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29B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29B1
KR890004729B1 KR1019840006268A KR840006268A KR890004729B1 KR 890004729 B1 KR890004729 B1 KR 890004729B1 KR 1019840006268 A KR1019840006268 A KR 1019840006268A KR 840006268 A KR840006268 A KR 840006268A KR 890004729 B1 KR890004729 B1 KR 89000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hange
elevator
detecting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949A (ko
Inventor
도시아끼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234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81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373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3287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starting torq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AC powered elevator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보인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감속장치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동작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C)의 세부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회로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속도제어기의 회로도.
제 8 도는 제 5 도-제 7 도의 동작설명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 6 도의 요부회로도.
제10도는 제 9 도의 미분기의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 6 도의 요부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속도지령발생장치 2 : 가산기
3 : 속도제어기 5 : 토크제어기
9 : 전류검출기 10 : 속도검출기
11 : 감속장치 12 : 구동활차
13 : 메인로프 14 : 엘리베이터카
15 : 균형추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라고한다)를 전동기로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특히 카의 진동방지구성에 관한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구동용 전동기를 속도귀환회로와 전류귀환회로에 의하여 정도높게 속도제어하는것이, 가령 일본국 특공소 58-20872호 공보(1957년 12월 10일 미국출원명세서 639336호)에 계재되어있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감속장치는 흔히 웜기어장치가 사용되지만, 웜기어장치는 동력의 전달효율이 나쁘며, 전력을 낭비하는 결점이있다. 그래서, 근년은 헬리컬기어(helical gear)등의 평행축 기어장치를 사용한 감속장치가 채용되기에 이르렀다. 감속장치에 평행축기어를 써서 상기 속도제어를 행하는것을 제 1 도-제 4 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중 1은 속도지령신호(1a)를 발하는 속도지령발생장치, 2는 속도지령신호(1a)와 후술하는 속도신호(10a)를 대조하여 그 편차신호(2a)를 발하는 가산기, 3은 가산기(2)의 출력을 증폭하여 토크지령신호(3a)를 발하는 속도제어기, 4는 토크지령신호(3a)와 후술하는 전류신호(9a)를 대조하여 그 편차신호를 발하는 가산기, 5는 그 가산기(4)의 출력에 대응하는 점호(點弧)신호(5a)를 발하는 토크제어기, 6은 사이리스터에 의하여 3상전파(全波)정류회로가 형성된 정역(正逆)2조에 의하여 구성되어 점호신호(5a)에 의하여 점호각이 제어되면 가변전압의 직류출력을 발하는 사이리스터변환기, 7은 이 사이리스터변환기(6)에 의하여 제어되는 직류전동기의 전기자, 8은 마찬가지로 분권계자(分卷界磁), 9는 전기자(7)의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신호(9a)를 발하는 전류검출기, 10은 전기가(7)에 직렬되어 그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속도신호(10a)를 발하는 속도계용의 발전기로된 속도검출기, 11은 감속장치, 11A는 전동기(7)의 축이 연장형성된 입력축, 11B는 입력축(11A)에 고착된 헬리컬기어, 11C는 입력축(11A)과 평행으로 배치된 중간축, 11D는 중간축(11C)에 고착된 헬리컬기어(11B)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 11E는 중간축(11C)에 고착된 헬리컬기어 11F는 중간축(11C)와 평행으로 배치된 중간축, 11G는 중간축(11F)에 고착된 헬리컬기어(11E)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 11H는 중간축(11F)에 고착된 헬리컬기어, 11I는 중간축(11F)와 평행으로 배치된 출력축, 11J는 출력축(11I)에 고착된 헬리컬기어(11F)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 12는 출력축(11I)에 고착된 구동활차, 13은 활차(12)에 감겨진 메인로프, 14는 메인로프(13)의 일단에 결합된 엘리베이터카, 15는 메인로프(13)의 다른끝에 결합된 균형추다.
동작시에는 속도지령신호(1a)와 속도신호(10a)의 편차신호는 속도제어기(3)을 지나서 토크지령신호(3a)가 된다.
이 토크지령신호(3a)와 전류신호(9a) (직류전동기의 토크는 전류에 비례하므로 전류신호(9a)는 토크를 표시함)의 편차신호는 토크제어기(5)에 입력된다.
토크제어기(5)는 입력에 상응하는 점호신호를 발하여 사이리스터변환기(6)을 제어하며, 사이리스터변환기(6)는 전기자(7)의 인가전압을 제어한다. 이로인하여 전기자(7)은 구동되며 감속장치(11)의 입력축(11A)의 회전은 헬리컬기어(11B), (11D), (11E), (11G) (11H), (11J)의 맞물림에 의하여 감속되어 출력축(11I) 및 활차(12)로 전달된다. 이로서 메인로프(13)을 통하여 카(14) 및 균형추(15)는 승강한다.
제 3(a)도는 카(14)의 무부하 상승운전시의 속도신호(10a)의 파형, 동도(b)는 그때의 카(14)내에 가속도의 파형, 동도(C)는 카(14)의 무부하 상승시의 토크지령신호(3a)의 파형을 나타낸다.
제 3(C)도의 (S1)는 전기자(7)이 역행운전하는 영역, (S2)는 마찬가지로 회생운전하는 영역이며, 전동기 토크는 시각 t1에서 역행에로, 시간 t2는 역행에서 회생에로 이행하고있다.
이때 감속장치(11)의 헬리컬기어(11B), (11D), (11E), (11G), (11H), (11J)에서는 그것들의 배클래시(back lash)때문에 이접촉이 절환된다. 이때문에 제 3(b)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충격이 카(14)로 전달되어 탑승감을 손상시킨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시각 t1의 영역을 활대하여 표시한것으로서, 제 4(a)도중 (11Aa)는 입력축(11A)의 회전속도를 중간축(11C)의 회전속도로 환산한 회전속도, (11Ca)는 중간축(11C)의 회전속도, 제 4(B)도중의 (11Ab)는 입력축(11A)의 가속도, 11Cb는 중간축(11C)의 가속도, A는 카(14)가 무부하상태에서 마찰식 브레이크를 풀었을때 카(14)가 자유상승할때의 가속도, 제 3(C)도는 토크지령신호(3a) 및 전동기토크 T의 파형, 제 4 (d)도는 헬리컬기어(11B), (11D)의 이접촉의 절환상태를 보인것이며, 헬리컬기어(11B)의 기어(11Ba)가 헬리컬기어(11D)의 이(11Da)에서 떨어져서 다음이 (11Db)에 접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제 카(14)가 무부하로서 정지에서 상승방향으로 기동하였다하면 시각 t11까지는 헬리컬기어(11B)의 이(11Ba)는 헬리컬기어(11D)의 이 (11Da)에 접촉하고있다.
시각 t11에서 +전동기토크 T가 발생하여 입력축(11A)의 가속도가 가속도 A를 넘으면, 이(11Ba)는 이(11Da)에서 떨어진다. 그결과 중간축(11C)의 회전속도(11Ca) 및 가속도(11Cb)와같이 도면처럼 내려간다. 그리고 시각 t12에서 이(11Ba)는 이(11Db)에 충돌한다. 그때의 충돌에너지는 헬리컬기어(11B)와 헬리컬기어(11D)의 상대속도차
Figure kpo00001
V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 상태속도차
Figure kpo00002
V가 큰때에는 비접촉에서 다시 접촉할때에는 기어(11B), (11D)는 충돌하며, 그 충돌에 의하여 충격을 발생하고, 그에따른 속도, 가속도의 이상진동은 승객이 도저히 허용할수있는것이 아니어서 탑승감을 손상시키고 있었다.
상술에서는 헬리컬기어(11B), (11D)에 관하여 풀이하였지만, 헬리컬기어(11E), (11G) 및 헬리컬기어(11F), (11J)에 관하여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난다.
또 상기의 현상은 영국 공개공보 2106432에 표시된것같은 제어회로, 즉 3상교류전원의 급전선에 역행용 콘버터와, 회생용 콘버터가 병렬접속되어 이들의 콘버터의 출력단자 사이에 콘덴서와 트랜지스터 인버터가 병렬접속되어 있으며, 인버터에 의하여 유도전동기가 구동되도록한 제어회로에서,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감속장치는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어의 배클래시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충격을 완화하여 탑승감을 개선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감속장치의 기어의 배클래시에 기인하여 각기어의 이접촉상태가 절환되는 상태가 된것을 검출하고, 그것에 따라 전동기에 대한 토크지령의 시간적 변화를 작게하도록하고 있으며, 감속장치의 기어끼리가 충돌할때의 상대속도를 작게하여 충격을 완화하도록하고 있다.
제 5 도-제 8 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감속장치(11)는 간단하게 하기위하여 입력축(11A)의 헬리컬기어(11B)가 출력축(11I)의 헬리컬기어(11J)에 직접 맞물려 있는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5 도 및 제 6 도중, 20은 전기자(7)의 회전속도 즉, 입력축(11A)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출력(20a)를 발하는 속도검출기, 21은 활차(12)의 회전속도 즉 출력축(11I)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출력(21a)를 발하는 속도 검출기, 22-29는 저항, 30, 31은 연산증폭기, 32, 33은 다이오드, 34는 트랜지스터, 35는 수온접점릴레이로 이루어지는 속도차 검출릴레이(접점은 제 7 도에 보인다), 36은 정극전원, 37은 부극전원으로서 연산증폭기(30) 및 저항(22)-(24)으로 비교회로가 구성되고, 연산증폭기(31), 저항(25)-(28) 및 다이오드(32), (33)에 의하여 절대치회로가 구성되어있다.
제 7 도중 35a, 36b는 제 6 도의 속도검출릴레이(35)의 상폐접점, 40-43은 저항, 44는 콘덴서, 45는 연산증폭기다.
상기 이외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마찬가지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속도검출기(20), (21)은 각각 입력축(11A)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출력(20a) 및 출력축(11I)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출력(21a)를 발생한다. 저항(22), (23)의 저항치(R22), (R23)는 다음처럼 선택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K는 헬리컬기어(11B), (11J)의 감속비, 따라서 헬리컬기어(11B), (11J)의 기어가 제 4 (d)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접속되어 있을때는, 출력(20a), (21a)는 다르더라도, 감속비 K로 환산된 연산증폭기(30)의 두 입력은 같으며, 연산증폭기(30)의 출력(30a)는 0(=영)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헬리컬기어(11B), (11J)의 이가 서로 떨어져서 입력축(11A)과 출력축(11I)의 상대속도가 변화하면, 연산증폭기(30)의 두개의 입력에 차이가 생겨서 출력(30a)는 +또는 -치가 된다. 즉 저항(22), (23)은 출력(20a), (21a)의 레벨을 맞추는 레벨변환회로를 구성한 셈이된다.
연산증폭기(31)의 출력(31a)는 다이오드(32), (33)의 작용에 의하여 출력(30a)의 극성여하에 불구하고 항상 +의 값이된다. 이제 헬리컬기어(11B), (11J)의 이가서로 접촉하고 있으며, 연산증폭기(30)의 출력(30a)가 영이면, 연산증폭기(31)의 출력(31a)는 영이며, 트랜지스터(34)는 도통불능이 되어있다. 따라서, 속도차 검출릴레이(35)는 작동하지않고 접점(35a), (35b)는 폐로되어있다. 그때문에 연산증폭기(45)는 1차지연회로로서 작용하며 편차신호(2a)는 증폭되어 토크지령신호(3a)가 된다.
다음에 헬리컬기어(11B), (11j)의 이가 떨어지고 입력축(11A)과 출력축(11I)의 상대속도가 변화하여, 연산증폭기(30)의 출력(30a)가 +또는 -값이 되면, 연산 증폭기(31a)는 +값이 되고, 트랜지스터(34)는 도통한다. 이것으로서 속도차 검출릴레이(35)는 작동되고, 접점(35b)는 개방하므로 연산증폭기(45)는 적분기로서 작용한다. 또 접점(35a)도 개방하여 저항(40)이 삽입되고 토크지령신호(3a)는 저항(40)과 저항(43)으로 결정되는 변화율을 갖게된다. 상술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제8도이다.
속도차이 검출릴레이(35)는 시각 t11에서 작동되고 시각 t12에서 작동이 중지되는것으로 한다.
제 8(C)도의 (3a1)는 종래의 토크지령신호를 나타내며, (3a2)는 속도차 검출릴레이(35)가 작동되고, 접점(35a), (35b)가 개방한때의 토크지령신호를 나타낸다.
토크지령신호(3a2)의 변화율(경사도)는 저항(40)에 의하여 변화시킬수가 있다. (3a3)은 속도차 검출릴레이(35)가 시각 t12에서 작동중지된뒤 부드럽게 복귀하는 토크지령이다. 이같이하여 헬리컬기어(11B), (11J)의 이가 떨어진것이 검출되면, 토크지령신호(3a2)가 발생하여 전기자(7), 즉 입력축(11A)의 가속도(11Ab)는 하강한다.
따라서, 출력축(11I)과의 상대속도 △VI은 적게되고 헬리컬기어(11B), (11J)의 이가 다시 접촉한때의 충격은 적어지고 탑승감은 개선된다.
제 9 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속도차 검출기(20), (21)의 출력(20a), (21a)은 각기 미분기(50), (51)을 거쳐서 가속도신호(50a), (51a)를 얻어 이것을 비교하도록 하고있다. 이와같이 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기능을 다할수가 있다.
제10도는 미분기(50)의 구성을 나타내며, 연산증폭기(50A), 콘덴서(50B) 및 저항(50C)-(50E)로 구성된다. 미분기(51)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11도도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중, 60은 입력이 「H」가 되면 출력이 일정시간 「H」가 되는 단안정소자(가령 TEXAS INSTRUMENTS 회사의 SN74LS123N)이며 연산증폭기(31)과 저항(29)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같이 구성을 하여도 기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기능을 다할수가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는 전동기로서 직류기를 사용한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유도전동기등 교류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대로 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감속장치의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값을 검출하여 이것을 기어비로 환산한 값을 비교하고 양자에 차이가 생기면 전동기의 토크지령치의 시간적변화를 작게하도록 하였으므로 감속장치의 기어의 배클래시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카안의 충격을 완화하여 탑승감을 개선할수가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특정적인 부분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3상교류전원의 급전선(101)에는 역행용의 콘버터(102)와, 회생용 콘버터(103)가 병열 접속되고, 이들 콘버터의 출력단자 사이에 평활용 콘덴서(104)와 트랜지스터인버터(105)가 병렬접속되어있으며, 인버터(105)에 유도전동기(106)이 접속되어있다.
127은 콘버터(102), (103)과 인버터(105)사이의 직류전류 Id가 흐르는 방향을 검출하는 전류방향 검출회로이며, 그 검출회로(127)은 직류전류 Id를 검출하는 직류전류검출기(128)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입력단(129)와, 후술하는 기능을 지닌 바이어스신호의 입력단(130)이 있으며, 각 입력단(129) 또는 (130)에게 각각 접속된 저항기(131), (132)와, 이들 저항기(131) 또는 (132)를 거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및 저항기(133)을 통하여 영전위(134)에 접속된 입력단자가 있는 컴퍼레이터(comparator)소자(135)를 갖추어서 이루어진다.
즉 이검출회로(127)은 직류전류 Id가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서 (+)에서 (-)로, (-)에서 (+)로 제로점을 통과한때(정확히는 거의 제로에 가까운(+)(-)의 특정치사이의 값을 나타냈을때) 출력을 송출하는 것이다. 또 136은 전류방향 검출회로(127)의 출력의 절대치를 취하는 절대치회로, 137은 절대치 회로(136)의 출력을 받았을때에 소정시간 동안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타이머, 138은 상폐접점(138b-1), (138b-2)를 구비하고, 타이머(137)의 출력에 의하여 여자되는 수은접점릴레이이다.
또 본 실시예장치에서 토크지령회로(125)는 제12(b)도에 나타낸것처럼 구성되어있다.
이 도면에서, 139-142는 각각 저항기, 143은 콘덴서, 144는 연산증폭기이며, 연산증폭기(144)의 입력단에는 저항기(139)와 상폐접점(138b-1)으로서 이루어진 병렬회로와, 저항기(140)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귀환회로로서 저항기(142)와 상폐접점(138b-2)으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와 콘덴서(143)와의 병렬회로가 설치되어있다.
즉, 연산증폭기(144)는 수온접점릴레이(138)이 소자(消磁)되어 있을때는 1차지연회로로서 작동하며, 수은접점릴레이(138)가 여자되어 있을때는 적분회로로서 작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장치의 속도변화, 가속도변화 및 토크지령변화는 제 8(a)도, 제8(b)도, 제8(c)도에 나타낸것과 같으며, 수은접점릴레이(138)의 여자, 소자 변화도 제 8(d)도에 나타낸것과 같다.
다음에 역행에서 회생에로 변화할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역행에서 회생에로 변화하여 직류전류 Id가 제로를 지나서 방향을 바꾸면 전류방향 검출회로(127)가 그변화한 방향을 검출하여 출력하고, 그 출력이 절대치 회로(136)을 통하여 타이머(137)로 입력되어 타이머(137)을 기동시킨다.
타이머(137)은 헬리컬기어(11B), (11D)이 접촉이(齒)의 이행시간(제 4 도 참조)에 거의같은 예정시간 T1의 사이에 출력을 송출하며, 제8(d)도에 보인것과같이 수은 접점릴레이(138)을 그간 여자시킨다.
이 수은접점릴레이(138)의 여자에 의하여 그 접점(138b-2)가 개로하여 연산증폭기(144)는 1차지연회로로 되었다가 적분회로를 그 기능을 바꾼다. 또 릴레이(138)의 여자에 의하여 접점(138b-1)도 개로하여 저항기(140)이 삽입된다.
이 구성의 변화에 의하여 토크지령은 제 8(C)도에 보이듯이 그변화율을 적게한다.
(도면중 3a2 부분).
타이머(137)의 설정시간 T1이 지나면 수은접점 릴레이(138)은 다시 소자상태가 되고, 토크지령회로(125)도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이것의 복귀시에는 제 8(C)도에 보이듯이 토크지령은 부드럽게 원래의 변화율에 따른 변화상태로 되돌아간다(도면중 3a3부분).
이같은 토크지령변화에 따른 카의 속도변화, 가속도변화는 제 8(a)도 및 제8(b)도와 같이 된다.
이 도면에서 분명하듯이 헬리컬기어(11B), (11D)가 비접촉이 된뒤 다시 이가 접촉할때 두 기어(11B), (11D)의 상대속도의 차이 △VA는 종래장치와 달라서 작으며, 그때의 충격도 작게된다.
즉 헬리컬기어(11B), (11D)와의 이가 떨어진것을 검출하여 전동기의 가속도른 늦추러 상대속도차 △VA를 적게하였으므로 충격을 적게할수 있어서 탑승감이 좋은 엘리베이터를 실현할수 있다.
또 비접촉시의 토크지령의 변화율은 저항기(139)의 값에따라 조절할수가 있다.
또 제12(a)도에 부호(130)으로 나타낸 바이어스신호는 수은접점릴레이(138)의 여자시점을 변화시키기위하여 사용할수가 있다. 가령 재로를 통과한 시점 t11에서 여자시켜서는 제어하기에 늦는 경우, 또 직류전류 Id속에는 유도전동기의 여자전류를 포함하므로 엄밀한 의미에 있어서의 제조시점이 다른것이 있으며, 그 영향을 무시할수없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장치와 전동기와의 전력유동방향의 반전을 검출하고 그뒤의 소정시간 토크지령의 변화율을 작게하였으므로 감속기의 두이가 충돌할때의 상대속도차가 적어져서 그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탑승감을 좋게할수가 있다.

Claims (19)

  1. 입력축의 회전을 복수개의 기어에 의하여 감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에는 전동기를, 상기 출력축에는 엘리베이터카와 균형추가 결합된 메인로프가 감겨진 구동활차를 결합하여 토크지령치에 응하여 상기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의 기어의 배크래시에 기인하여 각 기어의 이의 접속상태가 절환되는 상태가된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수단이 상기 절환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토크지령이 시간적변화를 적게하는 변화율 저감수단을 갖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을 포함한 복수개의 평행축과, 이들 평행축의 각각에 고정된 복수의 기어로 되어있으며, 인접한 축에 고정된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또 헬리컬기어에 의하여 구성된 기어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하율 저감수단은 상기 시간적변화를 적게하는 동작을 상기 기어의 이가 그 접촉상태를 절환하는 동안 계속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저감수단은 상기 시간적변화율을 적게하는 동작을 끝낸뒤는 상기 동작전의 통상의 변화율에 따른 토크지령치로 복귀할때까지 상기 토크지령치의 시간적 변화율을 크게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저감수단은 통상시는 1차지연회로로서 작용하며, 상기 검출수단의 상기 검출동작에 따라서 적분회로로서 작용하는 연산증폭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전동기의 운전상태가 회생에서 역행 혹은 역행에서 회생에로 변화하는것을 검출하므로서 상기 절환상태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감속장치의 입력축 및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값을 각각 검출하는 제1 및 제 2 의 속도검출기, 상기 제1 및 제 2 의 속도검출기의 출력을 상기 기어의 감속비로 환산하여 레벨을 맞추는 제1 및 제 2 의 레벨변환회로, 이 제1 및 제 2 의 레벨변환회로의 출력을 비교하여 양자에 차이가 생기면 동작하는 비교회로를 갖추며 이 비교회로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토크지령의 시간적 변화를 적게하기위한 출력을 발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의 레벨변환회로는 각기 저항체로 구성되며, 이들 저항체의 값은 상기 감속비에 따라서 정해진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회로는 상기 제1 및 제 2 의 레벨변환회로의 출력의 한쪽을 (+)의 입력단자에, 다른쪽을 (-)의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두 입력차의 유무를 연산하는 연산증폭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 또는 (-)의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출력은 각각의 극성에 맞추어서 접속된 다이오드를 거쳐서 하나의 연산증폭기의 (+) 및 (-)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또 하나의 연산증폭기의 출력에 따라서 동작하는 릴레이가 설치되어서, 이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토크지령을 발하는 속도제어기의 출력이 변화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또하나의 연산증폭기의 출력측에는 단안정소자가 접속되고 이소자가 일정기간 출력하는 신호를 바탕으로하여 상기 릴레이가 동작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의 속도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 2 의 레벨변환회로사이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 2 의 속도검출기의 출력을 미분하는 미분기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지령의 시간적인 변화를 줄이기위한 출력은 소정의 계시(計時)동작을 행하는 소자에 의하여 일정시간만 발생하도록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전동기사이의 전력흐름방향의 변화를 바탕으로하여 검출하는 전력방향 검출회로를 가지며, 그 전력방향 검출회로의 검출출력을 받아서 소정시간 토크지령의 변화율을 작게하기위한 출력을 상기 변화율 저감수단에 공급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교류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콘버터와, 이 콘버터의 출력 단자사이에 접속된 평활용 콘덴서와, 이 평활용 콘덴서의 양단에 그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갖추고, 상기 전력방향 검출회로는 상기 콘버터와 상기 인버터사이에 설치된 직류 전류검출기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전력흐름방향의 변화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방향 검출회로는 상기 직류전류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하나의 입력단자에서 입력함과 동시에, 또 하나의 입력단자에서 영전위를 입력하여 비교동작을 행하는 컴퍼레이터를 갖추고, 컴퍼레이터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변화율의 저감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류검출기의 신호는 바이어스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가산되어 상기 컴퍼레이터에 입력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방향 검출회로의 출력은 입력신호를 받으면 소정시간만 출력 동작하는 타이머에 입력되고, 이 타이머의 출력이 있는동안 상기 변화율 저감수단이 상기 토크지령의 변화율을 작게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9840006268A 1983-12-13 1984-10-1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9000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34882A JPS60128177A (ja) 1983-12-13 1983-12-13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58-234882 1983-12-13
JP237343 1983-12-16
JP58237343A JPS60132879A (ja) 1983-12-16 1983-12-16 エレベ−タ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49A KR850004949A (ko) 1985-08-19
KR890004729B1 true KR890004729B1 (ko) 1989-11-25

Family

ID=2653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268A KR890004729B1 (ko) 1983-12-13 1984-10-1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7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49A (ko) 198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8988B1 (en) Alternating current motor control apparatus
JP49874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860000665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비상시운전장치(非常時運轉裝置)
US5932979A (en) PWM speed-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s
KR870000559B1 (ko)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장치
KR900008057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S6054227B2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910010209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S6223387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0134984B1 (ko) 모우터 제어 장치
KR89000472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724467B2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4661757A (en) Controller for AC elevator
JPH0532996B2 (ko)
US46167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gear backlash impacts in an elevator system
JP3260071B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6648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レベル制御装置
JP3255839B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8202270A (ja) エレベ−タ−制御装置
JPS60128177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518614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158116B2 (ko)
JP2619390B2 (ja) 誘導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JPH0532997B2 (ko)
JPS61254086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