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630Y1 -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630Y1
KR890006630Y1 KR2019860010411U KR860010411U KR890006630Y1 KR 890006630 Y1 KR890006630 Y1 KR 890006630Y1 KR 2019860010411 U KR2019860010411 U KR 2019860010411U KR 860010411 U KR860010411 U KR 860010411U KR 890006630 Y1 KR890006630 Y1 KR 890006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video
head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275U (ko
Inventor
박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0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630Y1/ko
Publication of KR880003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화 이퀄라이저 앰프부 2 : 전류 앰프부
3 : 콘트롤부 4 : 비데오 헤드부
5 : 녹화 이퀼라이저 시정수부 FF1: D-플립플롭
H1, H2: 헤드 R1-R3: 저항
C1,C2: 콘덴서 D1: 다이오드
본 고안은 비데오 헤드가 테이프의 시작 지점에 왔을때 녹화신호를 인가해주므로써 트랙에 블랭크(BLANK)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깨끗한 화면을 녹화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오 녹화를 할때 인가되는 FM 녹화 신호는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에서 증폭되고 주파수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어 전류 앰프를 통해 증폭된 후 비데오 헤드에 인가되어 자기 테이프에 기록 되는 것이나 VTR을 최초 구동시에는 반드시 대크 안정시간이 고려 되고 이 안정시간 중에는 녹화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정 시간이 지나면 곧바로 자기 테이프에 녹화되므로 테이프의 시작점이 아닌 지점부터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트랙에 블랭크 부분이 생기므로써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비데오 FM 신호를 테이프에 처음 기록시에는 항상 화면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기록되게 하므로써 블랭크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써 마이콤에서 인가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와 녹화 뮤우트 신호를 D-플립플롭에서 동기신킨 후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와 전류 앰프부를 통하여 비데오 헤드부에서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부터 녹화가 시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녹화 이퀼라이저 시정수부(5)의 일정시간 뮤우트 신호가 D-플리플롭(FF1)의 입력단자(D)에 인가됨과 동시에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녹화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켜 데크의 초기 구동시 서어보(SERVO)의 안전을 위해 일정시간 녹화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마이콤에서 인가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를 콘트롤부(3)에 인가시킴과 동시에 D-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K)에 인가시키도록 구성하며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의 출력은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비데오 FM 신호가 인가되는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의 출력이 전류앰프부(2)를 통하여 증폭되고 저항(R1)을 거친후 비데오 헤드부(4)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이때 비데오 헤드부(4)는 전류앰프부(2)의 출력이 코일(L1)(L2)의 접점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콘트롤부(3)의 출력이 버퍼(B1)(B2)와 콘덴서(C1)(C2) 및 저항(R1)(R2)을 거친후 코일(L1)(L2)에 인가되게 구성하므로써 헤드(H1)(H2)를 통하여 자기 테이프에 녹화 및 재생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비데오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하여 데크를 구동시키면 녹화 이퀼라이져 시정수부(5)에서 다이오드(D1)를 통해 녹화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과 동시에 이러한 녹화 뮤우트 신호를 D-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D)와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에 인가시킨다.
그리고 마이콤에서 인가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가 콘트롤부(3)에 인가됨과 동시에 D-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되므로써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로는 하이 레벨의 녹화개시 신호가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에 인가되는데 이때의 녹화 개시 신호는 녹화뮤우트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고 헤드 스위치 펄스가하여 레벨이 될때 녹화개시 신호는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로 하이 레벨이 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녹화개시 신호가 이퀼라이저 앰프부(1)에 인하되어야만 비데오 FM 신호가 전류 앰프부(2)를 통하여 증폭된 후 콘트롤부(3)로써 제어되는 비데오 헤드부(4)에 안가되어 헤드(H1)(H2)를 통하여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에서 정확히 녹화 동작이 시작되게 된다.
이를 제2도 본 고안의 출력 파형도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A)에서 녹화를 시작하도록 비데오 신호를 인가시키면 제1도의 녹화 이퀼라이저 시정수부(5)에서는 녹화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켜 데크의 안정 시간을 갖게 하므로써 녹화 뮤우트 신호가 끝난점(B)에서 녹화가 시작되며 자기테이프 CH2중간부터 녹화가 되어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녹화 뮤우트 신호를 제1도의 D-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D)에 인가시키고 헤드 스위칭 펄스를 제1도의 D-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K)에 인가시킴으로써 녹화 뮤우트 신호와 헤드 스위칭 펄스가 동시에 하이 레벨이 되는 점(C)에서 녹화가 시작되도록 제1도의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는 하이 레벨의 녹화 개시 신호를 축력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녹화 시작점(C)에서 자기 테이프의 CH1시작점에서 정확히 녹화 동작을 개시하게 되어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같이 본 고안은 D-플립플롭(FF1)의 클럭(CK)단자에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인가시키고 입력단자(D)에는 녹화 뮤우트 신호가 인가되게 구성하여 출력단자(Q)로는 항상 헤드 스위칭 펄스와 동기된 녹화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켜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 및 전류 앰프부(2)를 통하여 비데오 헤드부(4)에서 비데오 FM 신호를 자기 테이프의 처음 시작되는 지점부터 기록되게한 것으로써 녹화 및 재생시에 자기 테이프에 블랭크가 발생되지 않아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녹화 이퀼라이저 시정수부(5)의 녹화 뮤우트 신호가 D-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클럭단자(CK)에는 헤드 스위칭 펄스가 인가되게 구성하여 헤드 스위칭 펄스와 녹화 뮤우트 신호를 동기시킨후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출력이 녹화 이퀼라이저 앰프부(1)와 전류앰프부(2)를 통하여 비데오 헤드부(4)를 제어 하도록 구성한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KR2019860010411U 1986-07-16 1986-07-16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KR890006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411U KR890006630Y1 (ko) 1986-07-16 1986-07-16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411U KR890006630Y1 (ko) 1986-07-16 1986-07-16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75U KR880003275U (ko) 1988-04-13
KR890006630Y1 true KR890006630Y1 (ko) 1989-09-30

Family

ID=1925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411U KR890006630Y1 (ko) 1986-07-16 1986-07-16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6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75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7186239A (en) Disc reproducing device
JPH0731872B2 (ja) 時間軸制御方式
KR890006630Y1 (ko) 비데오 신호의 녹화 제어회로
JPS6348088B2 (ko)
KR900010114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부분 반복 재생회로
KR900008392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래킹 스위치 제어회로
KR850001750B1 (ko) 자동 선곡장치를 가진 덱크(deck)의 반복 재생회로
KR910001306Y1 (ko) 예약 녹화 기능을 이용한 자동 경보회로
KR930001595Y1 (ko) 2개의 파이로트 신호를 이용한 자동 트래킹화인(atf)회로
KR880002410Y1 (ko) 영상재생기기의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한 스캔서치 장치
KR930006884Y1 (ko) 비디오 테이프의 초기화면 안정화 회로
KR900000073Y1 (ko) Vtr의 녹화 제어회로
JPS6114228Y2 (ko)
KR910005242Y1 (ko) Vtr의 다방식 신호 처리 회로
KR850002938Y1 (ko) 비데오 테이프의 비녹화부분 재생시 조속 주행회로
KR910007252Y1 (ko)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의 캡스턴 모우터 자동속도 제어장치
JPS6025715Y2 (ja) テ−プレコ−ダのデ−タ間部検出回路
KR870000701Y1 (ko) Vtr용 편집녹화 장치
KR870002314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무신호 녹음부분 형성회로
KR200183501Y1 (ko) 자동검색기능을 구비한 브티알
KR910000095Y1 (ko) 제어신호 기록/재생회로
KR870003693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간신호기록 및 검출장치
JPS606896Y2 (ja) 記録再生切換え装置
JPS6248953B2 (ko)
KR900010112Y1 (ko) 테이프 레코오드의 자동모드 절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