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161B1 -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 Google Patents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161B1
KR900001161B1 KR1019870000148A KR870000148A KR900001161B1 KR 900001161 B1 KR900001161 B1 KR 900001161B1 KR 1019870000148 A KR1019870000148 A KR 1019870000148A KR 870000148 A KR870000148 A KR 870000148A KR 900001161 B1 KR900001161 B1 KR 90000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
triazole
acid addition
metal salt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139A (ko
Inventor
호워드 쉐버 스티븐
쓰또무 후지모또 테드
Original Assignee
롬 엔드 하스 캄파니
윌리암 이.람버트 3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엔드 하스 캄파니, 윌리암 이.람버트 3세 filed Critical 롬 엔드 하스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 2, 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본 발명은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 2, 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식물 병원균을 억제하는데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365,165호에는 1- 및 4-아릴시아노알킬-1, 2, 4-트리아졸 및 식물 병원균에 대한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고도의 살균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류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미합중국 특허 4,365,165호에 정의된 "아릴"은 (C1∼C4)알콕시 치환 페닐을 의미하고, 이 공보에 기재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어떤 것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1982년 12월에 발행된 미쓰데라 등의 J.Takeda Res. Lev., 41(3/4), 148 153(일본국 특허 J59104367-A와 관련)에는 알파-i-프로필-알파-[(1, 2, 4-트리아졸-1-일)메틸]-알파-(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이 기재되어 있다. 이 화합물은 알콕시 치환된 페닐 아세토니트릴 화합물이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니다. 더우기, 미쓰데라 등은 본 발명과는 다른 것을 가르키고 있다. 그들은 알콕시 치환 페닐, 저급 알킬 치환 시아노 알킬 트리아졸 보다는 할로겐 치환 페닐, 저급 알킬 치환 시아노 알킬 트리아졸을 더 바람직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2-알콕시페닐 화합물이 4-알콕시 페닐 화합물과 비교할 때 월등한 살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예기치 않던 것이다. 더욱이, 2-알콕시페닐 치환 프로판니트릴이 미쓰데라 등의 관점에서 2-할로페닐 치환 프로판니트릴보다 월등하다는 것은 불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종류의 트리아졸 프로판니트릴인 하기 일반식(I)의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 2, 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소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 착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식중, R은 수소, (C1∼C6)알킬 또는 (C2∼C5)알케닐이고 ; R'는 임의 할로겐 치환된 (C1∼C8)알킬, 임의 할로겐 치환된 (C2∼C6)알케닐, (C3∼C6)시클로알킬 또는 (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이며, X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다.)
"알킬"의 용어는 탄소원자가 측쇄 및 직쇄 알킬인 것을 모두 의미한다. 이 용어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네오-펜틸, 이소-펜틸, 헥실, 이소-옥틸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알콕시"의 용어는 히드록시 및 알케녹시 뿐만 아니라 산소원자에 결합된 알킬기로 구성된 기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기는 히드록시 및 (C1∼C6)알콕시이다. 이 용어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콕시기는 히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 -부톡시, 펜톡시, 헥톡시 및 알릴옥시이다.
직쇄 알킬기는 R 및 R'에 모두 바람직하다. R'로 표시되는 알킬기가 측쇄이면, 측쇄는 R'치환제의 알파탄소에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 부가염을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는 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질산 , 황산, 인산 , 요오드산 , 플루오르산, 과염산, p-톨루엔 술폰산, 메탄 술폰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말레산, 옥살산, 푸마르산 및 프탈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하기 일반식(Ⅱ)의 금속염 착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2
(식중, R,R' 및 X는 상기 일반식(Ⅰ)에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주기율표의 ⅡA, ⅠB, ⅡB, ⅥB, ⅤIIB 및 ⅤIII족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이며, X1은 양이온 M과 음이온 X1의 원자가의 합이 0이 되도록 선택된 음이온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양이온은 마그네슘, 망간, 구리 , 니켈, 아연, 철, 코발트, 칼슘, 주석, 카드뮴, 수은, 크롬, 납, 바륨 등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음이온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설페이트, 비설페이트, 퍼클로레이트, 나이트레이트, 나이트라이트, 포스페이트, 카르보네이트, 비카르보네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타르타레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p-톨루엔 술포네이트, 메탄 술포네이트, 모노-또는 디-(C1∼C4)알킬디티오카르바메이트, (C1∼C4)알킬렌 비스디티오 카르바메이트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은 X가 수소이고, R이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가 (C1∼C8)알킬인 일반식(Ⅰ) 및 (Ⅱ)의 화합물,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염 및 착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화합물은 X가 수소이고, R이 (C1∼C3)알킬이며, R'가 (C3∼C5)알킬인 화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X가 5-할로겐이고, R이 메틸 또는 에틸이며, R'가 n-부틸 또는 n-프로필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1. 알파-(2-메톡시페닐)-알파-메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 알파-(2-메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3. 알파-n-부틸-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4. 알파-이소-부틸-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5. 알파-(2-메톡시페닐)-알파-n-펜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6. 알파-(2-메톡시페닐)-알파-이소-펜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7. 알파-n-헥실-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8. 알파-(2-에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9. 알파-n-부틸-알파-(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0. 알파-이소-부틸-알파-(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1. 알파-(2-에톡시페닐)-알파-n-펜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2. 알파-(2-에톡시페닐)-알파-이소-펜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3. 알파-(2-프로폭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4. 알파-n-부틸-알파-(2-프로폭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5. 알파-이소-부틸-알파-(2-프로폭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6. 알파-n-펜틸-알파-(2-프로폭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7. 알파-(2-부톡시페닐)-알파-n-부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8. 알파-n-부틸-알파-(2-펜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19. 알파-n-부틸-알파-(2-메톡시-4-클로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0. 알파-n-부틸-알파-(2-이소-프로폭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1. 알파-(2-알릴옥시페닐)-알파-n-부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2. 알파-n-부틸-알파-(5-클로로-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3. 알파-(5-클로로-2-메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4. 알파-n-부틸-알파-(5-클로로-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5. 알파-(5-클로로-2-에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6. 알파-2-메톡시페닐-알파-4,4,4-트리플루오로부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7. 알파-3-부테닐-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8. 알파-2-에톡시페닐-알파-4,4,4-트리플루오로부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29. 알파-3-부테닐-알파-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30. 알파-2-메톡시페닐-알파-2-프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31. 알파-(2-클로로-2-프로페닐)-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32. 알파-시클로프로필메틸-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비교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C1. 알파-n-부틸-알파-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2. 알파-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3. 알파-n-펜틸-알파-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4. 알파-n-부틸-알파-(2-프루오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5. 알파-n-부틸-알파-(2-클로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6. 알파-n-부틸-알파-(2-메틸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7. 알파-n-부틸-알파-(2-시아노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8. 알파-n-부틸-알파-(3-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9. 알파-n-부틸-알파-(4-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10. 알파-(4-메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11. 알파-n-부틸-알파-(4-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C12. 알파-n-부틸-알파-(2,4-디클로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시료 1∼32와 비교 시료 C1∼C12의 구조는 하기표1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타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본 발명의 화합물은 넓은 스펙트럼의 식물 병원균에 대해 치료, 잔류 및 예방적 항균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전체적 및/또는 접촉 살균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균의 예로는 밀의 흰가루병균(Erysiphe graminis), 벼의 도열병균(Piricularia oryzae), 땅콩의 갈색무늬병균(Cercospora arachidicola), 밀의 붉은 녹병균(Puccinia recondita), 밀의 줄기 녹병균(Puccinis graminis), 보리의 그물무늬병균(Helminthosporium teres), 오이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 벼의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오이의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 포도의 노균병균(Plasmopora viticola), 토마토의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및 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벼의 질병, 특히 벼 도열병에 대해 예기치 않던 월등한 활성을 나타낸다. 이 화합물은 잎 처리를 통해 벼 도열병에 대해 월등한 예방, 치료 및 잔류 활성을 나타낸다. 이 화합물은 또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양호한 전체적 활성을 나타낸다. 잎 처리를 통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잔류 전체 활성 및 초기 활성은 비교 시료를 능가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물 표면 처리를 통한 도열병 및 잎집무늬마름병에 양호한 잔류 활성을 나타낸다.
잎 처리를 통한 벼 도열병에 대한 월등한 활성 및 물 표면 처리를 통한 벼 도열병에 대한 양호한 전체 활성의 배합으로 인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더욱 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교 화합물 보다 월등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트리아졸류는 공지의 합성 경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아졸류는 일반적으로 약 1∼3당량의 트리아졸의 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에 의해 알킬화된 페닐 아세토니트릴 브로마이드(V)를 친핵성 치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없이 또는,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술폭시드(DMSO), N, 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약 0℃∼150℃, 바람직하게는 약 25∼100℃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브로마이드(V)는 염기성 조건(예, 수산화나트륨 또는 칼륨, 수소화나트륨 또는 칼륨, 포타슘 메톡시드 및 포타슘-t-부톡시드)(일반적으로 약 1.1∼2당량)하 DMSO와 수산화나트륨 또는 DMF와 수소화물 및 산화물의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약 0∼150℃, 바람직하게는 약 25∼100℃에서 일반적으로 약 1.1∼2당량의 메틸렌 브로마이드에 의해 알킬화된 페닐 아세토니트릴(IV)을 브로모메틸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알킬화된 페닐 아세토니트릴(IV)은 적당히 치환된 벤질 시아나이드(III)를 강염기(예, 50%(W/W)수산화나트륨 또는 또 다른 금속 알콕시드) 및 촉매(예,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존재하에 일반적으로 약 1∼2당량의 알킬 할라이드R'X'(식중, R'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예를 들면 Cl, Br, I, 토실레이트 또는 메실레이트이다)으로 상전이 알킬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벤질 시아나이드 및 알킬할라이드는 모두 문헌에 공지된 기술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 합성 도식은 하기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5
본 발명의 트리아졸류의 산 부가염은 기술분야에서 주지의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식(I)의 트리아졸을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탄올, 메탄올 등 또는 그의 배합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불용인 등량 또는 과량의 무기 또는 유기산으로 처리한 후, 혼합물을 냉각 또는 증발시켜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적당한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로 재결정될 수 있는 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트리아졸류의 금속염 착화합물은 교반하면서 적당한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에 용해된 화학양론적 양의 금속염을 적당한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에 용해된 일반식(I)의 트리아졸 용액에 적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단순히 교반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일반식(II)의 각 트리아졸의 금속염 착화합물을 수득한다.
금속염 착 화합물은 또한 식물에 분무하기 직전에 적당한 보조제를 함유한 바람직한 양의 용매중에서 화학양론적 양 또는 과량의 금속염 및 일반식(I)의 트리아졸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그대로의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보조제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청정제, 유화제, 수화제, 전착제, 분산제, 점착제, 부착제등일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용매는 극성 용매(예,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및 비양자성 이극성 용매(예, 디메틸 슬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니트로메탄 또는 아세톤)이다.
이들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염 양이온은 칼슘, 마그네슘, 망간, 구리, 니켈, 아연, 철, 코발트, 주석, 카드뮴, 수은, 크롬, 납, 바륨 등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금속염의 반대 이온으로 적당한 음이온(예,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나이트레이트, 퍼클로레이트, 카르보네이트, 바이카르보네이트, 히드로설파이드, 히드록시드,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말레이트, 시트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를 함유하므로, 라세미 혼합물로 존재한다. 이 라세미 혼합물에서 d 또는 l 거울상 이성질체는 d-타르타르산, l-타르타르산, l-킨산 등으로 분별 결정화 하고, d 또는 l거울상 이성질체의 유리 염기를 염기화 및 추출하는 표준방법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화합물은 농업용 살균제로 유용하며, 그 자체로 종자, 토양 또는 잎과 같은 각종 부위에 처리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이들 화합물은 제조된 순수한 형태, 용액 또는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보통 담채에 용해시키거나 살균제로 살포하기에 적당하게 제제화 한다. 예를 들어, 이들 화학제는 수화 분말, 유화 농축물, 분진, 과립제제, 에어로졸, 또는 유동성 유제 농축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이들 제제에서, 화합물은 액체 또는 고체담체로 희석하고, 필요할때, 적당한 표면 활성제를 배합한다.
특히 잎 분무 제제의 경우, 농업적 실시예 따라 수화제, 전착제, 분산제, 점착제, 부착제 등과 같은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는 문헌(John W.Mccutcheon, Inc. publication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술폭시드와 같은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물로 희석한다. 용액의 농도는 약 1∼90%, 바람직하게는 약 5∼50%이다.
유화 농축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화합물을 물에서 살균제를 분산시키는 유화제와 함께 적당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유화 농축물에서 활성 성분의 농도는 보통 약 10∼90%이고, 유동성 유화 농축물에서는 약 75%정도로 높을 수 있다.
분무에 적당한 수화 분말은 화합물을 분산제 및 점토, 무기 실리케이트 및 카르보네이트 및 실리카와 같은 미세하게 분쇄된 고체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수화제 및 점착제를 임의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제제에서 활성성분의 농도는 보통 약 20%∼98%, 바람직하게는 약 40%∼75%이다. 대표적인 수화 분말은 50부의 알파-n 부틸-알파-(2-메톡시페닐)-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45부의 합성침전수화 이산화 실리콘(Hi-Sil 의 상품명으로 시판), 1부의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5부의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또 다른 제제에서는, 상기 수화 분말의 Hi-Sil대신에 카올린형(Barden)점토를 사용하며, 또다른 제제에서는 25%의 Hi-Sil을 합성 소듐 실리콘 알루미네이트(Zeolex' 7의 상품명으로 시판)로 대치한다.
분진은 트리아졸, 그의 거울상 이성질체, 염 및 착화합물을 천연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는 미세하게 분쇄된 불활성 고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물질은 식물 분말, 실리카, 실리케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점토이다. 분진을 제조하는 편리한 방법은 수화 분말을 미세하게 분쇄된 담체로 희석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약 20∼8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분진 농축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약1%∼10%농도로 희석한다.
그의 거울상 이성질체, 염 및 착화합물은 통상의 고-갤론 수력 분무, 저 -갤론 분무, 공기-송풍 분무 및 분진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살균 분무제로 사용될 수 있다. 희석 및 사용비는 사용된 기구의 종류, 목적하는 방법, 시간 및 사용 빈도, 처리될 식물 및 억제될 질병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살균 화합물은 잎 또는 토양 처리할 때 에이커 당 약 0.01∼20파운드의 활성 성분 양으로 사용된다.
종자 보호제로, 종자에 피복되는 화합물의 양은 보통 100파운드의 종자당 약 0.05∼4온스의 활성 성분, 바람직하게는 100파운드의 종자당 0.1~약 1온스의 활성성분이다. 토양 살균제로, 화합물을 1에이커당 약 0.05∼20파운드, 바람직하게는 약 0.02∼10파운드,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3파운드의 활성성분의 비율로 토양에 배합하거나, 잎 표면에 처리할 수 있다. 잎 살균제로, 화합물을 1에이커당 약 0.01∼10파운드, 바람직하게는 약 0.02∼5파운드,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3∼1파운드의 활성성분의 비율로 성장하는 앞에 가한다.
본 발명의 살균제와 배합될 수 있는 살균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 제2철 디메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페르밤), 아연 디메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지람), 망간 에틸렌 비스 디티오카르바메이트(마네브) 및 그의 아연 이온과의 배위 생성물(만코제브), 아연 에틸렌 비스 디티오카르바메이트(지네브), 아연 프로필렌 비스 디티오카르바메이트(프로피네브), 소듐 메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메탐),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티람), 지네브와 폴리에틸렌 티우람 디설파이드와의 착화합물, 3, 5-디메틸-1,3,5-2H-테트라히드로티아디아진-2-티온(다조메트)과 같은 티오카르바메이트 및 그의 유도체 ;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구리염과의 혼합물 ;
(b) 디니트로-(1-메틸헵틸)페닐 크로토네이트(디노카프), 2-s-부틸-4,6-디니트로페닐 3,3-디메틸아크릴레이트-비나파크릴) 및 2-s-부틸-4,6-디니트로페닐 이소프로필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니트로페놀 유도체 ;
(c) N-트리클로로메틸티오 테트라히드로 프탈이미드(캅탄),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폴페트), 2-헵타데실-2-이미다졸 아세테이트(글리오딘), 2-옥틸 이소티아졸-3-온, 2,4-디클로로-6-(O-클로로아닐리노)-s-트리아진, 디에틸프탈이미도 포스포로티오에이트, 4-부틸-1,2,4-트리아졸, 5-아미노-1-[비스(디메틸아미노)포스피닐]-3-페닐-1,2,4-트리아졸, 5-에톡시-3-트리클로로메틸-1,2,4-티아디아졸, 2,3-디시아노-1,4-디티아안트라퀴논(디티아논), 2-티오-1,3-디티오-[4,5-b]퀴녹살린(티오퀴녹스), 메틸1-(부틸 카르바모일)-2-벤즈이미다졸 카르바메이트(베노밀),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티아벤다졸), 4-(2-클로로페닐 히드로 조노)-3-메틸-5-이속사졸론, 피리딘-2-티울-1-옥시드, 8-히드록시 퀴놀린 셀페이트 및 그의 금속염; 2,3-디히드로-5-카르복사닐리도-6-메틸-1,4-옥사티인-4,4-디옥시드, 2,3-디히드로-5-카르복사닐리도-6-메틸-1,4-옥사티인, 알파-(페닐)-알파-(2,4-디클로로페닐)-5-피리미디닐 메탄올(트리아리몰), 시스-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시이미드, 3-[2-(3,5-디메틸-2-옥시시클로헥실)-2-히드록시]글루타르이미드(시클로헥시미드), 데히드로아세트산, 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3a,4,7,7a-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카프타폴), 5-부틸-2-에틸아미드-4-히드록시-6-메틸피리미딘(에티리몰), 4-시클로도데실-2,6-디메틸모르폴린(도데모르프)의 아세테이트, 및 6-메틸-2-옥소-1,3-디티올로[4,5-b]퀴녹살린(퀴노메티오네이트)와 같은 헤테로 고리 구조물 ;
(d) 테트라클로로-p-벤조퀴논(클로라닐), 2,3-디클로로-1,4-나프토퀴논(디클론), 1,4-디클로로-2,5-디메톡시벤젠(클로로네브), 3,5,6-트리클로로-o-아니스산(트리캄바), 2,4,5,6-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TCPN), 2,6-디클로로-4-니트로아닐린(디클로란), 2-클로로-1-니트로프로판, 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PCNB)과 같은 폴리클로로니트로벤젠 및 테트라플루오로 디클로로아세톤과 같은 각종 할로겐화 살균제 ;
(e) 그리세오풀빈, 카스가마이신 및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살균 항생물질 ;
(f) 산화 제1구리, 염기성 염화 제2구리, 염기성 탄산구리, 구리 나프테네이트 및 보르데옥스 혼합물과 같은 구리 기재의 살균제 ;
(g) 트리실라졸, 이소-프로티올란, 프로베나졸, 프로피코나졸, 에디펜포스, o-o-디아소프로필 벤질-티오포스페이트,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베노밀, 티오파네이트 메틸, 메프로닐, 텐시쿠론 및 발리다마이신 A와 같은 기타 벼의 살균제 ; 및
(h) 디페닐, 도데실 구아니딘 아세테이트(도닌),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N-메틸수은-1,2,3,6-테트라히드로-3,6-멘도메타노-3,4,5,6,7,7-헥사클로로프탈이미드 페닐수은 모노에탄올 암모늄 락테이트, p-디메틸아미노벤젠 디아조 소듐 술포네이트,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1-티오시아노-2,4-디니트로벤젠, 1-페닐티오 세미카르바지드, 니켈-함유 화합물, 칼슘 시안아미드, 석회황, 황 및 1,2-비스(3-메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진(티오파네이트 메틸)과 같은 각종 살균제.
본 발명의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화합물은 각종 방법으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넓은 스펙트럼의 살균 활성을 갖기 때문에, 진디, 과수원, 채소 , 곡류, 골프장 및 곡류 저장물에 살균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용도는 농원예의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제안될 것이다.
[실시예]
요약하면, 치환된 벤질시아나이드는 3단계로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합성된다. 벤질 시아나이드는 제1단계에서 3방법 중 한 방법에 의해 알킬화 된다. 알킬화된 페닐 아세토리트릴은 제2단계에서 4방법 중 한 방법에 의해 브로모메틸화 된다. 제3단계에서는 포타슘 트리아졸로 친핵 치환함으로써, 알킬화된 페닐 아세토니트릴브로마이드로부터 알킬화된 트리아졸 프로판니트릴을 합성한다. 제3단계에서, 포타슘 트리아졸을 미리 제조하여 브로마이드에 가하거나, 같은 부의 수산화칼륨, 트리아졸 및 DMSO를 같은 량의 톨루엔에 가하고, 100∼120℃로 2시간동안 가열하여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 후, 등비 수를 제거하고, 새로 제조된 포타슘 트리아졸에 브로마이드를 가한다. 제3방법에서, 포티슘 트리아졸은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DMSO 용매 중에서 탄산 칼륨 및 트리아졸을 반응시킴으로써 그대로 제조된다. 3단계의 요약 및 시료 1∼32의 제조방법은 표2 및 3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실시예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시료11의 재법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에 실시예1, 표2에 기재된 다른 단계의 예 및 문제를 나타낸다. 시료1∼20, 22∼25, 30 및 31의 원소 분석 및 융점은 표 4에 나타낸다. 산소의 양을 모든 시료에서 측정하지는 않았다. 시료21, 26∼29 및 32의 NMR은 표4의 뒤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8
1%계산치(%실측치)
2 ℃
NMR은 시료 21 및 26~32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 21 : NMR : 60MHz(CDCl3) : 1.0-2.2(m, 9H), 4.8-4.9(s, 2H), 4.9-5.4(ABq, 2H), 5.5-6.4(m, 3H), 7.0-7.6(m, 4H) 및 8.0(s, 2H).
시료 26 : NMR : 200MHz(CDCl3) : 1.4-2.8(m, 6H), 4.0(s, 3H), 4.8-5.0(ABq, 2H), 6.9-7.4 (m, 4H) 및 7.8(2개의 s, 2H).
시료 27 : NMR : 200MHz(CDCl3) : 1.9-2.3(m, 3H), 2.5-2.7(m, 1H), 4.0(s, 3H), 4.8-5.1(2개 중복된 d, 4H), 5.6-5.9(m, 1H), 6.8-7.1(m, 2H), 7.3-7.5(m, 2H), 7.8(s, 1H) 및 7.9(s, 1H).
시료 28 : NMR : 200MHz(CDCl3) : 1.2-2.7(m, 6H), 1.4-1.5(t, 3H), 4.0-4.2(ABq, 2H), 4.7-5.0(ABq, 2H), 6.8-7.8(m, 2H), 7.2-7.4(m, 2H) 및 7.8(s, 1H).
시료 29 : NMR : 200MHz(CDCl3) : 1.5-1.6(t, 3H), 1.9-2.4(m, 3H), 2.8-2.9(m, 1H), 4.2-2.2(ABq, 2H), 4.7-5.2(m, 4H), 5.7-5.9(m, 1H), 6.8-7.1(m, 2H) 7.3-7.5(m, 5H) 및 7.9(2개의 s, 2H).
시료 32 : NMR : 200MHz(CDCl3) : 0.3-0.8(m, 4H), 1.8-1.9(dd, 1H), 2.5-2.6(dd, 1H), 4.0(s, 3H), 4.9-5.1(ABq, 2H), 6.9-7.1(m, 2H), 7.3-7.5(m, 2H) 7.7(s, 1H) 및 7.9(s, 1H).
다음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제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알파-(2-에톡시페닐)-알파-n-펜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시료 11)의 제법.
A) 2-(2-에톡시페닐)헵탄니트릴의 제법.
환류 응축기, 온도계 및 적하 깔대기가 장치된 삼구 300ml 플라스크에, 50ml의 디메틸술폭시드(DMSO)에 용해시킨 시판 2-에톡시벤질시아나이드 18.52g(0.15몰)을 채운다. 반응물에 17.6g(0.165몰, 1.1당량)의 1-클로로펜탄을 가한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20ml의 DMSO에 용해시킨 50% NaOH 13.2g(0.165몰)을 20분에 걸쳐 가한다. 약간의 발열 반응이 일어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기체-액체크로마토그래피(GLC) 하면 반응이 92% 완결되었음이 확인된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물을 가한후, 200ml 에테르를 가한다. 산 및 소금물로 세척한 후, 용매를 농축하여 오일을 얻은 다음, 진공(0.5mm에서 160∼165℃)하 증류시켜 15. 82g(47.7% 수율)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NMR : 60MHz(d-CHCl3) : 0.9∼2.0(m, 14H), 3.9∼4.2(ABq, 2H), 4.1∼4.2(m, 1H) 및 6.7∼7.5(m, 4H).
B) 1-브로모-2-시아노-2-(2-에톡시페닐)헵탄의 제법.
환류응축기, 질소입구 ,온도계 및 첨가깔대기가 장치된 200ml 삼구 플라스크에, 3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시킨 60% NaH(2×40ml의 핵산으로 세척) 1.8g(0.045몰, 1.28당량)을 채운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20ml의 DMF에 용해시킨 35% KH(헥산으로 세척하기전 무기오일제거, 가정된 100% KH, 0.035,몰, 1.0당량) 1.41g을 가한다. 반응물에, 25ml의 DMF에 용해시킨 2-(2-에톡시페닐)헵탄니트릴 8.10g(0.0350몰, 1.0당량)을 가한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25ml의 DMF에 용해시킨 CH2Br29.15g(0.0525몰, 1.5당량)을 10분동안 적가한다.
약간 발열반응이 일어나면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후, GLC하면 반응은 80%를 나타낸다. 20ml의 DMF에 용해시킨 100% KH(0.5당량)0.7g을 더 가하고, 20ml의 헥산으로 세척한후, 3.0g의 CH2Br2를 가한다. 반응물을 3시간 더 교반하고, GLC에 의해 완결시킨다. 에테르와 물을 가하고 농축하여 10.97g의 농축오일(97.2%수율)을 수득한다. 이를 결합공정에 직접 사용한다.
C) 알파-(2-에톡시페닐)-알파-n-펜틸-1H-1,2,4-트리아졸-프로판니트릴의 제법.
200ml 단구 플라스크에 10.92g (0.0339몰, 1.0당량)의 1-브로모-2-시아노-2-(2-에톡시페닐)헵탄 및 50ml의 DMSO를 채운다. 반응물에, 50ml의 DMSO에 용해시킨 포타슘 트리아졸(K 트리아졸) 3.99g(0.0374몰, 1.1당량)을 가한다. 실온∼1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12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그의 GLC는 86% 생성물을 나타낸다.
30ml의 물 및 130ml의 에테르를 가함으로써 반응를 중단하고, 소금물로 세척한다.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를 수득하고, 에테르를 가한 후, 냉장고에서 밤새 냉각시킨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4.76g (44.9%)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융점 온도(mpt)79∼80℃.
C18H24N4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계산치) C ; 69.18(69.41), H ; 7.75(7.64), N ; 17.95(17.99), O ; 5.12(5.66).
NMR : 60NHz(d-CHCl3) : 0.8∼2.0(m, 14H), 4.0∼4.5(ABq, 2H), 4.8∼5.2(ABq), 6.8∼7.5(m, 4H) 및 7.9(br s, 2H).
IR(얇은 필름) : 3120(w), 3065(w), 2660(s), 2930(s), 2240(w), 1600(m), 1585(m), 1485(s), 1445(s), 1390(m), 1270(s), 1250(s), 1220(m), 1140(s), 1110(m), 1035(s), 935(m), 960(m), 755(s), 680(s) 및 660(m).
[실시예 2]
벤질시아나이드의 알킬화.
제조된 대부분의 화합물에 대해, NaOH 존재하에 치환된 벤질시아나이드의 알킬화를 수행한다.
실리예1 A)의 방법에 의해 촉매없이 시료8, 10, 11 및 12를 제조한다. 시료중 8개는 촉매 존재하에 알킬화한다. 보통 촉매는 DMSO 또는 톨루엔 용매에 용해시킨 테르라부틸 암모늄 클로라이드(TBACl) 또는 브로마이드(TBABr)이다. 시료3 및 6에서는 용매가 필요하지 않다. DMSO/TBABr은 시료2 및 4에 사용되며, DMSO/TBACl은 시료1, 7 및 19에 사용된다. 시료5에 사용된 용매는 톨루엔이다.
사용된 용도는 보통 35∼55℃이며, 그 후 발열반응은 약 45℃이다. 반응물을 3∼18시간 동안 교반하면, 생성물은 보통 90% 이상 모노알킬화되며, 대부분의 경우 증류되지 않는다.
알킬화의 최종 방법에서는 실온∼50℃에서 DMF에 용해시킨 60% NaH를 사용한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시료는 13, 14, 15, 16, 17, 18, 20 및 21이다. 알킬화에 사용되는할라이드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이다. 브로마이드를 사용하면 반응이 더 빨라지며, NaOH 방법에 의해서는 디알킬화된다.
알킬클로라이드를 사용하면 반응이 더 늦어지며, NaOH에 의해서 90%이상의 모노알킬화가 관찰된다. NaH 의해서도, 클로라이드로 소량의 디알킬화가 일어난다. 브로마이드는 NaOH만 사용하며, 클로로알킬의 NaOH 및 NaH를 사용한다.
촉매는 1∼5%몰 당량으로 사용한다. 1∼3당량의 NaOH(보통은 2∼3당량) 및 1∼2당량의 알킬할라이드를 사용한다. NaH에 대해서는, 보통 1.1∼1.5당량의 염기 및 1.1당량의 알킬할라이드를 사용한다.
[실시예 3]
알킬화된 페닐아세토니트릴의 브로모메틸화.
알킬화된 페닐아세토니트릴의 브로모메틸화를 위해 4가지 다른 조건을 이용하며, 동질화를 위해 모두 CH2Br2를 사용한다. 7시료는 DMSO에 용해시킨 50% NaOH를 사용한다. 나머지 시료는 CH2Br2와의 수소화물염기를 사용한다. 사용된 염기는 NaH 또는 KH 또는 각각의 혼합물이다. 표3은 사용된 시료와 염기를 나타내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3 : 1 NaH/KH이다. 바람직하게는 1.1∼3.0당량, 대표적으로는 2.0당량의 수소화물 및 2∼3당량의 CH2Br2를 사용한다. NaOH의 경우, 보통 2∼3당량의 염기 및 1.5당량의 CH2Br2를 사용한다. 45∼55℃로 발열시킨 후, 40∼50℃에서 2∼4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수행한다.
NaOH의 경우, 공지의 농도를 사용할 때, 반응은 서서히 진행된다. 놀랍게도, 알킬화된 페닐아세토니트릴의 농도를 20% 이하로 유지하고, NaOH를 서서히 가할 때, 반응은 완결된다. 반응물의 희석은 허용될 수 없지만, 반응은 50∼55℃에서 2∼6시간 동안 잘 진행된다.
[실시예 4]
50% NaOH/DMSO를 사용한 1-브로모-2-시아노-2-(2-메톡시페닐)헥산의 제법.
기계적 교반기가 장치된 51 삼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00g(2.46몰, 1.0당량)의 알파-n-부틸-알파-(2-메톡시페닐)핵산니트릴, 2500ml의 DMSO 및 513g의 CH3Br2(2.95몰, 1.20당량)을 채운다. 반응물에 394g(4.92몰, 2.0당량)의 50% NaOH를 3시간 동안 적가한다. 염기를 가할때 반응은 55℃로 발열되며, 가하는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2시간 동안 첨가를 완료한다. 반응은 90%완결되며, 물을 가함으로써 냉각시킨다. 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하여,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한다. 조생성물을 증류시켜 478g의 생성물(66% 수율, 90%)을 수득한다.
무색액체.
NMR : 60MHz(CDCl3) : 0.9-2.6.(m, 9H), 4.0(s, 3H), 3.1-3.5(ABq, 2H) 및 7.0∼7.9(m, 4H).
[실시예 5]
2-알콕시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출발물질로 사용된 2-메톡시 및 2-에톡시 벤질시아나이드는 시판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2-부톡시, 2-펜톡시, 2-이소프로폭시, 2-알릴옥시 및 2-부톡시벤질 시아나이드는 2-히드록시벤질시아나이드로부터 제조된다. 2-프로폭시벤질시아나이드는 2-히드록시벤질알콜로부터 출발하여 다른 일반적 3단계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다른 일반적 3단계의 방법은 에테르 알콜이 먼저 합성되고, 알콜이 시아나이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한번에 한가지의 에테르만이 제조된다.
A) 2-히드록시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및 2-펜톡시벤질시아나이드로 알킬화
단계 1 : 2-히드록시벤질시아나이드의 아세틸화 및 2-아세톡시벤질아세테이트의 제법.
1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40몰(173.8g)의 2-히드록시벤질알콜 및 2.64몰(2.6당량)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채우고, 0.31당량(0.43몰)의 피리딘을 가한다. 피리딘을 적가할 때, 반응은 60℃로 발열되며, 적가 완결시 물중탕에서 50℃로 냉각시킨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2시간 후에 반응이 완결된다. 용매는 로토뱁(rotovap)에서 제거하고, 에테르에 용해시킨 후, 1l의 10% HCL, 2×700ml의 물 및 700ml의 소금물로 세척한다. 에테르를 황산염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280g (96%)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NMR : 90MHz(CDCl3) : 1.73(s, 3H), 1.98(s, 3H), 5.10(s, 2H) 및 7.1∼7.5(m, 4H).
단계 2 : 2-아세톡시벤질아세테이트와 NaCN/DMF의 반응-2-히드록시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2l사구둥근바닥 플라스크에, 900ml의 DMF에 용해시킨 93.6g(0.45몰)의 2-아세톡시벤질아세테이트를 채우고, 48.1g(0.98몰, 2.18당량)의 NaCN을 가한다. 가할 때, 반응이 서서히 60℃로 발열되면,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7ℓ의 물에 붓고, H2SO4로 산성화한 후, 3×500ml의 에테르로 추출한다. 합해진 에테르 추출물을 2×1l의 H2O로 세척하고, 황산염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53g의 베이지색 고체를 수득한다. 고체를 150ml의 뜨거운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후 밤새 방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및 건조시켜 37g(61.8%)의 밝은 오렌지색 고체를 수득한다.
mpt 117∼119℃ NMR : 60MHz(CDCl3) : 3.8(s, 2H), 6.8∼7.4.(m, 4H) 및 9.1∼9.3(br s, 1H).
IR(nujol)cm ; 3300∼3400(br), 2265(s), 1600(s), 1460(s), 1370(s), 1275(s), 1235(s), 1175(m), 1100(m), 1040(w), 940(w), 840(w), 820(w), 770(s) 및 730(m).
단계 3 : 2-히드록시 벤질시아나이드의 알킬화-2-펜톡시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환류 응축기 및 N2입구가 장치된 단구 2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3.3g의 2-히드록시 벤질시아나이드(0.10몰, 1.0당량) 및 21.7g의 무수 K2CO3(0.15몰, 1.5당량)을 채운다. 여기에 50ml의 CH3CN 및 23.6g의 n-펜틸요오다이드(0.12몰, 1.2당량)을 가한다. 50℃에서 1시간 및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하면 반응 혼합물은 76%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면, GLC에 의해 92%생성물이 포함된 것을 알수 있다. 50ml의 물을 가하고, 200ml의 에테르를 가한 후, 30ml의 10% HCL로 산성화한다. 물로 세척, 건조 및 농축시킨 후, 조생성물을 증류하여 11.83g(58.3% 수율)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NMR : 90MHz(CDCl3) : 0.9∼2.0(m, 9H), 3.6(br s, 2H), 3.9∼4.1(t, 2H), 6.8-7.0(t, 2H) 및 7.1∼7.3(t, 2H).
B) 일반적 3단계 방법을 통한 2-프로톡시 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단계 1 : 2-프로폭시벤질알콜의 제법.
2l플라스크에, 700ml의 메틸에틸케톤(MEK)에 용해시킨 301g(2.18몰, 1.0당량)의 무수 K2CO3및 271g(2.81몰, 1.0당량)의 2-히드록시벤질알콜을 채운다. 혼합물을 환류하여 30분간 교반하고, 390g의 (2.29몰, 1.05당량)의 n-프로필요오다이드를 가한다. 혼합물을 환류 하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로 희석하고, 산으로 중화시킨다. 에테르로 추출, 건조 및 농축시킨 후, 358g의 연황색 오일생성물(98% 수율)을 수득한다.
NMR : 60MHz(CDCl3) : 0.9∼1.3(t, 3H), 1.6∼2.3(헥스테트, 2H), 2.8∼3.0(br s, 1H), 3.9∼4.2(t, 2H), 4.7∼4.9(br s, 2H) 및 6.8∼7.3(m, 4H).
단계 2 : 2-프로폭시 벤질클로라이드의 제법
2l의 플라스크에, 750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킨 15g의 피리딘(0.0126몰) 및 316g(1.9몰, 1.0당량)의 2-프로폭시벤질알콜을 채운다. 237g(1.99몰, 1.01당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서서히 적가한다. 가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킨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톨루엔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여 제거한다. 나머지 오일에 물 및 에테르를 가하고, 포화 NaHCO3로 세척한다. 용매를 건조 및 제거하여 367g(100% 수율)의 적색오일을 수득한다.
NMR : 60MHz(CDCl3) : 1.0∼1.4(t, 3H), 1.7∼2.3(헥스테드, 2H), 4.0∼4.3(t, 2H), 4.9(s, 2H) 및 6.9∼7.7(m, 4H).
단계 3 : 2-프로폭시 벤질시아나이드의 제법.
주 ; 이 반응에서 최대의 결과를 얻기 위해, 증류된 클로라이드를 사용해야 한다.
2l의 플라스크에 700ml의 DMSO에 용해시킨 조 2-프로폭시 벤질클로라이드 367g(1.90몰, 1.0당량)을 채운다. 반응물을 물중탕에 의해 냉각시키고, 102g의 시안화나트륨(2.09몰, 1.1당량)을 가하고, 50℃로 가열한다. 발열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반새 교반하고, 물, 묽은 산 및 에테르와 혼합한다. 용매를 증류제거(120∼150℃, 1mm)하여 180g(54% 수율)의 연황색 오일을 수득한다.
NMR : 60MHz(CDCl3) : 1.0∼1.4(t, H), 1.7-2.2(헥스테트, 2H), 3.8(s, 2H), 4.05∼4.3(t, 2H) 및 7.1∼7.7(m, 4H).
[실시예 6]
알파-n-부틸-알파-(5-클로로-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시료 24)의 제법.
교반기, 온도계 및 응축기가 장치된 삼구 3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80ml의 DMSO에 용해시킨 1,2,4-트리아졸 9.1g(0.13몰) 및 무수 K2CO318.1g(0.13몰)을 채운다. 혼합물을 15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다. 반응물을 120℃로 냉각시키고, 22.5g(0.065몰)의 1-브로모-2-시아노-2-(5-클로로-2-에톡시페닐)헥산을 적가한 후, 125℃로 가열한다.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하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낸다. 반응 혼합물을 200ml의 물에 붓고, 2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한다. 혼합물을 200ml의 물 및 200ml의 포화염화나트륨으로 2번 세척한 후, 용액을 건조 및 여과시킨다. 용매를 로토뱁에서 제거하고, 생성물을 고화시킨 후, 헥산으로 용해시키고, 밤새 교반한다. 생성물을 여과 및 건조시켜 17.7g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융점 135∼138℃(81.5% 수율)
C17H21CIN4O의 원소분석 : 이론치(실측치) : C ; 61.32(61.65), H ; 6.36(6.50), N ; 16.81(16.41), O ; 4.81(5.77), Cl ; 10.65(10.62)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각종 질병에 대한 활성을 시험한다. 시험 화합물을 아세톤, 메탄올 및 물에 용해시켜 300ppm∼5ppm의 여러 가지 희석물을 제조한다. 시험을 수행할 때에 따라. 여러 가지 희석물(예, 300, 75, 19, 5 또는 100, 25, 6)을 사용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기계 분무기로 접종일 또는 그 전날 식물에 분무한다. 밑의 흰가루병(WPM)과 벼의 도열병(RB)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밀의 흰가루병(WPM)-에리시페 그라미니스
밀의 묘종 쿨티바르 VICTORY 283을 적색토에서 성장시킨다. 묘종을 6∼7일 방치하고, 사용전에 액체-M 비료를 주어, 시험기간을 통해 왕성한 성장을 촉진시킨다.
진탕포자배양식물에 의해 묘종에 흰가루병 포자를 살포한다. 접종된 묘종의 질병진행을 위해 70℉로 온도가 조절된 방에서 하부관수 트레이에 놓는다.
WPM의 진전은 휘발성 화학물질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포트를 가능한 한 넓게 펼치고, 트레이를 플라스틱 시이트에 의해 용량에 따라 분리한다. 질병의 전개는 접종 후 7∼10일에 % 억제율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벼의 도열병(RB)-피피쿨라리아 오리자에
벼 쿨티바르 M-201의 묘종을 비료가 없는 토양 및 투르프-빌더*(Turf-Builder*)토양/비료를 함유한 2-인치포트에 20∼30℃의 온실에서 14일동안 성장시킨다. 벼 식물은 사용전에 정돈하지 않는다.
접종재는 오트밀 한천(50g 거버**아기오트밀, 20g 박토한천, 10g 박토 덱스트로즈, 100ml 탈이온수)에 시험관 내에서 제조한다. 식물을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의 균사플러그(7∼14일)로 접종한다. 어두운 부분의 바깥쪽을 트랜스퍼에 사용한다. 접종된 플레이트는 일정한 형광하에 실온에서 유지한다.
10∼14일된 피, 오리자에 플레이트를 0.25g소듐올레이트, 2g 젤라틴 및 1000ml탈이온수를 함유한 용액으로 관수시킨다. 플레이트를 고무 폴리세만으로 문질러 분생포자를 발생시키고, 이중의 바탕이 거친 얇은 무명으로 여과한 후, 헤마사이토메타를 사용하여 포자 현탁액을 25000∼30000포자/ml로 조절한다.
포자 현탁액을 손 분무기로 사용하여 2줄의 벼의 반대쪽에 분무한다. 충분히 접종시켜 각 포트의 반대쪽에 토양에서 벼잎의 끝까지 균일하게 살포한다.(약 50ml/50포트). 한번 통과할 때마다 손분무기를 흔들어 현탁액 중에서 용액을 유지시킨다.
접종된 식물은 플라스틱 텐트로 된 온실에 옮기기 전에 즉시 25℃의 습한 캐비넷에 66시간 동안 둔다. 식물을 하부 관수시키거나, 2시간 이상 물에 방치하지는 않는다. 낮동안에는 텐트의 플라스틱면을 열고, 저녁때 닫는다.
온실에서 76시간 방치 후, 식물의 생물검사를 관찰하고, 질병 억제율(접종된 대조군과 비교)을 평가한다.
* 투르프-빌더는 스코트사의 상표이다.
** 거버는 거버사의 상표이다.
시험에 따라 다른 용량비로 화합물을 시험한다. 시험의 결과는 각 화합물의 용량에 따라 표5에 나타낸다. 화합물을 어떤 용량으로 한 번 이상 시험한 경우, 그 평균값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9
* 25ppm에서
[실시예 7]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에 대한 시험관내 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 시료를 독성 한천 시험에 의해 파리쿨라리아 오리자에에 대한 시험관내 활성 시험한다.
EC75값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독성 한천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뜨거운 오토클레이브된 감자 덱스트로즈 한천에 여러 가지로 희석하여 0.1,1,10 또는 100ppm용액을 제조한다. 페트라 디시에서 한천이 고화된 후,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의 균사 플러그 또는 균사 디스크를 한천에 놓고, 실온에서 6 또는 7일 동안 배양한다. 군락의 직경 측정값을 프로비트 분석에 의해 EC75로 전환시킨다.
결과는 표6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0
A=≤0.5
B=〉 .5 및 ≤1.5
C=〉1.5 및 ≤5.0
D=〉5.0 및 ≤10.0
E=〉10.0
[실시예 8]
[벼 도열병 활성]
벼의 도열병 활성(RBP)을 서로 다른 두 가지 경우에서 결정한다. 첫번째, 시험에서, 3인치 포트의 2주된 나토(Nato) 벼를 24온스 "희고 말랑말랑한 치즈"용기에 넣는다. 포트를 시험기간 동안 500ml의 2.5, 5, 10, 20 또는 40ppm살균 용액으로 관수킨다. 1주 후, 식물을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약 25,000 포자/ml)로 접종시킨다. 식물을 23℃의 안개 낀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식물을 습한 텐트의 온실에서 6일동안 배양한다. 확장된 병행의 수를 센다. 각 처리는 약 30식물을 함유한 3포트에 대해 수행한다.
두번째 시험에서, 10일된 벼를 80, 40, 20, 10, 5 및 2.5ppm살균 용액으로 관수시킨다. 온실에서 1주 후, 식물을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 (5×105포자/ml)의 포자 현탁액으로 접종시키고, 21℃에서 안개하에 3일동안 배양한다. 벼를 온실의 습한 텐트에 옮기고, 4일 후 비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한 포자 형성 병해의 발생율을 기준으로 질병의 심한 정도를 평가한다.
5ppm농도에서 두 시험의 결과 및 EC75는 표7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11
1=100% 질병억제
2=〈100% 및 ≥90% 질병억제
3=〈90% 및 ≥80% 질병억제
4=〈80% 및 ≥70% 질병억제
5=〈70% 및 ≥60% 질병억제
6=〈60% 및 ≥50% 질병억제
7=〈50% 및 ≥40% 질병억제
8=〈40% 및 ≥30% 질병억제
9=〈30% 및 ≥20% 질병억제
10=〈20% 및 ≥10% 질병억제
11=〈105 질병억제
2EC75=비처리된 대조식물과 비교해서 75%의 질병이 억제된 경우의 ppm농도
A=〈10
B=〈20 및 ≥10
C=〈40 및 ≥20
D=〈80 및 ≥40
E=≥80
3A"=〈1
B"=〈3 및 ≥1
C"=〈5 및 ≥3
D"=〈10 및 ≥5
E"=〈20 및 ≥10
어떤 특정농도에서 질병 억제율은 시험1에 비해 시험2에서 상당히 높다. 더욱이, 두 시험에서 고농도의 경우는, 시료와 비교시료 사이의 차이는 알아차릴 수가 없다. 이것은 비교 시료의 활성은 갑자기 떨어지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서서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높은 농도에서, 비교 시료 C1, 비치환 페닐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과 비교한다. 사실, 이 비교시료는 덜 바람직한 시료19, 2-메톡시-4-클로로 치환 페닐보다 더 잘 수행된다. 그러나, 시료 19를 상응하는 비교시료 C12,2,4-디클로로치환 페닐과 비교하면, 시료19가 명백히 우세하다.
바람직한 화합물, 시료3은 시험2에서 비교시료보다 월등히 우세하다.
[실시예 9 및 10]
[잎도열병 억제 활성]
벼 또는 물 표면 처리(WST)를 통한 활성 뿐만 아니라 잎처리를 통한 잎도열병 억제 활성을 본 발명의 화합물과 비교시료 중 가장 활성인 비교 시료 C1, 비치환 페닐 화합물에 대해 비교 시험한다.
[실시예 9]
[물표면 처리를 통한 잎도열병 억제 활성]
물표면 처리를 통해 고시히까리 변종의 벼에 때한 3번의 온실시험을 수행하여 잎도열병 억제 활성을 시험한다. 각 시험은 플로트당 1포트로 4번 반복한다. 손 분무기를 사용하여 4kg ai/Ha가 되도록 2.5ml/9cm 직경 포트로 분무한다.
첫번째 시험에서, 온실의 온도는 20∼35℃로 유지하고, 접종실의 온도는 25∼35℃로 유지한다. 두번째 시험에서, 온실온도는 10∼35℃ 및 접종실 온도는 15∼30℃로 유지한다. 시험3 동안의 온도는 23∼33℃에서 유지한다. 습도는 각 시험마다 높게 유지한다.
방제활성은 심한, 중한 및 경한 질병 상태에서 측정한다. 질병상태는 비처리된 대조군의 감염된 잎 면적 퍼센트에 의해 결정한다. 심한 질병 상태는 비처리된 대조군의 25%이상의 감염된 것을, 중한 상태는 12∼25%, 중간 상태는 2∼12% 및 경한 상태는 2% 이하가 감염된 것을 나타낸다.
시험1에서, 질병 상태는 심한 상태이다. 식물의 반은 이식 후 15일에 처리하고, 나머지 반은 이식 후 22일에 처리한다. 모든 식물은 이식 후 29일에 접종시키고, 이식 후 36일에 평가한다.
시험2에서, 질병 상태는 중한 상태이다. 식물의 반은 이식 후 17일에 처리하고, 나머지 반은 이식 후 24일에 처리한다. 모든 식물은 이식 후 31일에 접종시키고, 이식 후 37일에 평가한다.
시험3에서, 질병 상태는 경한 상태이다. 식물의 반은 이식 후 11일에 처리하고, 나머지 반은 이식 후 18일에 처리한다. 모든 식물은 이식 후 25일에 접종시키고, 이식 후 37일에 평가한다.
시험1에서 시험된 벼 묘종은 인공적 접종할 때 이미 벼도열병으로 약간 감염되어 있었다. 천연감염에 의한 증세는 접종실에서 빨리 진전된다. 이식 후 31일에 식물을 평가함으로써 치료 활성을 결정한다. 이것은 접종후 2일째이며, 그 이전에 인공접종의 효과가 육안으로 명백히 관찰된다. 치료 활성을 위한 질병 상태는 적당하다. 결과는 표8a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2
WAT=처리후의 주일수
1=≥99% 질병억제 4=≥75% 및 〈90% 7=≥305 및 〈45%
2=≥96% 및 〈99% 5=≥60% 및 〈75% 8=≥15% 및 〈30%
3=≥90% 및 〈96% 6=≥45% 및 〈60% 9=〈15%
시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덜 바람직한 것보다 더 나은 가장 활성인 비교 시료로 처리한 논에 벼 도열병 시험하면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로 물 표면처리할 때 보다 활성이 적다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10]
[일처리를 통한 잎도열병 억제활성]
비교시료 C1의 방제활성, 치료활성 및 잔류활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과 비교한다. 벼의 고시히까리 변종에 대해 플로트 당 1포트로 4번 반복 시험한다. 유리 분무기를 사용하여 식물에 분무한다.
시험 A, B 및 D는 온실에서 수행하고, 시험 C는 실온에서 수행한다. 온실의 온도는 약 25∼35℃로 유지하고, 습도는 모든 시험에서 높게 유지한다.
시험 A에서 질병 상태는 중간 상태이다. 식물을 이식 후 14일에 처리하고, 이식 후 15일에 접종하며, 이식 후 25일에 평가한다.
시험 B동안의 질병상태는 심한 상태이다. 식물을 이식 후 18일에 처리하고, 이식 후 19일에 접종하며, 이식후 32일에 평가한다.
시험 C의 식물을 심한 질병 상태이다. 식물을 이식 후 28일에 처리하고, 이식 후 30일에 접종하며, 이식 후 37일에 평가한다.
잎처리를 통한 치료 활성은 시험 D에서 결정한다. 질병 상태는 심한 상태이다. 식물을 이식 후 9일에 접종하고, 이식 후 10에 처리하며, 이식 후 20일에 평가한다. 결과는 표8b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13
DAT=치료 후의 일 DBT=치료 후의 일 1-9A=표7a 참고
방제활성인 3시험 중 2시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장 활성인 비교시료 C1보다 명백히 우수하다. 세번째 시험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비교시료 C1보다 높거나 대등하다.
시료4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교시료 1보다 월등 또는 대응한 잎처리 치료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잎처리를 통한 잔류 활성은 비교시료 C1의 잔류 활성보다 명백히 우수하다.
2-알콕시 치환체의 사슬 길이를 메톡시에서 에톡시 내지는 프로폭시로 연장할 때, 잎처리를 통한 벼 도열병 활성은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활성은 프로폭시 사슬 길이에서 최고에 이르며, 부톡시 및 펜톡시 치환 화합물로 사슬 길이가 연장될때 활성은 감소한다.
알콕시 사슬 길이를 메톡시에서 에톡시 내지는 프로폭시로 연장할때, 물 표면처리를 통한 벼 도열병 활성은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므로, 에톡시 및 프로폭시 치환화합물은 잎처리에 바람직한 반면, 메톡시 및 에톡시 화합물은 잎 및 물표면 처리를 통한 균형된 활성에 바람직하다.

Claims (19)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Figure kpo00014
    식중, X는 수소, 플루오르, 염소 또는 브롬이고, R은 수소, (C1∼C6) 알킬 또는 (C2∼C5) 알케닐이며, 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2∼C6) 알케닐, (C3∼C6) 시클로알킬 또는 (C1∼C3) 알킬-(C3∼C6) 시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알킬 및 알케닐 치환체는1∼3할로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가 (C3∼C5)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가 n-부틸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이 (C3∼C4)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R이 프로필이고, R'가 (C3∼C5)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알파-n-부틸-알파-(2-프로폭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R이 메틸이고, R'가 (C3∼C5)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알파-n-부틸-알파-(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0. 제8항에 있어서, 알파-(2-메톡시페닐)-알파-n-프로필-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R이 에틸이고, R'가 (C3∼C5)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알파-n-부틸-알파-(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4. 제1항에 있어서, X가 할로겐이고, R'가 (C2∼C5)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알파-n-부틸-알파-(5-클로로-2-메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알파-n-부틸-알파-(5-클로로-2-에톡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 니트릴로 명명되는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7. 제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가 할로겐화(C1∼C4) 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8. 제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가 비치환 또는 할로겐화(C2∼C5) 알케닐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19. 제1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가 (C3∼C6)시클로알킬 또는 (C1∼C3)알킬-(C3∼C6)시클로알킬인 화합물 및 그의 농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거울상 이성질체, 산 부가염 및 금속염 착 화합물.
KR1019870000148A 1986-01-10 1987-01-10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KR900001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763686A 1986-01-10 1986-01-10
US817,636 1986-01-10
US817636 1986-01-10
US06/936,782 US4895865A (en) 1986-01-10 1986-12-09 Alpha-(2-alkoxyphenyl)-alpha-alkyl-1H-1,2,4-triazole-1-propanenitriles and derivatives
US936,782 1986-12-09
US936782 198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139A KR870007139A (ko) 1987-08-17
KR900001161B1 true KR900001161B1 (ko) 1990-02-27

Family

ID=2712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148A KR900001161B1 (ko) 1986-01-10 1987-01-10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95865A (ko)
EP (1) EP0234683B1 (ko)
KR (1) KR900001161B1 (ko)
BR (1) BR8700030A (ko)
CA (1) CA1277327C (ko)
DE (1) DE3769329D1 (ko)
ES (1) ES2037074T3 (ko)
GR (1) GR30018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4773B (it) * 1986-01-23 1989-03-10 Montedison Spa Azolilderivati fungicidi
GB8728235D0 (en) * 1987-12-02 1988-01-06 Sandoz Ltd Novel azole compounds
US5219876A (en) * 1987-12-02 1993-06-15 Sandoz Ltd. Substituted-cyano-2-[4-(phenyl-ethynyl)phenyl]-1-1 (1H-1,2,4-triazol-1-yl)ethane derivatives
US5223178A (en) * 1990-12-10 1993-06-29 Rohm And Haas Company Use of certain triazoles to protect materials from fungal attack, articles and compositions
US5510493A (en) * 1994-11-14 1996-04-23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alkylation with triazoles
CN101755770B (zh) * 2009-11-03 2012-12-12 深圳诺普信农化股份有限公司 一种以氟啶胺为主要成分的杀菌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165A (en) * 1977-05-19 1982-12-28 Rohm And Haas Company 1 and 4-Arylcyanoalkyl-1,2,4-triazoles and fungicidal use
US4167576A (en) * 1977-10-06 1979-09-11 Rohm And Haas Company Cyanoaralkylheterocyclic compounds
DE2951163A1 (de) * 1979-12-19 1981-07-16 Bayer Ag, 5090 Leverkusen Substituierte triazolylmethyl-tert.-butyl-carbin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pflanzenschutzmittel sowie als zwischenprodukte
EP0052424B2 (en) * 1980-11-19 1990-02-2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Triazole compound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their use as plant fungicides and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061840A3 (en) * 1981-03-30 1983-08-2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Triazole compound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their use as plant fungicides and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A1227801A (en) * 1983-11-10 1987-10-06 Ted T. Fujimoto .alpha.-ALKYL-.alpha.-(4-HALOPHENYL)-1H-1,2,4-TRIAZOLE-1- PROPANENITR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700030A (pt) 1987-12-01
DE3769329D1 (de) 1991-05-23
GR3001819T3 (en) 1992-11-23
EP0234683A1 (en) 1987-09-02
KR870007139A (ko) 1987-08-17
ES2037074T3 (es) 1995-04-01
EP0234683B1 (en) 1991-04-17
CA1277327C (en) 1990-12-04
US4895865A (en) 199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378B1 (ko) 알파-알킬-알파-(4-할로페닐)-1h-1, 2, 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유도체
KR950003999B1 (ko) 알파-아릴-알파-페닐에틸-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US4414210A (en) 2-Hydroxyarylethyltriazole fungicides
US5087635A (en) Alpha-aryl-alpha-phenylethyl-1H-1,2,4-triazole-1-propanenitriles
US4366165A (en) 1 and 4-Arylcyanoalkyl-1,2,4-triazoles and fungicidal use
HU204975B (en) Fung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1-phenyl-2-cyclopropyl-3-azolyl-propan-2-ol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ingredients
JPH0680517A (ja) 殺菌性1,2,4−トリアゾール
US4167576A (en) Cyanoaralkylheterocyclic compounds
US4413003A (en) β-Hydroxyarylethylimidazoles
US4495191A (en) Fungicidal 3-1,2,4-triazol-1-yl-1,2-diaryl-1-halogeno-prop-1-e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4920139A (en) Alpha-alkyl-alpha-(4-halophenyl)-1H-1,2,4-triazole-1-propanenitrile
KR900001161B1 (ko) 알파-(2-알콕시페닐)-알파-알킬-1h-1,2,4- 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 및 그의 유도체
EP0174088B1 (en) Biologically active amide derivatives
HU192005B (en) Fungicid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azolyl-3-pyrazolyl-2-propanol derivatives
US4351839A (en) Fungicidal 2-aryl-2-1-H-azoyl-(alkyl)-gamma-butyrolactones
KR830000082B1 (ko) 1-아랄킬-1,2,4-트리아졸의 제조방법
US5021442A (en) Fungicide azolyl-derivatives
EP0575122A2 (en) Fungicidal (2-aryl-2-substituted) ethyl-1,2,4-triazoles
US4675316A (en) Substituted azoylmethylarylsulfides and derivatives and pesticidal use thereof
JPH0152390B2 (ko)
AU671456B2 (en) Fungicidal and herbicidal triazoles
US5216007A (en) Substituted ethylene imidazole and triazoles
HU199437B (en) Fungicides comprising hydroxyalkyl triazolyl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ingredients
US4259339A (en) Cyanoaralkylheterocyclic compounds
US5192783A (en) 1-aralkyl-1,2,4-triaz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