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206Y1 -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206Y1
KR900001206Y1 KR2019870006537U KR870006537U KR900001206Y1 KR 900001206 Y1 KR900001206 Y1 KR 900001206Y1 KR 2019870006537 U KR2019870006537 U KR 2019870006537U KR 870006537 U KR870006537 U KR 870006537U KR 900001206 Y1 KR900001206 Y1 KR 90000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lower limit
upper limit
limit temperat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289U (ko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6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206Y1/ko
Publication of KR880020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2도중 온도 설정부의 내부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중 하한 온도 설정부의 회로 및 파형도.
제5도는 제2도중 상한 온도 설정부의 회로 및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한 온도설정부 20 : 상한 온도설정부
30 : 구동 표시부 40 : 하한 온도제어부
50 : 상한 온도 제어부
본 고안은 온도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온도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설정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도 제어회로는 온도의 변화를 저항치의 변화 또는 열팽창 계수에 의한 채적의 변화량은 트랜듀스(transduce)를 사용하여 온도 신호 출력으로 변환해서 검출하거나 열전대와 같은 온도에 의한 적은 열기전력의 변화량을 증폭해서 검출하였다.
그러므로 온도 제어회로를 구성함에 소요부품이 많아지고 부피가 커졌을 뿐만 아니라 사용온도 범위에 제한이 있었고 정확도도 뛰어나지 못했으며 동시에 상한치의 온도 이상과 하한치의 온도 이상을 검출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확한 상한치의 온도와 하한치의 온도를 설정하여 일정한 범위내에 드는 온도로 제어 유지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따른 블럭도로서, 하한 온도를 설정하여 하한치 온도의 이상신호 검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한온도 설정부(10)와, 상한 온도를 설정하여 상한치 온도의 이상신호 검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한온도 설정부(20)와, 상기 하한온도 설정부(10) 및 상한 온도 설정부(20)의 출력을 입력하여 이상신호 입력시 스위칭되어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표시부(30)와, 상기 구동표시부(30)의 출력중 하한 이상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하한 온도 제어부(40)와, 상기 구동표시부(30)의 출력중 하한 이상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상한 온도 제어부(50)로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원하는 하한치온도와 상한치온도를 설정한다.
따라서 일정한 상한값과 하한값을 갖는 온도 범위내인 정상상태에서는 하한온도 설정부(10) 및 상한온도 설정부(20)에서는 이상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하한 온도 제어부(40) 및 상한 온도제어부(50)는 온도를 조정하지 않게 된다.
이때 하한온도 설정부(10)에서 이상신호가 검출되면 하한온도 제어신호가 출력하여 구동표시부(30)에 입력되고 구동표시부(30)에서 하한온도의 이상상태를 표시(dis play)하고 제어신호를 하한 온도 제어부(40)에 입력하므로 하한 온도 제어부(40)의 내부 히터(heater)가 가동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항온도 이상시 상한온도 설정부(20)에서 이상신호를 검출하여 상한온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표시부(30)에 입력하면 구동표시부(30)에서 상한온도의 이상상태를 표시하고 CPU에 웨이트(wait)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한 온도제어부(50)로 출력하며 상한 온도제어부(50)의 내부 팬(fan)을 작동하여 내부 온도를 하강시킨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캐패시터(C1), 가변저항(VR1-VR2), 저항(R1-R3), 트랜지스터(Q1)와 온도 판정부(11)로 구성된 하한온도 설정부(10)와 캐패시터(C2-C3), 가변저항(VR3-VR6), 저항(R4-R9), 트랜지스터(Q2-Q3)의 온도판정부(21-22)로 구성된 상한 온도설정부(20)와 저항(R10-R12), 발광다이오드(LD1-LD3) 와 트랜지스터 레이(31)로 구성된 구동표시부(30)와, 다이오드(D1), 다이리스터(Th1-Th2), 릴레이(RLY1), 캐패시터(C4), 히터(H)와 팬(F3)으로 구성된 하한온도 제어부(40)와, 다이오드(D2), 다이리스트(Th3-Th4), 릴레이(RLY2), 캐패시터(C4)와 팬(F1-F2)로 구성된 상한 온도제어부(50)로 구성되며, 제3도는 제2도중 온도판정부(11,21-22)의 내부 회로도이고, 제4(a)도는 제2도중 하한온도 설정부(10)의 회로도이며, 제4도 (B)는 제5(a)도의 출력파형도이고, 제5(a)도는 제2도중 상한 온도 설정부(20)의 회로도이며, 제5(b)도는 제5(a)도의 출력 파형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2,3,4,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온도 설정은 온도 판정부(11,21-22)의 자체 특성이 온도에 1차 비례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므로 외부 입력을 가변하여 정할 수 있다.
하한치를 0℃로 결정할 경우 0℃에서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설정할 수 있다.
0℃에서 출력전압이 2.73V, 1℃증가에 10mv 씩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공급전원(V-)이 온도센서(T)를 통해 연산증폭기(OP)의 비교전압으로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고 기준전압(Vin)이 반전단자에 입력하므로 연산증폭기(OP)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입력과 온도센서(T)에 검출된 비교입력을 비교하여 출력한다.
하한치 온도를 0℃로 설정했을 경우
V+ -Vin = 2.73 (1)이 되도록 기준전압을 설정하고
상한치 온도를 25℃로 설정했을 경우
2.73V +10mv ×25℃ = 2.98V(2)이므로
V+-Vin = 2.98 (3)이 되도록 기준 입력을 설정한다.
따라서 제4(a)도에서 온도 판정부(11)내에 있는 연산증폭기(OP)을 비교기로 응용하면 제4(b)도와 같은 온도 판정회로를 구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OP)의 반전단자 입력(Vin)의 전위를 가변저항(VR2)로 가변하여 입력전압을 설정하면 설정온도보다 고온의 경우는 온도판정부(11)의 출력이 제4(b)도와 같이 "로우"신호가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설정온도보다 저온의 경우 즉 하한온도의 이상신호 감지 시 온도판정부(11)의 출력은 제4(b)도와 같이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 시킨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이 미터단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어레이부(31)의 1번 트랜지스터와 2번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키므로 컬렉터단이 "로우"상태가 되며 발광다이오드(LED1)가 턴온되어 온도하한값이 이상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고 릴레이(RLY1)에 인가되어 스위치의 접정을 A에서 B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히터(H)가 작동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히터(H)가열에 의하여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하한치 이상의 온도 즉 정상상태의 온도로 되며 온도 판정부(11)의 출력은 다시 제4도 (B)와 같이 "로우"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 시키므로 이 미터단으로 "로우"신호가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어레이부(31)를 턴오프시켜 발광다이오드(LP1)의 디스플레이가 중지되고 릴레이의 접정의 B에서 A로 접속되어 히터(H)의 가열도 중지한다.
또한 제5도에서 원하는 상한 설정온도를 가변저항(VR4,VR6)으로 설정하여 놓으면 상한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즉 정상상태의 온도이면 온도 판정부(21-22)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Q3)를 턴온시키고 상한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즉 이상상태의 온도이면 온도 판정부(21-22)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Q3)를 턴오프시켜 트랜지스터(Q2-Q3)의 컬렉터단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트랜지스터(Q2-Q3)의 "하이"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 어레이부(31)의 3-6번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컬렉터단에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 발광다이오드(LD2-LD3)를 구동하여 상한치 온도의 이상이 있음을 말하고 릴레이(RLY2)에 인가되어 스위치의 접정을 C에서 D로 접속하여 팬(F1-F2)을 가동시켜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CPU에 웨이트(Wait) 신호를 출력한다.
온도가 하강하면 온도판정부(21-22)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Q3)를 턴온시켜 트랜지스터 어레이부(31)에 인가되므로 발광다이오드(LD2-LD3)를 턴오프시켜 정상상태임을 알리며 릴레이(RLY2)의 스위치 접점을 D에서 C로 접속하여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CPU의 웨이트(wait)신호를 중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판정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정확하게 산출해 낼 수 있으며 원하는 상한치온도를 미리 설정하여 놓고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하한치 온도를 미리 설정하여 동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어떠한 시스템에서도 최적 온도의 유지와 발열기기등의 적정온도유지등 일정한 온도의 유지제어에 필요한 모든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하한 이상신호 입력시 내부 온도를 상승하는 하한 온도 제어부(40)와, 상한 이상신호 입력시 내부 온도를 하강하는 상한 온도제어부(50)를 구비한 온도 제어회로에 있어서 온도 판정회로의 비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 후 하한 이상신호 감지시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한온도 설정부(10)와, 상한 이상신호 소정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한 온도 설정부(20)와, 상기 하한온도 설정부(10)와 상한 온도 설정부(20)의 소정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하한 온도 제어부(40)와 상한 온도제어부(50)에 재신호를 출력하는 구동표시부(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이 가능한 온도 제어 회로.
KR2019870006537U 1987-04-30 1987-04-30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KR900001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537U KR900001206Y1 (ko) 1987-04-30 1987-04-30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537U KR900001206Y1 (ko) 1987-04-30 1987-04-30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289U KR880020289U (ko) 1988-11-30
KR900001206Y1 true KR900001206Y1 (ko) 1990-02-17

Family

ID=1926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537U KR900001206Y1 (ko) 1987-04-30 1987-04-30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2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29B1 (ko) * 2017-12-05 2018-07-23 주식회사 웰티에스 중앙제어가 가능한 냉방 및 난방 밴드폭 온도제어 장치
KR20190108863A (ko) *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웰티에스 밴드폭 제어 방식을 이용한 피크전력 수요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29B1 (ko) * 2017-12-05 2018-07-23 주식회사 웰티에스 중앙제어가 가능한 냉방 및 난방 밴드폭 온도제어 장치
KR20190108863A (ko) *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웰티에스 밴드폭 제어 방식을 이용한 피크전력 수요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289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39A (en) Non-continuous sensing apparatus for a temperature control
JPS5823570B2 (ja) 液面検出装置
JP6280975B2 (ja) リレーの誤作動検出装置
US20050099163A1 (en) Temperature manager
US4686450A (en) Fluid flow sensor
KR930023800A (ko) 온도센서의 이상 감지회로
KR900001206Y1 (ko)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EP0219984B1 (en) Flow sensing device
KR20000016948A (ko) 히터제어장치
JPH0753438Y2 (ja) ファンモータ駆動回路
JPS62213628A (ja) レンジフ−ドフアンの自動運転装置
KR930006378B1 (ko) 석유연소기의 버너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0146726B1 (ko) 온실용 원격 온도계측회로
KR900005323Y1 (ko)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JPH058664Y2 (ko)
KR890006234Y1 (ko) 전자식 온도 스위칭회로
JPH0743985Y2 (ja) 電気カーペットの制御回路
KR900006044Y1 (ko) 센서를 이용한 환풍기 자동 제어회로
JPS6241543A (ja) レンジフ−ドの自動運転装置
KR100202536B1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버너출력 제어회로
KR940003228B1 (ko)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 및 자기진단방법
KR900003376Y1 (ko) 온도 보상 소자를 이용한 온도감지회로
SU1277071A2 (ru) Терморегул тор
KR200143220Y1 (ko) 자동온도 조절장치
SU1690224A1 (ru) Резистивна электротермическа установка дл негорючих рабочих сре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