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726A -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726A
KR890005726A KR1019880012196A KR880012196A KR890005726A KR 890005726 A KR890005726 A KR 890005726A KR 1019880012196 A KR1019880012196 A KR 1019880012196A KR 880012196 A KR880012196 A KR 880012196A KR 890005726 A KR890005726 A KR 89000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difference component
variab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433B1 (en
Inventor
히로야스 오쯔보
마찌오 마스다
히데오 니시지마
히또아끼 오와시
마사따까 세끼야
고우지 미나베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36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3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44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0581A/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9000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가변계수 증배회로의 차성분에 대응하는 귀환계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특성도.

Claims (17)

  1. 한쪽의 입력에 디지탈 영상신호가 공급되고 다른쪽의 입력에 공급된 신호를 가산하여 합성된 합신호를 출력하는 가산회로(1), 상기 디지탈 입력 영상신호의 입력단위 주기만큼 상기 가산회로의 출력신호를 지연하기 위한 지연회로(5), 상기 디지탈 입력 비디오 신호와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디지탈 입력 영상신호와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신호의 차성분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감산회로(2), 상기 감산회로에서 출력된 차성분 신호의 특성과 상기 가산회로에서 출력된 디지탈 출력 영상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 출력의 신호 특성을 처리하여, 처리된 합성신호를 상기 가산회로의 상기 다른쪽 입력에 출력하는 특성 조절회로(19)를 포함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조절회로(19)는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 신호가 공급되고 가변 귀환계수 K를 차성분 신호에 곱하여 곱신호를 상기 가산회로의 상기 다른쪽의 입력으로 출력하는 가변계수 증배회로(3)과, 상기 감산회로(2)의 차성분 신호의 값을 검출하며, 상기 차성분 신호의 절대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작은 저레벨 영역을 결정하고 귀환계수 K가 저레벨 영역보다 작도록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3)을 제어하는 저레벨 검출수단(7)을 포함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또 상기 특성 조절회로(19)는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 신호가 공급되는 상관 검출수단(8)을 포함하며, 상기 상관 검출수단은 상기 차성분 신호가 소정의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입력 단위 주기의 전후에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의 상관의 정도가 낮게될때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의 귀환계수 K를 작게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회로는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가산을 실행하는 제1가산회로(1), 상기 지연회로에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2가산회로(9)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는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 신호에 가변 귀환계수 α를 곱하여 합성된 곱신호를 상기 제1가산회로에 출력하기 위한 제1가변계수 증배회로(3),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신호에 가변계수 K를 곱하여 합성된 곱신호를 상기 제2가산회로에 출력하기 위한 제2가변계수 증배회로(10)으로 구성되며, 저레벨 검출수단(7)은 상기 제1 및 제2가변계수 증배회로의 가변계수 α, K를 제어하며, 상기 상관 검출수단(8)도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1 및 제2가변계수 증배회로의 가변계수 α, K를 제어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계수 α, K는
    α=K+1/4
    의 관계로 되도록 선택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레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가변계수 K를 K0이라고 하면 상기 차성분 신호의 절대값이
    의 관계를 만족하는 영역은 상기 저레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저레벨 영역의 귀환계수 K는
    일때,
    (1-K)ㆍ│ΔXi│=1 의 관계로 되도록 선택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레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가변계수 K를 K0이라고 하면 상기 차성분 신호의 절대값이의 관계를 만족하는 영역은 상기 저레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저레벨 영역의 귀환계수 K는
  8.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레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가변계수 K를 K0이라고 하면 상기 차성분 신호의 절대값이의 관계를 만족하는 영역은 상기 저레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저레벨 영역의 귀환계수 K는
    일때, (1-K)ㆍ│ΔXi│=1 의 관계로 되도록 선택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조절수단은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이 공급되어 신호 레벨을 함수 α로 제한하고 상기 제한된 신호레벨을 출력하는 리미터 회로(11), 상기 리미터 회로의 출력에 가변 귀환계수 K를 곱하는 가변계수 증배회로(3),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의 귀환계수 K를 설정하고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계수 K에 대응한 입출력 특성을 상기 리미터 회로에 설정하는 제어회로(12)를 포함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 회로(11)은 입출력 특성을 규정하는 함수α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감산회로(2)에서 공급된 차성분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리드하고, 리드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해 리라이트 가능한 메모리(13)을 포함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와 리미터 회로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서 제어되어 계수 K, α가 리라이트되는 메모리를 내장하는 리미터 회로(11)로 구성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 회로는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가변 귀환계수 K에 대응하는 입출력 특성 함수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ROM(4)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귀환계수 K에 대응하는 입출력 특성 함수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선택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귀환계수 K를 K1, K2(K2>K1)로 하고, K1, K2에 대응하는 상기 리미터 회로의 리미터 레벨을 A1, A2(A2>A1), 상기 차성분 신호를 (Yi-Xi)로 하면,
    (i) K=K1일때,
    │Yi-Xi│<A1이면 α=1
    │Yi-Xi│A1이면 α=A1/│Yi-Xi│,
    (ii) K=K2일때,
    │Yi-Xi│<A2이면 α=1
    │Yi-Xi│A2이면 α=A2/│Yi-Xi│가 되도록 함수α의 값이 규정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귀환계수 K를 K1, K2(K2>K1)로 하고, K1, K2에 대응하는 상기 리미터 회로의 리미터 레벨을 A1, A2(A2>A1), 상기 차성분 신호를 (Yi-Xi)로 하면,
    (i) K=K1일때,
    │Yi-Xi│<A1이면 α=1
    │Yi-Xi│A1이면 α=A1/│Yi-Xi│,
    (ii) K=K2일때,
    │Yi-Xi│<A2이면 α=1
    │Yi-Xi│A2이면 α=A2/│Yi-Xi│가 되도록 함수α의 값이 규정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귀환계수 K를 K1, K2(K2<K1)로 하고, K1, K2에 대응하는 상기 리미터 회로의 리미터 레벨을 A1, A2(A2>A1), 상기 차성분 신호는 (Yi-Xi)로 하면,
    (i) K=K1일때,
    │Yi-Xi│<A1이면 α=1
    │Yi-Xi│A1이면 α=A1/│Yi-Xi│
    (ii) K=K2일때,
    │Yi-Xi│<A2이면 α=1
    │Yi-Xi│A2이면 α=A2/│Yi-Xi│가 되도록 함수α의 값이 규정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6. 특허청구의 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에 설정된 귀환계수 K를 K1, K2(K2〉K1)로 하고, K1, K2에 대응하는 상기 리미터 회로의 리미터 레벨을 A1, A2(A2〉A1), 상기 차성분 신호를 (Yi-Xi)로 하면,
    (i) K=K1일때,
    │Yi-Xi│〈A1이면 α=1
    │Yi-Xi│A1이면 α=A1/│Yi-Xi│
    (ii) K=K2일때,
    │Yi-Xi│〈A2이면 α=1
    │Yi-Xi│A2이면 α=A2/│Yi-Xi│가 되도록 함수α의 값이 규정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또 상기 감산회로의 차성분 신호의 값을 검출하고, 상기 차성분 신호의 절대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적은 저레벨 영역으로 결정되며, 저레벨 영역의 결정에 대하여 귀환계수 K를 적게하도록 상기 가변계수 증배회로의 귀환계수 K를 제어하는 저레벨 검출수단(7)을 포함하는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812196A 1987-09-22 1988-09-21 Digital noise reducer KR9200004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36289A JP2543535B2 (ja) 1987-09-22 1987-09-22 デイジタルノイズリデユ―サ
JP62-236289 1987-09-22
JP63-44154 1988-02-29
JP63044154A JPH01220581A (ja) 1988-02-29 1988-02-29 ノイズリデユー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26A true KR890005726A (ko) 1989-05-16
KR920000433B1 KR920000433B1 (en) 1992-01-13

Family

ID=2638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812196A KR920000433B1 (en) 1987-09-22 1988-09-21 Digital noise reduc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26361A (ko)
KR (1) KR920000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2053B (en) * 1988-08-17 1993-03-31 Topexpress Ltd Signal processing means for sensing a periodic signal in the presence of another interfering periodic noise
US5144434A (en) * 1989-07-13 1992-09-01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using look-up table
JPH0722341B2 (ja) * 1989-09-25 1995-03-0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偽画像除去方法
DE59010181D1 (de) * 1990-08-30 1996-04-11 Itt Ind Gmbh Deutsche Verfahren zur Reduktion des Farbrauschens eines Fernsehsignals
JPH0767176B2 (ja) * 1990-11-28 1995-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符号化雑音除去フィルタ
DE4105516C2 (de) * 1991-02-22 1995-11-16 Hell Ag Linotyp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ten Wiedergabe von Konturen
JP3327397B2 (ja) * 1991-03-12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偏向補正波形発生回路
US5287174A (en) * 1991-04-05 1994-02-15 Sanyo Electric Co., Ltd. Vertical resolution correcting circuit for video signal
DE4137404C2 (de) * 1991-11-14 1997-07-10 Philips Broadcast Television S Verfahren zur Reduktion von Rauschen
JP3139798B2 (ja) * 1991-12-10 2001-03-05 株式会社東芝 信号ノイズ低減装置
US5325203A (en) * 1992-04-16 1994-06-28 Sony Corporation Adaptively controlled noise reduction device for producing a continuous output
DE4239396C1 (de) * 1992-11-24 1994-02-24 Itt Ind Gmbh Deutsch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modifizierten Videosignals
US5469364A (en) * 1993-03-15 1995-11-21 Hughey; Bradley W.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detecting variations in the value of a capacitor
US5574512A (en) * 1994-08-15 1996-11-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otion adaptive video noise reduction system
JP3334500B2 (ja) * 1996-06-17 2002-10-15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リデューサ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4078806B2 (ja) * 1998-10-26 2008-04-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
JP4365555B2 (ja) * 2002-01-22 2009-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記録装置
CN1998227A (zh) * 2004-08-10 2007-07-11 汤姆逊许可公司 用于指示视频中运动的检测度的设备和方法
US7769089B1 (en) 2004-12-02 2010-08-03 Kolorific,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noise level in a video signal
WO2007116514A1 (ja) * 2006-04-07 2007-10-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ノイズ除去装置及びノイズ除去方法
KR101145090B1 (ko) 2009-02-26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울링이 저감된 폴리올레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334A (en) * 1976-03-17 1977-02-22 Eastman Kodak Company Video noise reduction circuit
US4112499A (en) * 1977-03-17 1978-09-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igital transient discriminator with noise spike clipping
US4684976A (en) * 1985-04-18 1987-08-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eedback comb-type filter
NL8501956A (nl) * 1985-07-09 1987-02-02 Philips Nv Beeldherstelschakeling.
JPS6258793A (ja) * 1985-09-03 1987-03-14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ヨン信号の同時化回路
US4750037A (en) * 1985-10-07 1988-06-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Noise reduction system for video signal
JPH0822022B2 (ja) * 1987-02-13 1996-03-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ノイズリデューサ
JPS63222589A (ja) * 1987-03-12 1988-09-16 Toshiba Corp ノイズ低減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433B1 (en) 1992-01-13
US4926361A (en) 199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726A (ko)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AU641589B2 (en) Video signal gradation corrector
US5930402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of video signal
KR920022877A (ko) 계조 보정 장치
KR920022879A (ko) 계조 보정 장치
EP0566412A2 (en) Noise reduction device
KR920700492A (ko)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에 기초한 자동이득제어
KR970007608A (ko) 화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960700607A (ko) 인코딩 장치 및 방법(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KR960012951A (ko) 정준표시된 필터계수를 이용하는 고스트 제거장치
KR910011054A (ko) 촬상장치의 신호처리장치와 그 방법
US5508751A (en) Recursive noise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noise of stationary regions in moving images
JPS55102972A (en) Removal unit for noise of picture
KR840004651A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용 자동색도 제어시스템
KR970068492A (ko) 영상표시장치
KR89000137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변환기
KR910021124A (ko) 화면 밝기에 따른 수직 윤곽조정 방식
KR910019439A (ko) 영상신호의 윤곽강조장치
KR920007433A (ko) 적응형 디지탈 윤곽보상 소음 말소 회로
KR920014282A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페이드 아웃회로
KR950010519A (ko) 잡음저감장치
JP2586234B2 (ja) 相関演算装置
US20090022371A1 (en) Movemen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with adaptive double filtering
GB2292282A (en) Video special effect generators
US8144935B2 (en) Movemen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with a thresholding algorithm per enve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