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913Y1 -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913Y1
KR890005913Y1 KR2019890009293U KR890009293U KR890005913Y1 KR 890005913 Y1 KR890005913 Y1 KR 890005913Y1 KR 2019890009293 U KR2019890009293 U KR 2019890009293U KR 890009293 U KR890009293 U KR 890009293U KR 890005913 Y1 KR890005913 Y1 KR 890005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ermanent magnet
armature
brush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사기교노리
Original Assignee
후지사기교노리
주식회사신한기술쎈타
이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50004083A external-priority patent/KR870000786A/ko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기교노리, 주식회사신한기술쎈타, 이동춘 filed Critical 후지사기교노리
Priority to KR2019890009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제1도는 편평형 모우터의 완성상태에 있어서의 부분 종단면도.
제2도는 편평형 모우터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2분할 되어진 계자용 영구자석과 회전상태에 있어서의 전기자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것의 평면도.
제5도는 4분할 되어진 영구자석과 회전상태에 있어서의 전기자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것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VII-VII화살표시 전기자의 원판을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VII화살표시 종단면도.
제9도는 박판을 심금에 감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단면원형에 완성한 철심코일의 프레스 공정의 전단을 나타낸 정면도.
제11도는 마찬가지로 프레스 고정의 후단을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완성한 전기자 코일용 철심의 사시도.
제13도는 모우터 케이스 7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나타낸 것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나타낸 것의 종단면도.
제16도는 모우터 케이스 6을 내측에서 본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나타낸 것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6도에 나타낸 것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평형 모우터 2 : 전기자
3 : 에어갭부 4 : 계자용 영구자석
5 : 브러쉬 취부장치 10 : 정류자
14 : 영구자석편 15 : 홈
18 : 브러쉬 18a : 일단
본 고안은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자용 영구자석의 두터운 판내에 브러쉬가 들어 갈수있게 영구자석의 홈속에 브러쉬를 수용하므로서 모우터의 초박형화 및 제조의 간이화를 꾀할 수 있는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최근 소형 모우터가 완구, 음향기기, 카메라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들면 휴대용 헤드폰형 스테레오 카셋트 프레이어등은 전자회로의 고집체화가 되어가고 모우터의 크기가 기기의 소형화를 한계에 다달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소형 모우터에는 초박형화의 요구가 보다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는 정류자는 전기자가 에어갭을 통해 영구자석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에 그 전기자와 인접해서 설정했기 때문에 그 정류자에 접촉하는 브러쉬를 설치하는 공간이 전기자와 모우터 케이스와의 사이에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이 이상 모우터의 박형화를 꾀한다는 것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6-113488호 및 미국특허 제4080544호 참조).
또 종래에는 정류자를 구성하는 각 세그맨트를 회전축의 주위에 원통형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모우터의 제조에 있어서 조립공정에서 탄성을 갖는 브러쉬용 용수철을 판상으로하여 정류자와 브러쉬를 조립해야하는 작업이 필요하게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많은 공정은 거쳐야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 하는바는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복수로 분할되어진 계자용의 영구자석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브러쉬의 일단이 정류자에 접촉하겠금 하는 한편 그 브러쉬가 영구자석편의 두터운 판속에 들어가 있겠금 홈속에 수용도록함으로서 별도 브러쉬를 설치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없고, 따라서 편평형 모우터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 즉 모우터의 두께를 매우 작게하여 초박형화를 가능케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정류자를 평형으로해서 영구자석편의 홈에 설치한 브러쉬와 그 정류자와의 접촉면이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겠금 하므로서 편평형 모우터의 제조공정 특히 정류자와 브러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기자의 구조를 편평형의 원판상으로한 전기자의 축방향 측변에 에어갭을 통해 계자용 영구자석이 그 전기자에 대향해서 배설되겠금한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전기한 영구자석이 복수로 분할되어진 영구자석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속에 일단이 정류자에 접촉하는 브러쉬가 수용되고 그 영구자석의 두터운 판속에 그 브러쉬가 들어갈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해당되는 편평형 모우터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전기자(2)의 구조를 편평의 원판상으로해서 그 전기자의 축방향 측면에 에어갭(3)을 통해 계자용 영구자석(4)가 상기한 전기자(2)에 대향해서 배설되게한 것이므로 계자용 영구자석(4)와 브러쉬 취부장치(5)와 모우터 케이스(6,7)과 전기자 코일을 철심(9)와 평형 정류자(10)과 회전축(11)과 스라스트워셔(12)와 자성재료로 되는 취부판(13)을 주요부로해서 구성되었다.
우선 제1도 부터 제6도에서 편평형 모우터(1)용의 계자용 영구자석(4)에 대해서 설명하면 그 영구자석(4)는 복수, 즉 두개로 분할되어있고, 분할되어진 각 영구자석편(14)의 반경방향의 단부(14a)를 이루는 분할선(ℓ1)이 전기자(2)의 회전중심(0)으로부터 법선(ℓ2)에 대해서 비평행상태 즉 비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두개의 영구자석편(14) 사이에 동일넓이의 평행홈(15)가 형성되게 구성되었다. 또 영구자석편(14)의 수는 두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영구자석(4)의 영구자석편(14)는 네개로 분할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경우 각 영구자석편(14)의 단부(14a)를 이루는 분할선(ℓ1)는 전기자(2)의 회전중심(0)으로부터의 법선(ℓ2)에 대해서 비평형상태에 형성되어있고 즉 2분할선(ℓ1)는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서 비방사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하여 제3도에 나타낸 영구자석(4)와 똑같이 평행홈(15)가 종횡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영구자석(4)는 몇개로 분할된다해도 각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ℓ1)는 전기자 2의 회전중심(0)에 대해서 항상 비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4)의 각 영구자석편(4)의 분할선을 비방사상으로 형성한 것은 전기자(2)가 전기한 위치를 통로로하여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들어갈때에 있어 자속분포의 급경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회전토르크 변동의 감소를 꾀한 것이다. 다음 제1도에서 제6도를 참조해서 편평형 모우터(1)의 브러쉬 취부장치(5)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브러쉬 취부장치에 있어서는 분할되어진 각 영구자석편(4)의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홈(15)내에 일단에 취부된 카아본 브러쉬(19)가 정류자(10)에 접촉하도록된 브러쉬(18)이 수용되어있고, 영구자석(4)의 두터운 판내에 그 브러쉬가 들어갈수있게 구성되어있다.
브러쉬(18)의 브러쉬용 용수철(20)은 피이스(21) 및 너트(22)에 의해 자성재료에서 이루는 취부판(13)을 관통해서 절연체(24) 및 절연재로되는 워셔(23)을 통해 모우터 케이스(7)에 고정하고 있다. 그래서 그 단자(26)에는 리드선(27)이 접속되게되며 취부판(13)은 철판으로 원판상에 형성되어있고 그 중심부에는 회전축(11)의 일단(11a)가 지지되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 브러쉬 취부장치(5)에 있어서는 브러쉬(18)이 영구자석(4)의 평행홈(15)내에 완전힐 수용되기 때문에 그 브러쉬등 취부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편평모우터(1)의 두께를 그만큼 감소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평형정류자(10)은 절연체(30)을 통해 회전축(11)에 고착되어져 있고 그 정류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기자(2)가 3극 일때는 절연체(30)에 의해 원주방향에 3분할 되어져 있다. 그래서 그 절연체의 사이에는 도전성이 양호한 동판 또는 은합금판으로되는 도전판(31)이 취부되어있다.
그리고 그 도전판에 대해서 브러쉬(18)의 카아본 브러쉬(19)을 압압시켜 접촉하고 접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다음 편평형 모우터(1)의 전기자에 대해 제1도, 제2도, 제7도 및 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전기자(2)는 철심(9)에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을 수회감아서 이루는 복수의 전기자코일(34)의 영구자석(4)측에 표면(34a)에 전기자코일(34)마다 자성재료로되는 분할판(35)가 접착되어있고 전기자코일(34)의 이면(34b)에는 전기한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자성재료로되는 원판(36)이 각 전기자코일(34)에 걸쳐 접착되어져 있다. 그래서 그 원판(36)은 정류자(10)의 절연체(30)과 일체적으로 고착되어져 회전축(11)에 압입고착되고 더욱 분할판(35) 및 원판(36)의 자성재료로서는 철판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전기자코일(34)의 표면(34a) 및 이면(34b)에 분할판(35) 및 원판(36)을 접착한 것은 영구자석(4) 및 취부판(13)과 전기한 자로(磁路)사이에 자기회로가 형성되게 하기위한 것이다. 따라서 원판(36)과 모우터케이스(6)의 내면(6a)와의 사이에 공간(38)은 자기회로와는 전혀 관계없도록 되어있고, 또 모우터 케이스(6,7)도 자기회로와는 전혀 관계가 없도록 되어있다.
철심(9)는 자성재료에서 이루는 박판(39)를 감아 형성되어진 것으로 중심의 철심에 비해서 보자력(保磁力)을 증대시키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자코일(34)를 구성하는 도전 또는 도전박(33)에 대하여 비교하면, 예를들면 도전선이 671회 감겼다고 하면, 도전박의 두께를 20M으로 했을 경우에는 동일한 용적에 855회 감을 수 있으므로 도전선에 비해서 용적의 점유율이 향상되고 그 결과 효율을 도전선의 경우에 비하여 30%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소형의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는 도전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강격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제7도에 의해 전기자코일(34)의 결선에 대해서 설명하면, 델타(△)결선의 경우에는 각 전기자코일(34)의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의 감기 시작한곳 S를 도면중 반시계 방향측의 정류자(10)의 도전판(31)의 단자(31a)에 접속하고, 그 감긴 끝머리 E를 시계방향측의 도전판(31)의 단자(31a)에 접속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결선 하므로서 정류자(10)과 각 전기자코일(34)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다음은 전기자코일(34)용 철심(9)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도와 제12도에서 철심(9)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우선 설명하면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성재료인 철판으로되는 박판(39)를 심금(40)에 대해서 화살표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아 붙힌다. 이때 박판(39)의 일단(39a)는 심금(40)에 형성된 홈(40a)을 통해 심금(40)을 회전시켜 박판(39)를 감을 수 있게되어 있다. 이 심금(40)은 직경이 1.5mm정도의 철봉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심금(40)에 박판(39)를 와권상으로 감아서 제10도에 나타낸것처럼 단면원형의 철심코일(41)을 형성하고 그 철심코일을 전기자코일(34)의 극수에 맞는 중심각 θ와 동일각도의 홈(51)를 갖는 제일 프레스형(51)과 원호상 凹면(52a)를 갖는 제2프레스형(52)로 힙합하고 전기자코일(34)의 중심각 θ에 비등한 중심각을 갖는 선형의 철심(9)로 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제1프레스형(51)을 프레스의 하형으로하고 제2프레스형(52)를 프레스의 상형으로해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프레스형(52)를 제1프레스형(51)위에 재치된 철심코일(41)에 대해서 화살표 B와 같이 하강시켜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프레스형(51,52)에 의해서 철심코일(41)을 협압하고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철심(9)를 제조할수가 있다.
또한 철심(9)의 제조방법은 철심(9)의 폭과 동일폭의 좁은 박판(39)를 사용하여 제조할수도 있지만 보다 능율적으로 이것을 제조하자면 위와같은 상태의 철심(9)의 폭보다 더 상당히 넓은 폭을 갖는 박판(39)를 심금(40)에 감어 붙이고 제11도와 같이 협압해서 성형하고 그러한 후에 이것을 위와같은 상태에서 요구되는 폭으로 절단해도 좋다. 이와같이해서 완성한 철심(9)는 전기자코일(34)를 제조할때에는 그 철심(9)의 둘레에 도전선 또는 도전박(33)을 감아 붙혀도 좋고 또 공심상태에서 감겨진 전기자코일(34)의 속에 철심(9)를 삽입하게해도 좋다.
어느쪽을 채용하던 박판(39)가 적층된 상태의 철심(9)를 사용하는 것이 보자력이 훨씬 강하고 전기자(2)에서 대단히 큰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제2도 및 제14도와 제18도에 의해서 모우터케이스(6) 및 (7)에 대한 설명을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회로가 영구자석(4) 및 취부판(13)과 전기자(2)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우터케이스(6,7)은 자기회로에서 제외되어 있고, 이 모우터케이스(6,7)에는 비철재료 예를들면 합성수지를 사용가능케 된다. 단 모우터케이스(6,7)에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편평형 모우터(1)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흡수하기가 곤란하고 미약한 전류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노이즈가 발생한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 모우터케이스(6,7)에는 노이즈 방지용 자성재료분인 철분을 혼입한 합성수지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모우터케이스(6,7)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4도에서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케이스(7)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벽면(7a)에는 갈라진 부분(7b)가 형성되어있고 또 큰 경부(7c)에 연속하는 소경부(7d)에는 원주방향 및 축방향에 굴곡된 L자의 홈(7e)가 형성되어있다. 그리하여 소경부(7d)의 내면에는 취부판(13)의 외주가감입 되어있다.
모우터케이스(6)은 모우터케이스(7)과 똑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내주는 모우터케이스(7)의 소경부(7d)에 형성되어있고 일대에 설정되어진 돌기(6a)가 모우터케이스(7)의 홈(7e)에 계합되어 서로 원주방향에 마추어 고정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모우터케이스(6)의 중앙부에는 구멍(6b)가 형성되어있고 그 구멍에는 회전축(11)의 축부(53)이 고착되어있다. 일측 모우터케이스(7)에는 취부판(13)이 조립되어 붙혀지고 피이스(21)이 모우터케이스(7)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여 모우터케이스(7)의 외부에서 너트(22)에 의해 단자(26)이 취부된다. 이와 동시에 브러쉬(18)이 피이스(21)에 의해 절연체(24,25)를 통해 취부판(13)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케이스(7)이 도전재료로 제작된 경우에는 단자(26) 및 피이스(21)과 케이스(7)과의 사이에 절연체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카아본 브러쉬(19)는 정류자(10)에 대항하는 것이되고 이 카아본 브러쉬(19)는 브러쉬용 용수철(20)에 의해 탄발력을 주게되어있다. 이와 같이 해서 브러쉬(20) 및 취부판(13)이 모우터케이스(7)에 취부되면 계속해서 영구자석(4)의 각 영구자석편(14)가 취부판(13)에 고착되어 계속해서 회전축(11)과 일체가 된 전기자(2)가 제2도에 있어서 좌측에서 삽입되면 회전축(11)의 일단(11a)는 취부판(13)의 축수(28)에 삽통되어 지지된다.
또한 각 영구자석편(14)는 먼저 취부판(13)에 교착해도 좋다. 이때에 있어서도 정류자(10)은 평형이기 때문에 도면중 우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카아본 브러쉬(19)에 대해서 측방에서 가볍게 압압만하면 그 브러쉬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고 원통형의 정류자에 비하여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다. 이와같이하여 모우터케이스(7)에 전기자(2)가 조립되어 붙여지면 모우터케이스(6)이 회전축(11)에 그 축수(53)에 의해서 안내되어 삽입되어지고, 모우터케이스(7)에 조립되어진다. 이때 모우터케이스(6)의 돌기(6a)는 모우터케이스(7)의 홈(7e)에 감입하고 모우터케이스(7)에 대해서 모우터케이스(6)를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그 돌기(6a)와 홈(7e)가 마추어진 것이 되어 모우터케이스(6,7)은 서로 고착되어 편평형 모우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편평형 모우터(1)의 조립은 아주 간단하고 한편, 영구자석(4)의 두터운 판내에 브러쉬(18)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평형 모우터(1)은 아주 얇게 할수가 있고 말하자면 모우터케이스(6,7)의 조립상태에 따라 그 편평형 모우터(1)의 두께를 5.2mm정도 얇게 할수가 있고 초박형의 편평형 모우터(1)을 실현할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하여 조립된 편평형 모우터(1)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영구자석(4)에 대해서는 각 영구자석편(14)의 분할선(ℓ1)이 비방사상으로 되어있고 전기자(2)의 각 전기코일(34)의 단부(34c)를 구성하는 분할선(ℓ3)가 전기자(2)의 회전중심(0)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있고 법선(ℓ2)와 평행하기 때문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일 화살표C와 같이 그 전기자코일(34)가 회전하면 전기자코일(34)의 단부(34C)는 우선 영구자석편(14)의 외주단부(14b)에서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단부(34C)와 분할선(ℓ1)과의 교점 P가 차례로 내부에 이동하면서 전기자코일(34)가 영구자석편(14)의 자장에 흡취되어가는 꼴이 된다.
이때문에 전기자코일(34)가 전기한 위치를 통과할때 자속밀도의 변화가 급속히 일어나지 않고 그 전기자의 회전 불균형이 감소된다. 이러한 것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영구자석편(14)를 4개 설정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모두 똑같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브러쉬 취부장치(5)에 있어서는 브러쉬(18)이 자석(4)의 두터운 판내에 수용되 있기 때문에 편평형 모우터(1)의 두께t을 극히 얇게 즉 t=5.2mm정도 할수 있는데 이와같이 박형화 한것이므로 예를들어 영구자석(4)의 두께를 더하든지 또는 전기자(2)의 두께를 더하는데에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두께의 편평형으로되는 모우터라면 종래의 것보다 훨씬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래서 브러쉬 취부장치(5)에 의해서 편평형 모우터(1)을 아주 박형화 할수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테이프의 폭만큼의 두께의 스테레오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충분히 현실화 할수있게 됐고 또 거기에 필요로하는 고출력을 발생시키는 편평형 모우터(1)을 제공할수 있게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 전기자(2)에 있어서는 전기자코일(34)의 표면(34a)에 자성재료로되는 분할판(35)가 각각 접착되고 또한 그 이면(34b)에는 자성재료로되는 원판(36)이 점부되어져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4) 및 취부판(13)과 전기자와의 사이에 있어서, 폐쇠된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영구자석(4) 및 전기자(2)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일정한 자기회로 내를 순환하는 것이되고 영구자석(4)와 분할판(35)와의 에어갭(3)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주므로서 에어갭을 아주 좁게 할수가 있고, 여기에 의해서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수가 있다. 또 전기자(2)와 케이스(7)과의 사이에 공간(38)은 자기회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이 공간의 치수관리를 중요시할필요가 전혀 없게됐고 종래 이 공간을 에어갭으로서 사용한 훼라이트 마그넷트 모우터에 비해서는 훨씬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 편평형 모우터(1)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모우터에 사용된 싸마름코발트계 자석 또는 여기에 필적하는 강력한 영구자석을 쓰는 일이 없이 값싼 훼라이트계의 영구자석을 사용해도 그와같은 극히 고가인 영구자석을 쓴 경우와 마찬가지의 고출력을 얻을수 있게된다. 또 모우터케이스(6,7)이 자기회로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 모우터케이스는 철을 써도 물론 좋지만 철 이외의 임의의 재료 즉 각종 합성수지로 만들수 있게됐고 그 색체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수가 있다. 또 합성수지에 노이즈 방지용 자성재료분 즉 철분을 혼힙하므로서 편평형 모우터(1)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여 전파장해를 일으키는 것 같은 결점을 완전히 방지할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것이므로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복수를 분할된 계자용의 영구자석편의 사이에 형성된 홈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브러쉬를 그 일단이 평형인 정류자에 접속할 수 있고 한편, 브러쉬가 영구자석편의 두터운 판내에 들어 갈수있게 그 홈속에 수용한 것이므로 브러쉬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졌고 편평형 모우터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 즉 모우터의 두께를 극히 작게하고 초박형화를 가능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정류자를 평형으로 해서 영구자석편의 구내에 배설된 브러쉬와 그 정류자와의 접촉면이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게한 것이므로 편평형 모우터의 제조공정 특히 정류자와 브러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기자의 구조를 편평의 원판상으로하고 전기자의 축방향 측면에 에어갭을 통해 계자용 영구자석을 전기자에 대향하여 배설하게한 편평형 모우터에 있어서 전기한 영구자석(4)이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영구자석편(14)의 사이에 형성된 홈(15)속에 일단이 정류자(10)에 접촉하는 브러쉬(18)가 들어가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2. 전기한 정류자는 평형 정류자(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KR2019890009293U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KR890005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293U KR890005913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083A KR870000786A (ko) 1985-06-11 1985-06-11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 장치
KR2019890009293U KR890005913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083A Division KR870000786A (ko) 1985-06-11 1985-06-11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13Y1 true KR890005913Y1 (ko) 1989-08-31

Family

ID=2662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293U KR890005913Y1 (ko) 1985-06-11 1989-06-29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9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0835A (en) Disc armature
US4093882A (en) Coreless motor
US3315106A (en) Disk shaped electric motor
US4501984A (en) Columnar solid body rotor
JP3312370B2 (ja) モ−タ構造
US4684839A (en) Structure of electric m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H0570377B2 (ko)
US3495111A (en) Small permanent magnet rotor shaded pole motor
JP2012070512A (ja) Dcモータ
US5446328A (en) Miniature motor with preassembled commutator
US4374336A (en) Flat motor
US4369388A (en) Direct current motor with non-superposed armature windings
KR890005913Y1 (ko) 편평형 모우터의 브러쉬 취부장치
US4080544A (en) Electric motor
CA1128103A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1154457A (ja) ブラシ・モー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349761A (en) Flat type coreless rotary electric machine
KR890005914Y1 (ko) 편평형 모우터의 전기자
KR890005911Y1 (ko) 전기자코일용 철심
KR890005912Y1 (ko) 편평형 모우터용 영구자석
KR890005915Y1 (ko) 소형 모우터
JPS61161946A (ja) 偏平形モ−タの電機子
GB2379336A (en) Stator for a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JPS61161947A (ja) 小型モ−タ
JPS61161944A (ja) 偏平形モ−タ用永久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