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911Y1 -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911Y1
KR900007911Y1 KR2019860020584U KR860020584U KR900007911Y1 KR 900007911 Y1 KR900007911 Y1 KR 900007911Y1 KR 2019860020584 U KR2019860020584 U KR 2019860020584U KR 860020584 U KR860020584 U KR 860020584U KR 900007911 Y1 KR900007911 Y1 KR 90000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flop
output
terminal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356U (ko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0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911Y1/ko
Publication of KR880013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8Starting; Accelerating; Decelerating; Arrangements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drive chan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동작 설명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래킹모노멀티 2, 3 : 플립플롭
6, 7 : 모노멀티 8 : 트래킹제어부
9 : 오아게이트회로
본 고안은 브이씨알(VCR) 변속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헐저속재생(FRAME SLOW)시에 캡스턴 구동신호를 직절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시 깨끗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속 재생은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를 그 기록시의 테이프 속도와 다른 속도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고속재생, 저속재생, 정지재생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능이다.
이러한 변속재생시 가장 큰 문제는 기록시의 테이프 속도와 다른속도로 재생을 하게되므로 비디오헤드와 테이프의 상대속도가 기록시와 다르게 되어 노이즈가 많이 발생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식이 간헐주행방식이다.
이는 연속적으로 테이프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연속주행방식과는 달리 정상재생속도의로 재생화면을 영상화하되, 테이프의 이송과 정지를 반복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테이프에 기록된 녹화트랙을 하나건너 하나씩 읽어내는 방법으로 가령 N1-Nn개의 트랙이 있는 테이프에서 홀수의 트랙에서는 정지하고 짝수의 트랙은 건너뛰는 방식의 재생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피일드를 건너 한 피일드를 재생하면 1프레임을 진행한 결과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1프레임(1프레임은 2개의 피일드로 구성됨)진행이라 한다.
이때 첫번째 프레임과 두번째 프레임사이에 정지화면을 삽입하면서 이를 반복하면 느린속도로 진행하는 것과같이 되어 저속재생을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게된다.
따라서, 정상속도로 이동시에는 노이즈가 없게되고 정지시에는 최적의 화면을 얻기 위한 여러가지 정시재생방식을 개발하여 저속재생시에 노이즈 없는 화면을 제공하고저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시용되는 간헐저속재생 방식에서 또 한가지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정지재생이 완료된 후 정상속도를 테이프를 이송시킬 때 테이프 이송을 위한 캡스턴 모터를 정지상태에서 갑자기 정상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제3도의 g)와 같이 캡스턴 구동 시작시 매우 큰 구동전압을 일정시간(T1)인가하여 처음 구동시 관성력에 의하여 고속주행이 되지 않고 정상속도로 즉시 도달하도록 하고, 캡스턴이 일정속도에 도달하면 구동전압을 정상상태로 인가하다가 (T2)정시에는 관성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캡스턴 역회전 전압을 잠시 가하여 (T3) 즉시 정지하도륵 하고 있다.
제1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1+R2) 및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하여 트래킹 모노멀티(1)는 제3도 (a)와 같은 파형을 플립플롭(2)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플립플롭(2)은 세트되어 제3도 (b)와 같이 T1기간동안 V의 전압레벨을 갖는 신호를 플립플롭(3)의 세트단자(S)에 인가하여 그 플립플롭(3)을 세트시키고 이에 따라 그 플립플롭(2), (3)의 출력단자(Q), (Q)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하여 출력단자(OUT)로 출력되며, 이때 플립플롭(2)의 출력레벨이 플립플롭(3)의 출력레벨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플립플롭(2)의 출력신호가 출력단자(OUT)로 출력되어진다.
이후 트래킹 모노멀티(1)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될때 그 전전위 신호는 인버터(I1)에서 고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플립플롭(2)을 리세트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는 저전의 신호가 출력되고, 따라서, 이때 플립플롭(3)의 출력단자(Q)신호가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해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한편, 재생콘트롤펄스는 증폭기(4)에서 증폭되고, 검출회로(5)에서 상승점이 검출되며(제3도 (c)의 t2), 이때 저항(R3+R4), 콘덴서(C2)에 의해 결정된 시정수로 모노멀티(6)가 제3도 (d)와 같이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모노멀티(7)가 제3도 (e)와 같이 동작한다.
따라서 플립플롭(3)은 제3도의 (g)와 같이 시간 t4에서 리세트되어 출력단자(OUT)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제3도의 (f)와 같이 정지를 위한 캡스턴 역방향 구동신호를 T3기간동안 인가하여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트래킹제어부(8)의 SLOW "H"단자는 저속재생이 수행될 경우에만 고전위가 인가되어 모노멀티(6)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음 구동시에는 과전압, 일정시간 후에는 정상전압, 정지시에는 역전압을 인가하여 정지→정상속도구동→정지가 원활히 수헹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가변저항(R1)은 제3도 (g)의 T1기간을 가변시키는 것으로, 설계자가 최적점을 찾아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트래킹조정볼륨(R4)은 기기외부에 장치되어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트래킹 조정을 하도록 되어있고 T2를 조정하게 된다.
이 경우 T1, T2기간은 조정이 가능하지만 처음 구동전압레벨(V)은 플립플롭(2)의 출력레벨이 되어 조정이 곤란하고 각 시스템마다 사용전원이 다르므로 최적의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예를들어, 전압레벨(V)이 낮을 경우는 T1기간을 길게 해야하는데 빠른 시간에 정상속도를 맞추어야 하는 목적에 위배되어 사용곤란하고, 너무 높을 경우에는 시간을 줄이면 실제로 정확한 조정이 어렵고 또한 저속재생 기능도등 매우 다양하므로 각각의 속도에 따라 전압레벨(V) 및 시간(T1)도 달라질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양자를 모두 조정할 수 없는 결점이 있어서 실제로 보다 높은 저속재생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재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의 캡스턴 구동펄스의 폭과 레벨을 동시에 조절가능하고 또한 같은 시스템에서, 조정이 완로된 상태에서 모드가 변하더라도 이를 자동 보상토록 함으로써 간헐저속 재생시 캡스턴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이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준모드(SP) 및 장시간모드(EP)에 따라 (R5), (R6) 및 가변저항(VR)의 R'값과콘덴서(C3)의 시정수가 변하도록 하여 트래킹 모노멀티(1)에 연결하고, 그 출력을 플립플롭(2)의 세트단자(S)에 연결함과 아울러 인버터(I1)를 통해 그의 리세트단자(R)에 접속하여, 그 플립플롭(2)의 출력단자(Q)신호에 의해 플립플롭(3)및 트랜지스터(Q2), (Q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종래의 트래킹제어부(8)의 출력에 의하여 플립플롭(3)이 리세트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변저항(VR)의 R측으로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상기 트렌지스터(Q1)를 통한 후 상기 플립플롭(3)의 출력단자(Q)신호와 함께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하여 캡스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래킹제어부(8)는 제1도의 트래킹제어부(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시간 모드(EP)는 표준모드(SP)에 비하여 테이프이송 속도가정도에 해당되므로 모노멀티(1)의 시정수가 각 모드에 적당하도록 저항(R5), (R6)의 값을 설정한다.
현재 SP모드가 선택되어 단자(SP)에 고전위가 인가되고, 가변저항의 값이 R'라면 트래킹 모노멀티(1)의주기(Tl)은 저항(R5+R') 및 콘덴서(C3)에 의하여 결정된 시정수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토래킹 모노멀티(1)는 제3도 (a)와 같은 출력파형을 플립플롭(2)의 세트단자(S)에 인가하여 그 플립플릅(2)을 세트시키므로 출력단자(Q)에는 제3도 (b)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이 신호는 플립플릅(3)의 세트단자(S)에 인가되어 그 플립플롭(3)을 세트시키므로 그 출력단자(Q)에는 제3도 (g)의 t3-t4기간의 전압 레벨이 출력되어 오아게이트회로(9)의 일측 입력에 연가된다.
한편, 상기 플립플롭(2)의 출력단자(Q)에 출력된 신호는 저항(R7), (R8)에 의하여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도통시키고, 이로 인하여 저항(R11)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도 도통된다.
이에 따라 저항(R5), (R), (R9), (R10), (R11)에 의하여 결정된 전압레벨이 그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출력되어 게이트회로(9)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런데,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출력되는 전압레벨은 제3도의 (b)와 같이 되어 플립플롭(3)의 출력단자(Q)신호레벨보다 높게 되므로 그 트랜지스터(Q1)의 출력전압이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해 제3도의 (g)와 같이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이후 트래킹 모노멀티(1)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될때(t3), 그 저전위 신호는 인버터(I1)에서 고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플립플롭(2)을 리세트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 (Q1)가 오프되어 그의 출력전압이 없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3)의 출력단자(a)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해 제3도의 (g)와 같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래킹제어부(8)의 출력단자(가)에서 제3도의 (e)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될때(t4) 플립플롭(3)은 리세트된다.
즉 제3도(g)와 같이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 레벨이 플립플릅(2)의 출력신호가 고전위(High)인 기간 동안(T1) V만큼의 전압레벨로 유지되다가, 그 플립플롭(2)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될때(t3) 플립플롭(3)의 출력신호 레벨로 변환되어 그 플립플롭(3)이 리세트될 때까지 (T2) 유지된 후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캡스턴 구동펄스 신호는 종래방식과 같이 펄스 주기(T1), (T2)를 가변할 수 있고 동시에 저음 구동 펄스의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첫째, T2는 종래와 동일하게 트래킹제어부(8)의 가변저항(R4)을 변화시키어 조정할 수 있다.
둘째, T1과 V는 가변저항(VR)로 동시에 조정을 하게 되는데, 전체 저항값은 (R+R')로 동일하므로 R이 커지면 R'는 그만큼 감소하고 R이 작아지면 R'는 그만큼 커지게 된다. 따라서 R' 이 커져서 트래킹 모노멀티(1)의 주기(T1)가 길어지면 R이 감소하여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나타나는 전압레벨(V)도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R'가 작아지면 위와 반대의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압레벨이 높으면 주기는 감소하고 전압레벨이 낮으면 주기는 길게 되어 낮은 전압을 이용하는시스템에서는 레벨을 증가시키고,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레벨을 감소시킬 수있게 하여 종래와같이 일정 레벨에서 주기(T1)만을 변화시키어 조정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브이씨알의 간헐저속 재생시 캡스턴 구동펄스를 발생시키는 저속재생 제어회로에 있어서, SP, EP 단자측을 저항(R5), (R6)을 각기 통해 가변저항(VR)의 가변단자에 접속하여, 그 가변저항(VR)의 일측을 콘덴서(C3) 및 트래킹 모노멀티(1)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타측을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접속하며, 상기 트레킹 모노멀티(1)의 출력단자를 플립플롭(2)의 세트단자(S)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I1)를 통해 그의 리세트단자(R)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Q)를 리세트단자(R)가 트래킹제어부(8)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플립플롭(3)의 세트단자(S) 및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접속하며, 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 및 상기 플립플롭(3)의 출력단자(Q)를 오아게이트회로(9)를 통하여 출력단자(OUT)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재어회로.
KR2019860020584U 1986-12-19 1986-12-19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KR90000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584U KR900007911Y1 (ko) 1986-12-19 1986-12-19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584U KR900007911Y1 (ko) 1986-12-19 1986-12-19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56U KR880013356U (ko) 1988-08-30
KR900007911Y1 true KR900007911Y1 (ko) 1990-08-25

Family

ID=1925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584U KR900007911Y1 (ko) 1986-12-19 1986-12-19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9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56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0356A (en)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478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연속촬영장치
KR900007911Y1 (ko)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 제어회로
US4841383A (en) Control pulse recording circuit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N1049547C (zh) 防止因录象带速度变化引起图像搜索故障的电路
KR910001826Y1 (ko)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의 트래킹 조정회로
JP2976996B2 (ja) キャプスタンモータ制御装置
KR90000150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정지화면 제어회로
KR100228730B1 (ko) 자기 재생 기기의 저속 재생 제어방법
KR850001665Y1 (ko) 비데오 테이프의 조속주행 및 일시정지 구동회로
KR940004333Y1 (ko) Vtr등의 정지화재생장치
SU13143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в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е
JPS5914940Y2 (ja) 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3344001B2 (ja)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31740B2 (ko)
KR910004667Y1 (ko) Vcr의 재생콘트롤 신호 보정회로
KR890006631Y1 (ko) 펄스신호 발생회로
KR870000121B1 (ko) Vtr의 저속 재생용 강제동기 발생회로
JP2707443B2 (ja) 回転ヘッド型再生装置
KR930008492Y1 (ko) 저속도 재생회로
JPS6117708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30008656Y1 (ko) 고속서치시 캡스턴모터의 구동 안정화 회로
JPH0232694B2 (ja) Johokirokusaiseiki
JPS634244Y2 (ko)
JP3714651B2 (ja) ビデオ機器のコントロール信号再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