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20B1 -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20B1
KR900002020B1 KR1019860004462A KR860004462A KR900002020B1 KR 900002020 B1 KR900002020 B1 KR 900002020B1 KR 1019860004462 A KR1019860004462 A KR 1019860004462A KR 860004462 A KR860004462 A KR 860004462A KR 900002020 B1 KR900002020 B1 KR 90000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receiving body
bevel gear
fitting rece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003A (ko
Inventor
히로미찌 가와구찌
히로마사 기꾸자와
요시하루 나까오까
기요시 이이즈미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타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타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제1도는 정면측에서 본 발명 요부의 종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를 콤바인에 장치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곡장치 2 : 볏짚 이송장치
3 :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 4 : 끼워맞춤 받이체
5 : 연동축 6 : 지지통
7 : 예취측 연동케이스 8 : 끼워맞춤부
9 : (벼)이삭측 스프로케트 10 : 주행장치
11 : 예취장치 12 : 예취프레임
13 : 프레임 14 : 상부링크
15 : 하부링크 16 : 전동케이스
17 : 분초(分草)지지간 18 : 분초체
19 : 일으켜세우기 장치 20 : 예취칼날
21 : 수계체인 22 : 끌어넣기 벨트
23 : 구동축 베벨기어 24 : 피동축
25 : 예취부회전축 26 : 스토퍼
27 : 환상홈부 28 : 레버
29 : 스프링 30 : 종회전축
31 : 피동측 베벨기어 32 : (벼)이삭반송 래그부착체인
33 : 브래킷 35 : 포기밑둥치측 반송체인
36 : 감속기 37 : 지주
38 : 피동풀리 39 : 아래아암
40 : 윗아암 41 : 연결간
42 : 모우터 43 : 작동간
44 : 고정틀체 a : 구동베벨기어
b : 피동베벨기어 c : 피동기어
d : 구동기어 e : 마주끼움받이체 선단부
f : 축 h : 로울러
i : 로울러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은 예취장치로 예취한 벼를 볏짚 이송장치로 탈곡장치까지 이송했었다.
상기 볏짚 이송장치는 간단히는 착탈을 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있었다. 즉, 볏짚 이송장치를 떼어낼때는 콤바인의 프레임측에 고정되는 볏짚 이송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측 전동케이스와 고착된 것을 떼어내고 맞물린 기어를 분리해야 했다.
이 작업은 볏짚 이송장치의 종단부와 탈곡장치의 피드체인간의 사이가 서로 근접되고 있으므로 좁고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은 프레임(13)의 하부에 주행장치(10)를, 프레임(13)의 상부에 탈곡장치(1)를, 그리고 프레임(13)의 앞쪽에 예취장치(11)를 설치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취측 연동케이스(7)와 콤바인 프레임(13)은 상부링크(14)에 의하여 결합되고 예취프레임(12)과 브래킷(33)은 하부링크(15)에 의하여 결합된다. 하부링크(15)의 중간위치와 프레임(13)사이에는 유압실린더(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예취프레임(12)은 앞쪽이 낮게 경사져있고, 그 하단에는 기체의 폭방향으로 긴 전동케이스(16)가 고착돠고, 이 전동케이스(16)에서 다수의 분초지지간(17)이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분초지지간(17)의 선단에 각각 분초체(18)가 고정된다.
분초체(18)의 뒷면에는 끌어세우기 장치(19)가 설치되고, 이 끌어세우기 장치(19)의 후방에는 바리캉(이발기계)형상의 예취 칼날(20)이 설치된다. 이 예취 칼날(20)의 상방에는 성형(星形)휘일, 끌어넣기벨트(22) 및 수계체인(21)을 설치하고, 예취장치(11)와 탈곡장치(1) 사이에는 볏짚 이송장치(2)를 설치한다.
상기 예취측 연동케이스(7)내에는 피동풀리(38)를 고정한 피동축(24)을 축에 장치한다. 상기 예취프레임(12)내에는 예취부 회전축(25)을 설치하고 피동축(24)과 예취부 회전축(25)을 구동베벨기어(a), 피동베벨기어(b)를 개재하여 결합한다.
상기 예취측 연동케이스(7)의 측부에는 볏짚 이송장치(2)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통(6)의 일단이 고정된다. 지지통(6)내에는 연동축(5)을 설치하고 연동축(5)의 단부에 피동기어(c)를 장치하고, 이 피동기어(c)를 피동축(24)에 고정한 구동기어(d)와 마주물리게 한다.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에는 아래 절반을 개방한 반통상의 끼워맞춤 받이체(4)를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 끼워맞춤 받이체(4)는 상기 지지통(6)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서 맞추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구성한다.
끼워맞춤 받이체 선단부(e)는 상기 예취측 연동케이스(7)의 측면에 형성한 끼워맞춤부(8)에 끼워진다. 끼워맞춤부(8)에 끼워맞춤 받이체(4)가 끼워지고, 또 회동한다.
끼워맞춤 받이체(4)에는 스토퍼(26)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26)를 지지통(6)에 형성한 환상홈부(27)에 끼워져서 끼워맞춤 받이체(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이 스토퍼(26)의 상단에는 레버(28)을 설치하고 또 스프링(29)이 설치된다.
상기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내에는 종회전축(30)을 장치하고 종회전축(30)에는 피동베벨기어(31)를 고정하고, 피동베벨기어(31)와 마주물리는 구동베벨기어(23)를 연동축(5)에 고정한다.
종회전축(30)의 상단측에는 이삭측 스프로케트(9)가 고착되고, 이삭측 스프로케트(9)에는 이삭반송 래그 부착체인(32)이 가설되고, 종회전축(30)의 하단측에는 포기밑둥치측 스프로케트(34)가 고착되고 이것에 포기밑둥치 반송체인(35)을 가설한다. (37)은 지주이다.
상기 상부링크(14)는 프레임(13)에 대하여 축(g)에 의하여 피벗되고, 축(g)에는 아래 아암(39)의 상단을 회동이 자유로이 지지하고, 또 상부링크(14)의 중간위치에는 윗아암(40)의 상단을 축(f)에 의해 회동이 자유로이 지지하고, 아래아암(39)와 윗아암(40)의 중간위치를 연결간(41)으로 연결한다.
또 프레임(13)에는 브래킷(33)을 설치하고, 브래킷(33)에 감속기(36)를 설치하고, 감속기(36)는 모우터(42)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감속기(36)의 출력축에 작동간 (43)를 고정하고, 작동간(43)의 선단에 로울러(h)를 설치하고, 로울러(h)를 아래아암 (39)에 접촉시킨다.
윗아암(40)의 하단에는 로울러(i)를 설치하고 로울러(i)를 볏짚 이송장치(2)측에 고정되는 고정틀체(44)에 접촉시키고, 볏짚 이송장치(2)의 끼워맞춤 받이체(4)가 지지통(6) 주위를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각부를 동력 전동하여 콤바인을 주행시키면 분초체(18)로 볏짚을 갈라서 일으켜세우기 장치로 일으켜 세워서 끌어넣기 벨트(22)로 끌어넣어서 예취칼날(20)로 절단하여 예취한 볏짚을 성형(星形)휘일로 끌어넣어 볏짚 이송장치(2)로 탈곡장치(1)로 이송해서 탈곡 선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볏짚 이송장치(2)를 조립할때는 끼워맞춤 받이체(4)를 지지통(6)위에 얹어서 끼워맞추고, 지지통(6)의 선단에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를 끼우고, 예취측 연동케이스(7)측으로 이동시켜서 끼워맞춤 받이체 선단부(e)를 예취측 연동케이스측 끼워맞춤부(8)에 끼우고, 스토퍼(26)를 환상홈부(27)에 끼우면 연동축 (5)의 베벨기어(23)는 종회전축(30)의 베벨기어(31)와 마주물리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모우터(42)로 감속기(36)를 회전시키면 작동간(43)이 회동해서 로울러(h)에 의하여 아래아암(39)을 회동시키고 연결간(41)을 개재하여 윗아암(40)이 회동하여 그 선단부의 로울러(i)가 고정틀체(44)을 밀어올려서 볏짚 이송장치(2)는 지지통(6) 주위에 회동된다.
분해할때는 레버(28)를 조작하여 스토퍼(26)를 환상홈부(27)에서 해체하고 끼워맞춤 받이체 선단부(e)를 예취측 연동케이스(7)의 끼워맞춤부(8)로부터 해체하여 연동축(5)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통(6)은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에 대하여 삽입 및 분리가 자유롭고, 또 베벨기어(23)는 지지통(6)보다 소경이기 때문에 종회전축(30)의 베벨기어(31)와 베벨기어(23)의 마주물린 것이 분리되는 동시에 지지통(6)과 베벨기어(23)는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에서 빠져서 볏짚 이송장치 (2)측은 간단히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이 간단하다.

Claims (1)

  1. 예취측 연동케이스(7)의 측부에 볏짚 이송장치(2)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통(6)의 일단을 고정하고, 지지통(6)내에는 연동축(5)을 설치하고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에는 아래절반을 개방한 반통상의 끼워맞춤 받이체(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 받이체(4)는 상기 지지통(6)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울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구성하고, 이 끼워맞춤 받이체 (4)의 선단부(e)를 상기 예취측 연동케이스(7)의 측면에 형성한 끼워맞춤부(8)에 끼우고, 끼워맞춤 받이체(4)에는 지지통(6)에 형성한 환상홈부(27)에 끼워져서 끼워맞춤 받이체(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하는 스토퍼(26)를 설치하고, 상기 볏짚 이송장치측 연동케이스(3)내에는 종회전축(30)을 가설하고 종회전축(30)에는 피동베벨기어(31)를 고정하고, 피동베벨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베벨기어(23)를 연동축(5)의 선단에 고정한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KR1019860004462A 1985-06-07 1986-06-05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KR900002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4815 1985-06-07
JP60124815A JPS61282017A (ja) 1985-06-07 1985-06-07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移送装置
JP124815 1985-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003A KR870000003A (ko) 1987-02-16
KR900002020B1 true KR900002020B1 (ko) 1990-03-31

Family

ID=1489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462A KR900002020B1 (ko) 1985-06-07 1986-06-05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82017A (ko)
KR (1) KR900002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82017A (ja) 1986-12-12
KR870000003A (ko) 1987-02-16
JPH0368649B2 (ko) 199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9506B (zh) 联合收割机
KR900002020B1 (ko) 콤바인의 예취 볏짚 이송장치의 착탈장치
JP2000209934A (ja) コンバインの刈取注油装置
JP5437747B2 (ja) コンバイン
JPH01256312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S5832587Y2 (ja) ハイワラシヨリソウチ
US2301578A (en) Feeding mechanism for threshers
CN217742314U (zh) 一种穗茎兼收玉米收获机
JP3380964B2 (ja) コンバイン
JPH0142436Y2 (ko)
JPS5814842Y2 (ja) 刈取収穫機の茎稈搬送装置
JPH0767443A (ja) 移動農機の駆動装置
KR900007848B1 (ko)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JP2571763Y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KR890004891B1 (ko) 콤바인의 예취(刈取)전처리부(前處理部)
JP3638979B2 (ja) コンバイン
KR860001733B1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JP258995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US2509437A (en) Mowing machine
JPH0119649Y2 (ko)
JPH0538582Y2 (ko)
JP3426626B2 (ja) コンバインの縦搬送チエン着脱装置
JP2010124777A (ja) コンバイン
JPH1084745A (ja) 穀稈供給搬送装置の伝動支持装置
JPH01128715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