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299Y1 -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299Y1
KR870003299Y1 KR2019850003902U KR850003902U KR870003299Y1 KR 870003299 Y1 KR870003299 Y1 KR 870003299Y1 KR 2019850003902 U KR2019850003902 U KR 2019850003902U KR 850003902 U KR850003902 U KR 850003902U KR 870003299 Y1 KR870003299 Y1 KR 870003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resistor
motor
terminal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015U (ko
Inventor
우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2019850003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299Y1/ko
Publication of KR860014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299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저속 제어장치의 상세회로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속 제어신호 발생회로 2 : 모우터 제어회로
AMP1: 증폭회로 COM1: 비교기
I1: 인버터 D1-D5: 다이오드
TR1, TR2: 트랜지스터 R1-R9: 저항
A : 헤드 절환신호 입력단자 B : 제어신호 입력단자
C : 저속신호 입력단자 D : 정속신호 입력단자
L1-L3: 모우터의 코일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모우터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우터를 사용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캡스턴 모우터에 직류 모우터를 사용하여 간헐 주행시 모우터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면서 토오크를 제어하였으나, 이와같이 직류 모우터를 사용하는 것은 테이프 주행의 정확성이 미흡하여 근래의 추세로는 드라이브 회로가 내장된 다이렉트 드라이브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우터는 드라이브 회로에 비해 입력측에서의 이득이 직류 모우터에 비하여 매우 크므로 직류모우터와 같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켜 토오크를 제어하면 테이프의 텐션 변동등 외부의 부하변동에 대해 테이프를 안정하게 주행시키지 못하여 화면이 떨게 되는 등 여러가지의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다이렉드 드라이브 모우터에 인가되는 토오크를 여러가지로 제어함은 물론 정지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약간의 토오크를 갖게하여 비디오테이프의 보다 안정된 저속제어를 기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질환 신호 및 제어신호, 저속신호 입력자단(A)(B)(C)가 입력단자(P1)(P2)(P3)에 각기 접속된 저속제어 신호 발생회로(1)의 구동신호 출력단자(O1)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직렬로 접속된 저항(R1)(R2)에 접속하여 저항(R1)(R2)의 접속점을 출력측이 모우터 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접속된 비교기(COM1)의 정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구동신호 출력단자(O2)는 다이오드(D2) 및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를 저항(R4)을 통해 저항(R5) 및 상기 비교기(COM1)의 부입력단자(-), 상기 모우터 제어회로(2)에 접속된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우터의 코일(L1-L3)에 공통 접속하며, 제동신호 출력단자(O3)는 저항(O3)을 통해 트랜지스터(R6)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를 전원(TR2)에 접속된 저항(vcc) 및 상기 모우터 제어회로(R7)의 정, 역 제어단자(G2)에 공통 접속하는 한편, 저속신호 입력단자(C)를 직렬로 접속된 인버터(I1)와 다이오드(D3)를 통해서는 상기 다이오드(D2) 및 저항(R3)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D4)와 저항(R8)을 통해서는 상기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의 접속점에 접속한다.
그리고, 정속신호 입력단자(D)가 입력측에 접속된 증폭회로(AMP1)의 출력측을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D5)와 저항(R9)을 통해 상기 다이오드(D1) 및 저항(R8)(R1)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정속 제어시에는 정속신호 입력단자(D)에 고전위가 입력되게 하고, 간헐 주행시에는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고전위가 입력되게 하며, 저속 제어신호 발생회로(1)는 그의 입력단자(P3)에 고전위가 인가될 때 출력단자(O1)(O2)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펄스 신호가 출력되게 하며, 모우터 제어회로(O3)는 그의 제어단자(G2)에 저전위가 인가될 때 모우터를 역회전시키게 하며, 저항(R4)의 값은 저항(R5)의 값보다 매우 작게하여 저항(R4)이 등가적으로 접지될 그 저항(R4)(R5)의 합성 저항값이 매우 작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속제어시에는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저전위가 입력되고, 그 저전위는 인버터(I1)를 통해 고전위로 반전된 후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온되므로 그의 콜렉에 접속된 저항(R4)은 등가적으로접지되어 저항(R4)(R5)의 합성 저항 값이 매우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R4)(R5)의 양단 전압은 저전위로 되어 비교기(COM1)의 부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입력되고, 그리고, 정속신호 입력단자(D)에는 고전위가 입력되어 증폭회로(AMP1)에서 증폭되고, 증폭된 고전위는 저항(R9)(R1)(R2)에 의해 분할되어 비교기(4)의 정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비교기(COM1)의 정 입력단자(+)에 입력된 전압이 부 입력단자(-)에 입력된 전압보다 높게 저항(R9,R1,R2)의 값을 설정하면 비교기(COM1)의 출력측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모우터 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때 저속 제어신호 발생회로(1)의 입력단자(P3)에는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입력된 저전위가입력되어 그의 제동신호 출력단자(O3)에 저전위가 출력되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므로 그의 콜렉터 전위는 고전위로 되어 모우터 제어회로(2)의 제어회로(G2)의 제어단자 ..에고전위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모우터 제어회로(2)는 모우터를 정방향으로 전속 구동시켜 비디오 테이프를 정속으로 주행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정속 신호 입력단자(D)에는 고전위가 입력되고,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는 저전위가 입력되어 모우터 제어회로(2)가 모우터를 정방향으로 정속 구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시간(t0)에 간헐 주행을 시켜 제2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고전위가 입력되게 하면, 그 고전위는 저항(R8)(R1)(R2)에 의해 분할되어 비교기(COM1)의 정입력단자(+)에 입력되고, 또한 인버터(I1)를 통해 저전위로반전된 후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온되므로 저항(R4)은 등가적으로 접지되지 않게되고, 저항(R5)의 양단 전압은 고전위가 되어, 비교기(COM1)의 부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비교기(COM1)의 양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위의 차는 그의 출력측에서 출력되어 모우터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입력되는 전위가 모우터를 구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약간의 토오크만을 가하는 정도가 되게 저항(R5)의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모우터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약간의 토오크를 갖게 되고, 테이프의 주행은 정지된다.
이와같이 시간(t0)에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고전위가 입력되어 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저속제어신호 발생회로(1)가 그의 입력단자(P3)에 입력된 고전위에 의해 제2도의 (b)및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t1)에 구동신호 및 가속신호 출력단자(o1)(o2)에 고전위가 출력되면, 구동신호 출력단자(o1)에서 출력된 고전위는 저항(R1)(R2)에 의해 분할되어 비교기(COM1)의 정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정입력단자(+)에는 상기의 정지시보다 높은 고전위가 인가되고, 가속신호 출력단자(o2)에서 출력된 고전위는 다이오드(D2),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온되므로 저항(R4)이 등가저으로 접지되어 비교기(COM1)의 부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입력되고, 이에따라 양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차이가 매우 크게 되므로 비교기(COM1)의 출력측에는 높은 고전위가 출력되고, 모우터 제어회로(2)는모우터에 많은 토오크를 가하여 모우터가 순간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시간(t1)에 저속제어신호 발생회로(1)의 구동신호 및 가속신호 출력단자(o1)(o2)에 모두 고전위가 출력되고, 모우터에는 많은 토오크가 가해져 순간적으로 구동된 상태에서 제2도의 (라)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t2)에 제어 신호, 입력단자(B)에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속신호 출력단자(o2)에 저전위가 출력되면, 상기의 가속시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므로 저항(R4)이 등가적으로 접지되지 않게되어 비교기(COM1)의 부 입력단자(-)에 고전위가 입력되고, 이에따라 비교기(COM1)의 출력측에는 상기의 가속시보다 낮은 고전위가 출력되어 모우터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입력되므로 모우터 제어회로(2)는 가속시보다 낮은 토오크로 모우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시간(t2)에 가속신호 출력단자(o2)에 저전위가 출력되어 모우터를 낮은 토오크로 구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제2도의 (마)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t3)에 제동신호 출력단자(o3)에 고전위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고전위가 인가되어 온되므로 제4도의 (바)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의 콜렉터 전위가 저전위로 되어 모우터 구동회로(2)의 제어단자(G2)에 저전위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모우터 구등회로(2)는 모우터의 역방향 토오크를 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시간(t3)에 제동신호 출력단자(o3)에 고전위가 출력되고, 정방향으로 구동되던 모우터는 역방향토오크가 가해진 상태에서, 그 역방향 토오크에 의해 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된 시간(t4)에 제4도의 (b) 및(마)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신호 및 제동신호 출력단자(o1)(o2)에 저전위가 출력되면, 상기의 정지시와 마찬가지로 비교기(COM1)의 출력측에는 저전위가 출력되어 모우터 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입력되고,트랜지스터(TR2)는 오프되어 제2도의 (바)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단자(G2)에 고 전위가 입력되므 로모우터 제어회로(2)는 모우터가 정지된 범위내에서 정방향으로 약간의 토오크만을 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간험 주행시 모우터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제어하여 신속히 구동 및 정지시키게 되므로 외부의 부하변동이 있어도 테이프를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고, 또한 모우터의 정지시에는 정방향으로 약간의 토오크를 가하여 테이프에 약한 정방향 텐션을 주게되므로 테이프가 회전드럼에의 밀착을 돕게 되어 안정된 영상신호를 얻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1)

  1. 저속 제어신호 발생회로(1)의 구동신호 출력단자(o1)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접속된 다이오드(D4) 및 저항(R8)과, 정속신호 입력단자(D)에 접속된 증폭회로(AMP1) 및 다이오드(D5), 저항(R9)에 공동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저항(R1)을 통해 저항(R2) 및 출력측이 모우터 제어회로(2)의 입력단자(G1)에 접속된 비교기(COM1)의 정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가속신호 출력단자(o2)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저속신호 입력단자(c)에 접속된 인버터(I1) 및 다이오드(D3)와 함께 트랜지스터(TR1)의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더를 저항(R4)을 통해 저항(R5) 및 상기 비교기(COM1)의 부입력단자(-),상기 모우터 제어회로(2)에 접속된 모우터의 코일(L1-L3)에 공통 접속하며, 제동신호 출력단자(o3)는 상기모우터 제어회로(2)의 정. 역 제어단자(G2)에 콜렉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KR2019850003902U 1985-04-10 1985-04-10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KR870003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902U KR870003299Y1 (ko) 1985-04-10 1985-04-10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902U KR870003299Y1 (ko) 1985-04-10 1985-04-10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15U KR860014015U (ko) 1986-11-20
KR870003299Y1 true KR870003299Y1 (ko) 1987-10-06

Family

ID=1924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902U KR870003299Y1 (ko) 1985-04-10 1985-04-10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2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15U (ko) 198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329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간헐 주행시 저속 제어장치
US5719575A (en) D/A conversion interface for digital servo signals
KR90000150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정지화면 제어회로
KR890006200Y1 (ko) Vtr용 제동장치
KR930008656Y1 (ko) 고속서치시 캡스턴모터의 구동 안정화 회로
KR900003174Y1 (ko) 녹음기의 모타구동 제어회로
KR900003176Y1 (ko) 녹음기의 모타 구동 제어회로
JPH0433563Y2 (ko)
KR910003261Y1 (ko) Vcr의 캡스턴 모터제어를 겸한 구동회로
KR89000070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카메라의 어댑터 장치
KR880000571Y1 (ko) 광학식 디스크 플레이어의 슬라이드 회로
KR900002439B1 (ko) 녹음기의 모타 구동 제어회로
KR920000042Y1 (ko) 캡스턴 모터 정지 감지회로
KR900002440B1 (ko) 녹음기의 모타 구동 제어회로
SU1377902A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двигателем
JPH0727836Y2 (ja) モ−タ駆動回路
JPH0430662Y2 (ko)
KR920008562Y1 (ko) Vcr의 오디오 뮤팅회로
SU9648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частоты вращ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KR870000556Y1 (ko) 디스크 회전 제어장치
JPH0223118Y2 (ko)
JPS5848056U (ja) モ−タ駆動回路
JPH0782605B2 (ja) 磁気記録再生回路
KR890007255A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기록 오프회로
JPS5941099U (ja) パルスモ−タ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