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958Y1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958Y1
KR890005958Y1 KR2019850018018U KR850018018U KR890005958Y1 KR 890005958 Y1 KR890005958 Y1 KR 890005958Y1 KR 2019850018018 U KR2019850018018 U KR 2019850018018U KR 850018018 U KR850018018 U KR 850018018U KR 890005958 Y1 KR890005958 Y1 KR 890005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balanced
contact
unbalanc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8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214U (ko
Inventor
장형주
이근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8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958Y1/ko
Publication of KR870010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세탁조의 불평형회전 제어장치.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불평형회전 제어장치의 스위치부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불평형회전 제어장치의 불평형 감지스위치부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불평형회전 제어장치의 회전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1' : 전면판
2 : 승간판 3 : 탄력스프링
4 : 연동판 5 : 작동간
6 : 인장스프링 7.7' : 상하부접점판
8 : 도어연결동작체 9 : 도어감지단자
9',9" : 도어감지접점 10 : 불평형감지단자
10',10" : 불평형감지접점 11 : 공통단자
12 : 불평형연결동작체 13 : 수직지지판
14 : 회전제어부 15 : 불평형감지기
16 : 고정체 17 : 레버감지기
20 : 스위치부 21 : 불평형감지스위치부
MC : 마이크로프로세서 TR1,TR2: 트랜지스터
TA1,TA2: 트라이액 ML,MR : 모터구동코일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전자동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이나 탈수작업시 세탁조가 평형을 잃은 회전운동, 즉 불평형상태로 회전할 경우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감지하여 평형상태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세탁기 내부에 설치된 세탁조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할 경우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거나 고장이 일어나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을 닫으면 선단부가 상승되는 승강판(2)을 탄력스프링(3)을 이용해서 기판(1)에 탄력지지되게 설치하고, 상기 기판(1)의 전면판(1') 상부에는 연동판(4)을 부착하되 상기 연동판(4)의 한쪽 끝부분이 상하부접점판(7,7')중 하부접점판(7')의 선단부를 눌러줄 수 있게 하며, 상기 연동판(4)의 하단부의 돌출부(4')를 밀어 줄 수 있도록 ""형으로 된 작동간(5)을 승강판(2)과 기판(1)을 관통하도록 설치해 놓은 구조로 된 안전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안전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 두껑을 닫으면, 승강판(2)의 선단부가 상승됨과 더불어 인장스프링(6)으로 탄력지지된 작동간(5)의 상단부가 연동판(4) 하단부의 돌출부(4')에 걸치게 됨으로써 그 연동판(4)의 내단부에 의해 눌러져 있던 하부접점판(7')이 자체탄성에 의해 상승되어 상하부접점판(7,7')의 접점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모터에 동력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중에 세탁물이 엉키는 등의 원인으로 세탁조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세탁조가 진동하게 되어 상기 작동간(5)을 쳐주게 됨으로 작동간(5)이 가상선(R)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간(5)상단이 연동판(4)하단부의 돌출부(4')에서 이탈하게 되어 작동간(5)에 의해 받쳐져 있던 연동판(4)이 인장스프링(6)의 수축력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게 되므로 그 내단부가 하부접점판(7')의 선단부를 아래로 눌러서 내려주게 되어 상하접점판(7,7')의 접점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모터에 공급되던 동력을 차단시켜 진동 및 소음등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세탁조가 작동간(5)을 치게 되면, 연동판(4)이 움직여 상하접점판(7,7')이 분리됨으로써 비정상적인 동작상태를 감지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세탁조의 동작상태가 상하접점판(7,7')에 전달되는 과정이 복잡하게 되어 기구적으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뢰성면에서나 가격면에서 단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세탁조의 회전상태를 작동간으로부터 직접 감지하여 제어함으로써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구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동작도 막을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기 뚜껑의 개폐에 따라 연동되는 도어연결동작체(8) 및 도어감지접점(9')이 부착된 도어감지단자(9)와, 도어감지접점(9")과 불평형감지접점(10")이 부착된 공통단자(11) 및, 불평형연결동작체(12) 및 불평형감지접점(10')이 부착된 불평형감지단자(10)가 차례로 수직지지판(13)에 고정된 스위치부(20)와, 세탁조의 불평형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불평형감지기(15)와 이 불평형감지기(15)의 감지에 따라 고정체(16)를 중심으로 상기 불평형감지기(15)의 감지에 따라 고정체(16)를 중심으로 상기 불평형연결동작체(12)를 누르도록 작동하는 레버감지기(17)로 구성된 불평형감지스위치부(21) 및, 입력단(①)이 상기 도어감지단자(9)와 저항(R1)의 접점에 연결로되면서 입력단(②)이 상기 불평형감지단자(10)와 저항(R2)의 접점에 연결되고 출력단(③)이 저항(R3)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출력단(④)이 저항(R5)의 일단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MC)와, 상기 입력단(①,②)과 접지단 사이에 각각 접속된 콘덴서(C1,C2), 베이스단이 각각 상기 저항(R3,R1)과 저항(R5,R6)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콜렉터단이 각각 저항(R7,R8)의 일단에 연결되어 에미터단이 각각 접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1,TR2), 이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과 접지단 사이에 각각 접속된 콘덴서(C3,C4), 게이트전극이 각각 상기 저항(R7,R8)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주전극사이에 콘덴서(C5,C6)와 저항(R9,R10)이 각각 연결되어 전원(Vcc)에 의해 트리거되는 트라이액(TA1,TA2), 이 트라이액(TA1,TA2)이 각각 트리거될 경우 전원(VAC)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구동코일(ML,MR)로 이루어진 회전제어부(14)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세탁조의 회전상태를 작동간으로 부터 직접 감지해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를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해서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 및 회로도로서, 본 고안은 탈수동작시 세탁조가 불평형상태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기의 두껑(도어)를 닫으면 도어연결동작체(8)가 상부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도어 감지단자(9)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감지접점(9')과 공통단자(11)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감지접점(9")이 접속되어 제4도에 도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입력단자(①)에 하이신호(H)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출력단자(③)에서 하이신호(H)가 출력되어 저항(R3,R4)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며, 이 트랜지스터(TR1)의 턴온에 따라 전원(Vcc)에 의해 트라이액(TA1)이 트리거되어 모터구구동코일(ML)에 전원(VAC)에 의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왼쪽으로 회전하여 세탁조는 정상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세탁기의 뚜껑이 열렸을 경우에는 도어감지단자(9)에 연결된 도어연결동작체(8)가 분리되어 도어감지접점(9')과 도어감지접점(9")이 떨어지게 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입력단자(①)에 로우신호(L)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출력단자(③)에서 로우신호(L)가 출력되어 저항(R3,R4)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며, 이 트랜지스터(TR1)의 턴오프에 의해 트라이액(TA1)이 트리거되지 않게 됨으로써 모터구동코일(ML)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게 되므 정지하게 된다.
한편 세탁조가 동작중 불평형상태로 회전할 경우 상기 세탁조가 제3도에 나타낸 불평형감지기(15)를 치게되어 불평형감지기(15)가 뒤로 밀리게 됨으로써 레버감지기(17)가 제2도에 나타낸 불평형연결동작체(12)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불평형감지단자(10)에 부착되어 있는 불평형감지접점(10')과 공통단자(11)에 부착되어 있는 불평형감지접점(10")이 접촉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입력단자(②)에 하이신호(H)가 인가되고,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MC)는 불평형을 교정하기 위해 급수밸브(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열어 일정시간 급수를 한 다음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모터구동코일(ML,MR)에 교대로 전류를 흘려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세탁포를 균일하게 한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MC)의 출력단(③)으로는 하이신호(H)를 출력하고 출력단(④)으로는 로우신호를 (L)를 출력하여 탈수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3접점방식으로 세탁조의 불평형상태 및 도어의 열림상태를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비용도 낮출 수 있다.

Claims (1)

  1. 세탁기 뚜껑 개폐에 따라 연동되는 도어연결동작체(8) 및 도어감지접점(9')이 부착된 도어감지단자(9)와, 도어감지접점(9")과 불평형감지접점(10")이 부착된 공통단자(11) 및, 불평형연결동작체(12) 및 불평형감지접점(10')이 부착된 불평형감지단자(10)가 차례로 수직지지판(13)에 고정된 스위치부(20)와; 세착조의 불평형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불평형감지기(15)와 이 불평형감지기(15)의 감지하는 불평형감지기(15)와 이 불평형감지기(15)의 감지에 따라 고정체(16)를 중심으로 상기 불평형연결동작체(12)를 누르도록 작동하는 레버감지기(17)로 구성된 불평형감지스위치(21) 및 입력단(①)이 상기 도어감지단자(9)와 저항(R1)의 접점에 연결되면서 입력단(②)이 상기 불평형감지단자(10)와 저항(R2)의 접점에 연결되고 출력단(③)이 저항(R3)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출력단(④)이 저항(R5)의 일단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MC)와, 상기 입력단(①,②)과 접지단 사이에 각각 접속된 콘덴서(C1,C2), 베이스단이 각각 상기 저항(R3,R4)과 저항(R5,R6)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콜렉터단이 각각 저항(R7,R8)의 일단에 연결되며 에미터단이 각각 접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1,TR2), 이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과 접지단 사이에 각각 접속된 콘덴서(C3,C4), 게이트전극이 각각 상기 저항(R7,R8)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주전극사이에 콘덴서(C5,C6)와 저항(R9,R10)이 각각 연결되어 전원(Vcc)에 의해 트리거되는 트라이액(TA1,TA2), 이 트라이액(TA1,TA2)이 각각 트리거될 경우 전원(VAC)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구동코일(ML,MR)로 이루어진 회전제어부(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회전 제어장치.
KR2019850018018U 1985-12-30 1985-12-3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KR890005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018U KR890005958Y1 (ko) 1985-12-30 1985-12-3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018U KR890005958Y1 (ko) 1985-12-30 1985-12-3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214U KR870010214U (ko) 1987-07-10
KR890005958Y1 true KR890005958Y1 (ko) 1989-09-08

Family

ID=1924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8018U KR890005958Y1 (ko) 1985-12-30 1985-12-3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9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214U (ko) 198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25174A (ja) 全自動洗濯機の脱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890005958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JP3011665B2 (ja) 洗濯機のランプ駆動制御装置及び方法
JPH11197390A (ja) 洗濯機
JP3063492B2 (ja) 洗濯機
KR0153565B1 (ko) 세탁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및 그 방법
GB2079791A (en) Washing machine
KR930005468Y1 (ko) 부분세정기의 방아쇠 걸림장치
KR100242574B1 (ko) 세탁기
KR100233450B1 (ko) 세탁기
JP3524153B2 (ja) 洗濯機等の電源スイッチ回路
JPS6124959B2 (ko)
JPS6129394A (ja) 全自動洗濯機の検知方式
JPH0824488A (ja) 洗濯機の電源スイッチ回路
KR100305058B1 (ko) 세탁기의 도어개방안전장치
KR950000944Y1 (ko) 세탁기의 수평상태 감지장치
JPS6114394Y2 (ko)
KR890000390Y1 (ko) 세탁기의 탈수통 불균형 감지장치
KR0125617Y1 (ko) 세탁기용 언바런스 감지스위치
KR0147217B1 (ko) 세탁기의 뚜껑개폐 감지장치
JPH07685A (ja) 洗濯機
JPS6116197B2 (ko)
KR19980028130A (ko)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장치
KR960009221Y1 (ko) 세탁기
KR0123889B1 (ko) 중량감지센서를 가진 전자동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