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718Y1 -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718Y1
KR890008718Y1 KR2019870002755U KR870002755U KR890008718Y1 KR 890008718 Y1 KR890008718 Y1 KR 890008718Y1 KR 2019870002755 U KR2019870002755 U KR 2019870002755U KR 870002755 U KR870002755 U KR 870002755U KR 890008718 Y1 KR890008718 Y1 KR 890008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temperature
uni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2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273U (ko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2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718Y1/ko
Publication of KR880018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도제어부 20 : 타이머부
30 : 전원부 40 : 순간정전 감지부
50 : 구동부 OP1-OP2: 비교기
IC1: 타이머 VR1: 가변 저항기
TH : 써미스터 G1: 앤드 게이트
D1-D5: 다이오드 ZD1: 제너다이오드
RY1: 릴레이 R1-R15: 저항
C1-C6: 콘덴서 Q1-Q2: 트랜지스터
REG : 레귤레이터 COMP : 압축기(Compressor)
BR1: 부릿지다이오드 TRANS : 트랜스포머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격한 온도변화시 또는 순간정전시 압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안정한 기기동작을 유지할수 있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에는 초기구동시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공기조하기에 있어서는 순간적인 정전이나 급격한 온도변화시 부하에 급격한 전류가 흘러 압축기의 과부하를 초래함으로써 기기동작의 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기기파손의 위험성이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순간정전시 또는 급격한 온도 변화시에 압축기의 동작을 소정기간 지연시킴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하여 안정한 기기동작을 유지할수 있는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도설정기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Thermister)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제어하는 온도제어부와, AC전원전압의 순간정전을 감지하는 순간 정전감지부와, 상기 온도제어부 및 순간정전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일정기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타이머부와, 상기 온도제어부의 출력과 타이머부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여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각 부분의 소정 전원공급을 전원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블럭도로서, 온도설정기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Thermister)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제어하는 온도제어부(10)와, AC 전원전압의 순간정전을 감지하는 순간정전감지부(40)와, 상기 온두제어부(10) 및 순간정전감지부(40)의 출력을 받아 일정시간 동작 지연시켜주는 타이머부(20)와, 상기 온도 제어부(10)의 출력과 타이머부(20)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여 그 결과로써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50)와, 상기 각 부분의 소정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3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회로도로서, 도면중 가변저항기(VR1), 저항(R1-R15), 콘덴서(C1), 써미스터(TH) 및 비교기(OP1)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온도 제어부(10)에 대응하고, 저항(R6-R10), 다이오드(D1-D2), 콘덴서(C2-C3), 트랜지스터(Q1) 및 타이머(IC1)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타이머부(20)에 대응하며, 트랜스포머(TRAMS), 브릿지다이오드(BR1), 다이오드(D4), 콘덴서(C4-C5) 및 레귤레이터(REG)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전원부(30)에 대응하고 저항(R13-R15), 콘덴서(C6), 다이오드(D5), 제너다이오드(ZD1) 및 비교기(OP2)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순간정전감지부(40)에 대응하며, 앤드 게이트(G1), 저항(R11-R12), 트랜지스터(Q2), 다이오드(D3), 릴레이(RY1) 및 압축기(COMP)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구동부(5)에 대응한다.
또한 도면중 +Vcc는 상기 전원부(30)에서 출력되는 고정 전원전압으로써, 상기 각 부분에 공급되어 본 고안의 제어회로를 동작시킨다.
상술한 도면과 구성에 의하여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면중 온도 제어부(10)의 비교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고정저항(R1)(R2) 및 가변저항(VR1)에 의하여 분압되어 설정되는 것으로 온도설정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비교기(OP1)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써미스터(TH)에 의하여 결정되는 전압으로 실내온도 감지용으로 사용한다.
즉 상기 전압비교기(OP1)에서는 가변저항(VR1)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설정온도와 써미스터(TH)에 의하여 결정되는 소정 실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시에만 출력단을 "하이"상태의 출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써미스터(TH)는 부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온도가 높아지면 전압이 감소하고 온도가 낮으면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가변저항기(VR1)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써미스터(TH)의 감지온도가 높으면 상기 비교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반전단자(-)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비교기(OP1)의 출력은 "하이"상태로 출력되어 앤드 게이트(G1)의 일측 입력단에 인가되고 동시에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콜렉터측 전위가 "로우"상태로 되므로 상기 콜렉터측에 접속된 다이오드(D1)는 단락되며, 또한 전원이 정상상태에서는 순간정전감지부(40)의 비교기(OP2)의 반전단(-)에 저항(R13)을 통하여 인가된 전압이 비반전단자(+)에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하여 설정된 전압보다 높기때문에 상기 비교기(OP2)의 출력은 "로우"상태가되어 다이오드(D2)에 인가되므로 상기 다이오드(D2) 또한 단락된다.
따라서 타이머(IC1)의 리셋트단자(MR)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타이머가 동작되어 상기 타이머(IC1)의 출력(OUT)은 "로우"상태를 유지하고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다시 "하이"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출력변화가 지연되는 시간은 상기 타이머(IC1)의 발진부 입력단에 접속된 저항(R8)과 콘덴서(C3)로 되는 소정 시정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타이머(IC1)의 출력(OUT)신호는 소정 지연시간후 "하이"로되어 상이 앤드 게이트(G1)의 일입력단에 인가되므로써 상기 비교기(OP1)의 출력단에 직접 접속된 타입력단의 "하이"로 유지된 신호와 상기 앤드 게이트(G1)에서 논리곱연산한 결과 출력단으로 "하이"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저항(R11)을 통하여 릴레이(RY1) 구동용의 트렌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공급되어 상기 트렌지스터를 "턴온"시키게되며 이에따라 상기 릴레이(RY1)는 구동되어 접점을 접속시켜 줌으로써 압축기(COMP)를 구동하게되고 실내온도는 서서히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COMP)가 계속 구동되는 상태에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비교기(OP1)의 출력은 "로우"상태로 되어 앤드 게이트(G1)의 출력은 "로우" 상태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고 이에따라 릴레이(RY1)는 접점이 단선되어 상기 압축기(COMP)이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실내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아져서 압축기(COMP)의 구동이 요구될시에는 항상 타이머(IC1)의 발진단자에 의하여 결정되는 시상수의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후 구동이 시작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COMP)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AC전원의 순간정전이 발생하면 그 순간 순간정전감지부(40)의 콘덴서(C6)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14)을 통하여 방전되기 시작하여, 비교기(OP2)의 비반전단자(+)에서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전압레벨보다 저항(R13)을 통하여 공급된 반전단자(-)전압이 낮게 떨어질때 상기 비교기(OP2)를 통하여 콘덴서(C2)와 저항(R10)으로된 미분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여 타이머(IC1)의 리셋트 입력단(MR)에 "하이"신호를 입력시키므로 타이머출력(OUT)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전원상태가 정상으로 복구되어 온도 제어부의 비교기(OP1)출력이 "하이"로 출력되더라도 앤드 게이트(G1)의 논리곱연산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상태이므로 압축기 구동릴레이(RY1)가 단선상태로 유지되고 압축기(COMP) 는 정지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그러나 타이머(IC1)의 시정수에 따른 소정지연시간후에는 다시 타이머출력단(OUT)이 "하이"상태로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 상태로 되어 릴레이(RY1)를 접속하므로 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순간정전시 릴레이의 접점이 순간적으로 단속되어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릴지 않도록 일정시간 재시동을 지연시킬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공지조화기 제어회로는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시나 순간정전 발생시에 압축기의 구동을 소정시간 지연시킨후에 수행함으로써 압축기의 순간적인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한 기기동작을 도모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공기조화기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온도설정기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온도와 실온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실내온도를 비교하여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제어부(10)와, AC전원을 입력하여 소정 전원전압(+Vcc)으로 출력하고 동시에 소정모니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부(30)와, 상기 전원부(30)로 부터 소정모니터 전압을 입력하여 상기 모니터 전압의 이상시, 즉 순간정전발생시에 소정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순간정전감지부(40)와, 급격한 온도변화시에는 상기 온도제어부(10)의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지연한후 소정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순간정전시에는 상기 순간정전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지연한후 소정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20)와, 상기 타이머부(20)의 구동신호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KR2019870002755U 1987-03-04 1987-03-04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KR890008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755U KR890008718Y1 (ko) 1987-03-04 1987-03-04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755U KR890008718Y1 (ko) 1987-03-04 1987-03-04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273U KR880018273U (ko) 1988-10-28
KR890008718Y1 true KR890008718Y1 (ko) 1989-11-30

Family

ID=1926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2755U KR890008718Y1 (ko) 1987-03-04 1987-03-04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7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273U (ko) 198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180B1 (ko) 공기조화기의 전류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4175258B2 (ja) 圧縮機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
JPH10136673A (ja) 二速式電動機用制御回路
KR950010382B1 (ko) 전자렌지를 구비한 냉동 · 냉장고 제어회로
US4712053A (en) Servo control for motor having cutoff device for preventing motor from being locked
KR890008718Y1 (ko) 공기조화기 제어회로
JP4148243B2 (ja) 異常検出回路
KR100283898B1 (ko) 인버터 세탁기의 직류링크단 전압감지를 통한 회생제동장치
KR920006045B1 (ko) 순간 정전시 압축기 구동 지연 방법
JPH1020948A (ja) リダンダント型安定化電源装置
JPH0614080B2 (ja) 負荷断線検出装置
KR20010008551A (ko) 과전류 제한회로
KR100423656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워치독 회로
KR100760854B1 (ko) 모터 보호 회로
KR880004088Y1 (ko) 냉방기의 제어 회로
JPH08107697A (ja) Dcファンモータの異常検出回路
KR950003783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출력 제어장치
KR910007046Y1 (ko) 전원 단락시 ac입력 차단 회로
KR940003085Y1 (ko) 전자조리기의 보호회로
KR930003374Y1 (ko) 프라이팬에서의 설정온도 상,하한점 확대 회로
JPH0424954B2 (ko)
KR900005323Y1 (ko) 전자조리기의 온도 제어 및 온도감지소자 단선검지회로
KR940002333Y1 (ko) 전원제어 회로
KR880003190Y1 (ko) 에어콘 제어회로
KR200180639Y1 (ko) 인버터세탁기의 파워모듈 휴즈용단 감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