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896Y1 -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896Y1
KR900000896Y1 KR2019860018518U KR860018518U KR900000896Y1 KR 900000896 Y1 KR900000896 Y1 KR 900000896Y1 KR 2019860018518 U KR2019860018518 U KR 2019860018518U KR 860018518 U KR860018518 U KR 860018518U KR 900000896 Y1 KR900000896 Y1 KR 900000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electrode
electrode plate
dus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514U (ko
Inventor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8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896Y1/ko
Publication of KR880009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제1도면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구성된 전기 집진부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응방전 극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부 대응 방전극부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대한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6.6' : 괘지편
8 : 돌출선 9 : 방전극
11 : 포집 전극부 12 : 대응방전극부
13 : 전기 집진부
본 고안은 공기 청정기의 전기집진부에 관한 것으로, 전기 집진부를 구성하는 방전극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한 전계의 발생으로 포집효율의 증대 효과를 볼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의 전기 집진부는 전기직인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이온으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분진을 대전시켜 분진의 포집 작용을 함과 동시에 깨끗해진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켰던 것으로 그 구성은 제1도와 같이 포집전극판(32)과 가속 전극판(33)이 체결볼트(38)(39)로 케이스(31)내에 고정되어 포집전극부를 형성하였고 방전극(36)상하에 대응방전극(35)을 설치하여 지지대(37)에 조립 고정하여 방전극부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포집 전극부와 대응 방전극부를 결합시켜 전기 집접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집진부에서 대응방전극(35)의 형상이 평면상으로 구성되어 방전극(36)과의 사이에서 약한 전계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어서 방전극부 지지대 내에서 발생하는 이온량은의 관계식에서 Eo(방전극 부위 전계강도)가 약하게 발생 이온량(N)이 적게되고 대진된 분진이 집진부에 끌리는 속도는의 관계에서 N가 작게되어 속도V가 작아지고. 결국포집 효율 N=1-exp(-Vℓ/uh)의 관계에서 V가 작아지고, 결국 포집 효율 N로 작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분진을 포집하는 관계에서 대진된 분진은 포집 전극판의 선단에서만 집중적으로 포짐되어 청소를 자주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 방전극의 상하 공간으로 설치하는 대응방전극판의 상하면에 돌출선을 형성한형 전극판을 조립 및 일체로 형성시켜 방전극을 중심으로 돌출선들이 마주보는 구성을 이루어 대응전극판과 방전극 사이에서 강한 전계를 형성시켜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볼수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으로 분진의 포집 작용을 하는 케이스(1)에는 포집전극판(2)과 가속전극판(3) 이 기존의 구성들과 같이 체결볼트(la)(lb)로 고정되어 있고, 전계를 형성하는방전극부 지지대(4)에는 선형테의 방전극(9)이 고정링(9a)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테로 설치되어 있고. 방전극(9)의 상, 하 공간에는 대응 방전극판(5)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대응방전극판(5) 상, 하면에는형으로절곡되어 중앙에 돌출선(8)이 형성된 전극판(7)을 용접 또는 조립으로 부착하여 방전극(9)올 중심으로 전극판(7)의 돌출선(8)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다.
상기 구성중 전극판(7)을 대응 방전극판(5)에 조립할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제3도와 같이 대응방전극판(5)외면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괘지편(6)(6')을 형성하되. 괘지편(6)(6')을 ㄱ 형으로 절곡하여 대응 방전극판(5)의 상. 하면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괘지편(6)(6')사이에 전극판(7) 양측단부의 고정핀(7a)을 끼워 넣어 조립시킨다.
그리고 전극판(7)을형으로 절곡함에 있어서, 강한 전계의 형성을 위한 돌출선(8)을 절곡 범위를90°∼150°의 범위내에서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포집 전극부(11)후단에서 회전하는 송풍휀(10)에 의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면 코로나 방전으로 이온이 발생하는 대응방전극부(12)에서 공기중의 분진을 대전 시키게 된다.
코로나 방전을 하는 대응방전극부(12)에서는 대응방전 극판(5)의 돌출선(8)에 의해 전계의 강도가 강한 것으로 이는 끝부분이 각(角) 이 진곳에서는 방전극(9)과의 사이에 전류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강한 진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온량도 증대하는 것이다.
상기의 강한 전계로 발생되는 이온량은(N : 발생이온량 eo : 전하량, Ko : 공기 투과 계수, Eo : 방전극부의 전계강도, d : 분진의 입경)의 관계식에서 Eo가 강하게 되어 발생이온량 N은 크게되고 대진된 분진부에 끌리는 속도는(C : 커닝햄 계수, N : 이온 발생량, eo : 전하량, Ep : 포집전극부 진계강도, 공기점성계수, d : 분진입경, V : 분진이 포집전극판에 끌리는 속도)의 관계식에서 N의 값이 크기 때문에 자연적 v도 크게 된다. 이로 인해 포집효율 n=1-exp(-uℓ/uh)(n : 집진효율, v : 분진이 포집 전극판이끌리는 속도, β:포집 전극판의 길이, u : 공기유속, h : 포집 전극판의 간격)의 관계식에서 v가 크게 되어 포집효율 n도 크게되어 분진의 포집 효율이 향상된다.
포집 효율이 향상 되면 공기의 상태가 매우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돌출선(8)을 형성하는 전극판(7)의 내부각(α˚)은 끝이 뾰족할수록 강한 전계가 형성되지단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압력 손실이 크지 않고 방전극(9)과의 불꽃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90。-150。범위내에서 형성시킴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방전극부에서 발생하는 전계의 강도를 절곡되어 튀어나오는 돌출선으로 증가시켜 대응방전극부에서의 하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주고, 상기 효과에 의해 포집 효율을 증대시켜 같은 조건의 기능에서 공기의 오염정도를 현저히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아니라, 분진의 포집상태를 돌출선의 상태로 포집 전극판에서 균일하게 하여 사용 수명연장 효과를 볼수 있어 기기를 자주 청소하지 않아도 공기의 청정 능력을 지속 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포집전극부(11)와 방전극부(12)가 마주 보게 설치하여 공기 청정기의 전기 집진부(13)를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방전극(9)의 상하 공간으로 실치하는 대응 방전극판(5)의 상하면에 절곡각이 90˚-150。범위에서 돌출선(8)을 형성하는형 전극판(7)을 조립 및 일체로 형성시켜 방전극(9)을 중심으로 돌출선(8)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KR2019860018518U 1986-11-26 1986-11-26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KR900000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8U KR900000896Y1 (ko) 1986-11-26 1986-11-26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8U KR900000896Y1 (ko) 1986-11-26 1986-11-26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14U KR880009514U (ko) 1988-07-23
KR900000896Y1 true KR900000896Y1 (ko) 1990-01-31

Family

ID=1925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518U KR900000896Y1 (ko) 1986-11-26 1986-11-26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8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14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034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100786689B1 (ko) 공기 정화기
JPH07108375B2 (ja) 電気集塵機
CN202336389U (zh) 集尘板组件及带有该组件的静电空气净化器
CN107559966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JP2003071321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KR900000896Y1 (ko) 공기 청정기의 대응방전극부
JPH04135661A (ja) 電気集塵器
JP2002136893A (ja) エアクリーナー
JPS6430660A (en) Dust collecting unit
KR900000895Y1 (ko) 공기청정기의 전기 집진부
US3678655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ell for desk or tabletop air purifier
CN110773320A (zh) 一种低功耗烟气净化器
JPS62277164A (ja) 静電式空気清浄機
JPH09327636A (ja) 空気調和機
CN217473793U (zh) 集尘装置和净化设备
JPS6331707Y2 (ko)
JPH0533847U (ja) 空気清浄機
KR100468419B1 (ko) 박막수지판형 1단식 전기 집진장치
JPH019640Y2 (ko)
CN217357403U (zh) 一种轻型蜂巢静电除尘净化器
JP2002028533A (ja) 電気集塵装置
CN215694839U (zh) 一种静电除尘电极板
KR20030077156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KR970020199A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