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1770A -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1770A
KR890011770A KR1019890000933A KR890000933A KR890011770A KR 890011770 A KR890011770 A KR 890011770A KR 1019890000933 A KR1019890000933 A KR 1019890000933A KR 890000933 A KR890000933 A KR 890000933A KR 890011770 A KR890011770 A KR 89001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levator
target
filling
group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418B1 (ko
Inventor
유쪼 모리따
도시비쯔 도비다
기요시 나까무라
아쭈야 후지노
소시로 구주누끼
고다로 히라사와
요시오 사까이
겐지 요네다
다까아끼 우에시마
유지 도다
히로미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16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75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16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4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4748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66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51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6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53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485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미쓰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900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제어방법 결정부의 상세도.

Claims (58)

  1.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를 적어도 2개 입력하는 수단고, 각 제어목표를 사용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를 실행하는 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목표에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관리 제어시행수단은 각 제어목표 또는 그것을 암시하는 표현 또는 도안의 질량, 상대적인 무게, 체적, 면적 또는 길이를 포함하는 요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수단과, 상기 요소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제어목표의 각각에 대한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고 해당 제어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가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 결정수단은 상기 제어목표의 제어목표치 및 제어목표의 각각의 사이의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 결정수단은 상기 제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의 후보를 적어도 1개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제어방법의 후보에 관하여 상기 제어목표의 예측 달성치를 구하는 수단과, 이들의 예측 달성치에 기초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하는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상기 예측 달성치를 구하는 수단은 상기 선택된 후보에 관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예측 달성치를 구하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달성치를 입력된 상기 제어목표에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수단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9. 복수의 운전방법을 등록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상황 또는 시간대마다에 응하여 운전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등록수단을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운전방법의 내용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를 행하는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방법이란 적어도 호출 할당의 제어방법 및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홀 대기시간, 승차시간, 예약 변경을, 수송능력, 승차인원, 장시간대기율, 예약 고지시간, 케이즈 호출 선착율, 케이즈 통과회수, 만원통과회수, 정보안내량, 소음레벨, 에너지 절약, 엘리베이터 기동회수, 스케쥴운전 중의 적어도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2.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를 입력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각 제어목표에 대하여 달성 가능한 예측 달성치를 표시하는 수단과를 포함하는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한 예측 달성치에 기초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는 홀 대기시간, 승차시간, 예약 변경율, 수송능력, 승차인원, 장시간 대기율, 예약 고지시간, 케이즈 호출 선착율, 케이즈 통과회수, 만원통과회수, 정보안내량, 소음레벨, 에너지 절약, 엘리베이터 기동회수, 스케쥴 운전중의 적어도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제어장치.
  15.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에 대하여 우선순위 및 무게중 적어도 1개의 목표치를 입력하는 수단과, 교통수요 혹은 환경, 상기 각 제어목표 및 복수의 제어방법간의 관계를 미리 비축하여두는 지식 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식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각 제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의 후보를 추론하여 적어도 1개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제어방법의 후보에 관하여 상기 각 제어목표의 예측 달성치를 모의 실험에 의하여 구하는 수단과, 그리고 이들의 예측 달성치에 기초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수단과, 를 구비한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는 홀 대기 시간, 승차시간, 예약 변경율, 수송능력, 승차인원, 장시간 대기율, 예약 고지시간, 케이즈 호출 선착유르 케이즈 통과회수, 만원통과회수, 정보안내량, 소음레벨, 에너지 절약, 엘리베이터 기동회수, 스케쥴 운전중의 적어도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7.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에 대하여 우선순위 및 무게중 적어도 1개의 목표치를 입력하는 수단과, 교통수요 혹은 환경, 상기 각 제어목표 및 복수의 제어방법간의 관계를 미리 비축하여 두는 지식 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식 수단을 사용하여 다목적 계획법 혹은 목표 계획법에의하여 파레트 최적해를 구하고 상기 각 제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수단과를 구비한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구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는 대기시간, 승차시간, 예약변경율, 수송능력, 승차인원, 장시간 대기율, 예약 고지시간, 케이즈 호출 선착율, 케이즈 통과회수, 만원통과회수, 정보안내량, 소음레벨, 에너지 절약, 엘리베이터 기동회수, 스케쥴 운전중의 적어도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9.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필링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필링에 응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이란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정성적인 요구를 정규화하여 나타낸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이란 적어도 3개의 요구 항목에 관하여 그들의 요구의 정도의 대소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이란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성능을 최소치와 최대치 사이에서 복수단계를 분할하여 나타낸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입력수단은 복수의 필링 목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용 환경과를 합하여 입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링 목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제어목표로 변환하는 수단을 가지고 각 제어목표를 사용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 변환 수단은 지식 베이스를 가지며 또한 상기 지식 베이스의 룰을 사용하여 상기 필링 목표를 상기 제어 목표치에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는 상기 필링목표중의 적어도 1개의 소정목표에 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용환경마다 변환함수를 구비하고 이 변환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필링 목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치에 각각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는 각 필링 목표와 상기 제어목표와의 관련을 표시하는 관련도 테이블을 구비하고 해당 관련도 테이블에서 상기 제어목표치를 구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의 각각의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는 AHP를 사용하여 구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제어방법을 기초로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가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실행 수단은 실제로 각 엘리베이터를 제어실행한 결과를 수집하는 수단을 포합하고 상기 목표변환 수단은 상기 제어결과를 필링 목표치에 역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필링목표치에 역변환된 상기 제어결과가 상기 감성 설정수단에 알리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목표의 설정을 레이더 챠트를 사용하여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3.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정성적인 필링을 입력하고 복수의 제어목표에 변환하는 수단과, 각 제어목표칭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추론하여 결정하는 수단과, 이 제어방법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를 입력하고 복수의 제어목표로 변환하는 수단은 미리 설정된 필링입력 지식 베이스와 환경 교통수요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식 베이스 및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추론기능에 의하여 제어목표치를 결정하고 제어목표의 각 항목간의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을 추론하여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제어목표치 및 각 항목간의 무게부가 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교통수요 데이터 베이스 및 제어 방법결정 지식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실제로 운전하여 얻어진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교통수요 데이터 베이스 및 제어방법 결정지식 베이스내의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신규 데이터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고 이 데이터를 상기 환경 교통수요 데이터 베이스 및 제어방법결정 지식 베이스에 각각 추가 등록하는 지식획득 수단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시뮬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제어방법 결정지식 베이스에서 상기 제어목표치를 달성하는 제어방법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에 상기 시뷸레이터에 의하여 모의 실험을 행하고 얻어진 실험결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목표 달성후의 좋은 제어방법을 최적 제어 방법으로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 데이터가 상기 제어목표치를 달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측 데이터의 환경 교통수요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방법을 추론하여 결정하는 수단으로 제어방법을 재선택하여 선택된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예측 달성치를 구하고 그 결과를 이용자에게 제시하여 승인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등록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0. 엘리베이터의 승객의 홀 호출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목적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관리 제어에 사용하는 필링 입력 장치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필링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필링을 정량화하기 위한 지식 베이스와 해당 지식 베이스내의 지식에 따라 상기 필링를 정량화된 복수의 제어목적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적과는 평가항목으로서 적어도 대기시간, 장시간 대기율, 승차시간, 예약고지시간, 예약 적중율, 케이즈 내혼잡도, 수송능력, 통과율, 정보안내량, 에너지 절약율, 소음 억제율 또는 홀 혼잡도 중의 적어도 1개를 사용하여 그 개선을 도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이란 이용자 또는 빌딩관리자의 가치관, 흥미, 기호, 감각 또는 호악에서 유도되는 엘리베이터 운행에의 정성적인 요망으로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의 입력은 미리 정하여진 복수의 요망항목에 대하여 응답하는 가이댄스 형식으로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베이스를 요망항목과 정량화가 가능한 복수의 제어목적과의 관련도를 테이블 형식으로 구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는 빌딩의 종류에 의하여 상기 관련도를 수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입력된 필링을 상기 지식 베이스에 수납된 지식에 따라 복수의 제어목표에 변환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여 복수의 제어목적간의 무게부가, 우선순위를 행하고 다시 정량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7.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필링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필링보다 적어도 상기 그룹관리 제어의 호출 할당 평가식 그리고 또는 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상기 평가식 및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그룹관리 제어를 시행하는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로 변환하고 이 제어목표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식 그리고/또는 파라메터블 산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49. 엘리베이터 승객의 홀 호출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목적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관리 제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운행에대한 이용자의 필링을 입력하고 지식 베이스를 사용하여 입력된 해당 필링을 정량화된 복수의 제어목적에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란 평가항목으로서 대기시간, 장시간 대기율, 승차시간, 예약고지시간, 예약적중율, 케이즈내 혼잡도, 수송능력, 통과율, 정보 안내량, 에너지 절약율, 소음 억제율 또는 홀 혼잡도 중의 적어도 1개를 사용하여 그 개선을 도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이란 이용자 또는 빌딩 관리자의 가치관, 흥미, 기호, 감각 또는 호악에서 유도되는 엘리베이터 운행에의 정성적인 요망으로 되어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의 입력은 사전에 정하여진 복수의 요망항목에 대하여 응답하는 가이댄스 형식으로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를 요구항목과 정량화가 가능한 복수의 제어목표와의 관련도를 데이블 형식으로 구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는 빌딩의 종류에 의하여 상기 관련도를 변경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5.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입력된 필링을 지식에 따라 복수의 제어목표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사용하여 복수의 제어목표의 무게부가, 우선순위를 행하고 다시 정량화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6.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의 각각을 레이더 챠트로서 표시하고 이 레이더 챠트를 사용하여 필링을 입력하는 것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57. 엘리베이터의 제어목표로 하고 대기시간 및 케이즈내 혼잡도를 구비하고 각 제어목표를 사용하여 상기 그룹관리 제어장치를 실행하는 수단과를 가지는 다층상간에 사용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목표로 하고 승차시간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0933A 1988-01-29 1989-01-28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02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16984A JP2507511B2 (ja) 1988-01-29 1988-01-29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63-16983 1988-01-29
JP63-16984 1988-01-29
JP63016983A JP2574842B2 (ja) 1988-01-29 1988-01-29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63047480A JPH01226677A (ja) 1988-03-02 1988-03-02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への感性入力方法及び支援装置
JP63-47480 1988-03-02
JP63051493A JPH07106844B2 (ja) 1988-03-07 1988-03-07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JP63-51493 1988-03-07
JP63-53532 1988-03-09
JP63053532A JP2574855B2 (ja) 1988-03-09 1988-03-09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70A true KR890011770A (ko) 1989-08-22
KR960002418B1 KR960002418B1 (ko) 1996-02-17

Family

ID=275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933A KR960002418B1 (ko) 1988-01-29 1989-01-28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60002418B1 (ko)
HK (1) HK26993A (ko)
SG (1) SG133692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984B1 (ko) * 1997-10-07 2007-03-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시스템제어장치및그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984B1 (ko) * 1997-10-07 2007-03-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시스템제어장치및그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33692G (en) 1993-03-12
KR960002418B1 (ko) 1996-02-17
HK26993A (en) 199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4962A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JP26075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GB2240196A (en) Elevator group control responding to car crowding.
US5239141A (en)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vator system
KR910019887A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58177869A (ja) エレベ−タの交通需要分析装置
US8950555B2 (en) Method for scheduling cars in elevator systems to minimize round-trip times
CN111247078A (zh) 电梯分析系统与电梯分析方法
WO2008150252A1 (en) Design process for elevator arrangements in new and existing buildings
KR890011770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2577161B2 (ja) 建物内の複数のエレベータかごの運行を制御する方法
JP2001527495A (ja) エレベータ配送のための閉ループ適応ファジーロジック制御装置
US4520905A (en) Elevator group control apparatus
JP2574855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2570208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2507511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574842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2574854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WO2024052995A1 (ja) 保守契約プラン決定支援装置、及び保守契約プラン決定支援システム
JP2735317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H028657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6467803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454979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プログラム
JP2712648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学習制御装置
GB2240641A (en) Elevator group control responding to subjective feelings of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