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253B1 -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 Google Patents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253B1
KR900000253B1 KR1019870002354A KR870002354A KR900000253B1 KR 900000253 B1 KR900000253 B1 KR 900000253B1 KR 1019870002354 A KR1019870002354 A KR 1019870002354A KR 870002354 A KR870002354 A KR 870002354A KR 900000253 B1 KR900000253 B1 KR 90000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wheel
drive shaft
rice transplanter
typ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735A (ko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끼
마사가스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비료를 주는 장치주위의 배면도.
제2도는 비료를 주는 장치 및 모심는 기구주의의 평면도.
제3도는 비료를 주는 장치와 모심는 조의 연결관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도출로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도출부의 종단측면도.
제6도 도출부의 종단면도.
제7도는 2륜 네줄모심은 보행형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제8도는 제1별개의 실시예로서 2륜 두줄모심는 보행형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의 비료를 주는 장치주위의 배면도.
제10도는 제11에 있어서의 비료를 주는 장치근처의 배면도.
제11도는 제2별개의 실시예로서 1륜 두줄모심는 보행형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륜 3 : 엔진
9 : 비료를 주는 장치 10 : 비료탱크
11 : 도출부 14 : 도출로올
15 : 구동축 16 : 본넷트
17 : 밀고 당기는 로드(rod)
본 발명은 모를 심는 작업과 병행하여 심어놓은 모의 근처에 비료를 산포하여 나가는 비료를 주는 장치를 갖춘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비료를 주는 장치를 갖는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형형 이앙기의 일예로서, 예컨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7년 제82126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차륜 상부전후에 비료를 주는 장치를 배치함과 아울러, 엔진에서 모심는 조(爪)에의 전동계의 도중에서 분기된 동력을 체인전동기구에 의하여 비료를 주는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다른 한편 일본실용 신안공보 소화 53년 제21546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비료탱크를 차륜상부 앞편에 배치함과 아울러 벨트에 의하여 비료를 주는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체인전동기구는 , 체인의 말아서 감는 경로의 확보등때문에 비교적 큰 배치공간이 필요하다. 또 비료의 소비에 의하여 모를 심는 작업 전후에서 중량이 크게 변화하는 비료를 주는 장치가 차륜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면 기체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곤란해서 쓰러지기가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점에 착안하여 비료를 주는 장치를 기체 균형면에서 바람직한 위치로 배치함과 아울러 비료를 주는 장치의 구동계를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처음에 기재한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에 있어서, 전후방향 축심 둘레에서 구동되는 도출로올에 의하여 분말입자상태의 비료를 도출하는 비료를 주는 장치의 도출부가 기체측면에서 보아서 상기한 차륜의 회전축심 윗면배치 되어 있다. 상기한 도출부 윗 부분에 설치한 비료탱크의 높이가 그 윗면과 기체 앞부분의 본넷트 윗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도출부의 구동축이 상기한 모심는 기구 윗쪽 부근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모심는 기구와 상기한 구동축이 밀고 당기는 로드로서 연동 연결되어 있어서 모심는 기구의 모를 심는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으며, 그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도출부 및 비료 탱크등으로서 구성된 비료를 주는 장치가 기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차륜 회전 축심에 접근하도록 되므로 차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비료를 주는 장치의 회전 모우멘트가 적게됨과 아울러 중심이 낮아지게 되므로 기체를 전후방향으로 경사하는 변화가 적게 되어서 쓰러지기 어렵게 되는 등 기체균형의 면에서 바람직하며, 비료의 소비에 의한 비료탱크내의 비료증감에 따르는 균형의 붕괴도 적다. 또한 비료를 주는 장치에의 동력전달도 모심는 기구에서 밀고 당기는 로드의 길이가 긴쪽 방향의 왕복운동과 구동축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행하므로 체인전동기구에 비하여 배치되는 공간이 적어도 되므로 소형화되도록 종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비료를 주는 장치에 따르는 균형의 붕괴를 아주 적게 할 수가 있어서 기체의 조종성이 향상하는 것으로 되었다. 따라서 기체의 진행에 따르는 진행속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비료를 주는 것의 산포 상태를 일정하게 보전하기 쉽다. 또, 비료를 주는 장치의 구동계를 소형으로 종합할 수가 있어서 다른 장치에의 구조적 영향이 적게됨과 아울러, 가격면에서도 유리한 구조로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 부분에 주행용의 차륜(2)를 갖춘 전동케이스(1)를 횡 축심(P1)둘레에 요동이 자유자재롭게 부착하여서 기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체 앞부분에 엔진(3)을 갖추고, 기체 뒷부분에 모심는 조(4) 및 모재치대(5)등에 의하여 구성된 네 줄의 모심는 기구와 조종핸들(6)을 갖추며, 또다시 기체 아래 부분에 센터 플로우트(7) 기체 뒷부분 좌우에 사이드 플로우트(8)가 갖추어져 있는 2륜 네 줄 심는 보행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기계는 비료를 주는 장치(9)를 갖추고 있다. 그 비료를 주는 장치(9)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 및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료를 주는 장치(9)는 비료나 종자 벼를 넣는 비료탱크(10)와 여기에 연결된 도출부(11)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기체 가운데의 두 줄 부분은 좌우 차륜(2)의 사이에서 본넷트(16)의 개구부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다른 두출 부분은 좌우차륜(2)의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비료를 주는 장치(9)는 기체측면에서 보아서 차륜(2)의 회전 축심위에 위치하도록 횡 방향 한 줄로 배치되고, 또한 비료탱크(10) 윗면과 본넷트(16) 윗면이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비료를 주는 장치(9)의 도출부(1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4도, 제5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출부 (11)의 기체 전후방향으로 단면이 6각형 형상의 구동축(15)이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옆으로 가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구동축(15)에 도출로올(14)이 부착되었다. 이 도출로울(14)은 상기한 구동축(15)에 일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로올부분(14a), 이 제1로올부분(14a)에 바깥쪽에서 끼워진 제2로올부분(14a) 및 슬리이브(14c)로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제2로올부분(14b)의 돌출부(18a)(18b)가 제1로올부분(14a)의 비료 도출용의 오목한부분(14d)(14e)에 걸어서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서 제2로올부분(14b)을 제1로올부분(14a)과 일체로 회동하도록, 그리고 구동축(15)의 축심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서서히 미끄럼이 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로올부분(14b)의 안쪽에서 원통형상의 슬리이브(14c)가 삽입되고, 제2로올부분(14b)내면과 슬리이브(14c)가 나선구조로서 나사맞춤을 하고 있다. 또한 슬리이브(14c)의 다른쪽 끝과 제1로올부분(14a)과의 사이에는 0링(20)을 개재시키고 있으며, 0링(20)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구동축(15)과 아울러 제1, 제2로올부분(14a)(14b) 및 슬리이브(14c)가 일체로서 회동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슬리이브(14c) 끝부분에 설치된 다이얼(19)에 의하여 0링(20)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슬리이브(14c)를 제1로올부분(14a)에 대하여 회동 조작하면 제2로올부분(14b)이 구동축(15)의 축심 방향으로 전진 후퇴하여 비료 도출용의 오목한부분(14d)(14e)의 용적을 조절 변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출로올(14)을 구동축(15)에 의하여 왕복회동 구동하면, 제6도에 표시한 바와 상기한 오목한부분(14d)내에 들어간 비료가 브러쉬(17)에 의하여 긁어져서 떨어지면서 좌우로 내보내어진다. 또 도출로올(14)을 상하 반회전시켜서 별개조의 오목한부분(14e)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출부(11)의 구동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면 제1도, 제2도,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동축(15)이 뒷쪽으로 향하여 모심는 조 윗쪽부분까지 연장되고 있으며, 차륜(2) 바깥쪽의 두줄분은 구동축(15) 끝부분에 설치된 연결하여 걸어놓는 아암(21)과 모심조(4)가 밀고 당기는 로드(22)를 개재하여 각각 연결되어 걸려있다. 차륜(2)안쪽의 두 줄 분은 연장 돌출된 구동축(15)의 양쪽으로 연결되어 걸려있는 아암(21)과 모심는 조(4)가 밀고 당기는 로드(22)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걸려있다.
모심는 조(4)와 밀고 당기는 로드(22)와의 연결점둘레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 제2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엔진(3)으로 부터의 동력은 전동기구(27)를 개재하여 가운데의 모심는 밋숀(24)으로 전달되어 좌우의 모심는 밋숀(24)에 구분되어 간다. 그리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심는 밋숀(24)의 횡 축심(P2)둘레의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아암(25)의 끝 부분의 모심는 조의 측면에 연결됨과 아울러 모심는 밋숀(24)의 횡 축심(P3)둘레에 요동되는 아암(26)과 모심는 조(4)에서 아래쪽에 연장 돌출된 아암(4a)이 연결되어 걸려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크랭크 아암(25)이 횡 축심(P2)둘레에 회동 구동되면 모심는 조(4)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세를 대략 유지하면서 세로가 긴 타원과 같은 궤적을 통하여 모재치대(5)위의 모를 떼어 내어 심어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아암(26)에서 연장돌출된 아암(26a)과 상기한 밀고 당기는 로드(22)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의 모를 심는 운동에 의하여 밀고 당기는 로드(22)가 길이가 긴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어서 연결하여 걸리는 아암(21)을 개재하여 상기한 구동축(15)이 왕복 회전구동되며, 비료가 배출되어 간다. 즉, 모를 심는 운동과 비료의 도출이 같이 연동되어 가는 것이다. 배출되어온 비료는 호오스(12)를 통하여 홈 만드는 기구 (13)에 의하여 모심는 조(4)의 근처에 만들어진 홈 속으로 보내서 넣어지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2륜 네 줄 심는 보행형 이앙기를 표시하였으나,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2륜 두 줄 심는 보행형 이앙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0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1륜 두 줄 심는 보행형 이앙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지만 그 기입에 의하여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차륜(2)의 앞쪽에 엔진(3), 차륜(2)의 뒤쪽에 모심는 기구를 설치한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에 있어서, 전후방향 축심 둘레에서 구동되는 도출로올(14)에 의하여 분말입자상태의 비료를 도출하는 비료를 주는 장치(9)의 도출부(11)가 기체 측면에서 보아서 상기한 차륜(2)의 회전 축심 위쪽에 배치되어있는 상기한 도출부(11) 윗부분에 설치한 비료탱크(10)의 높이가 그 윗면과 기체앞부분의 본넷트(16)윗면이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도출부(11) 구동축(15)이 상기한 모심는 기구 윗쪽 근처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모심는 기구와 상기한 구동축(15)이 밀고 당기는 로드(22)로서 연동 연결되어 있어서 모심는 기구의 모심는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축(15)을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KR1019870002354A 1987-01-14 1987-03-16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KR900000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905 1987-01-14
JP???62-6905 1987-01-14
JP62006905A JPS63177714A (ja) 1987-01-14 1987-01-14 施肥装置付歩行型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35A KR880008735A (ko) 1988-09-13
KR900000253B1 true KR900000253B1 (ko) 1990-01-24

Family

ID=1165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354A KR900000253B1 (ko) 1987-01-14 1987-03-16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77714A (ko)
KR (1) KR900000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24U (ko) * 1987-06-30 1989-01-13
JPH0742264Y2 (ja) * 1987-07-04 1995-10-0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施肥装置付歩行型田植機
JP2551120B2 (ja) * 1988-10-12 1996-11-06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装置付き苗移植機
JPH0497517U (ko) * 1991-08-27 1992-08-24
JPH0740817B2 (ja) * 1991-09-04 1995-05-10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機付き歩行型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918A (ja) * 1985-06-12 1986-12-16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施肥苗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35A (ko) 1988-09-13
JPS63177714A (ja) 198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3208Y (zh) 自动选点施肥器
CN115067029B (zh) 一种可变间距调节的玉米大豆复合种植播种机
KR900000253B1 (ko) 비료를주는 장치가 부착된 보행형 이앙기
CN107258168A (zh) 一种精量播种机构及具有该机构的播种机
CN112243640A (zh) 一种农地种植用种子播种机
CN112640628B (zh) 一种农业种植用播种机
CN110800407A (zh) 一种多功能大葱双行移栽机
CN211671263U (zh) 一种当归种植用挖掘装置
CN207151146U (zh) 花生播种机定距排种装置
JP5217419B2 (ja) 移植機
CN2109060U (zh) 播种机
CN208638947U (zh) 一种苗木种植用播种装置
JP2011067136A (ja) 苗移植機
CN2401007Y (zh) 点种穴播器
CN216362518U (zh) 一种简易播种器
CN212211899U (zh) 一种林木培育播种装置
CN2273950Y (zh) 一种手扶拖拉机半悬挂播种机
CN109661874B (zh) 一种电动排种器、播种机
CN212992998U (zh) 一种农业种植用便于携带的种子播种器
CN213127066U (zh) 一种方便使用的黄花播种装置
CN207369571U (zh) 一种园林绿化用的播种机
CN207219381U (zh) 农用轻型旋耕施肥精量播种机驱动轮安装结构
JP4348497B2 (ja) 複数条植え式苗移植機
CN2810136Y (zh) 柔性凸耳式精量变量排种器
CN212138329U (zh) 一种用于藜麦种植的播种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