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445Y1 -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445Y1
KR890007445Y1 KR2019860015658U KR860015658U KR890007445Y1 KR 890007445 Y1 KR890007445 Y1 KR 890007445Y1 KR 2019860015658 U KR2019860015658 U KR 2019860015658U KR 860015658 U KR860015658 U KR 860015658U KR 890007445 Y1 KR890007445 Y1 KR 89000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icycle
headlight
electricit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883U (ko
Inventor
박동욱
Original Assignee
박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욱 filed Critical 박동욱
Priority to KR2019860015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445Y1/ko
Publication of KR880007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착설상태를 예시한 자전차의 측면도로서 요부발췌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된 본 고안의 발진장치가 착설된 자전차 앞바퀴 A-A선상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판 2 : 발전기
3 : 축전지 4 : 정류부
5 : 점멸스위치 6 : 헤드라이트
7,8,9 : 전원선 10 : 앞바퀴
11 : 허브 12 : 바퀴살
13 : 포크 14 : 고정브라켓트
15 : 연장 15 : 짐받이부
본 고안은 자전차의 헤드라이트(Headlight)에 전기를 공급하여서 불이 켜지도록 한 자전차의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차의 앞바퀴에 발전기(Dynamo)를 착설하여서 앞바퀴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작동하여 얻어지는 전기를 헤드라이트에 공급하는 발전장치를 구성하되, 앞바퀴의 허브(Hub)에 착설된 바퀴살(Spoke)과 포크(Fork)의 중간에 위치하여 허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판을 착설하고, 포크의 적당한 위치에 착설된 고정브라켓트에 장착된 발전기의 회전바퀴(Rotor Wheel)를 회전판의 외주연에 밀착회전되게끔 착설하며, 발전기의 전원을 정류부를 거쳐서 안장(Bicycle Seat)하측 후방의 짐받이부의 선단부에 착설시킨 축전지(Storage Battery)에 연결하면서 점멸스위치를 가진 헤드라이트에도 병렬로 연결하여서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자전차의 발전장치를 구성할 때, 자전차의 앞바퀴 타이어에 착설된 발전기의 회전바퀴를 앞바퀴 타이어에 직접 밀착되도록 구성하여서 앞바퀴 타이어와 발전기의 회전바퀴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얻게 하므로서 발전기에서 얻는 전기를 헤드라이트에 직접 공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발전장치는 자전차를 타고 습한 지역을 지날때나 비가 내리는 우천시 또는 눈이 내리는 동절기에는 바퀴타이어에 진흙이 묻거나 눈이 얼어붙는 경우가 발생하고 물기로 인하여 바퀴면이 미끄러워 발전기의 회전바퀴가 미끄러져서 공회전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서 발전기에서 충분한 전기를 얻지 못하여 헤드라이트의 불빛이 충분히 밝지 못하고 불빛이 흐려지거나 아예 불이 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따라서, 짐자전차등과 같이 야간에도 많은 물건을 실어 나르는 경우나 야간에 자전차를 타고 가야 하는 경우에 헤드라이트가 전방을 충분히 비춰주지 못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었을 뿐만아니라, 자전차운행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과 같은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여서 날씨나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던지 헤드라이트에 충분한 전기를 공급하여 주므로서 헤드라이트의 불빛이 충분한 밝기를 유지하여 자전차의 전방을 잘 비춰줄 수 있는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저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전차의 앞바퀴에 발전기를 착설하여서 헤드라이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통상의 자전차의 발전장치에 있어서, 앞바퀴(10)의 허브(11)에 바퀴살(12)과 포크(13)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회전판(1)을 착설하여서 포크(13)의 고정브라켓트(14)에 착설된 발전기(2)의 회전바퀴(2-1)을 회전판(1)의 외주연부(1-1)와 밀착되도록 착설시키고, 발전기(2)의 전원선(7)을 안정(15하측 후방의 짐받이부(16)의 선단부에 착설된 축전지(3)의 전원선(8)과 연결하되, 중간에 정류부(4)를 개입하여 연결하며, 축전지(3)의 전원선(8)을 다시 점멸스위치(5)를 가진 헤드라이트(6)의 전원선(9)과 병렬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17은 허브(11)의 중심축봉, 18은 와셔, 19는 체결보울트, 20은 안장받침대, 21은 축전지(3)고정브라켓트, 22는 가로지지대, 23은 세로지지대, 24는 바퀴타이어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크(13)에 착설된 고정브라켓트(14)에 착설시킨 발전기(2)의 회전바퀴(2-1)을 앞바퀴(10)의 허브(11)에 포크(13)와 바퀴살(1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착설시킨 회전판(1)의 외주연부(1-1)에 밀착하도록 착설하므로서, 바퀴타이어(4)의 조건에 관계없이 앞바퀴(10)의 회전력이 전달된 회전판(1)이 발전기(2)의 회전바퀴(2-1)와 상호 긴밀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발전기(2)를 작동시켜 헤드라이트(6)를 켜기에 충분한 량의 전기를 얻게 되는데, 이때, 발전기(2)에서 얻어진 전기를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4)를 거쳐서 축전지(3)로 공급되어 축전지(3)를 충전시켜 주고 점멸스위치(5)가 점선부로 표시된 바와같이 연결되었을 때는 헤드라이트(6)에 전기가 공급되어 불이 밝게 켜지는 것이다.
또한, 점멸스위치(5)가 떨어져서 연결되어 있지 않았을 때는 발전기(2)에서 얻어지는 전기는 계속하여 축전기(3)로 공급되어 충전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축전지(3)의 전류는 정상 밝기를 제공하는 발전기(2)의 전류보다는 작은 용랴으로써 정상밝기 이하의 전류를 발전기(2)가 제공할때는 축전(3)의 전류가 헤드라이트(6)에 제공되고, 정상밝기의 전류를 발전기(2)가 제공할때는 발전기(2)의 전류가 헤드라이트(6)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날씨나 장소에 따라서 앞바퀴의 회전력이 충분한 전기량을 얻기에 충분치 못할때는 발전기(2)에서 충분한 량의 전기가 제공되지 못하드라도 스위치(5)가 연결되어 있으면 축전지(3)에 충전된 전기가 공급되어 헤드라이트(6)는 충분한 전기량을 공급받아서 불을 밝게 비춰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스위치는 핸들안장(15)등 필요에 따라 임의로 고정설치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전차는 핸들안장(15)등 필요에 따라 임의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전차의 발전장치는 앞바퀴(10)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2)가 충분한 량의 전기를 만들어서 제공하든지 아니면, 축전지(3)에 충전시켜 놓은 전기를 사용하여서 헤드라이트(6)의 불을 밝혀줄 수 있으므로서, 날씨와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던지 충분한 량의 전기를 헤드라이트에 공급하여 충분한 밝기의 불빛을 제공받아 자전차의 전방을 밝혀줄 수 있어서 자전차의 안전운행을 제공받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전차의 앞바퀴에 발전기를 착설하여서 헤드라이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통상의 자전차의 발전장치에 있어서, 앞바퀴(10)의 허브(11)에 바퀴살(12)과 포크(13)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회전판(1)을 착설하여서 포크(13)의 고정브라켓트(14)에 착설된 발전기(2)의 회전바퀴(2-1)를 회전판(1)의 외주연부(1-1)와 밀착되도록 착설시키고, 발전기(2)의 전원선(7)을 안장(15)하측 후방의 짐받이부(16)의 선단부에 착설된 축전지(3)의 전원선(8)과 연결하되, 중간에 정류부(4)를 개입하여 연결하며, 축전지(3)의 전원선(8)을 다시 점멸스위치(5)를 가진 헤드라이트(6)의 전원선(9)과 병렬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KR2019860015658U 1986-10-14 1986-10-14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KR89000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58U KR890007445Y1 (ko) 1986-10-14 1986-10-14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58U KR890007445Y1 (ko) 1986-10-14 1986-10-14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83U KR880007883U (ko) 1988-06-28
KR890007445Y1 true KR890007445Y1 (ko) 1989-10-26

Family

ID=1925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658U KR890007445Y1 (ko) 1986-10-14 1986-10-14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4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83U (ko) 198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4348B2 (ko)
US5455485A (en) Bicycle lighting system
KR20120048948A (ko) 차량용 발광 장치
KR890007445Y1 (ko) 자전차의 충전식 발전장치
KR20100057997A (ko) 자전거 라이트
JP3163134U (ja) タイヤホイール用led表示灯
CN212172415U (zh) 一种自行车发电装置
JPH0729623B2 (ja) 自転車用照明装置
CN201052805Y (zh) 自行车安全闪光装置
JPH05170154A (ja) 自転車の自動点灯照明装置
JPH02293228A (ja) 自転車用ランプの自動点灯・消灯方法とその装置
JP2005329737A (ja) 自転車用ランプ、及び自転車照明システム
JP3014253B2 (ja) 自転車用前照灯装置
CN204978992U (zh) 自行车自发电装置
JPH0478677A (ja) 自転車の発電ライト装置
KR910006817Y1 (ko) 동력 경운기에서의 표시등 제어장치
CN218967086U (zh) 一种自行车用风力发电警示灯
CN213620087U (zh) 一种两轮车结构
JPH02306888A (ja) 自転車用太陽電池照明装置
CN212500769U (zh) 一种安全骑行自发电装置
JPH027109Y2 (ko)
JP3049456U (ja) 風力自家発電燈
GB2297826A (en) A lamp for a bicycle
JPH0728791U (ja) 自転車用風力発電照明
CN112918598A (zh) 一种具有双重防水智能控制盒的电动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