관련된 픽업위치(P)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제1도에서 이미 참고로 상기한 관련된 음향 검출장치(101)에 의해 검출되어 신호로 알린다. 신호처리장치 (12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전체 테프(9)에 대한 드라이브는 빈 위치에 관련되고 한 위치에서 빈 픽업위치(P)내에 있는 소자(103)의 위치까지 전진하는 테이프(9)인 경우를 제외하면, 차단된다. 흡입관(53)이 아직 소자가 없는 픽업수단 (105)은 관련된 밸브(60)를 통해 공기압축적으로 이동되어서 이 흡입관이 아래쪽으로 스트로크를 수행하고 소자를 픽업하도록 하며, 그 사이에 다른 흡입관이 위쪽 위치에 있도록 한다. 소자 픽업한 후에 흡입관은 스프링(65)에 의해 끌어올려지면 주기는 전체 픽업수단과 같이 계속된다. 픽업을 시도하는데 여러번 실패하면, 장치는 검사받기 위해 정지된다.
픽업장치가 기판 각각의 배치 위치에서 걸쳐 위치를 정하는 순간에 유무검출을 하므로써, 픽업위치로 부터 배치위치까지 소자를 이동하는 동안에 한개의 픽업장치로 부터의 소자 손실이 검출될 수 있다. 소자의 부재(absence)는, 신호처리장치(127)을 통해, 전자기 밸브(60)의 자극을 방지하는 연결된 음향 검출장치(101)에 의해 다시 검출되고 신호화된다. 빈 흡입관이 위쪽 위치에 있는 사이에 잔여 흡입관은 소자를 기판에 놓기 위해 더 낮추어진다. 계속적으로, 전체 픽업수단은 위치(P)에 있는 다음 소자가 픽업되는 픽업위치로 돌아온다. 그러나, 그 다음에 전달장치는 소자가 아직 비어있는 배치위치의 기판에만 장치되는 동안 다른 장치주기를 수행하며, 다른 잔여 흡입관은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차단되며 낮추어지지 않는다. 계속적으로전체 픽업장치는 픽업위치로 돌아오는데, 여기서 비어 있는 흡입관만 소자를 픽업하며, 그 후에 명목상 장치주기는 다시 시작된다.
또한 음검출방법은 소자가 기판위의 배치위치에 사실상 있었는지를 검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신호는 전체 검출장치에 의해 공급되며 ; 신호가 특수한 픽업장치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소자가 픽업장치에 의해 기판위에 배치되지 않든지, 흡입관이 막히든지 한다.
특수소자가 어떤 이유로 바라는 방법으로 기판에 놓이지 않는 모든 경우에, 단 한개의 성분이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음 장치주기동안에 장치된다. 소자를 깊나에 고정하기 위해, 점착액을 기판과 소자에 발라서 두개를 서로 접착할 수 있다. 위의 테스트는 점착액이 기판 및 소자에 실제로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있다면 소자는, 픽업장치내의 진공에도 불구하고, 점착액의 점착력에 의해 기판에 고정될 것이다. 장치 주기를 완수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음검출기에 의해 픽업장치에 있는 소자 유무의 표시는 어떠한 점착액도 관련된 소자 및 기판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소자가 기판위에 장치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압축공기실(135)은 소자가 기판위에 놓이는 순간에 압축공기원(113)으로 전환되어, 픽업수단(105)에 있는 진공이 소실되어 또한 흡입관(53)이 정화되도록한다. 그 다음에 소자는 그대로 흡입관으로 부터 분출된다 ; 동시에 흡입관이 정화된다.
상시한 경우에, 소자를 운반하지 않는 흡입관은 각각의 전자기 밸브(60)에 의한 압축공기원으로부터 분리된다. 흡입관(53)을 움직이는 피스톤(55)은 결과적으로 연결된 스프링(65)에 의한 위쪽 위치에 있으며, 기판 위의 점착액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점착액에 의한 흡입관의 오염과 고장을 방지한다. 동일 방법으로 빈흡입관이 스테이션(81)에 있는 작은 주걱(85)위의 점착액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흡입관(53)은 받침대 위치로 이동되며 스프링(65)에 의해 거기에 있게 된다. 명확하게, 압축공기 장치는 이 목적으로 대신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진공원(109)과 상통하며 진공 상태에서는 소자(103)를 픽업, 운반 및 배치하며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소자(103)를 이탈시키는 진공 픽업수단(105)과, 상기 수단이 존재할때와 상기 수단이 진공원(109)과 상통하고 상기 수단(105)상에 소자(103)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얻어지는 상기 픽업 수단(105)내의 압력차로서 생성되는 테스트 또는 결함 신호를 포함하는 진공 픽업수단내의 소자 유무를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105)이 진공원(109)과 상통하고 픽업수단(105)상에 소자(103)가 존재할 때에 진공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테스트 또는 결함 신호를 생성시키며, 상기 공기 흐름을 진공 픽업수단(105)내의 소자(103) 유무를 알려주는 음향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 수단낸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2. 제 1 항에서 있어서, 공기 유통내에 생긴 교란 운동에 의해 음향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신호가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음향 신호가 전기, 전자 및 광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5. 진공원(109)에 연결되는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 픽업수단(105)과, 진공 픽업수단(105)과 진공원(109)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방지하는데에 실시가능한 밸브(111)를 구비하는 진공 픽업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에 있어서,
    음 발생기(115)가 진공 픽업수단(105)과 진공원(109) 사이의 연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음 발생기(115)가 소용돌이실(119)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25)이 소용돌이실(119)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25)이 전자 신호 처리기(1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수내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진공 픽업수단(105)은 단일 공통밸브(111)를 경유하며 공통 진공원(109)과 상통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픽업수단에의 소자 유무 검출 장치.
KR1019850001546A 1982-04-13 1985-03-12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KR90000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1546A KR900001770B1 (ko) 1982-04-13 1985-03-12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201532 1982-04-13
KR1019850001546A KR900001770B1 (ko) 1982-04-13 1985-03-12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440A KR860007440A (ko) 1986-10-13
KR900001770B1 true KR900001770B1 (ko) 1990-03-27

Family

ID=1924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546A KR900001770B1 (ko) 1982-04-13 1985-03-12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791B1 (ko) * 2006-04-06 2006-07-1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현관바닥 소음방지 구조
KR100910729B1 (ko) * 2007-11-05 2009-08-04 이덕현 공동주택의 활동성 진동 소음 흡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헬쓰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440A (ko) 198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3654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rticle at the end of a vacuum pick-up means
US6343415B1 (en) Part holding head, part mounting device and part holding method
CN104918478A (zh) 载带检测方法、传感器模块、拼接装置和部件安装机
KR900001770B1 (ko) 진공 픽업 수단내의 소자 유무 검출 방법 및 장치
US95150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semiconductor chip prior to bonding
JP6140438B2 (ja) ノズル検査装置及びノズル検査方法
JPH09216288A (ja) 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JP2010129844A (ja) パターン自動検査装置
JP2008174363A (ja) テープ搬送装置
US4653704A (en) Automatic loading horizontal type of open-reel magnetic tape drive unit
CN208662972U (zh) 智能电表上盒面板自动组装机
CN208112967U (zh) 全自动音箱上盖组装机
JPH0951029A (ja) 半導体製造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搬送装置
JP2020150055A (ja) 部品実装装置
JPH1159615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CN118156184A (zh) 一种固晶头可定位的固晶机
CN210470181U (zh) 一种可异物检测清理的贴片机
JP2002168905A (ja) 半導体部品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装置
CN217496658U (zh) 自动测试包装机
CN215557185U (zh) 一种cob测试架
JPH07183694A (ja) 部品実装装置
JPH0547520Y2 (ko)
JP2578902Y2 (ja) 電子部品テーピング装置
JPH0315835B2 (ko)
JPH083040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マウント装置用欠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