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912Y1 -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 Google Patents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912Y1
KR890005912Y1 KR2019890009292U KR890009292U KR890005912Y1 KR 890005912 Y1 KR890005912 Y1 KR 890005912Y1 KR 2019890009292 U KR2019890009292 U KR 2019890009292U KR 890009292 U KR890009292 U KR 890009292U KR 890005912 Y1 KR890005912 Y1 KR 890005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armature
motor
flat
fla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사기교노리
Original Assignee
후지사기 교노리
주식회사신한기술쎈타
이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50004082A external-priority patent/KR870000791A/ko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기 교노리, 주식회사신한기술쎈타, 이동춘 filed Critical 후지사기 교노리
Priority to KR2019890009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제1도는 편평형 모우터의 완성상태에 있어서의 부분 종 단면도.
제2도는 편평형 모우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2분할된 계자용 영구자석과 회전상태시 전기자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4분할된 영구자석과 회전상태시 전기자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VII-VII선에서 전기자의 원판을 생략한 상태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VII 지시 종 단면도.
제9도-제11도는 전기자코일용 철심의 제조방법으로서 제9도는 박판을 심금 감는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완성된 철심코일의 프레스공정 전단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1도는 상기 프레스공정의 후단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완성한 전기자 코일용 철심의 사시도.
제13도는 모우터케이스 7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종 단면도.
제16도는 모우터케이스 6을 내측에서 본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평형모우터 2 : 전기자
3 : 공간부 4 : 자계용 영구자석
14 : 영구자석편 14a : 반경방향의 단부
15 : 평행홈 L1: 분할선
L2: 법선 0 : 전기자의 회전중심
본 고안은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자가 전기위치를 통과할때 생기는 자속분포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회전토오크(Torque)의 변동이 매우 적어 미끄러지듯한 회전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각 영구자석편간의 흠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최근 소형 모우터는 완구 및 휴대용 스테레오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비롯하여 소형 음향기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음향기기에 있어서는 더욱 소형화 및 고음질화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초박형이면서 소형 모우터가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편평형 모우터는 복수의 자계용 영구자석편간의 분할선이 전기자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법선에 대하여 평행이되도록 즉, 방사상으로 형성되었고(예를들면 총합 전자출판사 발생의 매카트로닉스를 위한 DC 서보모우터 제3판 59항 참조 및 일본 공개실용공보 소 56-113488호)따라서 전기자가 전기위치를 통과할때 각 영구자석편에 의해 생기는 자속분포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충격을 받아 이것이 원인이 되어 회전력 억제가 일어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한 바는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된 계장용 영구자석편의 반경방향의 단부를 이루는 분할선이 전기자의 회전 중심선에 대하여 비평행상태기 되도록, 즉, 비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전기자가 전기위치를 통과할때 각 전기자코일이 영구자석측의 자속분포속에 급격히 출입하는 일이 없이 점차 이동하도록하여 토크, 변동을 극히 적고 회전이 매끄러운 편평형 모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영구자석편을 각 영구자석편의 사이에 동일폭의 평행홈이 되도록한 형상으로 함으로서 이 홈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을 꾀함과 동시에 영구자석편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편평형 모우터의 조립의 용이화를 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자의 구조를 편형의 원판상으로 해서 전기자의 축방향 측면에 에어갭을 통해 자계용 영구자석이 이러한 전기자에 대향해서 배치하도록하는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전기 영구자석이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영구자석편의 반경 방향의 단부를 이루는 분할선이 전기한 전기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법선에 대하여 비평형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본 고안 편평형 모우터 1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2)의 구조를 편평형의 원판상으로하고 상기 전기자의 축방향 측면에 에어캡(3)을 통해 자계용 영구자석(4)가 이러한 전기자(2)에 대향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계자용영구자석(4)과 브러쉬 취부장치(5)와 모우터 케이스(6)(7)과 전기자 코일용 철심(9)와 평행정류자(10)과 회전축(11)과 스러 스트왓셔(12)와 자성재료로 되는 취부판(13)을 주요부로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도로부터 제6도에 의해 편평형모우터(1)용의 계자용 영구자석(4)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영구자석(4)는 복수, 에로 두개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각 영구자석편(14)의 반경방향의 단부(14a)를 이루는 분할선(L1)이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서의 법선(L2)에 대해서 비평행상태 즉, 비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개의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L1)은 예를들어 서로 평행을 이루고, 각 영구자석편(14)사이에 동일폭의 평행홈(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구자석편(14)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5도에서와같이 영구자석(4)의 영구자석편(14)은 네개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각 영구자석편(14)의 단부(14a)를 이루는 분할선(LI)는 전기자(2)의 회전중심으로(0)으로 부터의 법선(L2)에 대해서 비평형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즉, 상기 분할선(L1)은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서 비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표현된 영구자석(4)와 동일하게 평행홈(15)가 종 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영구자석(4)는 몇개로 분할되었다 하더라도 각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L1)은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 대해서 항상 비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된다.
이와같이 영구자석(4)의 각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을 비방사상으로 형성한 것은 전기자(2)가 전기위치를 통과해서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들어갈때에 있어 자속분포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회전토오크 변동의 감소를 도모한 것이다.
다음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편평형 모우터(1)의 브러쉬 취부장치(5)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부러쉬 취부장치에 있어서는 분할된 영구 자석편(4)사이에 형성된 평행홈(15)속에 일단(18a)에 붙여진 카본 브러쉬(19)가 정류자(10)에 접촉하도록한 브러쉬(18)이 수용되어 있고 영구자석4의 판 두께속에 이러한 브러쉬(18)이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러쉬(18)의 브러쉬용 스프링(20)은 피스(21)과 너트(22)에 의해 자성재료로된 취부판(13)을 관통하여서 절연체(24) 및 절연재로 되는 왓셔(25)를 통해 모우터케이스(7)에 고정되어있고, 너트(22)는 단자(26)을 모우터케이스(7)에 고정하고 있다.
취부판(13)은 원판상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회전축(11)용의 축수(28)이 고착되어 있어서 상기 축수에 의해 회전축(11)의 일단(11a)을 받쳐주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브러쉬 취부장치(5)에서는 브러쉬(18)이 영구자석(4)의 평행홈(15)내에 완전히 들어가 있게됨으로 브러쉬 취부용 공간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이 결과 편평형 모우터(1)의 두께를 그만큼 감소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다.
평형정류자(10)은 절연체(30)을 통해 회전축(11)에 고착되어있고, 상기 정류자는 예를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2)가 3극일때에는 절연체(3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3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체의 사이에는 예를들어 도전성이 양호한 동판 또는 은합금판으로되는 도전판(31)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판에 대해 브러쉬(18)의 카본 브러쉬(19)가 압압되어 접촉하고 그 표면을 접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 편평형모우터(1)의 전기자(2)에 대해 제1도, 제2도, 제7도 및 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전기자(2)는 철심(9)에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을 소정회수로 감은 복수의 전기자코일(34)로된 영구자석(4)측의 표면(34a)에 이런 전기자코일(34)마다 자성재료로되는 분할판(35)가 접착되어 있고, 전기자코일(34)의 이면(34b)에는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자성재료로되는 원판(36)이 각 전기자코일(34)에 점착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36)은 정류자(10)의 절연체(30)와 일체적으로 고착되어서 회전축(11)에 압입고착되어 있다. 또 분할판(35) 및 원판(36)의 자성재료서는 예를 들어 철판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전기자코일(34)의 표면(34a) 및 이면(34b)에 분할판(35) 및 원판(36)을 점착한 것은 영구자석(4) 및 취부판(13)과 전기자(2)들 사이에 있어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따라서 원판(36)과 모우터케이스(6)의 내면(6a)와의 사이의 공간(38)은 자기회로와는 전혀 관계없도록 되어 있고 또 모터케이스(6)(7)도 자기회로와는 전혀 관계가 없도록 되어있다.
철심(9)는 자성재료로된 박판(39)을 감아서 형성한 것으로 중앙의 철심에 비해서 보자력을 증대하도록한 것이다.
또한 전기자코일(34)를 구성하는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에 대해 비교하면, 예를들어 도전선이 671회 감았다고 하면, 도전박의 두께를 예를 들어 20M를 했을때에는 동일한 용적에서 855회 감을 수 있고 도전선에 비해서 용적의 점유율이 향상되고 그 결과 효율을 도전선의 경우에 비해서 30%증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초소형의 편평형모우터(1)에 있어서 도전박을 사용한쪽이 보다 강력한 출력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 제7도에 의해 전기자코일(34)의 결선에 대해서 설명하면 델타결선의 경우에는 각 전기자코일(34)의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을 감기 시작하는 지점 S에서 시계 반대 방향측 정류자(10)의 도전판(31)의 단자(31a)에 접속하고 그 감기는 끝부분 E를 시계방향측의 도전판(31)의 단자(31a)에 접속한다.
이와같이 결선함으로서 정류자(10)과 각 전기자코일(3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 전기자코일(34)용의 철심(9)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도에서 제12도에 있어서 철심(9)의 제조방법을 우선 설명하면, 제9도에서와 같이 자성재료예로 철판으로된 박판(39)를 심금(40)에 대해 화살표 A방향으로 감는다. 이때 박판(39)의 일단(39a)는 심금(40)에 형성된 홈(40a)에 멈추게되고 이에따라 심금40을 회전시켜 박판(39)를 단단히 감게되어 있다.
이 심금(40)은 예를들어 직경이 1.5mm정도의 철봉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심금(40)에 박판(39)를 와권상으로 감아서 제10도에서와 같이 단면원형의 철심코일(41)을 형성하고 이 철심코일에서 심금(40)을 분리하고난 후 철심코일을 전기자코일(34)의 극수에 따라 중심각(θ)와 동일한 각도의 홈(51a)를 갖는 제1프레스형(51)과 원호상 면(52a)를 갖는 제2프레스형(52)로 협압하여서, 전기자코일(34)의 중심각(θ)와 같은 중심각을 갖인 부체형의 철심(9)로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제1프레스형(51)을 프레스의 하부 틀로하고 제2프레스형(52)을 프레스의 상부통로하여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프레스형(52)를 제1프레스형(51)위에 재치시킨 철심코일(41)에 대해 화살표 H방향으로 하강시켜서 제11도와 같이 양 프레스형(51)(52)에 의해서 철심코일(41)을 협압하고 제12도와 같은 철심(9)을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철심(9)의 제조방법은 마무리상태에 있어서 철심(9)의 폭과 동일폭의 좁은 박판(39)를 써서 제조할 수도 있다.
보다 능률적으로 이것을 제조하자면 마무리상태의 철심(9)의 폭보다 상당히 넓은 폭의 박판(39)을 심금(40)에 감아서 제11도와 같이 협압하여 성형하고난후 이것을 마무리상태로 해서 요구되는 폭으로 절단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완성된 철심(9)는 전기자코일(34)를 제조할때는 철심(9)의 둘레에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을 감아도 좋고, 또 공심상태에서 감겨진 전기자코일(34)의 중앙에 철심(9)를 삽입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라도 중간부에 철심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상기 박판(39)가 적층된 상태의 철심(9)를 사용하는 것이 보자력이 훨씬 강하고 전기자(2)로부터 대단히 큰 회전력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 제2도와 제14도에서 제18도에 의해 모우터케이스(6)(7)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고안에 관한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회로가 영구자석(4) 및 취부판(13)과 전기자(2)만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모우터케이스(6)(7)은 자기회로에서 제외되어있고, 이런 모우터케이스(6)(7)에는 비철재료, 예를들어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단 모우터케이스(6)(7)에 합성수지를 쓰게되면, 편평형모우터(1)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흡수하기가 곤란함으로 미약한 전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모우터케이스(6)(7)에는 노이즈방지용의 자성재료분, 예를들어 철분을 혼입한 합성수지를 쓰는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모우터케이스(6)(7)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제14도-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우터케이스(7)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벽면(7a)에는 절결부(7b)가 형성되어 있고, 또 대경부(7c)에 연속하는 소경부(7d)에는 원주방향 및 축방향으로 굴곡한 L자형의 홈(7e)가 한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경부(7d)의 내면에는 취부판(13)의 외주가 감압되도록 되어있다.
모우터케이스(6)은 모우터케이스(7)과 똑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내주는 모우터케이스(7)의 소경부(7d)에 함입할 수 있게되고, 한쌍 설치된 돌기(6e)가 모우터케이스(7)의 홈(7e)에 계합해서 서로 원주방향으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모우터케이스(6)의 중앙부에는 구멍(6b)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6b)에는 회전축(11)의 축수(53)이 고착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있고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관한 편평형 모우터(1)의 조립에 대해 설면하면, 정류자(10)의 외경은 영구자석(4)의 각 영구자석편(14)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홈(15)의 폭보다 더 작게 설장되어 있고, 상기 정류자(10)의 원통부(10a)는 원판(36)의 원통상 돌부(36a)에 감입되어 서로 고착된다.
한편 전기자코일(34)와 철심(9)가 조합되어 여기에 분할판(35)가 접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자코일(34)의 이면(34b)에 원판(36)이 접착되어진다.
따라서 전기자코일(34)와 분할판(35)와 철심(9)와 원판(36)과 정류자(10) 및 회전축(11)등이 일체화되고 각 결선이 되어서 전기자(2)가 완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이 원판(36) 및 정류자(10)에 압입되어 전기자(2)에 대해 상기 회전축이 고착된다. 한편 모우터케이스(7)에는 취부판(13)에 조립되어 피스(21)이 모우터케이스(7)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이 모우터케이스(7)의 외부로부토 너트(22)에 의해 단부(26)가 취부되며 동시에 브러쉬(18)이 피스(18)에 의해 절연체(24)(25)를 통해서 취부판(13)에 고정된다. 또 모우터케이스(7)도전재료로 제작될 시에는 단자(26)과 피스(21) 및 케이스(7)사이에 절연체(도시되지 않았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카본브러쉬(19)는 정유자(10)에 대향위치되며, 카본브러쉬(19)는 브러쉬용 스프링(20)에 의해 탄발력이 부여된다.
이와같이 브러쉬(20) 및 취부판(13)이 모우터케이스(7)에 취부되면 이어서 영구자석(4)의 각 영구자석편(14)가 취부판(13)에 고착되고 이어서 회전축(11)과 일체가된 전기자(2)가 제2도에서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삽입되면 회전축(11)의 일단(11a)는 취부판(13)의 축수(28)에 삽통되어 지지된다.
또한 각 영구자석편(14)는 먼저 취부판(13)에 고착해놓아도 좋다.
이때 정류자(10)은 평행이기 때문에 도면중 우측에서 받아들이는 카본 브러쉬(19)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가볍게 압입되는 것만으로 이 브러쉬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고 원통형의 정류자(도시되지 않음)에 비하여 조립이 대단히 간단하다.
이와같이 모우터케이스(7)에 전기자(2)가 조립되면 모우터케이스(6)의 회전축(11)에 그의 축수 53에 의해 안내되고 삽입되고 모우터케이스(7)에 조립된다.
이경우에 있어서 모우터케이스 6의 돌기(6e)는 모우터케이스(7)의 홈(7e)에 감입하고, 모우터케이스(7)에 대해 모우터케이스(6)을 제2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줌으로서 돌기(6e)와 홈(7e)가 비추어지는 관계가 되어 모우터케이스(6)(7)는 서로 고착되고 편평형 모우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편평형모우터(1)의 조립은 대단히 간단하며, 또 영구자석(4)의 판두께속에 브러쉬(18)이 수용되고 말므로 브러쉬를 수용하기위한 스페이스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편평형모우터(1)은 대단히 얇게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모우터케이스(6)(7)의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편평모우터 케이스(6)(7)의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이 편평모우터의 두께를 5.2mm까지 얇게할 수 있어서 초박형의 편평형모우터(1)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편평형모우터(1)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영구자석(4)에 대해서는 각 영구자석(14)의 분할선(L1)이 비방사상으로 되어 있는데 비해 전기자(2)의 각 전기자코일(34)의 단부(34c)를 구성하는 분할선(L3)가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법선(L2)와 평행이기 때문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C방향으로 전기자코일(34)가 회전하면 전기자코일(34)의 단부(34c)는 우선 영구자석편(14)의 외주단부(14b)에서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들어가기 시작하고, 단부(34c)와 분할선(L1)과의 교차점 P가 차례로 내부로 이동하면서 전기자코일(34)가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흡인되어가는 형태가 된다.
이때문에 전기자코일(34)가 전기위치를 통과할때 자속밀도의 변화가 급속으로 되지않고 그 결과 전기자(2)에 대한 변동토오크가 작게되고 이러한 전기자의 회전 불균형이 감소된다.
이것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편(14)를 4개로 설정했을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브러쉬 취부장치(5)에 있어서는 브러쉬(18)이 자석(4)의 판두께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형모우터(1)의 두께 T를 아주 얇게(예 : T=5.2mm 정도)할 수 있는데 이와같이 박형화한 만큼 영구자석(4)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전기자(2)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함으로서 종래와 동일한 두께의 편평형 모우터라면 종래의 것보다는 훨씬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브러쉬 취부장치(5)에 의해 편평형 모우터(1)을 아주 박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카셋테이프의 폭만한 두께의 스테레오카셋트 레코-더를 충분히 실현할 수가 있으며 또 필요로하고 고 출력을 발생케하는 편평형 모우터(1)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관한 전기자(2)에 있어서는 전기자코일(34)의 표면(34a)에 자성재료로되는 분할판(35)가 각각 점착되고 또 이면(34b)에는 자성재료로된 원판(36)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4)와 취부판(13) 및 전기자(2)와의 사이에 있어서 폐쇄된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영구자석(4)와 전기자(2)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모두 이 자기회로내로 순환하게되고, 영구자석(4)와 분할판(35)와 에어캡 3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서 이 에어캡을 아주 좁게할 수 있고 이에따라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전기자(2)와 케이스(7)사이의 공간(38)은 자기회로와는 전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이 공간의 치수관리를 엄중히할 필요가 없으며 종래 이 공간을 에어캡으로 사용한 훼라이트 마그넷트 모우터에 비하여 훨씬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모우터에 있어서 사용되던 사마륨코발트계 자석 또는 여기에 필적하는 강력한 영구자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값이싼 훼라이트계의 영구자석(4)을 사용하더라고 고가의 영구자석을 쓰는 경우와 같은 고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모우터 케이스(6)(7)이 자기회로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철을 써도 무방하지만 철 이외의 임의의 재료인 각종의 합성수지로 만들 수가 있고, 그 색체나 디자인을 자유로히 변경할 수 있게되고, 또 합성수지에 노이즈 방지용 자성재료분, 즉 철분을 혼입함으로서 편평형 모우터(1)에서 노이즈의 발생으로 인한 전파방해를 일으키는 결점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복수로 분할된 자계용 영구자석편의 반경방향의 단부를 이루는 분할선이 전기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법선에 대하여 비평행상태가 되도록 즉, 비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 전기자가 전기위치를 통과할때에 각 전기자코일이 영구자석측의 자속분포중에 급격히 출입하는 일이 없이 점차 이동하게함으로 전기자의 토오크 변동이 매우 작고 회전이 미끄러지듯 유연성을 갖인 편평형 모우터을 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영구자석은 각 영구자석편의 사이에 동일폭의 평행홈이 뛸 수 있게한 형상으로 이 홈을 이용할 수가 있고 영구자석편의 제조 및 이것을 이용한 편형형 모우터의 조립을 용이하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기자의 구조를 평면의 원판상으로하여 전기자의 축방향 측면에 에어캡을 게재하여 게자용 영구자석이 전기자에 대향해서 배치토록한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 전기영구자석이 복수로 분할되어서 분할되어진 각 영구자석편(14)의 반경 방향의 단부(14a)를 이루는 분할선(L1)이 전기한 전기자(2)의 회전중심(0)으로부터의 법선(L2)에 대해서 비평행상태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2. 전기한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은 서로 평행하고 각 영구자석편(14)간에 동일폭의 평행홈(15)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한 편평형 모우터의 영구자석.
KR2019890009292U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KR890005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292U KR890005912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082A KR870000791A (ko) 1985-06-11 1985-06-11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KR2019890009292U KR890005912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082A Division KR870000791A (ko) 1985-06-11 1985-06-11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12Y1 true KR890005912Y1 (ko) 1989-08-31

Family

ID=266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292U KR890005912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9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0835A (en) Disc armature
US4093882A (en) Coreless motor
US3315106A (en) Disk shaped electric motor
JPH0570377B2 (ko)
US4684839A (en) Structure of electric m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4374336A (en) Flat motor
JP3322954B2 (ja) 小型モータの組立式整流子
KR890005912Y1 (ko)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US3305741A (en) Miniature electric motor
KR890005911Y1 (ko) 전기자코일용 철심
KR890005913Y1 (ko)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KR890005914Y1 (ko) 편평형 모우터의 전기자
JPS61161946A (ja) 偏平形モ−タの電機子
KR890005915Y1 (ko) 소형 모우터
JPS61161947A (ja) 小型モ−タ
JPS61161944A (ja) 偏平形モ−タ用永久磁石
JP2003309944A (ja) モータおよびインシュレータの製造方法
JP2950905B2 (ja) モータ用ステータ及びモータ
US3575624A (en) Wire wound disc armature
JPS61161939A (ja) 電機子コイル用鉄心の製造方法
JPS61161945A (ja) 偏平形モ−タのブラシ取付装置
US7035044B2 (en) Magnetic disk device having a low-profile motor without deterioration in the strength of the enclosure
JP3096463B2 (ja) パルス信号発生器付きモータ
KR900003985B1 (ko) 인너로터 모터의 유철심형 전기자의 제조방법
JPS6185807A (ja) コイ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