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39Y1 -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 Google Patents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39Y1
KR900001039Y1 KR2019860020887U KR860020887U KR900001039Y1 KR 900001039 Y1 KR900001039 Y1 KR 900001039Y1 KR 2019860020887 U KR2019860020887 U KR 2019860020887U KR 860020887 U KR860020887 U KR 860020887U KR 900001039 Y1 KR900001039 Y1 KR 90000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point
timer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768U (ko
Inventor
한준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관식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0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039Y1/ko
Publication of KR880011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
본 고안은 작업대상에 설치하는 주행레일에 모우터에 의해 제어상자를 왕복 이동 자재케 하므로서, 제어상자에 부설시킨 토치가 작업물을 절단시키는 것으로, 특히 제어상자가 자동으로 왕복할때 작업물을 예열 및 절단을 행하도륵 하는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단기계에 있어서는 작업물의 예열 및 절단 또는 정지 및 절단 이동시 수동으로 조작하여 각 공정을 행하므로 생산성이 낮고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수동기계를 탈피하고,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어상자(1)의 임의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 (LS1),(LS2),(LS3), (LS4)를 부착하고, 작업대(2) 및 주행레일(3)측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LS1),(LS2),(LS3), (LS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Mg1)(Mg2)(Mg3)(Mg4)를 설치한 다음, 딜레이타이머(T1')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LS1)의 A접점(X0), 타이머(T1')의 B접점(T1'), 우측방향모우터 구동 릴레이(CR4)의 B접점(R4)를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리미트 스위치(LS4)의 A접점(X3), 타이머(T1')의 B접점(T1'), 좌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3)의 B접점(R3)를 접속한다.
우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4)에는 리미트 스위치(LS1)의 A접점(X0) 리미트 스위치(LS2)의 B접점(X1), 타이머(T1')의 A접점(T1'), 내부릴레이(CR12)의 B접점(R12) 및 리미트스위치(LS4)의 B접점(X2)을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보조 릴레이(CR11)의 A접점(R11),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우측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4)의 A접점(R4)을 병렬로 접속한다.
좌측 방향 모우터 구동 릴레이(CR3)에는 리미트 스위치(LS4)의 A접점(X3), 리미트 스위치(LS3)의 B접점(X2), 타이머(T1')의 A점점(T1'). 내부릴레이(CR12)의 B접점(R12) 및 리미트스위치(LS1)의 B접점(X2)을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보조릴레이(CR11)의 A접점(R11), 리미트 스위치(LS3)의 A접점(X2)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좌측 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3)의 A접점(R3)을 병렬로 접속한다.
상기 보조릴레이(CR11)와 보조 릴레이 타이머(T3)를 병렬 접속하고, 이에 연결한 타이머(T3)의 B접점(T3)에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 예열타이머(T2)의 A접점(T2)을 연결하고, 이에 리미트스위치 (LS3)의 A접점(X2), 예열타이머(T2)의 A접점(T2)을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보조릴레이(CR11)의 A접점(R11)을 병렬로 접속하고, 스톱릴레이(CR1)과 내부 릴레이(CR12)및 예열타이머(T2)를 병렬 접속하되, 상기 스톱릴레이(CR1)와 내부릴레이(CR12)일측단에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1)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T2)과 보조 릴레이(CR11)의 B접점(CR11)을 접속하고, 상기 접점(T2)측 내부릴레이(CR12)의 A접점(R12),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0), 리미트 스위치(LS2)의 B접점(X3)를 접속하며, 이에 우측방향모우터 구동 릴레이(CR4)의 A접점(R4),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및 좌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3)의 A접점(R3), 리미트 스위치(LS3) A접점(X3)을 각각 병렬로 접속하고, 상기 접점(R11)우측에 리미트 스위치(LS4)의 A접점(X3)과 우측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4)의 B접점(R4)을 접속함과 동시에, 이에 리미트 스위치(LS4)의 A접점(X3), 좌측 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3)의 B접점(R3)을 병렬 접속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자동GHL로를 선택하는 푸쉬버튼 스위치(PBA)와 모우터(M)사이에 우측 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4)및 좌측 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3)의 각 A저점(R4)(R3), B접점(R4'),(R3')를 접속시켰며, ATJTO는 수동조작 회로를 차단하는 릴레이(CR3)에 의해 동작하는 B접점 연결이다.
그리고, 리리레이 타이머(T1')는 A지점 및 D지점에서 작동하는 타이머로서 작업물(K)의 교체에 걸리는 시간에 맞춰 세팅시켜 놓았으며, 보조 타이머(T3)는B 지점 및 C지점에서 예열뒤에 재출발시 사용되는 타이머이다.
또한 제3도에서 A지점과 B지점 및 C지점과 D지점이 서로 닿는 경우를 배제시킨다.
즉, 리미트 스위치(LS1)과 (LS2)및 (LS3)와 (LS4)가 서로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를 배제시키도록 되어있다.
만일 작업물(K)의 크기가 크면 각 마그네트 위치를 조절시키면 된다.
도면중 SW는 전, 후진 수동스위치, S는 소켓트, C1은 콘덴서, F는 퓨즈, STOP은 스톱릴레이(CR1)의 B접점이다.
K'는 작업물(K)의 절단할 부분, 4는 로치, 5는 작업물 지지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금 현재 A지점과 B지점 사이에 제어상자(1)가 위치할 경우 부터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A지점측의 마그네트(Mg1)에 리미트 스위치(LS1)가 닿아 리미트 스위치(LS1)는 작동하게 되고, B지점측의 마그네트(Mg2)에는 리미트 스위치(LS2)가 닿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일때, 제어상자(1)내의 리미트 스위치(LS1)가 마그네트(Mg1)에 닿아 ON상태로 되고, 리미트 스위치(LS1)의 작동에 의해 이의 A접점(X0)가 온, 딜레이 타이머(T1')의 설정시간 동안 타이머(T1')의 B접점(T1')온 온 상태, 또 우측 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4)는 현재 동작을 하지않으므로 이의 접점(R4')은 온상태로 된다.
이후 릴리이 타이머(T1')의 설정시간 이후가 되면 타이머(T1')의 B접점(T1')은 오프되어짐과 동시에 릴레이(CR4)측에 연결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LS1)의 A접점(X0)은현재 리미트스위치(LS1)가 작동중이므로 온, 리미트 스위치(LS2)의 B접점(X1')은 리미트 스위치(LS1)가 현재 작동하고 있지 않으므로 온, 타히머(T1')의 A접점(T1')은 설정 시간 이후이므로 온이되어, 우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4)가 작동외어 A지점에 D지점측으로 제어상자(1)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릴레이(CR4)의 A접점(R4)은 자기유지 되어 상기 타이머(T1')의 A접점(T1')이 오프되덜도 제어상자(1)는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스톱릴레이(CR1)측의 구동릴레이(CR4)의 A접점(R4)는 상기 릴레이(CR4)의 작동에 따라라 온상태가 되는데, 제어상자(1)가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LS2)가 B지점측의 마그네트(Mg2)에 닿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이 온 되어진다.
이때 예열타이머(T2)의 설정시간 동안 타이어(T2)의 B점(T2)이 은 되고 보조릴레이(CR11)의 B 접점(R11')이 온 상태이므로 스톱릴레이(CR1)가 작동되어 이의 B접점(STOP)이 개방 즉, 오프되므로 제어상자(1)는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B지정에서, 제어상자(1)는 타이머(T2)의 설정시간 동안 정지되면서, 작업물(K)에 토치(4)에 의해 예열을 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제어상자(1)가 정지함에 따라 모우터 구동릴레이(CR4)의 A접점(R4)이 오프되어지게 되는데, 내부릴레이(CR12)의 A접점(R12)이 온,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0')이 온,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이 온되어 릴레이(CR4)의 접점(R4)이 오프되더라도 스톱릴레이(CR1)은 동작된다.
그런데, 상기 동작에서는 리미트 스위치(LS1)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스톱릴레이(CR1)일측하방의 B접점(X0')은 온, 또한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도 온 상태이므로 내부 릴레이(CR12)가 작동되고, 예열타이머(T2)가 작동되며 이 타이머(T2)의 설정시간동안 제어상자(1)가 정지하게 되며 작업물(K)에 예열을 시켜 주게된다.
이때 보조릴레이(CR11)측의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은, 제어상자(1)가 정지된 상태로서 스위치(LS2)가 작동되고 있으므로 온. 예열타이머(T2)의 작동에 따라 이의 A접점(T2)도 온, 보조타이머(T3)의 B접점(T3)온 보조 타이머(T3)의 미동작으로 온이되고 또한, 보조릴레이(CR11)의 A접점(R11)이 자기 유지되면서 온이되므로, 보조 타이머(T1)의 설정시간 이후에는 이의 B접점(T3)이 개방 즉, 오프되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타이머(T2)설정시간 이후에는 스톱릴레이(CR1)측의 타이머(T2)의 접점(T2')이 오프되어 스톱 릴레이(CR1)은 동작을 멍추게 되고. 우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4)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릴레이(CR11)의 작동에 따라, 모우터 구동 릴레이(CR4)측의 A접점(R11)이 보조 타이머(T3)의 설정기간 동안 온되고,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이 온상태이고, 상기와 같이 타이머(T2)의 B접점(T2)이 오프 상태이므로, 내부릴레이(CR12)의 B접점(R12')이 온,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도 온된 상태가되어 우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4)가 작동되어 제어 상자(1)는 D지점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구동릴레이(CR4)의 작동으로 인하여 A접점(R4)이 자기 유지되어 온 상태이므로 타이머(T3)의 실징시간 이후에도 릴레이(CR4)는 작동되어 제어상자(1)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토치(4)에 의해 절단물(K)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상자(1)가 D지점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스톱릴레이(CR1)측의 우측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4)의 (R1)과 리미트 스위치(LS3)의 접점(X2)및 좌측 방향 모우터 구동릴레(CR3)의 접점(R3)와 리미트스위치(LS2)의 접점(X1)이 서로 엇갈리게 비접속되어 있으므로, 제어상자(1)가 A지점에서 D지점으로 이동할경우에는 C지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D지점으로 계속 이동하게 하고, D지점에서 A지점으르 후진할 경우에는 제어상자(1)가 B지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상자(1)는 C지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D지점으로 이동하므로 절단물(4)이 절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상자(1)가 이동하여 D지점으로 이동하면 D지점의 마그네트(Mg4)에 닿은 리미트 스위치(LS4)가 작동되어 스톱릴레이(CR1)측의 리미트 스위치(LS4)의 A접점(X3)이 온되고, 좌측방향 모우터 구동 릴레이(CR3)의 B접점(R3)이 제어상자가 정지상태에서는 온이된 상태이므로 스톱릴레이(CR1)가 작동되어 제어상자(1)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스톱릴레이(CR1)측의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11')은 온, 그러나 리미트 스위치(LS4)가 정지된상태에서 작동중이므로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이 오프가 되어, 내부 FLF레이(CR12)및 예열타이머(T3)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상자(1)가D지정에서 정지하게 되면, A지점에서와 같이 타이머(T1')의 설정시간동안 제어상자(1)가 정지하게 되고, 절단EHLS 절단물(K)을 교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타이머(T1')에 절단물을 교체할 수 있는 설정시간을 셋팅하여 두면, 비숙련자가 절단물만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상자(1)가 D지점에서 정지된 상태이므로, 좌측 방향 모우터 구동릴레이(CR3)측의 리미트 스위치(LS1)의 A접점(X3)은 온, 리미트 스위치(LS3)의 B접점(X2')은 온, 릴레이 타이머(T1')의 A접점(T1')은 설정시간이후에 온, 내부 릴레이(CR12)의 B접점(R12')도 온,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0')도 온 상태이므로 좌측 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3)가 작동되고, 이의 점점(R3)으로 자기 유지되어, 제어상자(1)는 D지점에서 A지점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상자(1)가 이동하여 C지점측의 마그네트(Mg3)에 리미트 스위치(LS3)가 닿게 되면 이의 점점(X2)가 온되고, 스톱릴레이(CR1)측의 구동릴레이(CR3)의 A접점(R3)이 온, 예열타이머(T2)의 B접점(Tz')이 온, 보조릴레이(CR11)의 B접점(R11')도 온이되어 스톱릴레이(CRl)의 작동에 따라 제어상자(1)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스톱릴레이(CR1)의 리미트스위치(LS1)의 B접점(X0')은 이때 온, 리미트스위치(LS4)의 B접점(X3')도 온이되므로 내부릴레이(CR12)및 예열 타이머(T2)가 온이되어 예열 타이머(T2)의 실정기간 동안 절단물(K)을 예열시켜주게 된다.
예열타이머(T2)에 설정된 시간뒤에는 예열타이머(T2)가 온이되게 된다.
이때 제어상자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리미트 스위치(LS3)의 접점(X2)도 온이되고, 타이머(T2)의 A접점(T2)도 역시 온이되므로서 보조타이머(T3)의 B접점(T3')이 온이되며 동시에, 보조릴레이(CR11)가 작동되고, 이에따라 이의 접점(R11)이 자기유지되어 진다.
상기에 있어서 예열타이머(T3)에 의한 설정시간은보조타이머(T3)보다 먼저 온이되고, 보조타이머(T3)가 온이되기전에 오프되게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상자(1)가 C지점에서 예열동작을 하는 동안 보조릴레이(CR11)측의 리미트 스위치(LS3)의 A접점(X2)은 온, 예열 타이머(T2)의 A접점(T2)도 온 보조 타이머(T3)의 B접점(T3')도 온이되어 보조 릴레이(CR11)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이의 접점(R11)도 온이되어 자기유지되고, 자기 유지 시간은 보조 타이머(T3)의 설정시간 동안이다.
그러면 좌측 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3)측의 보조릴레이(CR11)의 A접점(R11)이 온, 리미트 스위치(LS3)의 A점점(X2)도 온, 내부 릴레이(CR12)의 B접점(R12')도 온,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0')도 온이되어 좌측방향모우터 구동릴레이(CR3)가 온이되고, 이의 접점(R3)으로써 자기유지 된다.
그런데, 상기 보조릴레이(CR11) 의 A접 점(R11) 이 보조타이머(T3) 의 설정시간이후에 오프되더라도 상기 접점(R3)의 작 유지에 의해 계속적으로 구동 릴레이(CR3)가 작동되며 제어상자(1)는 C지점에서 A지점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속 제어상자(1)가 이동하여 B지점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시간동안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절단물을 자동적으로 예열시키고 절단시키는 것으로, 생산성향상 및 배숙련자라도 쉽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제어상자(1)의 임의 위치에 리미트스위치(LS1), (LS2), (LS3), (LS4)를 부착하고, 작업대(2) 및 주행레일(3)측에 리미트 스위치(LS1), (LS2), (LS3), (LS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Mg1),(Mg2),(Mg3),(Mg4)를 설치한 다음, 릴레이타이머(T1')에 좌, 우측 방향 모우터 구동 릴레이(CR3)(CR4)를 병렬 접속하되, 우측방향 모우터 구동릴레 이 (CR4) 에 리미트 스위치 (LS1)의 A접점(X0), 리미트 스위치 (LS2)의 B접점 (X1'), 타이머 (T1')의 A접점(T1'), 내부 릴레이(CR12)의 B접점(R12')및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을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보조릴레이(CR11)의 A접점(CR11),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을 접속시키며, 보조 릴레이(CR11)와 보조 릴레이 타이머(T3)를 병렬 접속하고, 이에 연결한 타이머(T3)의 B점점(T3')에 리미트 스위치(LS2)의 A접점(X1), 예열타이머(T2)의 접점(T2)을 연결한 다음, 스톱 릴레이(CR1) 일단에 예열 타이머(T3)의 B접점(T2')과 보조릴이(CR11)의 B접점(R11)을 접속하고, 상기 접점(T2')측에 내부 릴레이(CR12)의 A접점(R12), 리미트 스위치(LS1)의 B접점(X0'), 리미트 스위치(LS4)의 B접점(X3')을 접속하여서되는 가스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KR2019860020887U 1986-12-23 1986-12-23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KR90000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887U KR900001039Y1 (ko) 1986-12-23 1986-12-23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887U KR900001039Y1 (ko) 1986-12-23 1986-12-23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68U KR880011768U (ko) 1988-08-26
KR900001039Y1 true KR900001039Y1 (ko) 1990-02-15

Family

ID=1925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887U KR900001039Y1 (ko) 1986-12-23 1986-12-23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335B1 (ko) * 2003-06-30 2007-10-15 진금수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335B1 (ko) * 2003-06-30 2007-10-15 진금수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68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218A (en) Table-saw guard
KR900001039Y1 (ko) 가스 베벨링 절단기계의 자동화 회로
JPS56154322A (en) Control switch mechanism for actuating openable roof of automobile
US4298114A (en) Control circuit for a press
GB1463752A (en) Deposition welding apparatus
JPS6297004A (ja) 数値制御される移動体の原点復帰制御装置
JPH079146A (ja) アークスタッド溶接機
JPS63228308A (ja) 移動体の原点復帰方法
US2793546A (en) Control means for a multiple operation machine tool
JPH071284A (ja) 工作機械の電源リモート開閉操作装置
KR200158418Y1 (ko) 머시닝센타의 매거진 인덱스 수동제어장치
JP2831700B2 (ja) パルスモータの手動操作制御装置
JPS6220002Y2 (ko)
JPS5454943A (en) Control unit for groove copying in automatic tig welder
KR940001461Y1 (ko) Nc 공작기계의 기준점 자동판별장치
JP3628096B2 (ja) 工作機械の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方法
JP3174111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KR910009510Y1 (ko) 간헐적 절삭유 공급 제어장치
KR920003737Y1 (ko) Nc 공작기계 무인 제어회로
JPS57149065A (en) Torch controller for automatic linear welding machine
KR0173294B1 (ko) 원터치 atc 원점 복귀 방법
KR950009791Y1 (ko) 공구교환위치 제어장치
KR960000103B1 (ko) 극판 절단기
JPS6327906Y2 (ko)
KR900005492Y1 (ko) Nc 공작기계의 주전원 자동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