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323Y1 -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323Y1
KR900005323Y1 KR2019860008850U KR860008850U KR900005323Y1 KR 900005323 Y1 KR900005323 Y1 KR 900005323Y1 KR 2019860008850 U KR2019860008850 U KR 2019860008850U KR 860008850 U KR860008850 U KR 860008850U KR 900005323 Y1 KR900005323 Y1 KR 900005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ircuit
temperature control
control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568U (ko
Inventor
박종철
조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8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323Y1/ko
Publication of KR880001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블럭도의 일실시예의 구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도제어회로 20 : 더이미스터 단선검지회로
30 : 스위칭 회로 40 : 제어회로
50 : 가열회로부
본 고안은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이미스터 단선을 감지할수 있는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더어미스터 단선검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회로는 제품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하여 용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감지소자(더어미스터)를 사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의 증감에 따라 온도 감지소자자체의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조리기의 온도를 제어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온도 감지기로 가열기의 온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주위 또는 부품의 불량 및 다른 여건에 의하여 더어미스터가 단선되는 경우에는 가열기의 온도 조절이 되지 않아 가열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 감지소자의 단선을 검지하여 이를 제어하는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 검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열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가열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신호와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제어회로와, 상기 온도 감지회로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며 일정신호을 출력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온도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소자 단선 검지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가열되는 가열회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가열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가열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신호와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제어회로(10)와, 상기 온도제어회로(10)에서 출력되는 온도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스위칭동작을 행하며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회로(20)와, 상기 온도제어회로(10)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하여 온도 감지소자의 단선상태를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상기 스위칭회로(20)로 출력하는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30)와, 상기 스위칭회로(20)에서 출력되는 일정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40)와, 상기 제어회로(40)에서 출력되는 펄신호를 입력하여 가열되는 가열회로부(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온도제어회로(10)에서 온도제어신호에 소정의 신호가 스위칭회로(20)와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30)로 각각 출력되면, 상기 스위칭회로(20)는 온도 제어신호에 의해서 일정신호를 제어회로(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회로(20)에서 출력되는 일정신호를 입력한 제어회로(40)은 가열회로부(50)를 구동시킬수있는 펄스를 가열회로부(5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40)에서 출력되는 제어서펄스신호를 입력한 가열회로부(50)는 동작되어 가열되기 시작한다.
이때 온도제어회로(10)내의 온도감지소자가 단선되어 온도제어신호가 증가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소정의 신호가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30)에 입력되면, 상기 단선검지회로(30)는 이를 감지하여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를 스위칭회로(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선검지회로(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한 스위칭회로(20)은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제어회로(40)로 출력하였던 일정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가열회로부(50)는 가열을 중지하게 되어 가열된 온도는 떨어지게 된다.
한편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블럭도의 일실시의 구체회로도로서 거항(R1-R5)와 가변저항(VR1)와 온도감지소자인 더이미스터(TH)와 캐페시터(C1-C2)와 다이오드(Dl)와 비교기(CP1)으로 구성된 온도제어회로(l0)와, 저항(R9)와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된 스위칭회로(20)와, 저항(R6-R8)와 개패시터(C3)와 다이오드(D2)와 비교기(CP2)로 구성된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30)와, 제어회로(40)와 가열회로부(50)으로 구성된다.
지금 전원전압(Vcc)가 저항(Rl)을 통해 입력되면, 저항(R3)과 온도조절용 가변저항(VR1)과 저항(R4)의 합성저항에 의해 저항(R1)을 통한 (C)점의 전압이 저항분압되어 비교기(C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CP1)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2)과 더어미스터(TH)의 온도저항 값에 의해 저항(Rl)을 통한(C)점의 전압이 저항분압되어 입력되어 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설정의 온도는 온도조절용 가변저항(VRl)을 사용하여 저항(R4)과 저항(R3)에 의한 (C)점의 전압을 분압한 전압(분압전압점 B의 전압)이 비교기(CP1)의 기준전압으로 설정한다.
초기 동작시 저항(R2)과 더이미스터(TH)의 합성저항에 의해 비교기(CP1)의 반전단자(-)의 입력점(A)의 전압은 비반전단자(+)에 설정된 온도 전압, 즉, 입력점(B)점의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다.
이때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은 "로우"상태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의 "턴오프"되고 이로인해서 제어회로 일정펄스 신호를 가열회로부(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4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한 가열회로부(50)는 가열되어 진다.
한편 가열회로부(50)의 가열로 기기의 온도가 올라가면 더이미스터(TH)의 감지온도도 상승하며 곧 저항의 변화로 나타낸다.
이때 상기 더이미스터(TH)의 저항치가 온도가 상승함에 낮아지므로 저항(R2)와 더이미스터(TH)에 의해 분압된 전압 즉, (A)점의 전압은 낮아져 비교기(CP1)의 비반전단자(+)에 이미 설정된 (B)점의 전압보다도 낮아지게 되어 비교기(CP1)의 출력은 "하이"상태를 저항(R5)와 캐패시터(C2)에 의해 다이오드(D1)의 애노우드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D1)는 "하이" 상태의 신호를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입력시키어 "턴온"되게 한다.
따라서 제어회로(40)는 가열회로부(50)로 출력하였던 펄스 출력을 중단하고, 이로 인해 가열회로부(50)의 가열은 중단되며 더이미스터(TH)의 온도는 내려가고 그 온도에 따른 저항치의 변화는 상승된다.
따라서 (A)점의 전압이 다시 상승하여 기준전압(B)보다 높게 되면 비교기(CP1)의 출력은 "로우"상태로 되고 출력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제어회로(40)에서는 가열회로부(50)에 펄스를 보내 가열동작을 재개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요구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수 있다.
한편, 비교기(CP2)이 반전단자(-)에는 가열기를 통상 사용시 더이미스터(TH)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이 최대로 될때 저항(R2)와 더이미스터(TH)의 저항값에 의해 (C)점의 저항분압된(A)의 전압보다 약간 전압이 높게 되도록 저항(R5-R7)올 조절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한 전압을 입력한다.
이때 반전단자(-)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준전압을 입력한 비교기(CP2)의 비반전단자(+)에는저항(R2)와 더이미스터(TH)의 저항값에 의해 (C)점의 전압이 저항분압된(A)의 전압을 입력하고, 비교기(CP2)는 입력된 두전압을 비교출력한다.
따라서 통상사용시에는 (D)전압인 기준전압이 비교기(C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A)전압 보다 항시 높으므로 비교기(CP2)의 출력을 항시 "로우"가 출력되어 제어회로(40)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수가 없게 되며 제어회로(40)은 비교기(CP1)의 출력에 의해서만 동작한다.
그러나 더이미스터(TH)가 단선되었을 경우 비교기(C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A)의 전압은 (C)의 전압에 가깝게 되고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전압인 (D)의 전압은 저항(R6)과 저항(R7)에 의한 (C)전압의 분배전압이 인가되어 비교기(CP2)의 출력은 "하이"신호로 나타나게 되어 비교기(CP1)의 출력에 관계없이 제어회로(40)의 출력을 차단시켜 가열회로부(50)에 공급되는 펄스를 못내보내 도록 한다.
따라서 더어미스터가 단선되었을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가열을 할수 없게 되어 더이미스터(TH)의 단선인 경우에는 기기는 과열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다이오드(D1과D2)는 비교기(CP1)과 비교기(CP2)의 출력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도 감지소자를 사용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기의 온도 감지소자의 단선여부를 감지하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온도 감지소자의 단선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 및 화재로부터 탈피를 할수있는 동시에 가열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소정신호를 입력하여 가열되는 가열회로부(50)를 구비한 가열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 감지소자 단선 검지회로에 있어서 가열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가열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신호와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제어회로(10)와, 상기 온도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온도제어신호와 소정신호를 입력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회로(20)와, 상기 온도제어회로(10)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하여 온도 감지소자의 단선상태를 검출하여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30)와, 상기 스위칭회로(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펄스를 상기 가열회로부(50)로 출력하는 제어회로(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 검지회로.
KR2019860008850U 1986-06-24 1986-06-24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KR900005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50U KR900005323Y1 (ko) 1986-06-24 1986-06-24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50U KR900005323Y1 (ko) 1986-06-24 1986-06-24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68U KR880001568U (ko) 1988-03-15
KR900005323Y1 true KR900005323Y1 (ko) 1990-06-15

Family

ID=1925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850U KR900005323Y1 (ko) 1986-06-24 1986-06-24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3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68U (ko)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39A (en) Non-continuous sensing apparatus for a temperature control
KR890003107A (ko) 저가의 비교기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모터 기동회로
KR950010382B1 (ko) 전자렌지를 구비한 냉동 · 냉장고 제어회로
KR930023800A (ko) 온도센서의 이상 감지회로
JPS5856006A (ja) 温度調節器の故障検出方法
KR900005323Y1 (ko)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US5124616A (en) Circuit for driving a load and for producing a signal indicative of the condition of the load
KR840000738A (ko) 글로우 플러그(glow plug)전압 제어회로
KR900001206Y1 (ko) 상, 하한 조정이 가능한 온도제어회로
US5057669A (en) Temperature control circuit having series connected fail-safe control
KR930004431Y1 (ko) 온도센서의 단선 감지회로
KR940008013Y1 (ko) 고주파 유도 가열조리기의 전원차단 안전장치
KR930007784B1 (ko) 더어미스터를 이용한 히터수온 조절회로
KR0123967Y1 (ko) 전원공급장치의 경보회로
KR900000150Y1 (ko) 유도 전동기 가변속 제어장치의 순시정전 재기동 회로
KR970007061A (ko) 가열장치
KR940003228B1 (ko)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 및 자기진단방법
KR910006278Y1 (ko) 펌프운전 제어회로
KR930023803A (ko) 온도센서의 이상 감지회로
KR890008718Y1 (ko)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JPS6019001B2 (ja) 安全制御装置
JPH0615293Y2 (ja) 温度調和装置
KR930003373Y1 (ko) 프라이팬의 히터 온/오프 회로
KR930015284A (ko) 제어기의 출력제한 회로
KR200215078Y1 (ko) 공작기계 전장장치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