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42Y1 -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42Y1
KR920000042Y1 KR2019880008308U KR880008308U KR920000042Y1 KR 920000042 Y1 KR920000042 Y1 KR 920000042Y1 KR 2019880008308 U KR2019880008308 U KR 2019880008308U KR 880008308 U KR880008308 U KR 880008308U KR 920000042 Y1 KR920000042 Y1 KR 920000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ignal
terminal
operational amplifier
pul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628U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8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042Y1/ko
Publication of KR890023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 H02P7/29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using pulse modul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신호 생성부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스턴 모터 20 : 저속제어부
30 :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 40 : 정속도 펄스신호 생성부
50 : 캡스턴 모터 속도감지부 60 :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
61 : 저속 트래킹 가변저항 70 : 가산기
80 : 모터구동부
본 고안은 캡스턴모터의 정지 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등에 기억된 내용이 저속재생시 캡스턴모터를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캡스턴 모터의 정지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세트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등에 기억된 내용의 저속재생시 캡스턴모터는 드라이브→정속도회전→댐프(역브레이크)→정지의 일련동작이 반복되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50은 저속 제어부이며, 200은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이고, 300은 정속 펄스신호 생성부이며, 400은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이고, 401은 저속 트래킹 가변저항이며, 500은 가산기이고, 600은 모터 구동부이며, 700은 기계적인 제동장치이고, 800은 캡스턴 모터이며, 900은 헤드스위칭시 발생하는 신호의 입력단자이고, 1000은 속도 제어신호의 입력단자이고, 1100은 CTL제어 펄스신호 입력단자이며, 1200은 저속 제어신호의 입력단자이다.
한편 제1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헤드 스위칭신호 입력단자(900)를 통한 소정의 헤드 스위칭신호, 속도 제어신호 입력단자(1000)를 통한 소정의 속도 제어신호 및 저속재생 제어신호의 입력단자(1200)를 통한 소정의 저속재생 제어신호가 저속제어부(150)로 입력하면 상기 저속제어부(150)는 이에 대응하는 저속재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200)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200)는 상기 저속재생 펄스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제1소정시간 동안 생성하여 가산기(500)를 통해 모터구동부(600)로 입력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정속도 펄스신호 생서부(300)는 정속도 펄스신호를 제2소정시간 동안 생성하여 상기 가산기(500)를 통해 모터 구동부(500)로 입력한다. 한편 제2소정시간이 지난후 즉 정속도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댐프 펄스신호 발생부(400)는 저속재생 트래킹 가변저항(401)에 의해 구동되어 CTL 제어신호 입력단자(1100)를 통해 입력하는 소정의 CTL 제어신호로 댐프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가산기(500)를 통해 모터구동부(600)로 입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구동부(60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모터(800)를 구동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댐핑시 댐핑 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 모터가 오브른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등에 기억된 내용의 저속재생시 발생하는 주파수신호의 크기와 주기로 부터 이에 대응하는 속도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댐핑펄스의 발생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캡스턴 모터의 정지 감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10은 소정의 구동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드라이브→정속도회전→정지의 일련동작이 반복하는 캡스턴 모터이고, 20은 헤드스위칭신호 입력단자(90)를 통한 소정의 헤드스위칭신호, 속도제어신호 입력단자(135)를 통한 소정의 속도제어신호, 저속재생 제어신호의 입력단자(120)를 통한 소정의 저속재생 제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저속재생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저속 제어부이며, 30은 사이 저속재생 펄스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하여 소정시간 동안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브 펄스신호생성부이고, 40은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소정 시간 동안 정속도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정속도 펄스신호생성부이며, 50은 상기 캡스턴모터(1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캡스턴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속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캡스턴모터 속도감지부이고, 60은 상기 정속도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CTL제어신호 입력단자(130)을 통한 소정의 CTL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댐프펄스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속도감지 신호에 따라 댐프펄스신호의 생성시간을 조절하는 댐프펄스신호 생성부이며, 61은 상기댐프 펄스신호 생성부(60)가 댐프 펄스신호를 생성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저속 트래킹 가변저항이고, 70은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 정속도 펄스신호, 댐프 펄스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가산하는 가산기이며, 80은 상기 가산기(70)를 통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캡스턴모터(1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이고, 45는 저속재생 제어신호의 입력단자(120)를 통한 저속재생 제어신호를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차단하여 상기 모터(10)를 제동할 수 있는 기계적인 제동부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캡스턴모터 속도감지부의 상세 회로도로서,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비반전단자(9) 및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제1노드(1)와 출력단을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1)와,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비반전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506)와, 상기 저항(506)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비반전단자(+)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는 캐패시터(516)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반전단자(-)와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05)와, 상기 저항(505)와 연산증폭기(501)의 반전단자(-)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제1노드(1)와 다른측단을 접속하는 저항(507)와,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제2노드(2)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508)와, 상기 제2노드(2)와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된 캐패시터(517)와, 상기 제2노드(2)와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상기 제1노드(1)와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3)와, 상기 제2노드(2)와 상기 연산증폭기(503)의 반전단자(-)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1)와, 상기 캐패시터(517)와 접지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저항(511)과 연산증폭기(503)의 반전단자(-) 사이에 다른측단을 접속하는 저항(512)와, 상기 제1노드(1)와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기준전압 입력단자(145)와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2)와, 상기 기준전압 입력단자(145)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4)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출력단과 상기 제3노드(3)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3)와, 상기 제2노드(2)와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반전단자(-)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0)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비반전단자(+)와 저항(509)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반전단자(-)와 저항(510) 사이에 다른측단을 접속하는 연결라인(4)와, 상기 연산증폭기(503)의 출력단과 제3노드(3)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4)와,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출력단과 상기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50)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5)와, 상기 저항(515)와 상기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50)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는 캐패시터(518)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파형도로서, (a)는 모터구동부(80)의 구동신호이고, (b)는 모터(10)의 주파수신호이며, (c)는 연산증폭기(504)의 출력신호의 파형이며, (d)는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60)에 입력되는 캡스턴모터 속도 감지신호의 파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저속재생 제어신호, 속도제어신호, 헤드스위칭 신호가 각각 저속재생 제어단자의 입력단자(120), 속도제어신호 입력단자(135), 헤드 스위칭신호 입력단자(90)를 통하여 저속제어부(20)로 입력하면 상기 저속제어부(20)는 이에 대응하는 저속 재생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30)로 입력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부(30)는 저속재생 신호가 입력함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가산기(70)을 통해 모터구동부(80)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정속도 팔스신호 생성부(40)는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의 생성이 멈춤후에 정속도 파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산기(70)를 통해 모터구동부(80)롤 입력한다.
또한 상기 정속도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60)는 CTL 제어신호 입력단자(130)을 통해 입력하는 CTL제어신호로 댐프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가산기(70)을 통해 모터구동부(80)로 입력한다. 이때 저속트래킹 가변저항(61)은 상기 댐프 펄스신호의 생성시점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댐프 펄스신호의 종료시점은 소정의 캡스턴모터 속도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여기서 캡스턴모터 속도감지신호의 생성과정을 살펴보자.
먼저 제4도의 (a)와 같은 소정 구동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하는 캡스턴모터(10)는 제4도의 (b)와 같은 캡스턴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캡스턴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를 통해 저항(505,506,508)의 한측단으로 입력하면 상기 저항(505)을 통한 캡스턴 주파수신호는 연산증폭기(501)의 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저항(506)을 통한 캡스턴 주파수신호는 캐피시터(516)에 의해 적분된후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501)는 통상적인 증폭기의 구조이므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후 연산증폭기(502)의 반전단자(-)와 연산증폭기(503)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또한 기준전압 입력단자(145)를 통한 소정의 기준전압(Vf)는 저항(509)을 통해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산증폭기(502)는 상기 캡스턴 주파수신호의 주기에 대응하는 “하이”,“로우”신호를 생성하여 저항(513)을 통해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한편 상기 저항(508)의 한측단에 입력한 캡스턴 주파수 신호는 캐패시터(517) 에 의해 제2노드(2)에서 적분되고, 또한 상기 저항(509)을 통한 기준전압(Vf)이 저항(510)에 의해 분압된후 상기 제2노드(2)로 입력한다. 이에따라 상기 제2노드(2)에서 생성된 제2기준전압(V2)은 저항(511)과 (512)에 의해 분압된후 상기 연산증폭기(503)의 반전단자(-)로 입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산증폭기(503)도 상기 캡스턴 주파수 신호의 주기에 대응하는 “하이”,“로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고 상기 연산증폭기(504)는 양단자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제4도의 (c)와 같이 신호를 생성하여 저항(515) 및 캐패시터(518)로 구성된 적분회로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515) 및 캐패시터(518)에 의해 제4도의 (d)와 같은 파형으로 적분된 신호 즉 캡스턴모터속도 감지신호는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60)로 입력하고 상기 댐프 펄스신호 생성부(60)는 상기 저항(515) 및 캐피시터(518)에 의해 적분된 값이 일정전압(Vt)이상일때 댐프 펄스신호의 생성도 멈춘다. 따라서 상기 모터 구동부(8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캡스턴모터(10)로 입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캡스턴모터(10)는 드라이브→정속도회전→댐프→정지의 일련동작을 정확하게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등에 기억된 내용의 저속재생시 발생하는 주파수신호의 크기와 주기로 부터 이에 대응하는 속도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댐핑펄수의 발생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구동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드라이브→정속도회전→댐프→정지의 일련동작을 반복하는 캡스턴모터(10)와, 헤드 스위칭신호 입력단자(90)를 통한 소정의 헤드 스위칭신호, 속도 제어신호 입력단자(135)를 통한 소정의 속도 제어신호 및 저속재생 제어신호의 입력단자(120)를통한 저속재생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저속재생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저속제어 수단과, 상기 저속재생 펄스 신호가 입력됨dp 따라 구동하여 소정시간 동안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브 펄스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가 멈춘후에 소정시간 동안 정속도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정속도 펄스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캡스턴모터(1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캡스턴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속도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캡스턴모터 속도감지 수단과, 상기 드라이브 펄스 신호가 멈춘후에 CTL제어신호 입력단자(130)를 통한 소정의 CTL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댐프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캡스턴모터 속도감지신호에 따라 댐프펄스신호의 생성시간을 조절하는 댐프 펄스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댐프펄스신호의 생성시점을 절정하는 저속 트래킹 가변저항(61)과, 상기 드라이브 펄스신호, 장속도 팔스신호, 댐프 펄스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가산하는 가산기(70)와, 상기 가산기(70)를 통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캡스턴모터(10)를 구동하는 모터구동 수단과, 저속재생 제어신호의 입력단자(120)를 통한 저속 재생 제어신호를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차단하여 상기 모터(10)를 제동할 수 있는 기계적인 제동부(4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모터 정지 감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모터 속도감지수단이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비반전단자(+) 및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제1노드(1)와 출력단을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1)와,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비반전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506)와, 상기 저항(506)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비반전단자(+)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는 캐패시터(516)와, 상기 연산증폭기(501)의 반전단자(-)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제1노드(1)와 다른측단을 접속하는 저항(507)와, 상기 저항(505)와 연산증폭기(501)의 반전단자(-)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제 1노드(1)와 다른측단을접속하는 저항(507)와, 상기 캡스턴모터 주파수신호 입력단자(140)와 제2노드(2) 사이에 직렬 접속된저항(508)와, 상기 제2노드(2)와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된 캐패시터(517)와 상기 제2노드(2)와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상기 제1노드(1)와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3)와, 상기 제2노드(2)와 상기 연산증폭기(503)의 반전단자(-)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511)와, 상기 캐패시터(517)와, 접지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저항(511)와 연산증폭기(503)의 반전단자(-) 사이에 다른측단을 접속하는 저항(512)와, 상기 제1노드(1)와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기준전압 입력단자(145)와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2)와, 상기 기준접압 입력단자(145)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비반전단자(+) 사이에 직렬접속된저항(509)와, 상기 제2노드(2)와 반전단자(-)를 접속하며 제3노드(3)와 비반전단자(+)를 접속하는 연산증폭기(504)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출력단과 상기 제3노드(3)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513)와, 상기 제2노드와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반전단자(-) 사이에 직렬접속한 저항(510)와, 상기 연산증폭기(502)의 비반전단자(+)와 저항(509)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반전단자(-)와 저항(510) 사이에다른 측단을 접속하는 연결라인(4)와, 상기 연산증폭기(503)의 출력단과 제3노드(3) 사이에 직렬접속된저항(514)와, 상기 연산증폭기(504)의 출력단자 상기 댐프 펄스신호 생성수단 사이에 직렬접속된저항(515)와, 상기 저항(515)와 상기 댐프 펄스신호 생성수단 사이에 한측단을 접속하는 캐패시터(51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모터 정지 감지회로.
KR2019880008308U 1988-05-31 1988-05-31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KR920000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08U KR920000042Y1 (ko) 1988-05-31 1988-05-31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08U KR920000042Y1 (ko) 1988-05-31 1988-05-31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628U KR890023628U (ko) 1989-12-04
KR920000042Y1 true KR920000042Y1 (ko) 1992-01-15

Family

ID=1927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308U KR920000042Y1 (ko) 1988-05-31 1988-05-31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0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628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0448A (en) PWM circuit
US5099180A (en) Ultrasonic motor driving circuit
US4516060A (en) Digital motor speed control
CA1107354A (en) Frequency-voltage converter
KR920000042Y1 (ko)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US5046123A (en) Error signal detection circuit in a servo control device
KR900008393Y1 (ko) Vtr의 슬로우 트래킹 자동 조정회로
US6195500B1 (en) Phas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JPS6333388B2 (ko)
JP2751272B2 (ja) モータの異常回転検出装置
KR87000329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JPS6188777A (ja) モ−タの速度制御方式
KR0133866Y1 (ko)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한 테이프 재생 속도 검출 회로
KR930003444Y1 (ko) 캡스턴 모터 구동조절회로
JPH0126849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装置
KR930004035Y1 (ko) 드럼 모터 스위칭 신호의 노이즈 방지회로
KR900007911Y1 (ko)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JPH0138644Y2 (ko)
JPH0216433Y2 (ko)
KR880002689Y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에서의 트랙킹 서어보 스위치 제어회로
SU1170618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частоты в напр жение
JPS6312582Y2 (ko)
KR940001131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슬로우 구동장치
JPS6349114Y2 (ko)
JPS586595U (ja) パルスモ−タ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