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355B1 -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355B1
KR900001355B1 KR1019830004941A KR830004941A KR900001355B1 KR 900001355 B1 KR900001355 B1 KR 900001355B1 KR 1019830004941 A KR1019830004941 A KR 1019830004941A KR 830004941 A KR830004941 A KR 830004941A KR 900001355 B1 KR900001355 B1 KR 90000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ooth
pulley
side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14A (ko
Inventor
에프 캐씨 쌔디어스
시이 게이너 죤
제이 넬슨 로드니
Original Assignee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에이취 다불류 오우버그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에이취 다불류 오우버그 쥬니어 filed Critical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제1도는 벨트가 2개의 풀리들에 설치되어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확실 구동 전동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일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벨트에 적합하게 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의 일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다른 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벨트에 적합하게 된 다른예의 폴리의 확대 종단면도.
제6도는 제4 및 제5도에 따른 결합된 풀리 및 벨트의 일부분의 확대 종단면도로서 벨트가 무부하 상태로 풀리주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 11, 12 : 풀리
13 : 치 21, 22 : 치 측면
H : 치 높이 L : 벨트 랜드 선
W : 치 폭
본 발명은 치를 가진 풀리들과 치를 가진 가요성 전동 벨트를 이용하는 전동 시스템, 및 그러한 전동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벨트 및 폴리에 관한 것이다.
구동 기능을 이행하기 위해 풀리의 치와 홈에 맞물리는 다수의 치 및 홈이 벨트의 횡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벨트를 이용하는 전동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많은 그러한 벨트 및 풀리 시스템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고, 벨트와 풀리 모두의 치와 홈의 단면을 최적형태로 설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756,091호는 벨트가 특수한 곡선 단면형태의 비교적 밀접히 떨어져 있는 구동치를 가지며 풀리 치들사이에 형성된 풀리 홈이 그 벨트의 치와 사실상 일치하는 곡선 단면을 갖는 확실 구동 전동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치를 가진 벨트(톱니벨트)가 풀리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벨트가 풀리와 접촉하여 이동할 때 벨트 치에 의해 닿지 않는 벨트와 풀리사이 공간에 상응하게 풀리에 그려지는 치 형태가 벨트의 치와 짝을 이루는 치 형태이다. 그러한 치를 풀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벨트와 풀리의 치들이 방해없이 확실하게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3,756,091호에 따른 곡선 치를 갖는 벨트들에서는 벨트 치의 전단 변형이 감소되고 마력 용량이 증가된다. 이 특허의 톱니식 벨트-풀리 전동 시스템은 많은 상업적인 적용분야, 특히 고토오크 구동 장치에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특허의 벨트의 치 높이가 크고 치 측면(플랭크)이 거의 수직이어서 그 벨트의 치는 벨트치보다 상당히 더 넓은 풀리 홈에 사용되어야 한다. 이 특허의 구조에서는 고유적인 그러한 넓은 폭에 의해 큰 백래시가 형성된다. 인덱싱 또는 위치결정 구동의 정확도는 벨트 치 측면과 풀리 홈 측면사이의 백래시, 즉 간격에 의해 조절된다. 현재 알려진 톱니식 벨트-풀리 전동 시스템들중 어느 것도, 특히 높은 부하에서 고속 프린터, 공작 기계의 위
공지의 구조의 벨트를 그 벨트 치의 폭을 증대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공지의 벨트를 홈의 폭이 감소된 풀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조는 백래시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벨트 수명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증대시키며 큰 구동력을 요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구조가 벨트 치와 풀리 홈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어떤 벨트 치 구조에서 결합 방해 또는 이탈 방해를 방지하는데 요구되는 최소 간격은 가장 작은 풀리의 핏치 직경에서 벨트 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찾아내어질 수 있다. 벨트 치가 풀리 홈에 들어가고 나올 때 그 벨트 치가 접촉하여 지나가는 윤곽은 벨트 치가 방해없이 맞물릴수 있는 최소의 풀리 홈형상(즉, 짝을 이루는 풀리 홈)을 형성한다.
미국 특허 제4,037,485호는, 벨트가 충분한 장력하에 있을 때 각개 벨트 치의 물질이 풀리 홈 내에서 전개되어 풀리 홈을 거의 채움으로써 백래시를 감소시키도록 된 전동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는 실용적이 못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요구되는 높은 장력 및, 벨트 치와 풀리 홈사이의 결합방해가 벨트 물질의 마모를 가속시켜 벨트의 작동 수명을 상당히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특허에서 요구되는 높은 장력이 유효 동력의 손실을 야기하고, 전동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보강 및 대형화를 필요로 한다. 이들 모든 단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에 의해 극복된다.
몇몇 적용분야에서는, 전술한 미국 특허 제3,756,091호, 미국 특허 제3,924,481호 및 미국 특허 제4,337,056호의 대체로 궁형의 측면(플랭크)을 가지는 구조의 이점들을 보유하면서도, 벨트 치 측면과 풀리 홈측면 사이의 요구되는 간격이 감소되도록 하는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정밀한 위치결정 및 인덱싱 기구들에 적당하도록 충분히 낮은 백래시를 가지며 벨트 치와 풀리 치 사이에서의 결합방해 또는 이탈방해를 방지하는데 요구되는 그 치들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어 있으며, 고속 및 고토오크 구동분야에 적합한 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방향 단면이 곡선으로 되어 있고 볼록한 궁형 측면들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의 제1범위내의 높이 대폭 비와 소정의 제2범위내의 측면 압력각을 가지고 있는 일련의 치들을 가진 가요성 구동 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치들을 가지고 전술한 가요성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로서, 상기 홈들 각각이 풀리의 몸체에 대하여 오목한 궁형 측면들을 가진 벽돌에 의해 형성되고 U형 종방향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제1범위내의 높이대 폭비와 소정의 제2범위내의 측면 압력각을 갖는 구조의 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한 맞물림에 요구되는 벨트 치 측면과 풀리 홈 측면사이 간격이 최소로 되어 전동시스템의 백래시를 최소로 되게 하도록 하는 구조의 벨트 치 및 풀리 홈을 가진 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톱니식 벨트-풀리 전동 시스템의 백래시 또는 래그(lag)는, 구동부의 양호한 맞물림 특성들을 희생함이 없이, 즉 전동시스템의 작동시 벨트 치가 풀리 홈내로 출입할 때 벨트 치의 부분과 풀림 홈의 부분 사이의 마모를 발생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들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벨트(10)는 구동 풀리(11) 및 피구동 풀리(12)에 맞물려 설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류의 톱니식 벨트-풀리 전동 시스템과 그의 세부구조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2,507,852호 및 미국 특허 제3,756,091호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양 특허의 전체내용이 본 출원에 참조된다. 무단 벨트(10)는 여러 가지 방식들중 하나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나, 미국 특허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치의 대표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그 치의 단면 형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각 벨트 치(13)는 치의 중앙선(X-X)에 대하여 대칭인 U자형 종단면을 가진다. 각 벨트 치(13)는 곡선들에 의해 형성된 1쌍의 대칭인 측면(플랭크)들(21,22)을 가지고 있고, 그 곡선들 각각은 원호이거나 또는 원호에 가까우며, 사실상 동일한 전후방 부분들을 가진 치를 형성한다. 측면(21)의 호는 벨트 랜드 선(L)상의 중심(23)으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1)을 가지며 지점(A)로부터 지점(B)까지 연장한다. 벨트 랜드 선(L)은, 인접한 벨트 치(13)들 사이(랜드 지역)의 벨트 표면을 나타내는 길이(I)의 선분(32)들을 연결하는 선이다. 측면(22)의 호는 중심(24)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2)를 가지며 지점(C)로부터 지점(D)까지 연장한다. 중심들(23,24)은 서로 떨어져 있고 벨트 치(13)의 중심선(X-X)의 양측부에서 벨트 랜드 선(L)상에 위치한다. 중심(23)과 그 중심(23)으로부터 그려지는 측면(21)의 호는 중심선(X-X)의 서로 반대 측부에 위치하고, 중심(24)과 그 중심(24)으로부터 그려지는 측면(22)의 호 역시 중심선(X-X)의 서로 반대 측부에 위치한다. 반경(R1) 및 반경(R2)는 서로 동일하고 그들의 각 중심(23,24)은 중앙선(X-X)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각 벨트 치(13)의 끝면은 2개의 또 다른 원호(25,26)와, 단부 지점들(E,F) 각각에서 상기 원호(25,26) 각각에 연결되는 선분(27)에 의해 형성된다. 원호(25)는 중심(28)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3)를 가지며 지점(D)로부터 지점(E)까지 연장한다. 원호(26)은 중심(29)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4)를 가지며 지점(B)로부터 지점(F)까지 연장한다. 그 중
제2도의 실시예에서, 선분(27)은 평편하고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거리(H)에 위치한다. 그 거리(H)가 벨트 치(13)의 높이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치(13)는 측면들(21,22)을 형성하는 원호들과, 선분(27)과 함께 치의 끝면을 형성하는 원호들(25,26)고, 치의 뿌리를 형성하는 원호들(30,31)로 이루어진 일정한 종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인접한 치(13)들의 원호들(30,31)은 단부 지점들(I,G)을 가지는 선분(32)에 의해 연결되고, 그 선분(32)은 인접한 치들 사이 랜드 지역의 종방향 길이를 나타내며 벨트 랜드 선(L)을 형성한다.
원호(30)은 중심(33)으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5)를 가지며 지점(A)로부터 지점(G)까지 연장한다. 원호(31)은 중심(34)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6)을 가지며 지점(I)로부터 지점(C)까지 연장한다. 선분(32)는 하나의 벨트 치(13)의 지점(I)로부터 인접한 벨트 치(13)의 지점(G)까지 연장한다.
각 벨트 치(13)는 지점(A)와 지점(C) 사이에서 측정된 종방향 폭(W)를 가지며, 그 지점들에서 치 뿌리의 원호들(30,31) 각각이 치 측면들(21,22)의 원호들 각각에 교차한다.
벨트 치의 측면들(21,22)의 볼록한 곡선(원호)들의 종방향 단면에서의 길이(만곡된 윤곽을 따라 측정한)는 벨트 치의 높이(H)의 적어도 40%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는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높이(H)의 약 50%와 동일하고,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높이(H)의 약 70%와 동일하다.
주어진 폭(W)에서, 벨트 치의 높이(H)는 높이(H)대 폭(W)의 비가 소정의 제1범위내, 즉, 0.50-067사이에 있도록 결정되며, 바람직한 높이(H)는 폭(W)의 0.60배이다.
벨트 치(13)의 궁형 측면들(21,22)의 곡률은, 선(T)의 예를 들어 지점(J)에서 궁형 측면(21)에 접선적으로 그려질 때 그 접선(T)과 치의 중앙선(X-X)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 각(α)이 소정의 제2범위내, 즉 18°-23°사이에 있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압력각은 21.5°이다. 상기 지점(J)는, 벨트 랜드 선(L)과 평행하고 0.3W(즉, 폭(W)의 0.3배)와 동일한 거리만큼 그 랜드 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선(L3)이 상기 궁형 측면(21)과 교차하는 지점이다.
예를 들어, 8mm 핏치의 벨트가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준 실제방식으로 설계될 때, 벨트의 각종 치수들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A"(벨트)]
핏치=0.31496"(8mm)
치의 폭(W)=0.205"(5.21mm)
치 측면 반경(R1,R2) = 0.174"(4.42mm)
치 뿌리 반경(R5,R6) = 0.035"(0.89mm)
랜드 길이(I) = 0.041"(1.04mm)
치 끝면 반경(r3,r4) = 0.038"(0.97mm)
치 끝면 선분(27)길이 = 0.074"(1.88mm)
0.3W에서의 압력각(α)=21.5°
치 뿌리의 원호들(30,31)을 형성하는 반경(R5,R6)은 선(L4)상에 중심을 가지고4 4 4
그리하여, 여기에서 정의되는 압력각은 벨트 치 측면의 작동면 상의 일 위치에서 측정된다. 따라서, 궁형 측면(21)은 지점(A)에서 시작하고 지점(J)를 지나 지점(B)까지 연장한다. 상기 지점(J)는 수직축, 즉, 중앙선(X-X)를 따라 측정하여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0.3W 거리에 위치하고 그 지점에서의 측면(21)의 원호에 대한 접선(T)이 중앙선(X-X)가 각(α)을 이룬다. 지점(B)는 반경(R4)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값만큼 높이(H)보다 작은 거리와 동일한 벨트 랜드 선(L)로부터의 수직거리에 위치한다. 궁형 측면(22)은 전술한 측면(21)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지점(C)로부터 지점(K)를 지벨 지점(D)까지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벨트 치 측면들(21,22)이 각각 변경 (R1,R2)의 원호이지만, 그러한 원호와 매우 비슷하기만 하면 될 뿐 그러한 원호와 정확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그리하여, 실제 원호로 되는 대신, 벨트 치 측면들(21,22)은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일차함수 y=/axn/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식에서, y 및 x는 각각 y축 및 x축에 따른 좌표이고, a는 104 내지 65, 800사이 범위에서 선택된 상수이며, n은 3 내지 7.5사이 범위에서 선택되는 값이다. 또 다르게는, 그 곡선 측면들은(단면 형상에서 볼 때) 직경(Q)의 원(도시안됨)으 신개선(involute)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직경(Q)의 원의 중심은 치가 위치된 벨트 랜드 선 측부의 반대쪽 벨트 랜드 선 측부에 위치된다. 예로서, 실시예 "A"의 벨트에 대하여 앞에서 언급한 치수들을 갖는 벨트에서, 직경(Q)는 0.6인치(15.24㎜)이고, 벨트
실제의 원호가 사용되는 경우, 반경(R1,R2)의 바람직한 길이는 벨트 치 폭(W)의 대략 0.85배이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치의 압력각(α)은 21.5도이고, 선분(32)의 길이(l)는 벨트 치 폭(W)의 0.2배이고, 벨트 치 끝면의 선분(27)의 길이는 벨트 치 폭(W)의 0.36배, 즉 0.36W이고, 치 높이(H)는 0.64W이며, 벨트 치(13)의 끝면은 벨트 치 폭(W)의 0.19배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들(25,26)과 그 원호들을 연결하는 직선 선분(27)에 의해 형성된다. 치 끝면의 원호(25,26)의 중심(28,29)은, 벨트 랜드 선(L)과 평행하고 높이(H)에서 반경(R3)의 길이를 뺀 길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그 벨트 랜드 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선을 따라 치 중앙선(X-X)의 양측부에 등거리로 위치된다. 반경(R3)는 반경(R4)와 동일하다. 중앙선(X-X)으로부터 치 끝면 반경들(R3,R4)의 중심(28,29)까지의 거리는, 원호들(25,26)과 궁형 측면들(21,22)사이 그리고 원호들(25,26)과 선분(27)사이가 매끈하게 접속되도록 선택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리의 치 및 홈의 대표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이 풀리의 치 및 홈의 단면 형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각 홈(13p)은 사실상 U자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2개의 측면 곡선들(21p,22p), 홈 바닥 선분(27p), 1쌍의 홈 바닥 곡선들(25p,26p), 및 1쌍의 홈 꼭대기 곡선들(30p,31p)에 의해 형성된다. 홈의 측면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각 풀리 치 끝면은 선분(32p)과, 그 선분에 의해 연결되고 원호와 비슷한 2개의 곡선들(30p,31p)에 의해 형성된다. 곡선(30p)는 중심(33p)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5p)을 가지며 지점(Ap)로부터 지점(Gp)까지 연장한다. 곡선(31p)는 중심(34p)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6p)를 가지며 지점(Ip)로부터 지점(Cp)까지 연장한다. 그 중심들(33p,34p)은, 풀리 랜드 선(Lp)를 나타내는 원과 동심이고 풀리의 원주보다 반경(R5p)의 길이만큼 작은 반p p p p p p p p
풀리 홈의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는 곡선(21p)과 인접한 풀리 치 끝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곡선(30P)은 지점(Ap)에서 서로 접속(즉, 교차)된다. 풀리 홈의 다른 측면을 형성하는 곡선(22p)은 인접한 풀리 치 끝면의 곡선(31p)과 지점(Cp)에서 서로 접속(즉, 교차)된다. 제3도에서 하나의 풀리 치의 지점(Ip)로부터 다른 하나의 풀리 치의 지점(Ip)까지의 형상이 풀리의 원주를 따라 반복되어 다른 치와 홈을 형성한다.
선분(27p)는 지점(Ep)와 지점(Fp)를 연결하여 풀리 홈의 바닥을 형성한다. 1쌍의 곡선들(26p,25p) 각각은 지점들(Ep,Fp)을 지점(Dp,Bp)에 연결한다. 곡선(원호)(25p)는 중심(28p)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3p)를 가지며, 지점(Dp)로부터 지점(Ep)까지 연장한다. 곡선(원호)(26p)는 중심(29p)로부터 그려지고, 반경(R4p)를 가지며, 지점(Bp) 부터 지점(Fp)까지 연장한다. 중심(28p)와 중심(29p)는 서로 떨어져 있고, 풀리 홈(13p)의 중앙선(X-X)의 양 측부에 등거리로 위치한다. 중심(28p)와 그중심으로부터 그려지는 원호, 즉, 곡선(25p)는 중앙선(X-X)의 동일 측부에 위치하고, 중심(29p)와 그중심으로부터 그려지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풀리 홈의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는 곡선(21p)의 곡률은, 그 곡선이 반경(R1p)를 갖는 원의 일부분과 매우 가깝게 되고 지점(Ap)로부터 지점(Bp)까지 연장할 때 지점(Jp)를 지나도록 정해진다. 지점(Ap)는 홈 꼭대기의 곡선(30p)가 볼록한 궁형 측면을 이루는 곡선(21p)와 교차하는 지점이다. 유사하게, 지점(Cp)는 곡선(31p)가 볼록한 다른 궁형 측면을 이루는 곡선(22p)와 교차하는 지점이다. 지점(Ap)와 지점(Cp)는 풀리의 중심과 동심인 원(L4p)상에 위치한다. 그 지점(Ap)와 지점(Cp) 사이에서 풀리 폭(Wp)가 측정된다. 풀p p p p p p p p p p p p p p p
제2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벨트 치에서 압력각이 18도-23도 사이이고 높이(H)가 벨트 폭(W)의 0.50-0.67배이며 반경(R1,R2)의 측면 반경대 벨트 치 폭(W)의 비가 0.7-0.9 사이일 때, 그 벨트 치와 짝을 이루는 풀리 홈에서는, 풀리 랜드 선(Lp)로부터, 0.3Wp의 거리에서 측정된 홈 측면 압력각(αp)가 18.5도-23.5도 사이이고 홈 깊이(Hp)가 홈 폭(Wp)의 0.47-0.64배이며, 반경들(R1p)(R2p)의 풀리 홈 측면 반경대 홈 폭(Wp)의 비가 0.67-0.87 사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A"의 벨트를 위한 바람직한 풀리 홈은 하기 치수를 가진다.
실시예 "A"(풀리)
핏치=0.31496인치(8㎜)
홈 폭(Wp)=0.209인치(5.31㎜)
홈 측면 반경(R1p,R2p)=0.169인치(4.29㎜)
홈 꼭대기 곡선 반경(R5p,R6p)=0.033인치(0.84㎜)
홈 바닥 곡선 반경(R3p,R4p)=0.038인치(0.97㎜)
홈 바닥 선분(27p)=0.080인치(2.03㎜)
0.3W에서의 홈 측면 압력각(αp)=22도
하기 표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도의 실시예에 따른 8㎜ 핏치 전동 시스템과 미국특허 제3,756,091호의 것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1
상기 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에서는 0.3Wp를 따라 측정한 풀리 홈 측면과 벨트 치 측면 사이 각격(C)이 미국특허 제3,756,091호에 따른 전동 시스템에서 나타내어지는 것보다 대략 69% 작다. 상기 비교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과 미국 특허 제3,756,091호의 것의 도해적인 구조들을 비교한 결과이다. 제6도에서 전동 시스템이 무부하 상태하에 있기 때문에, 간격(c)는 벨트 치(13)의 양측부의
Figure kpo00002
를 합한 값과 같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각각에서, 벨트 치 측면(21)의 원호는 반경(R1)의 중심(23)과 반경(R5)의 중심(33)을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는 지점(A)에서 치 뿌리의 원호(30)에 접선한다. 유사하게, 벨트 치(13)의 다른 측면사의 지점(C)는, 측면(22)의 원호가 치 뿌리의 원호(31)와 만나고 그 원호에 접선하는 지점을 나타내며, 측면(22)의 원호 중심(24)과 원호(31)의 중심(34)를 연결하는 선상의 지점이다. 동일한 관계가 제3도의p p
벨트 랜드 선(L)에 평행히 그려지고 그 랜드 선으로부터 0.3W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선과 측면(21)의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J)에서 벨트 측면(21)의 곡선에 접선하는 선(T)는 지점(A)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지점(A)와 지점(J)는 항상 서로 떨어져 있고 그들 두 지점들은 측면(21)의 원호에 대한 파라미터들중 하나를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그 측면(21)의 원호를 위해 어떠한 곡선(전술한 바와 같이, 원호에 매우 가까운)이 사용되더라도 그 곡선이 2개의 주어진 지점(A)와 지점(J)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측면(22)을 이루는 곡선은 주어진 지점(C)와 지점(K)를 통과하여야 하고, 그리하여 그들 지점들이 측면(22)의 원호에 대한 파라미터들중 하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의 벨트 및 풀리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벨트 및 풀리와 모든 점에서 동일하지만,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벨트 치 끝면의 선분(27)과 풀리 홈 바닥 선분(27p)이 평면한 반면,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벨트 치 끝면(37')이 볼록한 궁형이고 풀리 홈 바닥(37'p)이 오목한 궁형이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의 벨트 치 끝면(37')의 반경(R7')는 그의 중심이 벨트 치 중앙선(X-X')상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치 높이(H')는 치 끝면(37')의 볼록한 곡선과 치 중앙선(X-X')의 교차점과 벨트 랜드 선(L')와의 사이의 거리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의 번호는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서 제2도 및 제3도의 번호와 동일하나, 제4도 및 제5도에서는 각 번호
유사하게, 제5도의 풀리 홈(13'p)은 중앙선(X-X')상에 중심(도시안됨)을 둔 반경(R7'p)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바닥(37'p)를 가지고 있다. 제3도 및 제5도의 풀리 홈을 형성하는 각종 반경들은 각각 제2도 및 제4도의 벨트 치와 짝을 이루도록 선택된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벨트 치(13')는 0.63W'와 동일한 높이(H'), 21.5도의 압력각(α'), 0.49W'와 동일한 깊이(l')를 갖는 랜드 선분(32'), 벨트 랜드 선(L')상에 위치되는 중심(23',24')를 가지는 0.85W'의 측면 반경들(R1')(R2'), 0.19W'와 동일한 치 끝면 반경들(R3')(R4') 및, 원호(25')와 원호(26')를 연결하고 벨트 랜드 선(L')과 중앙선(X-X')의 교차점에 중심을 가지고 0.63W'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반경(R7')에 의해 형성되는 볼록한 치 끝면(37')를 가진다.
제6도에서, 벨트 및 풀리가 무부하 상태하에 맞물려 도시되어 있다. 즉 제6도는 제4도의 벨트가 제5도의 풀리에 토오크 부하가 부여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하여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6도에서, 벨트 치 끝면이 풀리 홈 바닥에 접촉하여 있고, 풀리 치 끝면이 벨트 랜드 지역에 접촉하여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접촉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상대적인 벨트 치 높이 및 풀리 홈 깊이가 상기 표면들에서 약간의 압축이 일어나거나 또는 그 표면들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파라미터들이 부가되는 한 높은 토오크와 작은 백래시를 가지는 전동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치수 관계들이 예로서 주어진다.
(A) 제2도에 도시된 벨트에서, 각도(α)의 바람직한 값은 21.5°이고, 바람직한 벨트 치 높이(H)는 0.63W이며, 선분(32)의 바람직한 길이(l)은 0.49W이고, 치 측면의 반경들 (R1)(R2)의 바람직한 길이는 0.85W이고, 치 뿌리의 반경들 (R5)(R6)의 바람직한 길이는 0.19W이다.
(B) 제4도에 도시된 벨트에서, 바람직한 치수들은 제2도에 대하여 위에서 언급한 것들과 동일하나, 제2도의 선분(27)이 직선인 반면 제4도의 끝면(37')은 종단면에서 볼 때 0.63W'의 반경을 가지는 볼록한 원호로 되어 있다는 것만이 다르다.
(C) 제2도에 따른 벨트는 하기와 같은 다른 치수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치 높이(H)는 0.60W이고, 압력각(α)는 21.5° 이고, 치 뿌리의 반경들(R5,R6)는 0.2W이고, 치 측면의 반경들(R1,R2)는 0.85W이고, 치 측면의 반경들(R3,R4)는 0.19W이고, 치 끝면의 선분(27)의 길이는 0.36W이다.
(D) 제3도에 따른 풀리는 18.5°-23.5° 범위의 압력각(αp), 0.1Wp-0.65Wp범위의 길이(lp)를 갖는 풀리 치 끝면 랜드, 0.47Wp-0.64Wp범위의 풀리 홈 깊이(Hp)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αp는 22°이고, 풀리 홈 측면의 반경들(R1p,R2p)는 0.81Wp이고(또는, 풀리 홈의 볼록한 궁형 측면들이 식 y=/axn/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 식에서, a는 104 내지 65,800 사이의 상수이고, n은 3 내지 7.5 사이의 값이다), 풀리 홈 깊이는 0.59Wp이고, 홈 바닥 곡선들의 반경들은 0.18Wp이며, 그 홈 바닥의 선분의 길이는 0.38Wp이다.
(E) 제6도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전동 시스템에서, 하기 치수 관계가 주어진p p p p p p p p p p p
이러한 새로운 구조에서의 간격 감소의 이점은 자동제봉기 테이블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기계적 위치 결정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가역 전기 모우터와 회전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에서는 그 회전 요소가 "유니 로얄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되는 미국특허 제3,756,091호의 1쌍의 22홈 8㎜ 핏치 풀리와 8㎜ 핏치 벨트에 의해 연결되고, 동일한 가역 전기 모우터와 동일한 회전 요소로 이루어진 또 다른 시스템에서는 그 회전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1쌍의 22홈 8㎜ 핏치 풀리와 8㎜ 핏치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부여되는 구동력(이 경우, 전기 모우터)이 역전될 때 구동 풀리의 회전 위치와 피구동 풀리의 회전 위치 사이에서 일어나는 각도 변위(래그)를 계산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3.756,091호의 벨트 및 풀리를 사용하는 전동 시스템에서는 래그는 대략 0.9°인 것으로 계산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풀리 및 벨트를 사용하는 전동 시스템에서는 래그가 대략 0.3°로 감소된다. 예를 들어, 자동 재봉기 테이블에서, 래그(즉, 벡래시)의 감소는 그 테이블의 초과 주행을 상당히 감소시

Claims (36)

  1. 홈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치(13)들을 가지고 있고, 각 치가 종방향 단면에서 벨트의 중앙선(X-X)에 대해 대칭이고 치 뿌리와, 치 끝면 및 그 끝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볼록한 궁형 측면들을 가지며, 각 홈이 그 홈의 중앙선에 대하여 대칭인 가요성 전동벨트에 있어서, 상기 치 뿌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벨트 치의 측면들(21,22)에 연결되는 원호에 가까운 제1 및 제2호(30,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은 각 치의 제1호(30)를 인접한 치의 제2호(31)와 연결하고 이 벨트의 다른 홈의 바닥과 동일 선상에 있는 벨트 랜드 선(L)과 일치하는 선분(32)으로 이루어지고, 벨트 치 높이(H)(치 끝면의 최외측 표면과 벨트 랜드 선(L)사이에서 측정된)대 벨트 치 폭(W)벨트 랜드 선(L)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호들(30,31)이 상기 측면들(21,22)과 교차하는 지점들(A,C)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상기 측면들(21,22) 사이에서 측정되는)의 비가 0.50-0.67범위내에 있고, 상기 측면들(21,22) 각각은 각 측면이 있는 쪽의 반대측 벨트 치 중앙선(X-X) 측부에서 벨트 랜드 선(L)상에 곡면 중심(23,24)을 가지는 원호로서, 벨트 치 폭(W)의 0.3배 거리만큼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J,K)에서 그 원호에 그려지는 접선(T)이 벨트 치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도-23도 범위도 각도(α)를 이루도록 정해지는 원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동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벨트 랜드 선(L)을 따라 측정된 벨트 홈 바닥의 종방향 길이(l)가 벨트 치 폭(W)의 0.2-0.66배의 범위내에 있는 상기 전동 벨트.
  3. 다수의 벨트 랜드 지역(32)들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치(13)들을 가지고 있고, 각 치가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궁형 형상을 각각 가지고 있는 1쌍의 측면들(21,22)을 가지는 가요성 전동 벨트에 있어서, 각 측면(21,22)과 인접 벨트 랜드 지역(32)을 연결하는 치 뿌리가 주어진 제1반경을 갖는 원호에 가까운 호(30,31)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면들(21,22)이 치 뿌리로부터 떨어진 지점들(B,D) 사이의 치 끝면(26,27,2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벨트 치 높이(H)(종방향 단면에서 벨트 랜드 지역의 연장선인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치 끝면의 최외측 표면까지 측정된)가 벨트 치 폭(W)(치 뿌리의 호들(30,31)이 상기 측면들(21,22)과 교차하는 지점들(A,C) 사이에서 측정된)의 0.50-0.67배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궁형 측면들(21,22) 각각이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서,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상기 치 폭(W)의 폭의 0.3배의 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J,K)에서 그 곡선에 접선적으로 그려진 선(T)이 18°-23° 범위의 각도(α)로 치 중앙선(X-X)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접 치의 뿌리들을 연결하는 벨트 랜드 지역(32)이 종방향 단면에서 치폭(W)의 0.2-0.66배 범위의 길이(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전동 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가 20°-22°사이인 상기 전동 벨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가 21.5°사이인 상기 전동 벨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 끝면의 1쌍의 원호들(25,26)과 그 원호들을 연결하는 직선(27)으로 이루어진 종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전동 벨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 끝면의 1쌍의 원호들(25',26')과 그 원호들을 연결하는 직선(37')으로 이루어진 종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전동 벨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 끝면이 볼록한 궁형 측면들(21',22')의 연장부인 볼록한 곡선(37')으로 이루어진 종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전동 벨트.
  9. 제3항에 있어서, 볼록한 궁형 측면들(21,22)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식 y=/axn/(여기서 a는 104-65,800 사이의 상수이고, n은 3-7.5 범위내의 값이다)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 된 상기 전동 벨트.
  10. 제3항에 있어서, 볼록한 궁형 측면들(21,22)이 벨트 라인 선(L)에 중심(23,24)을 둔 원호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 원호들의 반경(R1,R2)이 벨트 치 폭(W)의 0.7-0.9배 범위내에 있는 상기 전동 벨트.
  11. 제3항에 있어서, 볼록한 궁형 측면들(21,22)이 벨트 라인 선(L)에 중심(23,24)을 둔 원호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 원호들의 반경(R1,R2)이 벨트 치 폭(W)의 0.85배인 상기 전동 벨트.
  12. 제3항에 있어서, 볼록한 궁형 측면들(21,22)이 원의 신개선(involute)에 가까운 곡선으로된 상기 전동 벨트.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 높이(H)가 치 폭(W)의 0.6배이고, 상기 각도(α)가 21.5°이고, 벨트 랜드 지역(32)의 길이(l)가 치 폭(W)의 0.2배이고, 치 끝면의 상기 1쌍의 원호들(25,26)의 반경이 폭(W)의 0.19배이고, 치 끝면의 상기 직선(27)의 길이가 치 폭(W)의 0.36배이고, 볼록한 측면들(21,22) 각각이 벨트 랜드 선(L)상에 중심(23,24)을 가지며 반경(R1,R2)이 치 폭(W)의 0.85배인 원호로된 상기 전동 벨트.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 높이(H')가 치 폭(W')의 0.63배이고, 상기 각도(α')가 21.5°이고, 벨트 랜드 지역(32')의 길이(l')가 치 폭(W')의 0.49배이고, 치 끝면의 1쌍의 원호들(25',26')의 반경이 폭(W')의 0.19배이고, 치 끝면의 볼록한 곡선(37')이 벨트 랜드 선(L')상에 중심을 가지고 반경(R7')이 치 폭(W)의 0.63배인 원호이며, 상기 볼록한 측면들(21',22') 각각이 벨트 랜드 지역(32')의 연장부인 벨트 랜드 선(L')상에 중심(23',24')을 가지고 반경(R1',R2')이 치 폭(W')의 0.85배인 원호로된 상기 전동 벨트.
  15. 일련의 동일한 치(13)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치들 사이에 벨트 랜드 지역(32)들을 가지고 있고 각 치가 동일한 앞 뒤 볼록 측면들(21,22)을 가지고 무단 가요성 전동벨트와, 동일한 앞 뒤 오목측면들(21p,22p)을 각각 가지는 풀리 홈(13p)들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동일한 치들을 가진 풀리로 이루어진 전동 시스템에 있어서, (A)벨트 치 측면들(21,22)의 적어도 일부가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 상에 중심을 둔 원호로 되어 있고, 각 벨트 치(13)가 상기 측면들(21,22)을 벨트 랜드 지역(32)에 연결하는 뿌리부분(30,31)과, 상기 측면들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끝면(26,27,25)을 가지고 있고, 벨트 치 높이(H)(벨트랜드 선(L)으로 부터 치 끝면의 최외측 면 까지 측정되는)의 비가 0.50-0.67범위내이고, 상기 치 측면들(21,22)의 곡률은 벨트 치 폭(W)의 0.3배의 거리 만큼 벨트 랜드 선(L)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J,K)에서 상기 치 측면들에 그려지는 접선(T)이 벨트 치의 수직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23℃ 범위의 각도(α)를형성하도록 정해지고, (B)플리 흠 측면들(21p,22p)의 적어도 일부가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원호인 곡선으로형성되어 있고, 상기 풀리 치가 그의 끝면에 플리 랜드 선(Lp)의 일부를 형성하고 플리의 중심과 동심인 원에 가까운 플리랜드 표면 (32p)을 가지고 있고,상기 플리 흠(13p)이 플리 랜드 (Lp)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플리 홈 측면들(21p,22p)상의 지점들(Bp,Dp)에서 플리 홈 측면들을 연결하는 플리 홈 바닥(26p,27p,25p)을 가지고 있고 풀리 치 끝면이 플리 랜드선(Lp)에 인접하고 각 측면들을 인접 풀리 랜드 지역(32p)에 연결하는 곡선 부분들(30p,31p을 가지고 있고, 플리 홈 깊이 (Hp)(풀리 랜드 선(Lp)과 그 랜드 선으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풀리홈 바닥 부분(27p)사이에서 측정되는)대 풀리 홈 폭(Wp)(풀리 치 끝면의 상기 곡선 부분들(30p,31p)과 상기 홈 측면들(21p,22p)이서로 교차하는 지점들(Ap,Cp)사이에서 측정되는)의 비가 0.47-0.64 범위내이고, 상기 홈 측면들(21p,22p의곡률은 풀리 홈 폭(Wp)의 0.3배 거리 만큼 풀리 랜드 선(Lp)으로 부터 떨어진 지점(Jp,Kp)에서 상기 흠 측면들에 그려진 접선(Tp)이 풀리 홈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5°-23.5°범위의 각도(αp)를 형성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치 폭(W)이 풀리 홈 폭(Wp)의 0.95-1.00범위내에 있는 전동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벨트 랜드 지역(32)이 인접 치들(13)사이에 평편한 표면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 표면 부분의 봉 종방향 길이(l)가 벨트 치 폭(W)의 0.2-066배 사이인 상기 전동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치 끝면이 종방향 단면에서 풀리 홈 폭(Wp)의 0.1-0.65배 범위의 길이(lp)를 가지는 평편한 풀리 랜드 지역(32p)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전동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벨트 치 높이(H)가 풀리 홈 깊이(Hp)와 동일한 상기 전동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벨트 치 높이(H)가 풀리 홈 깊이(Hp)보다 큰 상기 전동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풀리 홈 깊이(Hp)가 벨트 치 높이(H)보다 큰 상기 전동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종방향 단면에서 벨트치의 궁형 측면(21,22)의 윤곽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측면들 각각의 길이가 벨트 치 높이(H)의 적어도 40%인 상기 전동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치 폭(W)이 풀리 홈 폭(Wp)의 0.97-0.99범위내에 있는 상기 전동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벨트 치 높이(H)가 0.60W이고, 각도(α)가 21.5°이고, 인접한 벨트 치들 사이 상기 평편한 표면 부분(32)의 종방향 길이(l)가 0.2W이고, 상기 벨트 치의 만곡된 측면들(21,22)이 벨트 랜드 선(L)상에 중심(23,24)을 가지고 있고 0.85W와 동일한 반경(R1,R2)을 가지는 원호들로되어 있는 상기 전동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각도(αp)가 22°이고, 풀리 홈 깊이(Hp)가 풀리 홈 폭(Wp)의 0.59배이고, 풀리 홈 측면들(21p,22p)이 풀리 홈 폭(Wp)의 0.81배의 반경을 가지며 풀리 랜드 선(Lp)상에 중심을 가지는 원호들로 되어 있는 상기 전동 시스템.
  26. 제16항에 있어서, 벨트 치 폭(W)이 풀리 홈 폭(Wp)의 0.98배인 상기 전동 시스템.
  27. 제15항에 있어서, 벨트 치 끝면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0.19W의 반경을 가지는 1쌍의 떨어져 있는 원호들(25,26)과, 치 끝면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호들(25,26)을 연결하며 0.36W의 길이를 가지는 직선(27)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동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풀리 홈 바닥이 풀리 홈 폭(Wp)의 0.18배의 반경을 가지는 1쌍의 떨어져 있는 원호들(25p,26p)과, 풀리 홈 폭(Wp)의 0.38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원호들(25p,26p)을 연결하는 직선(27p)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전동 시스템.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치 및 풀리 홈의 만곡된 측면들 각각이, 그 측면들이 위치하는 쪽의 반대측 중앙선(X-X)측부에서 벨트 및 풀리의 랜드 선상에 중심들을 가지는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된 전동시스템.
  30. 일련의 동일한 치(13)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치들 사이에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을 형성하는 벨트 랜드 지역(32)을 가지고 있고 각 치(13)가 사실상 동일한 앞 뒤 볼록 측면들(21,22)을 가지고 있는 무단 가요성 전동벨트와, 다수의 동일한 치들과 그 치들사이에 형성된 풀리 홈(13p)들을 가진 풀리로 이루어진 전동 시스템에 있어서, (A)벨트 치 측면들(21,22)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 상에 중심을 가지는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벨트 치(13)가 상기 치 측면들(21,22)을 벨트 랜드 지역(32)에 연결하는 뿌리 부분(30,32)과, 상기 치 측면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끝면(26,27,25)을 가지고 있고, 벨트 치 높이(H)(상기벨트 랜드 선(L)으로 부터 치 끝면의 최외측면까지 측정되는)대 벨트 치 폭(W)(상기 치 측면들이 치 뿌리와 만나는 지점(A,C)사이에서 측정되는)의 비가 0.50-0.67범위 내이고, 상기 치 측면들의 곡률은 젤트 랜드 선(L)으로 부터 벨트 치 폭(W)의 0.3배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지점(J,K)에서 그 치 측면들(21,22)에 그려진 접신(T)이 벨트 치의 수직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23°범위내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정해지고, (B)풀리 홈(13p)들 각각이 상기 벨트 치(13)들 각각과 짝을 이루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시스템.
  31. 일련의 동일한 치(13)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치들 사이에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을 형성하는 벨트 랜드 지역(32)을 가지고 있고 각 치(13)가 동일한 앞 뒤 볼록 측면들(21,22)을 가지고 있는 무단 가요성 전동벨트와, 동일한 앞 뒤 오목 측면들을 가진 풀리 홈(13p)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동일한 치들과 배치된 풀리로 이루어진 전동 시스템에 있어서, (A)벨트 치 측면들(21,22)각각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 상에 중심을 가지며 벨트 치 폭(W)의 0.85배의 반경을 가지는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벨트 치(13)가 상기 측면들(21,22)을 벨트 랜드 지역(32)에 연결하도록 그 벨트 랜드 지역의 양단부에 있는 1쌍의 뿌리부분(30,31)로된 뿌리 부분과, 상기 치 측면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끝면을 가지고 있고,벨트 치 높이(H)가 벨트 치 폭(W)의 0.60배이고, 상기 치 측면들의 곡률은 벨트 랜드 선(L)으로부터 벨트 치 폭(W)의 0.3배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지점(J,K)에서 그 치 측면들(21,22)에 그려진 접선(T)이 벨트치 중앙선 (X-X)과의 사이에 21.5°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정해지고 상기 벨트 랜드 지역(32)의 길이(1)가 0.2W이고, 상기 벨트 치 끝면은 종방향 단면에서 볼때 0.19W의 반경을 갖는 1쌍의 호들(25,26)과 그 호들을 연결하는 0.36W길이의 직선(27)으로 이루어져 있고,(B)풀리 홈 측면들(21p,22p)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때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플리치가그의끝면에 풀리 랜드 선 (Lp)의 일부를 형성하고 풀리의 중심과 동심인 원에 가까운 풀리 랜드 표면(32p)을가지고 있고, 상기 풀리 홈(13p)이 풀리 랜드 선(Lp)으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풀리 홈 측면들(21p,22p)상의 지점들 (Bp,Dp)에서 풀리 홈 측면들을 연결하는 풀리 홈 바닥(26p,27p,25p)을 가지고 있고,풀리치 끝면이 풀리 랜드 선(Lp)에 인접하고 각 측면들을 인접 풀리 랜드 지역(32p)에 연결하는 곡선 부분들(30p,31p)을 가지고 있고 풀리 홈 깊이(Hp)대 풀리 홈 폭(Wp)의 비가 0.47-0.64범위내이고, 상기 훔 측면들(21p,22p)의 곡률은 풀리 홈 폭(Wp)의 0.3배 거리 만큼 풀리 랜드 선(Lp)으로 부터 떨어진 지점 (Jp,Kp)에서 상기 홈측면들에 그려진 접선(Tpㅒ이 풀리 홈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5°-23.5°범위의 각도(αp)를 형성하도록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치 폭(W)이 풀리 홈 폭(Wp)의 대략 0.98배인 상기 전동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각도(αp)가 22°이고, 풀리 홈 깊이(Hp)가 풀리 홈 폭(Wp)의 0.59배이고, 오목한 궁형 측면들(21p,22p)각각이 풀리 랜드 선(Lp)상에 중심을 가지며 0.81Wp의 반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풀리 홈 바닥이 0.18Wp의 반경을 가지는 1쌍의 원호들(21p,22p)과 그 원호들을 연결하고 길이가 0.38Wp인 직선(27p)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동시스템.
  34. 일련의 동일한 치(13')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치들 사이에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을 형성하는 벨트 랜드 지역(32')을 가지고 있고 각 치가 동일한 앞 뒤 볼록 측면들(21',22')을 가지고 있는 무단 가요성 전동 벨트와, 동일한 앞 뒤 오목 측면들(21p,22p)을 가진 풀리 홈(13'p)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동일한 치들이 배치된 풀리로 이루어진 전동 시스템에 있어서, (A)벨트 치 측면들(21',22')각각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 때 벨트 랜드 선(L') 상에 중심을 가지며 벨트 치 폭(W')(벨트 치 측면들이 치 뿌리와 만나는 지점들 (A',C')사이에서 측정되는)의 0.85배의 반경을 가지는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벨트 치(13')가 상기 치 측면들(21',22')을 벨트 랜드 지역(32')에 연결하도록 그 벨트 랜드 지역의 양 단부에 있는 1쌍의 곡선들(30,31)로 된 뿌리부분과, 상기 치 측면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끝면을 가지고 있고, 벨트 치높이(H')(벨트 랜드선(L')으로 부터 치 끝며면의 최외측 면까지 측정되는)가 벨트 치 폭(W')의 0.63배이고, 상기 치 끝면들의 곡률은 벨트 랜드 선(L')으로 부터 벨트 치 폭(W')의 0.3배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지점(J',K')에서 그 치 측면들(21',22')에 그려진 접선(T')이 벨츠 치 중앙선(X'-X')과의 사이에 21.5°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정해지고, 상기 벨트 랜드 지역(32')의 길이 (1')가 0.49W이고, 상기 벨트 치 끝면을 종방향 단면에서 볼때0.19W의 반경을 갖는 1쌍의 호들(25',26')과 그 호들을 연결하고 벨트 랜드 선(L')상에 중심을 가지고 반경이 0.63W인 곡선(37')으로 이루어져 있고,(B)풀리 홈 측면들(21'p,22'p)이 종방향 단면에서 볼때 원호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풀리치가 그의 끝면에 풀리 랜드 선(L'p)의 일부를 형성하고 풀리의 중심과 동심인 원에 가까운 풀리 랜드 표면(32'p)을 가지고 있고, 상기 풀리 홈(13'p)이 풀리 랜드 선(L'p)으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푸릴 홈 측면들(21'p,22'p)에 인접하고 각 측면들(21'p,22p)을 인접 풀리 랜드 지역 (32'p)에 연결하는 곡선부분들(30'p,31'p)을 가지고 있고,풀리 홈 깊이(H'p)(풀리 랜드 선(L'p)과 그 랜드선으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홈바닥 부분 사이에서 측정되는) 대 푸릴 홈 폭(W'p)(풀리 홈 측면들(21'p,22'p)이 풀리 치 끝면의 상기 곡선 부분들 (30'p,31'p)과 만나는 지점들(A'p,C'p)사이에서 측정되는)의 비가 0.47-0.64범위내이고, 상기푸릴 홈측면들(21'p,22'p)의 곡률은 풀리 홈 폭(W'p의 0.3배 거리 만큼 풀리 랜드 선(L'p)으로 부터 떨어진 지점(J'p,K'p)에서 상기 홈 측면들에 그려진 접선(T'p)이 풀리 홈 중앙선(X'-X')과의 사이에 18.5°-23.5°범위의 각도(α'p)를 형성하도록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벨트 치 폭(W')이 풀리 홈 폭(W'p)의 대략 0.98배인 상기 전동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각도(α'p)가 22°이고, 풀리 홈 깊이(H'p)가 풀리 홈 폭(W'p)의 0.61배이고, 상기 오목한 궁형 측면들(21'p, 22'p)각각이, 풀리 랜드 선(L'p)상에 중심을 가지며 0.81W'p인 원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풀리 홈 바닥이 0.36W'p의 반경을 가지는 1쌍의 원호들(25'p, 26'p)과 그 원호들을 연결하고 길이가 0.60W'p인 직선(37'p)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동시스템.
KR1019830004941A 1982-10-20 1983-10-19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KR900001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35,435 US4515577A (en) 1982-10-20 1982-10-20 Low backlash-high-torqu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oothed belt used therein
US435435 1982-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14A KR840006514A (ko) 1984-11-30
KR900001355B1 true KR900001355B1 (ko) 1990-03-08

Family

ID=2372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941A KR900001355B1 (ko) 1982-10-20 1983-10-19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15577A (ko)
EP (1) EP0106694B1 (ko)
JP (2) JPS5989852A (ko)
KR (1) KR900001355B1 (ko)
AT (1) ATE24587T1 (ko)
AU (1) AU572799B2 (ko)
CA (1) CA1211959A (ko)
DE (1) DE3368741D1 (ko)
ES (2) ES8503804A1 (ko)
IN (1) IN160352B (ko)
MX (1) MX1612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460U (ja) * 1983-10-13 1985-05-09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の駆動装置
JPS6064354U (ja) * 1983-10-12 1985-05-0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の駆動装置
IT1174166B (it) * 1984-06-11 1987-07-01 Pirelli Transmissioni Ind Spa Pulleggia in una trasmissione sincrona con una cinghia dentata in materiale polimerico e relativa trasmissione
KR930000498B1 (ko) * 1984-11-15 1993-01-21 데이코 프로덕츠 인코오포레이티드 동기 구동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4605389A (en) * 1985-04-22 1986-08-12 The Gates Rubber Company Toothed belt and sprocket
JPS6334341A (ja) * 1986-07-28 1988-02-15 Honda Motor Co Ltd 歯付ベルト
JPS6474341A (en) * 1987-09-14 1989-03-20 Mitsuboshi Belting Ltd Driving device of toothed belt
USRE34485E (en) * 1987-11-12 1993-12-21 Mitsuboshi Belting, Ltd. Power transmission toothed belt and drive
JPH0221046A (ja) * 1987-12-29 1990-01-24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駆動装置
EP0316197B1 (en) * 1987-11-12 1992-09-23 Mitsuboshi Belting Ltd. Power transmission toothed belt and drive
JPH071051B2 (ja) * 1988-01-13 1995-01-1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駆動装置
JPH0621604B2 (ja) * 1988-01-27 1994-03-23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歯付ベルトおよびそのベルトを使用する動力伝達装置
IT1229809B (it) * 1988-11-11 1991-09-13 Pirelli Transmissioni Ind Spa Cinghia dentata e relativa trasmissione.
IT1227627B (it) * 1988-11-29 1991-04-23 Pirelli Transmissioni Ind Spa Puleggia dentata e relativa trasmissione.
ATE114791T1 (de) * 1989-02-20 1994-12-15 Mitsuboshi Belting Ltd Treibriemen und treibantrieb.
JPH03217389A (ja) * 1990-01-20 1991-09-25 Shimano Ind Co Ltd 自転車用多段スプロケットホイール
DE4109825A1 (de) 1991-03-26 1992-10-01 Continental Ag Zahnriementrieb
JP3117094B2 (ja) * 1991-11-18 2000-12-11 日本フィリップス株式会社 乾式ひげそり器
US5797306A (en) * 1995-05-01 1998-08-25 Marathon Electric Mfg. Corp. Lamination notching apparatus
US5807194A (en) 1996-10-31 1998-09-15 The Gates Corporation Toothed belt
JP2000337444A (ja) * 1999-03-25 2000-12-05 Bando Chem Ind Ltd 歯付ベルト及び歯付ベルト伝動装置並びに事務用機器
JP4460681B2 (ja) * 1999-07-19 2010-05-1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歯付ベルト伝動システム
JP2003532851A (ja) * 2000-05-09 2003-11-05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ブロック型cvtベルト
JP2002098201A (ja) * 2000-09-25 2002-04-05 Bando Chem Ind Ltd 歯付ベルト伝動装置及び事務用機器
JP2002098202A (ja) * 2000-09-25 2002-04-05 Bando Chem Ind Ltd 歯付ベルト伝動装置及び事務用機器
RU2261384C2 (ru) 2001-01-12 2005-09-27 Дзе Гейтс Корпорейшн Приводной ремень со сниженной степенью растягивания
ITTO20010557A1 (it) * 2001-06-08 2002-12-08 Dayco Europe Srl Conghia dentata.
US7125356B2 (en) * 2001-11-06 2006-10-24 Borgwarner Inc. Tension-reducing random sprocket
KR100933581B1 (ko) * 2001-11-27 2009-12-23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비원형 구동 요소가 있는 동시 구동 장치
US8932165B2 (en) 2006-03-31 2015-01-13 The Gates Corporation Toothed power transmission belt
US20100167857A1 (en) * 2007-06-20 2010-07-01 Borgwarner Inc. Resonance tension reducing sprocket with combined radial variation and sprocket wrap
JP2010540858A (ja) * 2007-09-28 2010-12-24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チェーンおよびスプロケットシステム内の複数の張力低減スプロケット
US20090156341A1 (en) * 2007-12-14 2009-06-18 John Gaynor Belt
US8070634B2 (en) * 2008-05-02 2011-12-06 The Gates Corporation Synchronous belt sprocket
WO2010149047A1 (zh) * 2009-06-23 2010-12-29 杭州肯莱特传动工业有限公司 摩擦传动和啮合传动复合的v带传动系统
WO2014063228A1 (en) 2012-10-22 2014-05-0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increased damping
DE102013102139A1 (de) * 2013-03-05 2014-09-11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eilrippenriemen
US9869379B2 (en) 2013-09-11 2018-01-16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increased damping and arm on base cup configuration
JP6843759B2 (ja) 2015-03-31 2021-03-17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ガスを気道に供給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及びシステム
US10859141B2 (en) 2015-10-28 2020-12-0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first and second damping members and increased damping
DE102015223800A1 (de) * 2015-11-30 2017-06-01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Zahnriementrieb
CN108368929B (zh) * 2015-12-09 2021-03-09 博格华纳公司 非普遍阶次随机链轮
DE102016001972A1 (de) * 2016-02-22 2017-08-2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Zahnriementrieb
US11015694B2 (en) 2016-06-09 2021-05-25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Bushing and hub to prevent back-rotation
US10989293B2 (en) 2016-06-09 2021-04-2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Non-metal sprocket and bushing apparatus
US11324908B2 (en) 2016-08-11 2022-05-1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JP6829388B2 (ja) * 2017-02-27 2021-02-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歯付ベルト伝動装置
US10161487B2 (en) * 2017-03-07 2018-12-25 Gates Corporation Toothed belt and sprocket system
US10687468B1 (en) * 2018-12-18 2020-06-23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Flexible synchronous toothed belt with narrow splice
US11585423B2 (en) 2020-10-03 2023-02-21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Composite sprocket
CN117377838A (zh) * 2022-05-06 2024-01-09 盖茨公司 优化的带和轮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852A (en) * 1945-12-12 1950-05-16 Us Rubber Co Transmission belt and drive
US2937538A (en) * 1958-05-09 1960-05-24 Us Rubber Co Belt and gear drive
US3078205A (en) * 1959-02-25 1963-02-19 Us Rubber Co Method of forming belt teeth in reinforced positive drive belts
US3756091A (en) * 1970-02-19 1973-09-04 Uniroyal Inc Posi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U451700B2 (en) * 1971-01-20 1974-07-31 Uniroyal Inc Posi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GB1453716A (en) * 1973-07-20 1976-10-27 Goodyear Tire & Rubber Circular side positive drive belt teeth
US3969946A (en) * 1974-07-03 1976-07-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ircular side positive drive belt teeth
US3977265A (en) * 1975-06-02 1976-08-31 The Gates Rubber Company Positive drive belt system
US4041789A (en) * 1975-12-18 1977-08-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lt drive including toothed belts and toothed pulleys of improved tooth configurations
US4337056A (en) * 1977-12-12 1982-06-29 Uniroyal, Inc.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ZA786820B (en) * 1977-12-14 1979-11-28 Uniroyal Inc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US4403979A (en) * 1977-12-23 1983-09-13 Uniroyal, Inc. Pulley for positive drive systems
CA1115090A (en) * 1977-12-23 1981-12-29 Uniroyal, Inc. Pulley for positive drive systems
JPS56167955A (en) * 1980-05-27 1981-12-23 Mitsuboshi Belting Ltd Transmission apparatus with toothed belt
JPS571714A (en) * 1980-06-04 1982-01-06 Mitsubishi Chem Ind Ltd Heater
JPS5728812A (en) * 1980-07-29 1982-02-16 Toshiba Corp Steam flow rate controlling valve
JPS5744866A (en) * 1980-08-29 1982-03-13 Fujitsu Ltd High-temperature testing device for semiconductor device
JPS591896B2 (ja) * 1980-09-03 1984-01-1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の伝動装置
DE3034185C2 (de) * 1980-09-11 1982-09-16 Ford-Werke AG, 5000 Köln Steuerungsantrieb für Brennkraftmaschinen
JPS5760501A (en) * 1980-09-29 1982-04-12 Heishiro Tanami Recording method for plural recording modes
US4452594A (en) * 1980-10-10 1984-06-05 The Gates Rubber Company Toothed belt and sprocket
GB2109503B (en) * 1981-11-12 1985-09-25 Mitsuboshi Belting Ltd Toothed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06694B1 (en) 1986-12-30
ES537284A0 (es) 1985-10-16
AU1980383A (en) 1984-05-03
JPS5989852A (ja) 1984-05-24
ES8601432A1 (es) 1985-10-16
KR840006514A (ko) 1984-11-30
ES526571A0 (es) 1985-03-01
JPS6314215B2 (ko) 1988-03-30
DE3368741D1 (en) 1987-02-05
JPH0570735B2 (ko) 1993-10-05
MX161227A (es) 1990-08-23
AU572799B2 (en) 1988-05-19
IN160352B (ko) 1987-07-11
CA1211959A (en) 1986-09-30
ES8503804A1 (es) 1985-03-01
EP0106694A1 (en) 1984-04-25
ATE24587T1 (de) 1987-01-15
US4515577A (en) 1985-05-07
JPS6347536A (ja) 198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355B1 (ko) 가요성 전동 벨트 및 전동 시스템
US4233852A (e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US4337056A (e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US4571224A (en) Belt drive system
US3709055A (en) Gear tooth profile
US4899609A (en) Gears having a tooth-profile with a smaller relative of curvature at a contact point
US5421789A (en) Synchronous drive pulley and its combination with a belt having oblique and offset teeth
US2159744A (en) Gear pump
US4403979A (en) Pulley for positive drive systems
US5454702A (en) Invalute gearset
JPS6257835B2 (ko)
US4427403A (en) Toothed bel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970001193B1 (ko) 톱니벨트 및 그 벨트를 사용한 동력전달장치
US6595603B2 (en) Drive sprocket wheel for a track vehicle
JPS6137489B2 (ko)
EP0368099B1 (en) Toothed belt and means of transmission related thereto
CA1306622C (en) Toothed belt drive
US4468211A (en) Toothed belt manufacture
US6159122A (en) Silent chain
EP0049962B1 (en) Toothed belt and sprocket
US4696665A (en) Pulley for a synchronous drive system comprising a polymeric material toothed-belt and related transmission
US4295837A (en) Synchronous belt drive system
JP2557994B2 (ja) Vベルト
US3969946A (en) Circular side positive drive belt teeth
US20070142151A1 (en) Link plate for a plate-link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