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933Y1 -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933Y1
KR890008933Y1 KR2019870010648U KR870010648U KR890008933Y1 KR 890008933 Y1 KR890008933 Y1 KR 890008933Y1 KR 2019870010648 U KR2019870010648 U KR 2019870010648U KR 870010648 U KR870010648 U KR 870010648U KR 890008933 Y1 KR890008933 Y1 KR 890008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tan motor
monostable multivibrator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667U (ko
Inventor
노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0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933Y1/ko
Publication of KR890001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캡스턴 주파수 발생기.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M1, MM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G1, G2: 오아게이트
G3: 앤드게이트 OP1, OP2: 증폭기
OP3: 비교기 M : 캡스턴모터
본 고안은 서어보 회로에 있어서 정밀제어용 모터 방향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로는 없었으며 단순히 제1도와 같은 캡스턴 주파수 발생기가 있었다. 제1도에 있어서는 캡스턴 모터가 회전하면 주파수 발생기에서 생성된 사인파는 증폭기(A1)에서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를 히스테리시스 증폭기(A2)에 의하여 구형파로 만들어 주었다. 종래에는 상기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캡스턴 모터의 주파수에 의하여 모터의 속도 제어 또는 위상 제어를 수행하였으나, 캡스턴 모터의 양방향 회전 제어시 실제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캡스턴 모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의 역방향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캡스턴 모터(M)로 부터 출력되는 180°의 위상차를 가진 두개의 주파수(F1·F2)는 각각 저항(R8, R9)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인가됨과 동시에 주파수(F2)는 저항(R10, R13)및 콘덴서(C3)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고 주파수(F1)는 저항(R11, R14)및 콘덴서(C1)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로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은 비교기(OP3)의 반전단자로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은 비교기(OP3)의 비반전단자로 연결하여 비교기(OP3)의 출력단은 오아게이트(G1)의 입력단으로 연결한다. 오아게이트(C1)의 출력단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클럭단자와 연결되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단(Q1)은 오아게이트(G2)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며 오아게이트(C2)의 출력단자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MM2)의 클럭단자와 연결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출력단자(Q2)는 앤드게이트(G3)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며, 모타 온 오프 제어신호는 캡스턴 모터(M)로 인가됨과 동시에 앤드게이트(G3)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캡스턴모터(M)로 부터 출력되는 180°의 위상차를 가진 두개의 주파수(F1, F2)는 연산증폭기(OP1)에서 증폭되어, 비교기(OP3)의 반전단자로 인가되고, 연산증폭기(OP2)에서는 콘덴서(C3,C4)에 의해서 주파수(F1, F2)의 DC레벨을 슬라이스(slice)하여 비교기(OP3)의 비반전단자로 인가한다. 비교기(OP3)는 상기한 두 입력신호에 의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형파를 출력하여, 이 구형파는 캡스턴 주파수로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클럭단자로 인가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Q1)은 입력되는 클럭신호의 상승엣지마다 펄스폭 t1만큼 하이레벨이 되므로 캡스턴 모터가 계속 회전할때에는 하이레벨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단자(Q1)신호는 반전되어 오아게이트(G2)로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오아게이트(G2)의 출력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클럭신호로서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이 하이레벨을 유지하게 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출력은 로우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캡스턴 모터(M)가 회전중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M)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주파수(F1, F2)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Q1)은 저항(K1)과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르는 시간 t1이 지나면 로우레벨로 떨어지게된다. 따라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MM2)의 출력신호(Q2)는 캡스턴 모터(M)가 방향을 전환하는 시점에서 하이레벨을 출력하여 시간 t2동안 유지한 후에 다시 로우 레벨로 떨어짐으로써 캡스턴모터(M)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모드를 전환하였다고 알려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고안 회로에 의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DAT에서 큐(Cue), 리뷰(Rewiew, 포워드 스킵(Forward skip), 리버스 스킵(Reverse skip)등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의 정확한 방향 전환점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

  1. 캡스턴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180°의 위상차를 가진 두개의 주파수를 연산증폭기(OP1)에서 증폭함과 동시에 연산증폭기(OP2)에서 슬라이스하여 비교기(OP3)에서 상기한 연산증폭기(OP1, OP2)의 두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출력된 구형파를 버퍼용 오아게이트(G1)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클럭단자에 인가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단신호는 반전버퍼용 오아게이트(G2)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클럭단자에 인가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출력단자에서 모터회전 전환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전환 검출회로.
KR2019870010648U 1987-06-30 1987-06-30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KR890008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648U KR890008933Y1 (ko) 1987-06-30 1987-06-30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648U KR890008933Y1 (ko) 1987-06-30 1987-06-30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67U KR890001667U (ko) 1989-03-20
KR890008933Y1 true KR890008933Y1 (ko) 1989-12-09

Family

ID=1926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648U KR890008933Y1 (ko) 1987-06-30 1987-06-30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9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54B1 (ko) * 2002-09-05 2004-11-08 이윤호 전동기의 회전방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67U (ko) 198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447B1 (ko) 슈미트트리거회로
US4103638A (en) Automatic piloting system
KR890008933Y1 (ko) 캡스턴 모터 회전방향 전환검출 회로
US4723299A (en) Noise eliminating circuit for a graphical input terminal
US5107135A (en) Sinusoidal-to-squarewave converter with variable thereshold level
JPH036459A (ja) 回転数検出方法
JPS6334714B2 (ko)
KR890012273A (ko) 서보 회로
JPS6325911Y2 (ko)
KR890005920Y1 (ko) 모터의 회전방향 감지회로
KR900003276Y1 (ko) 영상헤드 위치 검출신호의 발생회로
JP2751272B2 (ja) モータの異常回転検出装置
KR880003917Y1 (ko) 연속적인 실수배수를 갖는 체배기회로
JP3302864B2 (ja) モータ回転速度検出回路
KR880003604Y1 (ko) 디지틀 방식을 이용한 설정주파수 대역 감지회로
SU1334359A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усилитель
KR890003682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수직 동기신호 검출회로
JPH0543414Y2 (ko)
JPH0318884Y2 (ko)
SU1693365A1 (ru)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3464017A (en) Electrical square wave generating circuit
KR920000042Y1 (ko)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JPS63271170A (ja) ピ−ク検出回路
JPS6093933U (ja) 温度測定装置
JPS61357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