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891B1 -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891B1
KR890004891B1 KR1019860011539A KR860011539A KR890004891B1 KR 890004891 B1 KR890004891 B1 KR 890004891B1 KR 1019860011539 A KR1019860011539 A KR 1019860011539A KR 860011539 A KR860011539 A KR 860011539A KR 890004891 B1 KR890004891 B1 KR 89000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ing
conveying
longitudinal conveying
tip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628A (ko
Inventor
마사히꼬 유가와
마다오 노모리
유다까 나까무라
미끼오 오오모리
다다시 쓰지
요시히로 다니구찌
미네요시 가무라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예취처리부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 1 도는 전체 평면도.
제 2 도는 긁어넣는 회전체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 3 도는 긁어넣는 회전체의 평면도.
제 4 도는 포기 밀쪽 팩커와 안내체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Ⅵ)-(Ⅵ)선 단면도.
제 7 도는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의 정면도.
제 8 도는 전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세로방향 반송장치 6 :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
7 : 구동모우터 7a : 출력측
10 : 뒷부분 탈곡장치 25 : 회전원판
P : 반송방향 뒷쪽 지지점 Q : 반송경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로서 일으켜진 복수줄의 예취 곡식줄기를 세로방향 반송장치로서 뒷부분 탈곡장치에 보낼때 세로방향 반송장치의 시작되는 끝부분이 위치하는 쪽과는 반대쪽에서 잡아당겨서 일으켜서 오는 예취할 곡실줄기를 세로방향 반송장치의 시작되는 끝부분으로 향해서 넣어보내는 이삭끝을 긁어넣는 장치를 갖춘 콤바인 예취전처리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이삭끝의 긁어넣은 장치는, 세로방향반송장치에서 이 세로방향 반송장치의 반송경로 윗쪽을 우회하는 문형상의 틀의 앞쪽끝에 부착괴어 훑어내는(탈곡)깊이의 조절을 행하기 위하여 세로방향 반송장치와 그 세로방향 반송장치의 뒷쪽 지지점에서 일체적으로 작동가능함과 아울러, 상기한 문향상의 틀내부에 전동기구를 장치하여서 세로방향 반송장치에 동력을 도출하고 있었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소화 57년 제 16618호) 따라서 이 경우에는 문형상의 틀내붕 예컨대 전동측이나 베벨기어 등의 전동기구를 내부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전동기구로서의 구성이 전동축이나 베벨기어를 결합시킨 복잡한 것으로됨과 아울러, 그것들을 내부에 장치하는 문형상 틀의 틀지름도 크게되어서 세로방향 반송장치에서 보내는 반송되는 곡식줄기에 접촉하여서 반송된 곡식 줄기를 손상시킬 염려도 있으므로, 상기한 문형상의 틀은 세로방향 반송장치의 반송경로 윗쪽을 크게 우회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삭끝을 긁어넣는 장치에 대한 구동장치의 합리적인 선정에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되는 것을 제공하는 점에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징 구성은 잡아당겨서 일으킨후에 예취된 곡식줄기를 뒷부분 탈곡장치로 향하여 반송하는 세로방향 반송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세로방향반송장치의 반송 경로쪽에서 또한 그 세로방향 반송 장치의 시작되는 끝부분에 대향한 위치에 예취후의 곡식줄기를 긁어넣어 세로바향 반송장치로 합류시키는 이삭끝을 긁어넣는 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이삭끝을 긁어넣는 장치에는 이것을 구동하는 전용 모우터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 구동모우터와 이삭끝의 긁어넣는 장치를 세로방향 반송장치와 일체로 반송방향 뒷쪽 지지점에서 상하 요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이삭끝의 긁어넣는 장치를 구동하는 전용의 모우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세로방향 반송장치로 부터의 전동기구가 필료하기 않으며, 또한 기계 본체쪽에서 모우터에의 전기 공급구조를 채택하는 것으로 하여도 이 문형상의 틀을 이용하여 문형상 프레임 내부에 상기한 모우터에의 전기공급 케이블을 내부에 장치하면 충분하므로 상기한 문형상 틀을 구성하는 각틀의 지름을 작게할수 있다.
그 결과 문형상 틀의 적을지름화와, 이 문형상틀내부에 전동기구를 장치하는 일이 없는것의 두가지 점에 의해서 구조의 결량 간소화가 도모되어서 이삭에 매달린 곡식을 훑어내는 깊이의 조절용으로서 구성된 세로방향 반송장치와 이삭끝을 긁어넣는 장치의 상하요동기구를 소형화될수 있음과 아울러, 전동기구의 생략화에 따라서 부분폼의 갯수를 삭감할수 있으며, 또한 전동기구를 문형상 틀내부에 설치하는 작업 부담이 생략된다.
제 8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콤바인의 전처리장치(B)는 지지바아(14)에 부착된 분초구(分草具)(13), 이 분초구 지지바아(14)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에 설치되는 세줄부분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1B)1C), 이들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1B)(1C)에 의해서 잡아당겨 일으켜진 세줄부분의 곡식포기를 예취하는 폭의 가운데로 접근시키는 돌기가 부착된 벨트 형상의 포기 밑쪽앞부분의 계지반송장치(3A)(3B)및 긁어넣는 팩커(4A)(4B), 상기한 앞부분의 계지반송장치(3A)(3B)로서 접근한 곡식줄기를 예취하는 예취장치(2), 예취후의 곡식줄기를 뒷부분 탈곡장치(10)로 반송하는 이삭앞부분의 계지반송장치(5B) 및 포기밑부분을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반송장치(5A)로서 이루어지는 세로방향 반송장치(5)를 갖추어서 기체(A)에서 연장하여 돌출하는 전후방향의 메인프레임(9)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한 메인프레임(9)의 근기부끝 옆쪽축심(P)둘레에서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있다. 잡아당겨서 일르키는 장치(1A)(1B)(1C)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조종부(12)쪽 우측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로서 한줄부분을 일으킴과 아울러 조종부(12)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가운데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B)와, 좌측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C)를 각각 잡아당겨 일으키는 경로를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두줄분의 곡식 줄기를 잡아당겨 일으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C)는 윗부분의 구동륜체(15)와 밑부분의 유전륜체(16)의 사이의 텐숀륜체(17)를 개재하여 체인(18)을 감아걸어서 펼쳐서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체인(18)에 대하여 일으켜 세우거나. 꺼꾸로 넘어지는 것이 자유자재로운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핑거(finger)(19)를 복수개 등간격으로 부착해서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경로에 대응하여 설치한 안내부재(20)에 의하여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핑거(19)를 세워있는 자세로 유지하고, 이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핑거(19)로서 심어놓은 곡식줄기를 잡아당겨 일으킨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우측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핑거(19)를 앞쪽끝 궤적(a)과 가운데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B)의 케이스(1b)끝면의 간격을 잡아당겨 일으키는 케이스(1b)윗부분에 대응하는 쪽일수록 좁아지게하며(α), 또한 잡아당겨 일으키는 케이스(1b)의 아래부분에 대응하는 쪽일수록 넓게되도록(β)설정하고 있으므로, 짧은 줄기의 경우에는 넓은 간격(β)으로부터 조기에 벗어나게하여 필요이상의 잡아당겨 일으키는 작용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줄기가 긴 경우에는 간격(α)을 좁개하여서 그 간격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여서 충분히 잡아당겨 일으키는 작용을 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이삭끝부분의 긁어넣는 장치로서의 이삭끝부분의 긁어넣는 회전체(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세로방향 반송장치(5)의 반송경로(Q)의 윗쪽을 우회하여 연장돌출된 U자를 (21)의 앞쪽에 포기 근거부를 사이에두고 지지하는 반송장치(5A)에 대응하여 설치된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레일(22)을 지지하는 근기부 끝부분틀(23)을 고정하여 부착함과 아울러, 이근기부끝의 틀(23)에서 연장 돌출된 지지용 홀더(holder)(24)의 앞쪽 끝에는 끌어내고 복귀 시키는 것이 자유자재로운 지지부재(34)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앞쪽끝에 구동모우터(7)와, 이삭끝 부분의 긁어넣는 회전체(6)를 부착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34)는 두개의 부재(34a)(34b)로서 이루어져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근에 있어서 반송경로(Q)에 대하여 경사각을 변경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이들 두개부재(34a)(34b)는 한쪽끝에 있어서 축으로서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앞쪽끝 부분의 지지부재(34a)에는 그 지지홀더쪽에 호모양의 긴구멍(34c)을 갖춘 판재(34d)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 긴구멍(34c)을 개재하여 양쪽부재(34a)(34b)가 위치변경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긁어넣는 회전체(6)는 상기한 이삭끝부분의 계지반송장치(5B)의 반송경로(Q)쪽 시작되는 끝부분에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양쪽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B)(1C)로부터 두줄부분의 잡아당겨 일으키는 곡식줄기를 긁어넣는 세로방향 반송장치(5)에 합류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세로방향 반송장치(5)와 아울러 반송방향 뒷쪽에 위치하는 지지점으로서의 상기한 근기부끝의 옆쪽축심(P)둘레에서 상하요동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대량의 벼, 보리 등의 곡식줄기를 확실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이삭끝 긁어넣는 회전체(6)는 위엄감속기구(도면표시 하지 않았음), 구동모우터(7)의출력축(7a)에 회전원판(25)을 부착하고, 이원판(25)의 원주끝에 긁어넣는 핑거(6a)를 축으로서 지지하며, 이 긁어넣는 핑거(6a)를 안내판(26)에의하여 일으켜 세우는 작용 자세로 변환하여, 상기한 두줄부분의 잡아당겨 일으킨 곡식줄기를 긁어넣는 것과 아울러 상기한 지지홀더(24)에 대하여 서로 대향 서서히 미끄럼 이동가능하며, 세로방향 반송장치(5)의 반송경로(Q)로 위치 변경가능한 것이다.
제 1 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상기한 각 잡아당겨 일으키는 장치(1A)(1B)(1C)에서 좌우 1쌍의 앞부분 계지 방송장치(3A)(3B)에의 곡식줄기 도입경로(R1)(R2)(R3)에는, 예취폭 안쪽에위치하는 좌우의 안내바와(27A)(27B)와, 예취폭 바깥쪽에 위치하는 안내판(27A)(27B)이 상기한 앞부분 계지반송장치(3A)(3B)의 윗쪽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또한 각각 상기한 안내바아(27A)(27B)와, 안내판(28A)(28B)에 있어서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1B)(1C)에서 상기한 앞부분 계지반송장치의 사작하는 끝부분(3a)(3b)에 이르는 전반부(27a)(27b)(28a)(28b)와 상기한 앞부분 계지반송장치(3A)(3B)의 반송경로(S1)(S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반부(27c)(27d)(28c)(28d)가 평면에서 관찰하여 대락<모양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에 의하여 도입된 곡식줄기는 앞부분 계지반송장치(3A)(3B)의 반송경로(S1)(S2)에 있어서도 안내판(28A)(28B)과 안내바아(27A(27B)로 지지되면서 보내므로, 특히 짧은 줄기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A)(1B)(1C)배면쪽에의 앞쪽으로 넘쳐서 흐르는 형상이 억제된다.
제 1 도, 제 4 도-제 6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좌우1쌍의 안내바아(27A)(27B)의 사이에서 또한 가운데의 잡아당겨서 일으키는 장치(1B)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포기밑부분쪽 팩커(29)가 상기한 앞부분의 계지반송장치(3A)(3B)에서 위쪽으로 위치하는 상태로서 설치되고, 앞부분의 계지반송장치(3A)(3B)에의 합류점으로 향하여 잡아당겨 일으키는 곡식줄기를 긁어넣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이 포기밑부분쪽 팩커(29)의 윗쪽에는 가운데의 잡아당겨 일으키는 장치(1B)의 뒷면쪽에서 연장돌출된 안내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체(30)는 상기한 앞부분 계지반송장치(3A)(3B)의 합류점(C) 및 세로방향 반송장치(5)의 시작하는 끝부분과 이삭끝쪽을 긁어넣는 회전체(6)로서 형성하는 곡식줄기 도입구(b)로 향하여 대략 V자 모양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한 합류점(배출구)(c)에 대응하여 V자 모양으로 돌출하는 지름(D)을 크고, 또한 곡식줄기 도입구(b)에 대응하여 지름(d)을 적게 설정하여 각각 안내로서 유효하게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ㄱ)상기한 이삭 끝부분을 긁어넣는 회전체(6)로서는, 긁어넣는 핑거(6a)의 자세를 작용자세로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ㄴ)이삭 끝부분을 긁어넣는 회전체(6)로서는, 반송방향에 따라서 긁어넣는 핑거(6a)를 부착한 체인이나 벨트의 전동방식인 것을 모우터(7)로서 구동하는 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Claims (7)

  1. 잡아당겨서 일으켜진후에 예취된 곡식줄기를 뒷부분 탈곡장치(10)로 향하여 반송하는 세로방향 반송장치(5)를 설치함과 아울러, 세로방향 반송장치(5)의 반송경로(Q)쪽이며, 또한 그 세로 방향 반송장치(5)의 시작되는 끝부분에 대향한 위치에 예취된후의 곡식줄기를 긁어넣어 세로방향 반송장치(5)에 합류시키는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6)를 설치하고, 이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6)에는 이것을 구동하는 전용의 모우터(7)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 구동 모우터(7)와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6)를 세로방향 반송장치(5)와 일체로 반송방향 뒷쪽지지점(P)에서 상하요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 전(前)처리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삭 끝부분 긁어넣는 장치(6)가 구동모우터(7)의 출력축(7a)에 부착된 회전원판(25)과, 이 회전원판(25)의 원둘레 끝에서 축지지된 긁어넣는 핑거(6a)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6)는, 반송 경로(Q)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서서히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세로방향 반송장치(5)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 전처리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이삭끝 긁어넣는 장치(6)는, 반송경로(Q)에 대하여 경사각도 변경이 가능하며 세로방향 반송장치(5)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부.
  5. 제 1 항에 있어서, 이삭 끝 긁어 넣는 장치(6)는, 곡식줄기의 반송방향에 따라서 긁어넣는 핑거(6a)를 부착한 체인아니 벨트등의 전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느 콤바인 예취 전처리부.
  6. 제 2 항에 있어서, 긁어넣는 핑거(6a)는 회전원판(25)에 설치된 안내판(26)에 의하여 그 작용자세로 일으켜 세우는 것에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부.
  7. 제 2 항에 있어서, 긁어넣는 핑거(6a)는, 그 작용자세에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전처리부.
KR1019860011539A 1986-04-21 1986-12-30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KR890004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845 1986-04-21
JP1986059845U JPH0536341Y2 (ko) 1986-04-21 1986-04-21
JP???61-59845 1986-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628A KR870009628A (ko) 1987-11-30
KR890004891B1 true KR890004891B1 (ko) 1989-11-30

Family

ID=3089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39A KR890004891B1 (ko) 1986-04-21 1986-12-30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36341Y2 (ko)
KR (1) KR8900048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4527U (ko) * 1978-05-29 1979-12-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69928U (ko) 1987-10-28
JPH0536341Y2 (ko) 1993-09-14
KR870009628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9851B2 (en) Tensioner for the header of a harvester
KR880001341Y1 (ko) 축류형(軸流型)콤바인 수확기
CN204948780U (zh) 玉米收割机
KR890004891B1 (ko)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WO2007148715A1 (ja) コンバイン
JPS5832587Y2 (ja) ハイワラシヨリソウチ
JPH0446518Y2 (ko)
JPS63196206A (ja) 玉葱収穫機
JP3698639B2 (ja) 多条刈りコンバイン
SU12205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борки сем н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на корню
KR900002020B1 (ko)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JP3426994B2 (ja) 多条刈りコンバイン
JP2001269043A (ja) コンバイン
KR870003303Y1 (ko) 콤 바 인
KR100452160B1 (ko) 콤바인 이송장치
JP2001148925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引起し装置
JP3337004B2 (ja) 脱穀装置
JP3337003B2 (ja) 脱穀装置
JPH08331967A (ja) コンバイン
JPH06319339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S606191Y2 (ja) 藺草収穫機
JP2003088231A (ja) コンバイン
JPH08331968A (ja) コンバイン
JP3445460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掻込み装置
JPH0912165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