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335Y1 - A master cylinder for a motor cycle - Google Patents

A master cylinder for a motor 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335Y1
KR890008335Y1 KR2019850006547U KR850006547U KR890008335Y1 KR 890008335 Y1 KR890008335 Y1 KR 890008335Y1 KR 2019850006547 U KR2019850006547 U KR 2019850006547U KR 850006547 U KR850006547 U KR 850006547U KR 890008335 Y1 KR890008335 Y1 KR 890008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andle
holder
pist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5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3689U (en
Inventor
쇼오지 가이우메
Original Assignee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야시다 유끼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야시다 유끼가즈 filed Critical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62L3/023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acting on fluid pressur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Two-wheeled master cylinder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partial cross sec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a master cylinder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마스터 실린더의 요부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the master cyl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ter cylinder for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에서의 호울더와 백미러 받침부의 각 붙임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state of the holder and the rearview mirror support portion in FIG.

제5도는, 종래의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aster cylinder for a two-wheeled vehic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실린더 1a : 반원형상 요입부1 cylinder 1a semicircular recess

2 : 피스턴 3 : 저장탱크2: piston 3: storage tank

4 : 호울더 4a : 체결편4: holder 4a: fastening piece

4b : 고정편 4c : 부착구멍4b: fixing piece 4c: mounting hole

5 : 레버 브라켓트 5a : 부착구멍5: Lever bracket 5a: Mounting hole

6 : 브레이크 레버 7 : 지지축6 brake lever 7 support shaft

8 : 토출구 9 : 푸쉬로드8: discharge port 9: push rod

10 : 공급 포오트 10' : 릴리이프 포오트10: supply pot 10 ': relief pot

11 : 보울트 12 : 호울더 고정부11 bolt 12 holder holder

22 : 백미러 부착지주 23 : 기준너트22: rearview mirror attachment 23: reference nut

24,25 : 너트 26 : 팔편24, 25: nut 26: arm

27 : 미러지주 27a : 나사부27: mirror holder 27a: screw portion

H : 핸들 31 : 실린더H: handle 31: cylinder

33 : 저장탱크 34 : 핸들 호울더33: storage tank 34: handle holder

36 : 브레이크 레버 37 : 지지축36: brake lever 37: support shaft

H3: 핸들 38 : 피스턴H 3 : Handle 38: Piston

39 : 호울더 고정부39 holder holder

본 고안은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조작시의 출력손실을 방지하고, 마스터 실린더의 코스트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백미러의 교환시의 시간 및 노력이 절감될 수 있는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heeled master cylinder, which can prevent output loss during brake operatio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the master cylinder, and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of replacing the rearview mirro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aster cylinder.

종래의,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 58-46932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는 제5도에서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H3)앞에, 핸들(H3)에 대하여 실린더(31)가 평행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서, 핸들호울더(34)와 브레이크 레버 고정부(지지축(37)관계부)와의 사이에 실린더(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As shown in prior art, Japanese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Sho master cylinder for a two-wheeled vehicle that is disclosed in the No. 58-46932 is a plan view in FIG. 5, the handle (H 3) in front, a handle (H 3) cylinders (31 with respect to the ) Is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cylinder 31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holder 34 and the brake lever fixing part (supporting shaft 37 relation part), and therefore has the following drawbacks.

즉, 핸들 고정부(핸들 호울더(34)관계부)와 브레이크 레버 고정부(지지축(37)관계부)와의 거리 ℓ1가 멀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36)를 핸들(H3)쪽으로 작동시에 호울더 고정부(39)를 중심으로, 레버(36)회전의 R1방향에 회전 모우멘트가 걸리기 때문에, 호울더(34)부에 강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를 위하여, 핸들호울더(34)및 해칭 b부분에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며, 호울더(34)쪽의 폭 a의 치수를 크게 형성하여야하고, 또한 강성이 큰 재료를 사용하여야만 한다.That is, since the distance l 1 between the handle fixing portion (handle holder 34 relation portion) and the brake lever fixing portion (support shaft 37 relation portion) is far, the brake lever 36 is operated toward the handle H 3 . Since the rotation moment is applied to the R 1 direction of the lever 36 rotation about the holder fixing part 39 at the time, a rigidity must be secured to the holder 34 part. (34) and hatching b are to be formed thick, the width a of the holder 34 side to be large, and a rigid material must be used.

따라서 상기의 필요에 의하여 중량이 무겁게 되고 이에 추가하여 코스트가 높게되는 결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weight becomes heavy and the cost is high in addition to the above necessity.

또한, 핸들(H3)의 전방쪽에서 핸들 호울더(34)와 브레이크 레버 고정부(지지축(37)관계부)와의 사이에 실린더(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36)를 R1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호울더 고정부(39)를 중심으로 마스터 실린더(31)의 보디 전체가 R1방향으로 치우치는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 레버(36)입력에 대한 피스턴(38)의 출력 손실이 크게되는 결점이 있었다.Moreover, since the cylinder 31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holder 34 and the brake lever fixing part (support shaft 37 relation part) in front of the handle H 3 , the brake lever 36 is R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entire body of the master cylinder 31 is biased in the R 1 direction about the holder fixing part 39, so that the output loss of the piston 38 against the input of the brake lever 36 is lost. There was a flaw in this greatly.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시의 출력손실을 방지하고, 마스터실린더의 코스트를 대폭 절감하기 위하여, 실린더를 핸들의 위에 핸들과 직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핸들 호울더와 브레이크 레버 고정부와의 사이에 실린더가 형성되도록 하지 않게하여 브레이크 레버와 핸들과의 거리를 좁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종래와 같이 핸들의 전방에 실린더를 형성하지 않고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실린더부를 핸들의 바로위에 형성하기 때문에, 제5도에서 핸들 호울더부 및 해칭 b부분의 두께를 두껍게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호울더 폭 a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며, 강성이 높은 재료가 필요없는등의 효과와 아울러 경량화, 코스트의 저렴화를 이룰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order to prevent the output loss during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the master cylinder, by forming the cylinder at a right angle to the handle on the handle, as in the prior art The cylinder is not formed between the handle holder and the brake lever fixing par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rake lever and the handle can be narrowed, and the strength is sufficiently secured without forming a cylinder in front of the handle as in the prior art. Since the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directly on the handl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handle holder portion and the hatching b portion in FIG. 5, nor to increase the dimension of the holder width a, and to have a high rigidity material.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not needing, such as weight reduction and cost can be achieved.

또한, 본 고안은 핸들의 바로 위에 실린더를 직각으로 배치 고정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를 핸들쪽으로 작동시의 이 작동 방향으로 실린더 보디 전체의 치우침을 적게하여, 브레이크 레버의 입력에 대한 피스턴의 출력 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nd fixes the cylinder at right angles directly above the handle, thereby reducing the bias of the entire cylinder body in this operating direction when the brake lever is operated toward the handle,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piston output to the input of the brake lever. It is to be reduced to the minimum.

본 고안의 특징은, 핸들쪽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에 연결 구동하는 피스턴과, 이 피스턴을 수납하고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통함과 동시에 오일의 토출구를 가지는 실린더와를 구비한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핸들의 아래쪽을 둘러쌓아서 실린더를 보호하는 호울더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를 핸들의 위쪽에서 핸들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스턴을 눌러 움직이는 푸쉬로드의 작동 방향이 직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한 점이 있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ter cylinder for a two-wheeled vehicle having a piston which is connected to a brake lever which is freely rotated on the handle side, and a cylinder which stores the piston and is connected to a storage tank and has a discharge port for oil. To form a holder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to protect the cylinder, wherein the cylinder is formed so that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moving the piston by pressing the piston relativ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from the top of the handle There is a poin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로 되는 실린더(1)는, 내부의 앞끝단쪽에 휘일 브레이크 실린더로 연결되어 통하는 토출구(8)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8)의 후방 위치에는 압력실이 형성되며, 이 압력실은 그 한쪽측면에 형성된 공급 포오트(10) 및 릴리이프(10')등을 통하여 인접 위치의 저장탱크(3)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main cylinder 1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8 connec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 to communicate with the wheel brake cylinder, and at the rear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8; A pressure chamber is formed, and the pressure chambe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tank 3 at an adjacent position through a supply port 10 and a relief 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또한, 상기 압력실내의 뒤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 있게 지지되어 항상 비작동 방향으로 밀어 누르는 힘을 받는 피스턴(2)이 수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iston 2,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and is always pushed in the non-operation direction, is housed in the rear of the pressure chamber.

상기한 바에 의하여 실린더(1)의 개구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턴(2)의 뒤끝단면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레버(6)쪽에 록크핀으로 지지되어 있는 푸쉬로드(9)의 앞끝단이, 상기 피스턴(2)에 대하여 밀려 나오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눌려 맞닿아져 있다.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piston 2 arranged in the opening of the cylinder 1,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9 supported by the lock pin on the brake lever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the piston 2 It is pressed so that it can be pushed out with respect to).

또한, 상기 실린더(1)의 바닥부쪽에는, 이 실린더(1)를 포함하는 인접위치의 저장탱크(3)를 핸들(H)에 부착하기 위한 핸들 호울더(4)가 보울트(11)의 조여 붙임에 의하여 핸들(H)에 붙이고 뗄수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Further,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a handle holder 4 for attaching the storage tank 3 at an adjacent position including the cylinder 1 to the handle H is provided with the bolt 11.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handle H and tightened by tightening.

이 핸들 호울더(4)에 대응하여 실린더(1)의 바닥부 위치에는 반원형상의 요입부(1a)가 형성되어 있다.Corresponding to the handle holder 4,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1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이 경우 상기 핸들 호울더(4)와 실린더(1)바닥의 요입부(1a)는 쌍방을 맞댄때, 상기 핸들(H)이 끼워맞춤 가능한 형태로 되며, 또한 쌍방은 상기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handle holder 4 and the concave inlet portion 1a of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form a form in which the handle H can be fitted when both sides face each other, an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H. It is formed in the form arrange | positioned at a right angle.

또한, 제1도에서, 상기 실린더(1)와 일체로된 저장탱크(3)의 한쪽 끝단에는, 그위, 아래 위치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레버 브라켓트(5)가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Further, in FIG. 1, at one end of the storage tank 3 integrated with the cylinder 1, the lever bracket 5 protrudes in parallel toward the front from above and below.

이 위, 아래의 레버 브라켓트(5)에는 수직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지지축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lever brackets 5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 shaft holes, not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이 위, 아래 레버 브라켓트(5)의 중간 공간부내에는 브레이크 레버(6)의 받침 끝단부가 끼워넣어져 있고, 이 받침 끝단부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트(5)의 지지축 구멍과 같은 직경의 구멍부가 관통되어 있다.The supporting end of the brake lever 6 is inserted into the middle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lever brackets 5, and the supporting end has a hol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support shaft hole of the lever bracket 5. The part is penetrated.

이 받침 끝단 구멍부와 상기 레버 브라켓트(5)의 지지축 구멍에는 지지축(7)이 수직 방향으로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6)는 이 지지축(7)을 지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The support shaft 7 is loosely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end hole and the support shaft hole of the lever bracket 5, and the brake lever 6 has the support shaft 7 as a supporting point,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assembled to allow the rotation of.

또한, 이 지지축(7)에 가깝게 위치하는 브레이크 레버(6)의 받침끝단쪽의 면부에는 핀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한 푸쉬로드(9)의 받침부가 요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Further,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ush rod 9 is connected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ing end of the brake lever 6 located close to the supporting shaft 7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ush rod 9 can swing.

상기한 브레이크 레버(6)의 조작시에는 푸쉬로드(9)의 압출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턴(2)이 연결되어 구동하여 실린더(1)내에서의 압축 조작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전체로서 마스터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When the brake lever 6 is operated, the piston 2 is connected and driven by the extrusion force of the push rod 9 so as to be compressed so that the compression operation in the cylinder 1 is possible. It consists of a cylinder.

이상과 같이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실린더(2)를 2륜차의 핸들(H)에 부착하는 경우는, 일단, 실린더(1)의 바닥부로부터 상기한 핸들 호울더(4)를 떼어내고, 제1도의 평면도로써 나타낸 상태와 같이 실린더(1)의 바닥부 요입부(1a)를 핸들(H)의 윗면에 얹어 놓은후, 이 핸들(H)의 아래쪽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떼어낸 핸들 호울더(4)를 제2도에서와 같이 실린더(1)바닥에 맞닿게하여, 그 양끝단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 위치로부터 실린더(1)의 본체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보울트(11)를 조여 붙임으로써, 마스터 실린더를 2륜차의 핸들(H)의 바로 위에서, 상기 실린더(1)가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붙임 고정할 수가 있다.When attaching the cylinder 2 to the steering wheel H of the two-wheeled vehicle, first, the aforementioned handle holder 4 is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and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After placing the bottom recess 1a of the cylinder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H, the handle holder 4 once remov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handle H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By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as shown in the figure, and tightening the bolt 11 in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side of the cylinder (1) from the position of the hole (not shown) at both ends thereof, Just above the handle H of the wheeled vehicle, the cylinder 1 can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1 is dispos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H.

상기와 같이하여 핸들(H)바로위에 부착된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1)가 상기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핸들(H)과 브레이크 레버 고정부(지지축(7)관계부)와의 사이에 실린더(1)를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6)의 지지점으로 되는 지지축(7)이 종래예의 마스터 실린더에 비교하여 핸들(H)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 즉, 제1도에서 거리 ℓ2가 짧아 브레이크 레버(6)의 작동시에 굽힘 모우멘트가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극소로 되며, 또한,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하고 있는 실린더(1)부를 사용하여 핸들(H)의 바로위에 실린더 보디를 고정하기 때문에, 제5도에 나타낸 종래의 핸들 호울더부 및 해칭 b부분의 두께를 두껍게할 필요가 없고, 또한 호울더 폭 a의 치수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등의 효과가 있어 경량화, 코스트의 저렴화를 이룰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ylinder 1 is attached to the handle H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H, the master cylinder directly attached to the handle H is fixed to the handle H and the brake lever fixing part (support shaft ( 7) As the cylinder 1 is not formed between the related part), the support shaft 7 serving as the support point of the brake lever 6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andle H as compared to the master cylinder of the conventional example, That is, in FIG. 1, since the distance l 2 is short, the bending mom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6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 handle (using the cylinder 1) having sufficient strength is secured. Since the cylinder body is fixed directly above H), the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handle holder portion and hatching b portion shown in FIG. 5 need not be thickened, and the size of the holder width a need not be large. Of course, use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There is no need to effect such as light-weight, and achieve a cost of the jeoryeomhwa.

이 경우 상기 실린더(1)의 직각 배치에 의하여, 레버 고정부(지지축(7)관계부)와 핸들 고정부(핸들 호울더(4)관계부) 및 실린더부(실린더(1)관계부)와 핸들 고정부(핸들(4)관계부)의 위치관계를 가깝게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by the right angle arrangement of the cylinder 1, the lever fixing portion (support shaft 7 relation portion) and the handle fixing portion (handle holder 4 relation portion) and the cylinder portion (cylinder 1 relation portion)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fixing part (handle 4 relation part) can be made close.

또한, 본 고안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H)의 바로위에 실린더(1)가 직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호울더 고정부(12)를 중심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보디 전체가 R2방향으로 치우침이 적게되어, 브레이크 레버(6)의 입력에 대한 피스턴(2)의 출력 손실을 최소로 줄일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ylinder 1 is formed at right angles directly above the handle H, as shown in FIG. 1, the entire master cylinder body centered on the holder fixing part 12 is in the R 2 direction. Since the bias is reduced, the output loss of the piston 2 to the input of the brake lever 6 can be reduced to a minimum.

따라서 상기에 의한 레버(6)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푸쉬로드(9)가 피스턴(2)의 개구부를 통하여 이 피스턴(2)을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그 밀어내기 조작에 의하여 압축된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ush rod 9 pushes the piston 2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pressure through the opening of the piston 2 by the brake operation of the lever 6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cylinder compressed by the pushing operation. By this function, the smooth brak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그 경우, 상기 실린더(1)는 핸들(H)의 축방향과 직교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로드(9)에 의한 밀어내기 조작은 피스턴(2)의 축심을 향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쉬로드(9)의 밀어내는 힘을 받아 작동하는 피스턴(2)도 상기 푸쉬로드(9)와 동심 상태로 연결구동이 가능하여, 이로써 푸쉬로드(9)의 손상 마모정도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at case, since the said cylinder 1 is arrange | positioned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handle H, the pushing operation by the push rod 9 can be performed toward the axial center of the piston 2, The piston 2 which is operat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 rod 9 can also be driven in a concentric manner with the push rod 9,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damage and abrasion of the push rod 9. will be.

또한, 본 고안은 클러치 제어용 마스터 실린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ster cylinder for clutch control.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실린더(1)의 바닥부쪽에 이 실린더(1)를 포함하는 인접 위치의 저장탱크(3)를 핸들(H)에 부착하기 위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호울더(4)를 형성한다.The holder 4 shown below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cylinder 1 in order to attach the storage tank 3 of the adjoining position containing this cylinder 1 to handle H. In FIG.

이에 앞서, 상기 실린더(1)의 핸들(H)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실린더(1)를 핸들(H)의 위쪽에서 핸들(H)의 연장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1)의 피스턴(2)을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눌러 움직이는 푸쉬로드(9)의 작동 방향이 직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Prior to this, in forming the handle (H) of the cylinder (1), the piston (1) of the cylinder (1)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handle (H) above the handle (H) As shown in FIG. 1, it is important to form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push rod 9 which is push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position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상기의 호울더(4)는 상기 실린더(1)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상의 요입부(1a)와 합치된때,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들(H)을 사이에 협지 가능한 원호형상의 체결편(4a)과, 이 체결편(4a)의 양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실린더(1)와 일체적으로 조여 붙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보울트 구멍을 가지는 고정편(4b)으로 되어 있다.When the holder 4 is matched with the semicircular recessed portion 1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a circular arc capable of sandwiching the handle H as shown in FIG. A fastening piece 4b having a shape fastening piece 4a and horizontally extending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piece 4a and having a bolt hole (not shown) for fastening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1. It is.

그리고, 한쪽의 고정편(4b)은 일단 윗쪽으로 뻗친후 다시 측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서 팔편(26)으로 되며, 그 연장 설치면에는 후에 설명하는 백미러 부착지주(22)의 기초부를 끼워 붙이기 위한 부착구멍(4c)이 관통되어 있다.One of the fixing pieces 4b extends upward and is laterally extended to form an arm piece 26. The fixing piece 4b is attached to the extension mounting surface to fit the base of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described later. The hole 4c is penetrated.

이와같이 호울더(4)는, 실린더(1)의 바닥부에 양끝단의 고정편(4b)에 의한 맞닿음면과, 이 고정편(4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보울트구명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보율트(11)의 조여 붙임에 의하여 핸들(H)에 붙이고 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holder 4 is threaded into a bottom surface of the cylinder 1 by abutment surfaces of the fixing pieces 4b at both ends, and a bolt life not shown in the fixing pieces 4b. It is formed so that it may be attached to and pulled out by the handle H by tightening of the yult 11.

또한, 실린더(1)의 바닥부에 형성된 요입부(1a)와 호울더(4)의 체결편(4a)은 쌍방울 원형상으로 조여 붙임한대에,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 inlet portion 1a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ylinder 1 and the fastening piece 4a of the holder 4 are formed so as to b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handle H while tightened and fastened in a circular shape. have.

상기 실린더(1)와 일체 형상으로 되는 저장탱크(3)의 한쪽끝단에는 팔편(26)과 대향되게 레버 브라켓트(5)가 전방을 향하여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storage tank 3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er 1, the lever bracket 5 protrudes forward to face the arm piece 26. As shown in FIG.

이 레버 브라켓트(5)에는 상기한 호울더(4)의 부착구멍(4c)과 수직방향으로 동심원형상으로 되는 부착구멍(5a)이 관통되어 있다.The lever bracket 5 penetrates the attachment hole 5a which becomes concentric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attachment hole 4c of the holder 4 described above.

이 레버 브라켓트(5)와 바로 아래의 고정편(4b)사이의 공간부내에는 브레이크 레버(6)의 받침 끝단부가 끼워넣어져 있다.The supporting end of the brake lever 6 is fitted in the space between the lever bracket 5 and the fixing piece 4b immediately below.

그리고, 이 브레이크 레버(6)의 받침끝단부는, 위끝단쪽에 제4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이가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아래 끝단쪽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백미러 부착지주(22)가, 고정편(4b)의 부착구멍(4c)에 끼워넣어져 그 아래쪽 외부에서의 너트(24)의 조여붙임에 의하여 이 고정편(4b)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 붙임되어 있다.The rear end of the support lever of the brake lever 6 is formed with a deep hole in the upper end,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4, and a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having a threaded portion in the lower end thereof. It fits in the attachment hole 4c of 4b), and is fixed to this fixing piece 4b by the fastening of the nut 24 in the lower outer side.

이렇게 하여, 브레이크 레버(6)는 이 백미러 부착지주(22)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맞붙어 있다.In this way, the brake lever 6 is abutted so that rota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ossible, using this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as a support point.

또한, 상기한 레버 브라켓트(5)의 부착구멍(5a)의 윗면에는 기준너트(23)가 동심 상태로 용접 고정되며, 이 위치에는 정상부를 도시하지 않은 백미러를 정착한 미러지주(27)가, 아래 끝단의 나사부(27a)의 나사붙임과, 상기 기준너트(23)상의 너트(25)의 이중너트 조임으로 붙이고 뗄수 있어, 교환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t 23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hole 5a of the lever bracket 5 in a concentric state, and in this position, the mirror column 27 which fixes the rearview mirror (not shown in the top),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screwing the screw portion 27a at the lower end and by double nut tightening of the nut 25 on the reference nut 23, so that replacement is possible freely.

또한, 상기 미러지주(27)의 나사부(27a) 앞끝단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백미러 부착지주(22) (레버 (6) 의 회동축으로서 기능을 함)위 끝단의 깊이가 있는 구멍내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threaded portion 27a of the mirror support 27 has a depth of the end on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support 22 (function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6)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in a position positioned in the hole.

제3도에서, 상기한 백미러 부착지주(22)에 가까이 있는 브레이크 레버(6)의 받침끝단쪽의 면부에는 핀의 끼워 넣음에 의하여 상기한 푸쉬로드(9)의 기초부가 요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In FIG. 3, the base portion of the push rod 9 is swingably connected by inserting a pin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end side of the brake lever 6 close to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have.

상기한 브레이크 레버(6)의 조작시에는 푸쉬로드(9)의 압출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턴(2)이 연결구동하여 실린더(1)내에서의 압축 조작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전체로서 마스터 실린더를 구성하고 있다.When the brake lever 6 is operated, the piston 2 is driven by the extrusion force of the push rod 9 so as to allow compression operation in the cylinder 1 so that the master cylinder as a whole can be pressed. Consists of.

이상과 같이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실린더(1)를 2륜차의 핸들(H)에 부착하는 경우는, 이 실린더(1)의 바닥부 위치로부터 상기한 호울더(4)를 일단 떼어내고, 실린더(1)의 바닥부 요입부(1a)를 핸들 (H)의 아래쪽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떼어낸 호울더(4)를 제4도에서와 같이 맞닿게하여, 그 양끝단의 도시하지않은 구멍을 맞춰 실린더(1)의 본체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으로 보울트(11)를 나사조여 붙임으로, 마스터 실린더(1)를 2륜차의 핸들(H)위에 상기 실린더(1)를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When attaching the cylinder 1 to the steering wheel H of the two-wheeled vehicle, the holder 4 is detached from the bottom position of the cylinder 1 once, and the bottom recessed portion of the cylinder 1 is remov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handle H, the holder 4 once detached as described abov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By screwing the bolt 11 with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side, the cylinder 1 is placed on the handle H of the two wheeled vehicle at a right angle with the handle H. It can be attached easily and reliably.

상기 호울더(4)를 붙이거나 뗄때에 있어서, 이 호울더(4)의 고정편(4b)에 끼워 붙임되어 있는 백미러 부착지주(22)는, 레버 브라켓트(5)쪽에 장착되어 있는 미러지주(27)와는 별개체이기 때문에, 호을더(4)를 붙이거나 뗄때에 있어서의 미러지주(27)도 붙이거나 뗄필요가 없기 때문에. 2중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가 있는 것이다.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holder 4, the rear mirror attaching support 22 fitted to the fixing piece 4b of the holder 4 is a mirror support attached to the lever bracket 5 side. Since it is separate from 27),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or remove the mirror support 27 at the time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arc holder 4. It can save double time and effort.

상기와 같이하여, 핸들(H)위에 부착된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1)가 상기 핸들(H)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어 부착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6)의 지지점으로 되는 백미러 부착지주(22)는, 종래에의 마스터 실린더와 비교하여 상기 핸들(H)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ster cylinder attached to the handle H has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serving as a supporting point of the brake lever 6 because the cylinder 1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handle H. ) Is disposed in the stat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andle 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aster cylinder.

따라서, 이 부착지주(22)를 지지점으로 하여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는 레버(6)는, 그 작동시에서의 굽힘 모우멘트가 극소로되며, 이로써 원활하고도 용이하게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lever 6 which performs the brake operation by using this attachment column 22 as a support point minimizes the bending moment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 movement, and can perform a brake operation smoothly and easily by this.

이 경우 상기 실린더(1)의 직각 배치에 의하여, 레버 고정부(백미러 부착지주(22)관계부)와 핸들 고정부(호울더(4)관계부) 및 실린더부(실린더(1)관계부)와 핸들 고정부(백미러 부착지주(22)관계부)의 위치관계를 가깝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right angle arrangement of the cylinder 1, the lever fixing portion (rear mirror attachment column 22 relational portion), the handle fixing portion (holder 4 relational portion) and the cylinder portion (cylinder 1 relational portion)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support 22 can be made closer.

또한 상기에 의한 레버(6)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푸쉬로드(9)가 피스턴(2)의 개구부를 통하여, 이 피스턴(2)을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그 밀어내기 조작에 의하여 압출된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sh rod 9 pushes the piston 2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pressure through the opening of the piston 2 by the brake operation of the lever 6 described above, the push rod 9 is extruded by the pushing operation. By the action of the cylinder, a smooth brak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그 경우 상기 실린더(1)는 핸들(H)의 축방향과 직교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로드(9)에 의한 밀어내기 조작을 피스톤(2)의 축심을 향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쉬로드(9)의 밀어내는 힘을 받아 작동하는 피스톤(2)도 상기로드(9)와 동일축 상태로 연결구동 가능하게 되어, 이로써 푸쉬로드(9)의손상 마모 정도를 격감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the cylinder 1 is arrang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handle H, the pushing operation by the push rod 9 can be performed toward the axial center of the piston 2. The piston 2, which is operat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 rod 9, can also be connected and driven in the same axis state as the rod 9,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damage and wear of the push rod 9. .

또한, 백미러를 교환할때에는, 레버 브라켓트(5)의 상면에 이중으로 조여져 있는 너트(25)를 일단 풀러낸후, 미러지주(27)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돌려서 기준너트(23)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있는 미러지주(27)의 나사부(27a)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풀어내어, 레버 브라켓트(5)로부터 미러지주(27)를 떼어 낼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replacing the rearview mirror, the nut 25, which is tight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bracket 5, is loosened once, and the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mirror column 27 to be screwed into the reference nut 23. The screw portion 27a of the mirror support 27 can be loosened easily and quickly, and the mirror support 27 can be detached from the lever bracket 5.

이 경우, 바로 아래의 백미러 부착지주(22)는, 실린더(1)와 호울더(4)의 고정편(4b)과의 사이에 끼워 붙임되어 있기 때문에, 백미러의 교환시에, 브레이크 레버(6)를 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상술한 실린더(1)의 붙이고 뗄때와 마찬가지로, 이중의 수고 및 교체시간을 줄일수가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ear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immediately below is fitted between the cylinder 1 and the fixing piece 4b of the holder 4, so that the brake lever 6 is replaced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rearview mirro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take ou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and replacement time of the double, as in the cas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ylinder 1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러지주(27)를 레버 브라켓트(5)에, 또한, 백미러 부착지주(22)는 호울더(4)의 고정편(4b)에 각각 장착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한 기초너트(23)등을 설치하지 않은 레버 브라켓트(5)의 부착구멍(5a)과 고정편(4b)의 부착구멍(4c)에 일련의 콜러(Collar)를 끼워 붙임함과 동시에,미러지주(27)의 나사부(27a)는 이 콜러의 내부를 관통하여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러지주(27)의 받침끝단의 큰 직경부를 브라켓트(5)의 윗면에 맞닿게한 상태로, 콜러내에 관통시켜 끼우고, 또한 고정편(4b)의 아래쪽 외부에 돌출한 상기 나사부(27a)에 너트를 끼워 조여 붙임하더라도, 백미러의 교환시에 상기 콜러가 브레이크 레버(6)의 회전축으로서 원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버를 떼어내는 일없이, 백미러를 교환 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irror column 27 is mounted to the lever bracket 5, and the rear view mirror attachment column 22 is mounted to the fixing piece 4b of the holder 4,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mounting hole 5a of the lever bracket 5 and the mounting hole 4c of the fixing piece 4b, which are not provided with the base nut 23 or the like, are not limited thereto. At the same time, a series of collars are fitted, and at the same time, the threaded portion 27a of the mirror pillar 27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llar, thereby providing the mirror pillar 27. In the state that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supporting end of the abutmen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5), it is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lar, and the nut is screwed into the screw portion (27a) protruding to the lower outside of the fixing piece (4b) Even if the rearview mirror is replaced, the caller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rotation axis of the brake lever 6. Since it can hold | maintain, it is possible to replace a rearview mirror, without removing a lever similarly to the said Exampl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핸들의 위에 실린더를 직각으로 배치하고, 실린더의 호울더에 레버의 회동축을 유지하는 팔편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시에 있어서 피스턴으로의 가압변형이 극소로 되어 힘의 손실이 격감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의 균형이 잡히며, 각 요부를 수지나 기타 강성이 약한 재료를 사용할수가 있게되며, 이로써 마스터 실린더의 코스트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미러의 교환에 있어서, 브레이크 레버를 떼어내는 일없이 원상태의 유지하에서 행할 수 기 때문에 2중의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어서, 이런 종류의 마스터 실린더의 기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cylinder at right angles on the handle, and forms an arm piece for holding the pivot shaft of the lever in the holder of the cylinder. Therefore, when the brake lever is operated, the pressure deformation to the piston is minimized. As the loss of force is reduced, the brake operation is balanced, and the main parts can be made of resin or other material with low rigidity. This can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the master cylinder, but also change the rearview mirror. As a result, the work can be performed under the original condition without removing the brake lever, which saves double time and effort, and can greatly enhance the function of this type of master cylinder.

또한, 종래와 같이 핸들의 전방에 실린더를 형성하지 않고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실린더부를 핸들의 바로위에 형성하기 때문에, 제5도에서 핸들 호울더부 및 해칭 b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호울더 폭 a의 치수를 크게할 필요가 없으며, 강성이 높은 재료가 필요없는 등의 효과와 아울러 경량화, 코스트의 저렴화를 이룰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cylinder portion having sufficient strength is formed directly above the handle without forming a cylinder in front of the handle as in the related ar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handle holder portion and the hatching b portion in FIG.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dimension of the holder width a, and the effect of not having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etc. can be achieved, and the weight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고안은 핸들의 바로 위에 실린더를 직각으로 배치 고정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를 핸들쪽으로 작동시의 이 작동 방향으로 실린더 보디 전체의 치우침을 적게하여, 브레이크 레버의 압력에 대한 피스턴의 출력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nd fixes the cylinder at right angles directly on the handle, the bias of the entire cylinder body is reduced in this operating direction when the brake lever is operated toward the handle, thereby reducing the output loss of the piston to the pressure of the brake lever. It is to be reduced to the minimum.

Claims (1)

핸들쪽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에 연결구동하는 피스턴과, 이 피스턴을 수납하고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통함과 동시에 오일의 토출구를 가지는 실린더와를 구비한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핸들(H)의 아래쪽을 둘러쌓아서 실린더(1)를 유지하는 호울더(4)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1)를 핸들(H)의 위쪽에서 핸들(H)의 연장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스턴(2)을 눌러 움직이는 푸쉬로드(9)의 작동방향이 직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차용 마스터 실린더.In the master cylinder for two-wheeled vehicle provided with the piston which drives to the brake lever installed so that rotation is free to the handle side, and the cylinder which accommodates this piston, is connected to a storage tank, and has a discharge port of oil, and handles (H) The holder (4) is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c) to hold the cylinder (1), and the cylinder (1)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ength direction of the handle (H) above the handle (H). Master cylinder for a two-whee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9) to move the operation direction is formed in a right direction.
KR2019850006547U 1984-09-29 1985-05-31 A master cylinder for a motor cycle KR890008335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57684 1984-09-29
JP59-147576 1984-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89U KR860003689U (en) 1986-04-21
KR890008335Y1 true KR890008335Y1 (en) 1989-11-25

Family

ID=1543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547U KR890008335Y1 (en) 1984-09-29 1985-05-31 A master cylinder for a motor 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33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89U (en) 198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866A (en) Radiator restraining assembly
US6846018B2 (en) Motorcycle frame having removable portion
CN1286188A (en) Main hydraulic cylinder unit for vehicle
KR100455356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a speedometer in a motorcycle
EP1369345B1 (en) Forward disposed part installation structure of motorcycle
KR890008335Y1 (en) A master cylinder for a motor cycle
ITMI970563U1 (en) FRONT BRAKE SYSTEM FLUID TANK PUMP ASSEMBLY AND BRAKE OR CLUTCH OPERATION LEVER OF A MOTORCYCLE
US4327812A (en) Rear arm bearing structure for motorcycle
JPH0214551Y2 (en)
JPH0523366Y2 (en)
JP3569686B2 (en) Front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s
JPH0241115Y2 (en)
JP3223454B2 (en) Fitting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s
JP422135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draulic master cylinder for bar handle vehicle and hydraulic master cylinder for bar handle vehicle
JP2970291B2 (en) Cylinder assembly for steering system booster of industrial vehicle and its mounting device
US7364168B2 (en) Device for assembling the casing and the body of a hydraulic rock-breaker
CN210081252U (en) Supporting self-locking mechanism of thin-wall workpiece
KR200303523Y1 (en) a handle bracket for a scooter
JPS6121349Y2 (en)
KR0136080Y1 (en) Tie-rod end of a car
JPS6116235Y2 (en)
KR100481450B1 (en) Arrangement for fixing axle beam in forklift truck
KR19980046623U (en) Automotive Hood Striker Spring Fixing Tool
JP2537718Y2 (en) Power cylinder mounting structure for axle
KR0175088B1 (en) Jig for air-tank f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