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246Y1 - 방재(防災) 혼(Horn) - Google Patents

방재(防災) 혼(Ho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246Y1
KR900000246Y1 KR2019850008085U KR850008085U KR900000246Y1 KR 900000246 Y1 KR900000246 Y1 KR 900000246Y1 KR 2019850008085 U KR2019850008085 U KR 2019850008085U KR 850008085 U KR850008085 U KR 850008085U KR 900000246 Y1 KR900000246 Y1 KR 900000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contact portion
housing
lid
disast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63U (ko
Inventor
다까도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고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고지마 요시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고지마 요시가스 filed Critical 고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6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prevention of tampering with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재(防災) 혼(Horn)
제1도는 종래의 방재혼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방재혼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변형예인 탬퍼스위치를 통합한 방재혼의 횡단면도.
제4도는 탬퍼스위치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변형예인 탬퍼스위치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0a : 방재혼 21 : 본체
22 : 케이싱부 22a : 케이싱부의 다른쪽끝
24 : 외부혼 26 : 중간혼
28 : 연결부 30 : 음향 발생 유니트
30b : 내부혼 32 : 뚜껑
36 : 탬퍼스위치 38 : 관형부(管型部)
40 : 하우징 42 : 안내로드
44 : 플런지 46 : 압축코일스프링
48 : 접촉요소 50,52 : 접촉판
50a,52b : 접촉부
본 고안은 화재경보기 혹은 도난경보기와 같은 방재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방재혼(10)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벽(12a)과 개구단을 보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혹은 알루미늄으로 주조된 케이싱(12)과, 제1혼(14a)을 보유함과 아울러 케이싱(12)에 장착된 음향발생유니트(14), 제1혼(14a)에 대하여 둘러쌓도록 나사(13)에 의해서 음향발생 유니트(14)의 기부(基部)(14b)에 고정부착된 제2혼(16), 및 기부(14b)와 그 반대쪽 끝에 케이싱(12)의 내주면과 맞물리는 나사(15)에 의해서 기부(14b)에 고정부착된 제3혼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음향발생유니트(14)는 다이나믹 스피이커의 형태이다.
케이싱(12)의 끝벽(12a)은 음향 발생유니트(14)에 의해서 발생된 음향을 케이싱(12)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2b)을 보유하고 있다.
뚜껑(17)은 케이싱(12)의 개구단에 부착되고, 음향 발생유니트(14)의 기부(14b)는 나사(19)에 의해서 뚜껑(17)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음향발생유니트(14), 제2와 제3혼(16)(18) 및 케이싱(12)은 나사(13), (15)와 (19)에 의해서 서로 관련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방재혼(10)은 부분품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견고하게 함께 접속시키지 않으면 방재혼(10)에 외부힘이 심하게 주어졌을때 손상된다고 하는 결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게다가 종래 방재혼(10)의 조립체는 이러한 분리된 부분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증가된 기계적 강도를 보유함과 아울러, 손쉽게 빨리 조립할수 있는 형태의 방재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방재혼은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하는 케이싱부,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케이싱부에 배치된 그 한쪽끝이 상기한 케이싱부에 연결되는 제1혼, 거기에 간격을 둔 상기한 제1혼에 배치된 대체로 컵모양의 제2혼, 상기한 제1혼과 체2혼사이에서 그것과 함께 접속되도록 뻗어나간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성형본체와, 상기한 제1혼의 다른쪽끝에 고정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케이싱부에 배치된 음향발생유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방재혼(20)은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하는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케이싱부(22)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으로 주조된 부분성형 본체(21), 케이싱부(22)의 한쪽끝에 접속된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함과 아울러 동축으로 케이싱부(22)에 배치되는 횡단면이 원형인 외부혼(24) 및 동축과 방사상으로 간격을 둔 외부혼(24)에 배치되는 횡단면이 원형인 컵모양의 중간혼(26)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외부와 중간혼(24)(26)은 그 사이에서 동일 원주의 간격을 두고 뻗어나가는 4개의 연결부(28)에 의해서 함께 접속되며, 그 연결부(28)는 판의 형태로서 본체(21)의 축에 따라서 배치된다.
다이나믹스 스피이커의 형태인 음향발생유니트(30)는 케이싱부(22)내에 장착되고, 기부(30a)와 그 기부(30a)에서 중간혼(26)으로 뻗어나가는 내부혼(30b)을 포함한다.
케이싱부(22)의 한쪽끝으로부터 떨어진 외부혼(24)의 개구단은 나사 혹은 접착물과 같은 적당한 고정부착수단에 의해서 음향발생 유니트(30)의 기부(30a)에 고정부착된다.
뚜껑(32)은 나사(도면 표시하지 않았음)에 의해서 케이싱부(22)의 다른쪽끝(22a)에 제거할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부분 성형 본체(21)는 성형 합성수지로서 만들수 있다.
방재혼(20)을 조립함에 있어서, 음향발생유니트(30)는 먼저 케이싱부(22)내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 다음에 뚜껑(32)은 케이싱부(22)의 다른쪽끝(22a)에 부착된다.
따라서 케이싱부(22), 외부혼(24) 및 중간혼(26)은 단일구조를 형성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재혼(20)은 매우 손쉽게 또한 빨리 조립할수 있다.
그리고 이 단일 구조는 부분품이 적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1)에 증가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한다.
제3도는 승인받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 벽(W)으로부터 방재혼(20a)의 제거를 탐지하기 위한 탬퍼스위치(36)을 제공한 점에서 제2도의 방재혼(20)과 다른 변형된 방재혼 혹은 도난경보기(20a)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탬퍼스위치(36)는 이후에 충분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그것을 작동시키기 위한 음향발생유니트(30)에 전기적(電氣的)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싱부(22)의 다른쪽끝(22a)은 두껍게 되어 있고 내주리세스(22b)를 보유한다.
뚜껑(32)은 둘레벽(32b)을 보유하는 정사각형의 판(32a)을 구성하여서 리세스(22b)에 수용된다.
다수의 보스(32c)는 판, (32a)의 외면에 형성되고, 그 보스(32c)는 벽(W)에 뚜껑(32)을 부착시키기 위한 나사(33)를 끼워넣어서 수용할수 있도록 각각 나사 구멍을 보유한다.
뚜껑(32)은 본체(21)의 축에 따라서 수직으로 판(32a)을 개재하여 뻗어나가는 횡단면의 정사각형인 관형부(38)를 보유하며, 그 관형부(38)는 그 바깥 쪽 끝벽에 형성된 구멍(38a)을 보유한다.
탬퍼스위치(36)는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에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도록 관형부(38)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공동(空洞) 하우징(40)을 구성한다.
안내로드(42)는 하우징(40)의 안쪽끝벽(40a)에 견고하게 고정부착된 그 한쪽끝과 동축으로 하우징(40)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플런저(44)는 그 축에 따라서 움직이도록 하우징(40)에 수용되며, 원통모양의 안쪽부분(44a), 그 안쪽부분(44a)과 동축으로 배치된 횡단면이 정사각형 바깥쪽 부분(44b) 및 그 안쪽 부분(44a)과 바깥쪽부분(44b)사이에 배치된 중간 칼라부분(44c)을 구성한다.
플런저(44)의 바깥쪽부분(44b)은 하우징(40)의 바깥쪽 끝벽(40c)에 형성된 정사각형의 구멍(40b)을 통해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뻗어나가며, 또한 관형부(38)의 구멍(38a)을 통해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뻗어나간다.
안쪽부분(44a)은 바깥쪽부분(44b)로 부터 떨어진 플런저(44)의 안쪽끝에 개방된 축구멍(44e)을 보유한다. 하우징(40)의 안쪽끝벽(40a)으로부터 떨어진 안내로드(42)의 한쪽끝부분을 축구멍(44d)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압축코일스프링(46)은 안내로드(42)의 둘레에 감겨있고, 중간칼라 부분(44c)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하우징(40)의 바깥쪽끝벽(40c)과 접촉하도록 하우징 (40)의 안쪽끝벽(40a)과 안쪽부분(44a)의 안쪽 끝 사이에서 작동한다.
관의 형태인 전기적 전도재료의 접촉요소(48)는 플런저(44)의 안쪽부분(44a)의 안쪽끝에 맞추어진다.
전기적 전도재료의 한쌍의 접촉판(50)과 (52)는 하우징(40)의 안쪽끝벽(40a)에 인접한 측벽(40d)와 (40e)을 통해서 각각 뻗어나가는 그 한쪽끝과 더불어 하우징(40)의 정반대의 측벽(40d)와 (40e)의 내면에 대하여 배치되고, 하우징(40)에 관하여 접촉판(50)과 (52)을 고정부착하도록 측벽(40d)와 (40e)의 외면에 대하여 구부러진다.
접촉판(50)과 (52)의 안쪽끝부분은 한쌍의 탄성변형 할수 있는 정반대의 접촉부(50a)와 (52a)를 형성하도록 위로 구부러진다.
하우징(40)의 외부에 배치된 접촉판(50)과 (52)의 바깥쪽 끝은 단자로서 제공된다.
이 단자와 음향발생유니트(30)는 탬퍼스위치(36)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제되었을때 음향발생유니트(30)가 경보음향을 발생시키도록 부여하기 위해서 제어시스템(도면 표시하지 않았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돌기 혹은 접합점(56)은 케이싱부(22)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탬퍼스위치(36)와 함께 기입하여 배치되며, 그 돌기(56)는 하우징(40)의 축방향 안쪽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탬퍼스위치(36)의 하우징(40)의 안쪽끝과 맞물려서 지지시킨 한쪽끝(56a)을 보유한다.
방재혼(20a)을 설치함에 있어서, 뚜껑(32)은 제3도에 점과 대시선으로서 표시된 벽(W)에 먼저 나사(33)로서 부착된다.
그리고나서, 탬퍼스위치(36)는 뚜껑(32)의 관형부(38)에 수용된다.
그 다음에 음향발생유니트(30)가 부착된 본체(21)은 돌기(56)의 한쪽끝(56a)이 그 다른쪽에 벽(W)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플런저(44)를 압축코일스프링(46)의 엇갈림에 대하여 안쪽으로 진전시키도록 탬퍼스위치(38)의 하우징(40)의 안쪽끝에 배치시키기 위하여 나사(도면표시 하지 않았음)으로 뚜껑(32)을 부착하며, 그것에 의하여 접촉요소(48)를 그 작동상태하에서 탬퍼스우치(36)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접촉판(50), (5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방재혼(20a)은 이렇게 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탬퍼스위치(36)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제되었을 때 음향발생유니트(30)는 경보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어시스템을 통해서 작동된다.
강도와 같은 승인되지 않은 사람이 뚜껑(32)을 포함하는 방재혼(20a)의 전체를 벽(W)으로부터 제거시켰을때, 플런저(44)는 접촉요소(44)가 접촉판(50)과 (52)의 맞물림으로부터 탬퍼스위치(36)를 해제하도록 초래하여 코일스프링(46)의 영향하에서 접합점(56)에 떨어져서 하우징(4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제거되며, 따라서 음향발생 유니트(30)는 경보음향을 발생한다.
반면에 본체(21)가 뚜껑(32)은 벽(W)에 두고서 음향발생유니트(14)와 함께 벽(W)으로부터 제거되었을때, 하우징(40)은 접합점(56)이 하우징(40)에서 멀어졌기 때문에 압축코일스프링(46)의 영향하에서 벽(W)에 떨어저 플런저(4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제거되며, 그것에 의해서 접촉요소(48)는 접촉판(50)과 (52)의 맞물림으로부터 탬퍼스위치(36)를 해제하도록 초래하고, 따라서 음향발생유니트(30)가 경보음향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방재혼(20a)은 위에서 언급한 2가지 형태의 제거를 대처할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보통 개방형태의 탬퍼스위치(36)는 제5도의 보통 폐쇄형태의 변형된 탬퍼스위치(36a)로 대체될수 있다.
이 탬퍼 스위치(36a)에 있어서, 방재혼이 벽에 제거되었을때 접촉요소(48)는 그 해제 상태하에서 탬퍼스위치(36a)를 유지하도록 한쌍의 접촉판(50)과 (52)의 맞물림으로부터 지지된다.
벽에서 방재혼을 제거시키자 마자 접촉요소(48)는 음향발생유니트(30)가 제어시스템을 통해서 경보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접촉판(50)과 (52)에 접촉하게 된다.

Claims (6)

  1.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하는 케이싱부(22), 정반대의 개구단을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케이싱부에 배치된 그 한쪽끝이 상기한 케이싱부에 연결되는 제1혼(24), 거기에 간격을 둔 상기한 제1혼에 배치된 대체로 컵모양의 제2혼(26), 상기한 제1혼과 제2혼사이에서 그것과 함께 접속되도록 뻗어나간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부분성형 본체(20)와, 상기한 제1혼의 다른쪽 끝에 고정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케이싱부에 배치된 음향발생유니트(30)로 구성한 방재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상기한 제1혼과 제2혼사이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주위에 간격을 둔 상기한 제2혼의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연결부(2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싱부(22)의 다른쪽끝(22a)에 제거할수 있도록 부착된 뚜껑(32), 상기한 뚜껑에 대체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한 뚜껑에 고정된 하우징(40)과, 스위치 수단이 그 작동상태일때 작동위치와 상기한 스위치 수단이 그 해제상태일때, 비작동위치의 사이에 따라서 움직이도록 상기한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한 하우징의 한쪽끝을 개재하여 상기한 뚜껑의 외부로 뻗어나가는 한쪽끝을 보유하는 스위칭 작동 플런저(44)와, 상기한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의 하나로 상기한 플런저를 진전시키도록 상기한 하우징과 플런저 사이에서 행하는 진전수단과, 상기한 뚜껑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그 축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의 다른쪽 끝과 함께 접합되도록 상기한 케이싱부(22)의 내면에 형성된 접합수단을 포함하는 상기한 스위치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32)은 거기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형부(38)을 보유하고, 상기한 하우징(40)은 그것에 따라서 움직이도록 상기한 관형부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한 스위치수단은 상기한 하우징내에 장착된 제1접촉부와 그 다른쪽끝에 상기한 플런저(44)로서 수행되는 제2접촉부를 구성하고, 상기한 제2첩촉부는, 상기한 스위치 수단이 작동상태일때 상기한 제1접촉부에 맞물리며, 상기한 스위치 수단이 비작동상태일때 상기한 제1접촉부로 부터 떨어져서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접촉부는 정상적으로 상기한 제1접촉부에 접촉되도록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접촉부는 정상적으로 상기한 제1접촉부로 부터 떨어져서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혼.
KR2019850008085U 1984-11-14 1985-07-01 방재(防災) 혼(Horn) KR9000002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72773U JPH0453679Y2 (ko) 1984-11-14 1984-11-14
JP172773 1984-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63U KR860006663U (ko) 1986-06-25
KR900000246Y1 true KR900000246Y1 (ko) 1990-01-30

Family

ID=3073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085U KR900000246Y1 (ko) 1984-11-14 1985-07-01 방재(防災) 혼(Hor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53679Y2 (ko)
KR (1) KR9000002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2580B2 (ja) * 2014-08-18 2018-09-19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タンパースイッチ付き防犯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88198U (ko) 1986-06-09
KR860006663U (ko) 1986-06-25
JPH0453679Y2 (ko) 199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6530A (ko) 접점 장치
EP0434694A1 (en) Electromagnetic damped inertia sensor
US5597066A (en) Acceleration limit switch
US11511665B2 (en) Vehicle steering wheel comprising a horn control device, vehicle with such a steering wheel,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steering wheel
US4664055A (en) Alarm horn
KR900000246Y1 (ko) 방재(防災) 혼(Horn)
US4135473A (en) Vehicular sound generator
US4963704A (en) Horn switch of steering wheel
CA1135311A (en) Push button type electric switch
US4556768A (en) Limit switch assembly
US5181002A (en) Electromagnetic switch for starter
EP0115281B1 (en) Limit switch assembly
US4075626A (en) Alarm buzzer
JP2018180113A (ja) 車両用警音器
CN117476408A (zh) 接触器动触头模块、动触头组件、动触头装置和接触器
WO1996004645A1 (en) A warning horn,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3656156A (en) D.c. vibrating horn
US4701583A (en) Gas switch
JP2607720Y2 (ja) 電気式警音器
JPH0451402Y2 (ko)
EP0772868B1 (en) An acoustic warning device,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KR850006345A (ko) 브레이크의 공압 서어보모우터용 전기 접촉기
CA2120167A1 (en) Coaxial switch
GB2239121A (en) Electric horn for automobiles
US3451057A (en) Bell,yoke and coil assembly for reciprocating sign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