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347B1 -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347B1
KR900001347B1 KR1019850007222A KR850007222A KR900001347B1 KR 900001347 B1 KR900001347 B1 KR 900001347B1 KR 1019850007222 A KR1019850007222 A KR 1019850007222A KR 850007222 A KR850007222 A KR 850007222A KR 900001347 B1 KR900001347 B1 KR 90000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ront wheel
pair
whee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082A (ko
Inventor
마다사로오 사도오
Original Assignee
사도오 마사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도오 마사다로오 filed Critical 사도오 마사다로오
Publication of KR87000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6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Handcart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제1도는 자전차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주요부분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브레이크레버를 조작할때의 제2도에 대응하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차체프레임 Wf : 전륜
Wr : 후륜 Bf : 전륜브레이크
Br : 후륜브레이크 4 : 핸들
L1 :제1브레이크 레버 L2 : 제2브레이크 레버
7, 8 : 제1전동 로우프 20 : 전륜용 제2전동 로우프
31 : 후륜용 제2전동 로우프 33 : 케이싱
43 : 요동판(搖動板)
본 발명은 핸들의 일단에 배치한 제1브레이크 레버의 브레이크 조작에 연동하도록 전륜(前輪)에 전륜 브레이크를 배치하였으며, 핸들의 타단에 배치한 제2브레이크레
종래, 이와 같은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예를 들면 자전차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핸들 우단의 브레이크레버가 브레이크 와이어를 개재하여 전륜브레이크에 연결하고, 핸들 좌단의 브레이크레버가 브레이크와이어를 개재하여 후륜브레이크에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런데 주행중에 급브레이크를 조작하였을때에는 잘듣는쪽의 팔, 즉 오른쪽 브레이크레버의 조작력쪽이 강하여지기 쉽고 전륜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커져서 핸들을 놓친다거나 넘어진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부득이 한쪽손으로 브레이크조작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전륜브레이크만을 건다면 넘어질 염려가 있어서 위험하고, 후륜브레이크만을 건다면 충분히 제동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 놓은 것이며 어느 브레이크레버를 조작하여도, 전,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후륜브레이크를 먼저 작동하고, 다음에 전륜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프레임에 고정된 케이싱내에 기초부를 이 케이싱에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요동판이 수납되었고, 일단을 제1 및 제2브레이크 레버에 각기 따로따로 연결한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의 타단이 요동판에 각기 걸렸으며, 일단을 전륜 브레이크에 연결한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의 타단이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와는 역방향에서 요동판의 기초부 가까이에 걸렸으며, 일단을 후
상술한 구성에 따라, 양브레이크의 어느한쪽 혹은 양쪽을 조작하면, 요동판이 요동하며, 이에 따라서 전륜용 및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가 견인되어서 양브레이크는 작동한다. 그뿐 아니라,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는 요동판의 선단측에 걸려있으므로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는 요동판의 선단측의 걸려있으므로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의 견인량이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의 견인량보다도 크며 따라서, 후륜브레이크편이 먼저 작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넘어짐등의 위험성을 회피하여 항상 충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요동판은 케이싱내에 수납하고 있으므로 우수라거나 진애등에 의하여 요동판의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잇따라서 나중에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하여 질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자전차의 차체프레임(F)의 앞부분에는 전륜(Wf)의 림(1)과의 마찰에 따라 제동력을 얻기위한 전륜브레이크(Bf)가 장치되었으며 차체프레임(F)의 후부에는 후륜(Wr)의 림(2)과의 마찰에 따라 제동력을 얻기 위한 후륜브레이크(Br)를 장치할 수 있다. 또 차체프레임(F)의 앞부분에 있어서의 헤드파이프(3)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핸들(4)의 우단에는, 제1브레이크레버(L1)가 손잡이(5)의 근접 또는 이탈하는 회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었으며, 핸들(4)의 좌단에는 제2브레이크레버(L2)가 손잡이(6)의 근접 또는 이탈하는 회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브레이크레버(L1), (L2)에는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 (7), (8)의 일단이 따로따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전동로우프 (7), (8)은 아우터와이어 (9), (10)안에서 이너와이어 (11), (12)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으며, 그 아우터와이어 (9), (10)의 일단은, 양브레이크 레버 (L1), (L2)를 핸들(4)에 장치하기 위한 장치부재 (13), (14)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 이너와이어 (11), (12)의 일단은 아우터와이어 (9), (10)의 일단에서 돌출하여 브레이크레버 (L1), (L2)에 각기 연결되어 있다. 전륜브레이크(Bf)는 캘리퍼브레이크이며, 전륜(Wf)를 타넘도록하여 차체프레임(F)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한쌍의 작동편(作動片) (15), (16)에 림(1)의 측면에 미끄러지게 접할 수 있는 브레이크고부 (17), (18)를 장치하여 구성한 것이며, 양 작동편 (15), (16)사이에는 탄성부재인 복귀스프링(19)이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전륜브레이크(Bf)에는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는 아우터와이어(21)안에 이너와이어(22)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으며, 아우터와이어(21)의 일단은 한편의 작동편(15)에 연결되었으며, 아우터와이어(21)의 일단에서 돌출한 이너와이어(22)의 일단은 다른편의 작동편(16)에 연결되어 있다. 후륜브레이크(Br)도, 전륜브레이크(Bf)와 마찬가지로 캘리퍼브레이크이며, 브레이크고무 (24), (25)를 장치한 한쌍의 작동편 (26), (27)과 그것들의 작동편 (26), (27)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된 복귀스프링(28)인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후륜브레이크(Br)에는 아우터와이어(29)안에 이너와이어(30)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는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3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즉 아우터와이어(29)의 일단은, 한편의 작동편(26)에 연결되었으며, 아우터와이
헤드파이프(3)에는 헤드램프나 바스켓을 장치하기 위한 L자상 지지부재(32)가 장치되어 있으나 이 지지부재(32)의 상방에는 케이싱이 배설되어 있다. 케이싱(33)은 한쪽을 개방한 상자형상체(34)와 그 상자형상체(34)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나사부재(35)로 착탈할 수 있게 상자형상체(34)에 고착한 덮개부분(36)등으로 되어 있다.
상자형상체(34)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한가닥의 슬릿(37)을 지니고 원통상으로 형성된 장치부(38)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장치부(38)에 헤드파이프(3)를 삽통하여 슬릿(37)의 양단에 설치한 플랜지 (39), (40)를 보울트(41) 및 너트(42)로 좌어부침으로서 케이싱(33)이 헤드파이프(3)에 고정된다.
그 위에 케이싱(33)은 지지부재(32)에 헤드램프나 바스켓을 장치할 수 있는 간극을 지지부재(32)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케이싱(33)내에는 요동판(43)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 요동판(43)의 기초부(43a)는 수평한 지지축(44)을 개재하여 케이싱(33)의 내면에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판(43)은 케이싱(33) 내에서 지지축(44)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 하로 요동이 자유롭다. 케이싱(33)의 상부에는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 (7), (8)에 아우터와이어 (9), (10)의 타단이 고정되었으며, 이것들의 아우터와이어 (9), (10)에서 돌출한 이너와이어 (11), (12)는 케이싱(33)내에 끌려들어간다.
한편, 요동판(43)의 중간부에는 한쌍의 관통구멍 (45), (46)이 병렬하여 천공되어 있고 그것들 관통구멍 (45), (46)을 이동이 자유롭도록 관통한 이너와이어 (11), (12)의 타단에 걸림두부 (47), (48)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걸림두부 (47), (48)와 요동판(43)과의
전륜용 및 후륜용의 제2전동로우프 (20), (31)에 있어서의 아우터와이어 (21), (29)의 타단은 지지부재를 관통하고 관통구멍 (51), (5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케이싱(33)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양 아우터와이어 (21), (29)의 타단에는 돌출하는 이너와이어 (22), (30)는 케이싱(33)안으로 끌려들어가서 하방으로부터 관통구멍 (51), (52)를 관통한다. 즉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의 이너와이어(22)는 관통구멍 (51)을 관통하여 그 타단에 마련한 고정두부(53)가 요동판(43)의 윗면에 걸린다.
또,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31)의 이너와이어(30)는 관통구멍(52)을 관통하여 그 타단에 마련한 고정두부(54)가 요동판(43)의 상부면에 걸린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제4도에 따라 설명하면, 자전차의 주행중에 제동력을 얻으려면 제1 및 제2브레이크레버 (L1), (L2)중의 하나인 제1브레이크레버(L1)를 조작하면, 제1전동로우프(7)에 있어서의 이너와이어(11)가 견인되어 요동판(43)이 지지축(44)을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후륜용 및 전륜용의 제2전동로우프(31), (20)의 이너와이어(30), (22)가 견인되지만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31)의 이너와이어(30)는 요동판(43)의 선단부(43b) 가까이에 걸려져 있으므로 견인량이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의 이너와이어(22)보다도 크다.
따라서 후륜브레이크(Br)가 먼저 작동을 개시하고, 약간 늦게 전륜브레이크(Bf)의 작동이 개시된다. 또, 제4도와는 반대로 제2브레이크레버(L2)를 조작하면 제1전동로
이에 따라, 상기한 제1브레이크레버(L1)의 조작시와 같이 역시, 후륜브레이크(Br)가 먼저 작동을 개시하고, 약간 늦게 전륜브레이크(Bf)의 작동이 개시된다. 이결과 후륜측에서 충분히 제동력을 얻음과 동시에 전륜측에 과대한 제동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넘어지는 위험성을 감소할 수가 있다.
또 제1전동로우프(7), (8)에 있어서의 이너와이어(11), (12)와 요동판(43)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9), (50)이 각기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양 브레이크 레버(L1), (L2)의 한쪽만을 조작하였을 때 다른편에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자전차에 적용하였을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차의 자동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핸들(4)의 일단에 배치한 제1브레이크레버(L1)의 브레이크조작에 연동하도록 전륜(Wf)에 전륜브레이크(Bf)를 배설하였으며, 핸들(4)의 타단에 배치한 제2브레이크레버(L2)의 브레이크조작에 연동하도록 후륜(Wr)에 후륜브레이크(Br)를 배설한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차체프레임(F)에 고정된 케이싱(33)내에, 기초부를 이 케이싱에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요동판(43)을 수납하고 일단을 제1 및 제2브레이크레버(L1), (L2)에 각기 따로따로 연결한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7), (8)의 타단이 요동판(43)에 각기 걸리고, 일단을 전륜브레이크(Bf)에 연결한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의 타단이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7), (8)와는 반대방향에서 요동판(43)의 기초부 가까이에 걸려 있으며, 일단을 후륜브레이크(Br)에 연결한 후륜용 제2전동로우프(31)의 타단이 전륜용 제2전동로우프(20)와 같은 방향에서 요동판(43)의 선단부 가까이에 걸려서 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1전동로우프(7), (8)의 타단과 요동판(43)과의 사이에서 탄성부재가 각기 개재되어 장착되어서 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19), (28)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19850007222A 1985-07-26 1985-09-30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900001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65087A JPS6226184A (ja) 1985-07-26 1985-07-26 車両用ブレ−キ装置
JP85-165087 1985-07-26
JP165087 198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82A KR870001082A (ko) 1987-03-11
KR900001347B1 true KR900001347B1 (ko) 1990-03-08

Family

ID=1580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22A KR900001347B1 (ko) 1985-07-26 1985-09-30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226184A (ko)
KR (1) KR900001347B1 (ko)
CN (1) CN85107536B (ko)
IN (1) IN165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675B2 (ja) * 1989-06-19 1998-06-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の前後輪連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1180558A (ja) * 1999-12-27 2001-07-03 Tokico Ltd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CN101229836B (zh) * 2007-01-26 2012-06-06 曾东荣 安全制动器
CN104443240B (zh) * 2014-12-12 2017-01-04 开封大学 无轮辐无链条齿轮驱动自行车
TWI757903B (zh) 2019-10-07 2022-03-11 美商魯瑪斯科技有限責任公司 源自混合C4s之高純度異丁烷及丁烯-1之共同生產
KR20220018772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1-부텐 및 프로필렌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469A (ja) * 1982-08-11 1984-02-16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S59158586U (ja) * 1983-04-11 1984-10-24 宮田工業株式会社 自転車用ブレ−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5107536B (zh) 1987-08-26
IN165635B (ko) 1989-11-25
JPS6226184A (ja) 1987-02-04
CN85107536A (zh) 1987-03-11
JPH0322355B2 (ko) 1991-03-26
KR870001082A (ko) 198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509A (en) Brake system for bicycles
US4644816A (en) Brake actuator
KR900001347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US4054187A (en) Wheel-brak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870003905Y1 (ko) 자전차용 캘리퍼스 브레이크
EP0148670A3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amplificateur pneumatique de freinage sur un véhicule automobile
US2912072A (en) Brake equalizing system
JPH01202594A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JPH0323394B2 (ko)
US3875818A (en) Brake apparatus for bicycle
JPS61257381A (ja) 自転車用ブレ−キ装置
KR200256543Y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케이블 설치장치
KR0145468B1 (ko) 파킹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US3647015A (en) Steering bar brake-actuating device
JP2663752B2 (ja) チルト機構のハーネス保護構造
JPS62261586A (ja) 自転車用ブレ−キ装置
KR900005009Y1 (ko) 자전차 앞. 뒷바퀴 동시 브레이크장치
KR0135290Y1 (ko) 케이블 가이드 플레이트
KR200151680Y1 (ko) 주차브레이크 작동거리 조정장치
JPS6326998Y2 (ko)
KR0140576B1 (ko) 개선된 주차 브레이크용 이퀄라이저 장착 조립체
JPH0711022Y2 (ja) スクータの盗難防止構造
KR0120686Y1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고정브라켓
JP2753997B2 (ja) 小型車両の速度計取付構造
KR19980044974U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자동 어저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