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24B1 -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24B1
KR890004124B1 KR1019850004801A KR850004801A KR890004124B1 KR 890004124 B1 KR890004124 B1 KR 890004124B1 KR 1019850004801 A KR1019850004801 A KR 1019850004801A KR 850004801 A KR850004801 A KR 850004801A KR 890004124 B1 KR890004124 B1 KR 89000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mixture
added
lacta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064A (ko
Inventor
다께히사 오오하시
가즈노리 강
이사오 사다
아끼마사 미야마
기요시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찌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이노 마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찌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이노 마비도 filed Critical 가네가후찌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e oxy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e.g. beta-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C-3-위치에 히드록시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에틸기를 갖고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β-락탐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β-락탐 화합물은 고반응성인 실릴에테르기를 갖기 때문에, 여러 유도체로 전환될 수 있는 유용한 중간물질이다. 예를들면, 둘다 제4세대의 β-락탐 항생제로 알려진 티에나마이신의 제조에 유용한 3-(1-히드록시에틸)-4-아세톡시아제티진-2-온 또는 3-(1-히드록시에틸)-4-할로아제티진-2-온은 본 발명 화합물의 C-4위치에 있는 실릴에테르기를 치환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β-락탐화합물이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C-3-위치에 O-보호된 히드록실기를 갖고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β-락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 않다.
발명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로서, 상술한 β-락탐 화합물은 카르바페넴 β-락탐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 물질이고 목적 β-락탐고리는 에놀실릴에테르와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부터 형성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β-락탐 화합물을 쉽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 에놀실릴에테르를 클로로 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 후 환원시킴으로써 β-락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중, R1은 히드록시기의 보호기이고, R2 2, R3및 R4는 C1~C4의 저급 알킬기, 페닐기 및 아르알킬기로 부터 선택된다.)
상술한 일반식(I)에서, R1은 히드록시기의 보호기로서, t-부틸디메틸실릴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기, 아세틸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o-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기,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기 및 t-부틸기 등이다. t-부틸디메틸실릴기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등의 트리알킬실릴기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들 트리알킬실릴기가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의 제조과정 중에 안정하고 목적 β-락탐 화합물을 수득한 후 비교적 쉽게 제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식(I)의 R2, R3및 R4는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및 t-부틸기등의 C1~C4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R2, R3및 R4는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R2, R3및 R4모두 메틸기이거나, R2및 R3둘은 메틸기이고 R4가 t-부틸기이거나, R2및 R3둘은 페닐기이고 R4가 t-부틸기인 경우에 바람직한데, 이런 치환기를 이용할때-락탐 고리내 C-3-위치에 배위가 바람직한(R)-형이 되기 때문이다.
일반식(I)을 갖는-락탐 화합물의 입체 화학에 견주어보면, 세개의 비대칭 탄소원자가 존재하고 여덟 종류의 입체 이성질체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C-3(R), C-4(R) 및 o-보호된 히드록시에틸기의 비대칭 탄소원자가(R)인 배위가 바람직하다.
C-4-의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B-락탐 화합물의 유용성은 참고예 1에서 명확해지는데, 참고예 1에 나타난 대로 상술한 β-락탐이 유용한 중간물질, 3(R)-(1-히드록시에틸)-4(R)-아세톡시아제티진-2-온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공정을 하기 도식에 나타내었다.
[도식Ⅰ]
Figure kpo00002
(상기식중, R1, R2, 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이용된 에놀실릴 에테르의 예는,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디메틸이소부틸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브틸메틸페닐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3-트리이소프로필실릴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 3-이소프로필디메틸 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아세톡시부테-1-닐-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아세톡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 3-아세톡시부테-1-닐-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3-t-부톡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t-부톡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 3-t-부톡시부테-1-닐-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3-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에테르, 3-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리에테르, 3-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리에테르, 3-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 3-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페닐 에테르, 3-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3-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 3-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3-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트리메틸실릴에테르, 3-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 3-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부테-1-닐 -1-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및 기타 등이고,바람직하게는, 식중R1DL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메틸실릴 에테르,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디페닐실릴 에테르, 및 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디메틸이소부틸실릴 에테르 등의 t-부틸디메틸실릴기인 일반식(III)을 갖는 에놀실릴에테르이다. 이들 물질은 3-히드록시부티르산 에스테르로 부터 출발하여 하기의 도식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도식Ⅱ]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β-락탐화합물(I)의 C-3-위치에 있는 o-보호된 히드록시에틸기 배위는 바람직하게는(R)이다. 입체 특이성의 배위를 갖게 하기위하여, 도식 II의 반응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3(R)-히드록시부티르산 에스테르에서 얻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에놀실릴에테르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β-락탐고리의 형성을 위한 에놀실릴에테르와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서, 생성된 β-락탐 화합물의 배위는 실릴 에테르기의 종류에 의하여 결정된다.
티에나마이신등의 카르바페넴 β-락탐 항생제의 합성에 적절한 C-3(R), C-4(R)배위를 갖는 β-락탐화합물(I)을 수득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실릴에테르기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페닐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t-부틸메틸실릴기 및 디메틸이소부틸실릴기를 들수 있다. 에놀실릴에테르의 히드록시기의 보호기인 R1는, 상술한 입체 화학의 관점 및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와의 좋은 반응성의 관점에서 볼때 t-부틸디메틸실릴기가 바람직하다. 에놀실릴에테르와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은 용매없이 또는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및 에놀실릴에테르 중 어느 한쪽과도 반응하지 않는 유기 용매(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n-헥산 및 에틸에테르)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70℃~실온 근처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40℃-0℃이며, 반응은 발열 반응을 조절하고 에놀실릴에테르 용엑에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적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에놀시릴에테르 및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는 약 1:1의 몰 비율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다. 반응시간은 10분~ 수 시간의 범위이다.
수득한 N-설포닐 클로라이드기를 갖는 β-락탐화합물을 환원시키고 목적 β-락탐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상기 환원에서 이용되는 환원제의 예로는,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 소듐 보론 수소화물 및 소듐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수소화물 등의 금속 수소화물 및 레이니 닉켈을 들수 있다. 티오페놀 및 알킬메르캅탄 등의 티올 화합물 또한 환원제로 이용될 수 있다.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 등의 금속 수소화물을 이용할때 반응은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및 에틸에테르 등의 유기 용매에서 수행하고, 티올화합물을 환원제로 이용할 때에는 상술한 유기용매와 함께 피리딘 등의 염기를 사용한다. 환원 반응의 온도는 -40℃~0℃의 범위내이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 또는 소듐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수소화물을 환원제로 이용한다.
환원이 완결된후에, 반응계에 물을 가한다. 목적 β-락탐화합물을 에틸에테르,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 용매로 추출하고 황산 마그네슘 등의 탈수제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유기시켜 C-3-위치에 o-보호된 히드록시에틸기 및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β-락탐 화합물을 수득한다. 필요하면 이렇게 제조한 β-락탐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참고예에 의해 보다 실질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와 조작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 제조]
1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트리메틸실릴에테르(9:1비율의 트랜스 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5ml의 에테르에 가하고, 교반하며 거기에 0.3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20분간 -50℃로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40℃로 데우고 30분간 더 교반시킨다.
그후에 반응 혼합물을 다시 -60℃까지 냉각시키고 0.08g의 LiAlH4를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서서히 -40℃로 데우고 60분간 교반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재빨리 150ml의 얼음물 및 100ml의 에테르의 혼합용액에 옮기고 30분간 교반시킨다. 교반의 완결후, 히플로수퍼-셀을 이용하여 불용성 부분을 제거한다. 에테르층을 포화염 용액으로 제거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 에테르를 유거하여(3R, 4R, 5R)-형 및(3S, 4S, 5R)-형의 혼합물(10 : 1)인 목적 β-락탐의 액체 0.6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을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 : 메틸렌클로라이드=50 : 1)로 처리하여 (3R, 4R, 5R)-형을 우세하게 함유하는 부분을 수집하고 농축시킴으로써 반고체인 목적 생성물을 0.3g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2]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의 제조]
1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3 : 2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8ml의 에테르에 가하고, 질소기체하에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키고, 교반하며 0.25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50℃까지 10분간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20℃까지 데우고, 20분간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60℃까지 냉각시키고, 0.66g의 LiAlH4를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시 서서히 -40℃로 데우고 60분간 교반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재빨리 100ml의 얼음물 및 100ml의 에테르의 혼합 용액에 쏟아 붓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을 완결한후, 분리된 에테르층을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유거함으로써 (3R, 5R)-형 및 (3S, 5R)-형의 혼합물(3 : 2)인 목적 β-락탐 0.9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10 : 1)로 정제허여 고체상의 (3R, 4R, 5R) β-락탐 0.25g 및 (3S, 4S, 5R) β-락탐 0.13g을 수득한다.
각각의 β-락탐은 하기의 특성을 갖는다. (3R, 4R, 5R)-형
Figure kpo00005
융점 : 130°~133℃
(3S, 4S, 5R)-형
Figure kpo00006
융점 : 43° ~ 45°C
[실시예 3]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제조]
1g의 (3R)-3-t 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3 : 2비율이 트랜지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8ml의 헥산에 가하고, 교반하며 0.25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10분간 -50℃로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20℃로 데우고 22분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60℃로 냉각시키고 2ml의 헥산에 용해시킨 0.7g의 티오페놀의 용액을 가한다. 용액을 10분간 교반한 후, 2ml의 헥산에 용해시킨 0.4g의 피리딘의 용액을 더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며 서서히 실온까지 데우고, 50ml의 헥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헥산을 감압하에 유거함으로써(3R, 4R, 5R)-형(3A, 4S, 5R)-형의 혼합물(3 : 2)인 목적 β-락탐 0.7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10 : 1)로 분리하고 정제하여 0.18g의 (3R, 4R, 5R)β-락탐 및 0.10g의 (3S, 4S, 5R)β-락탐을 수득한다.
각각의 β-락탐의 특성은 실시예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4]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4-t-부틸메틸페닐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 제조]
1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t-부틸메틸페닐실릴 에테르(7 : 1 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5ml의 에테르에 가하고, 혼합물을 질소기체하에 -50℃까지 냉각시키고 교반하며 0.22ml의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10분간 -50℃까지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40℃로 데우고 30분간 더 교반시킨다. 반은 혼합물을 다시 -60까지 냉각시키고 0.06g의 LiAlH4를 가한다. 혼합물을 서서히 -45℃로 데우고 40분간 교반한다. 혼합물을 재빨리 150ml의 얼음물 및 100ml의 에테르의 혼합물에 옮기고 30분간 교반한다. 교반을 완결한후, 수득한 혼합물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5% NaHCO3수용액, 염산 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유거하여 오일상의 조 생성물 0.98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은 하기의 특성을 갖는다. (3R, 4R, 5R)-형
NMR(CDCl3)δ(ppm) : 0.00(6H, s), 0.43(3H, s), 0.80(9H, s), 0.90(9H, s), 1.19(3H, d), 2.99(1H, dd), 4.10(1H, m), 5.35(1H, d), 6.63(1H, d), & 7.37(5H, m)
[실시예 5]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4-디메틸이소부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 제조]
1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디메틸이소부틸실릴 에테르(5 : 1 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6ml의 에테르에 가하고, 교반하며 0.26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10분간 -60℃로 냉각시킨다. 반응혼합물을 서서히 -50℃까지 데우고 30분간 더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60℃로 냉각시키고 0.066g의 LiAlH4를 가한다. 혼합물을 서서히 -50℃로 데우고 60분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재빨리 150ml의 얼음물 및 100ml의 에테르의 혼합물에 옮기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을 완결한 후, 수득한 혼합물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5% NaHCO3수용액, 염산수용애 및 포화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유거하여 오일상의 조 생성물 0.59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을 하기의 특성을 갖는다.
(3R, 4R, 5R)-형
NMR(CDCl3)δ(ppm) : 0.03(6H, s). 0.15(6H, s), 0.60(2H, d), 0.87(9H, s), 0.93(6H, d), 1.22(3H, d), 1.80(1H, m), 2.85(1H, dd), 4.15(1H, m), 5.26(1H, d) & 7.77(1H, 넓은 s)
[실시예 6]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시릴옥기아제티딘-2-온의 제조]
1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 에테르(9 : 1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5ml의 에테르에 가하고, 교반하며 0.3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적가하고 질소기체하에 20분동안 -50℃까지 냉각시킨다. 혼합물을 -50℃에서 90분간 교반한 후, -70℃로 냉각시키고 8ml의 디글림에 용해시킨 178mg의 염화 알루미늄 및 152mg의 소듐 보론 수소화물의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서서히 -60℃로 데우고 1시간동안 교반하고, 0.5M의 로셀염 수용액 및 100ml의 헥산의 얼음 냉각 혼합물에 재빨리 옮기고 혼합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며 20분간 교반시킨다. 교반을 완결한 후, 히플로 수퍼-셀을 이용하여 불용성 부분을 여과하고 헥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유거하여(3R, 4R, 5R)-형을 우세하게 함유하는 목적 β-락탐 0.3g을 수득한다.
[실시예 7]
[(3R, 4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 제조]
1g의 (3R)-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트리메틸실릴에테르(9 : 1비율의 트랜지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5ml의 톨루엔에 가하고, 교반하며 0.32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적가하고 질소 가체하에 10분간 -50℃로 냉각시킨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70℃로 냉각시키고, 11ml의 톨루엔 및 1M 소듐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4ml의 톨루엔 용액을 차례로 가한다. 혼합물을 서서히 -50℃로 냉각시키고 60분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재빨리 100ml의 0.5M로셀염 수용액 및 100ml의 톨루엔의 얼음 냉각한 혼합물에 옮기고 혼합물을 30분간 얼음으로 냉각하며 교반시킨다. 교반을 완결한 후, 히플로 수퍼-셀로 불용성 부분을 여과하고, 톨루엔 층을 포화 염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틀루엔을 감압하에 유거하여(3R, 4R, 5R)-형 및 (3S, 4S, 5R)-형을 10 : 1의 비울로 함유하는 목적β-락탐의 흰 결ㅈ어 0.81g을 수득한다.
[실시예 8]
[(3R, 4R, 5R)-3-(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의제조]
1g의 (3R)-3-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에테르(8 : 1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를 5ml의 에테르에 가하고, 교반하며 0.3ml의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적가하고 질소 기체하에 25분간 -60℃로 냉각시킨다.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후, -70℃로 냉각시키고, 10ml의 톨루엔 및 1M 소듐 비스(20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4ml의 톨루엔 용액을 차례로 가한다. 혼합물을 60분간 서서히 -50℃로 데우고 60분간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50ml의 0.5M로셀염 수용액 및 50ml 톨루엔의 얼음 냉각한 혼합물에 재빨리 옮기고 생성된 혼합물을 30분간 얼음으로 냉각시키며 교반한다. 교반의 완결후, 히플로 수퍼-셀로 불용성 부분을 여과하고 톨루엔 층을 포화염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톨루엔을 감압하에 유거함으로써 (3R, 4R, 5R)-형을 우세하게 함유하는 오일상의 목적 β-락탐 화합물 0.16g을 수득한다.
1HNMR(90MHz, CCl4)δ(ppm) : 0.07(6H, s), 0.92(7H), 1.21(3H, d), 2.85(1H, dd), 4.05(1H, m), 5.21(1H, d) & 7.31(NH)
[참고예 1]
[(3R, 4R)-4-아세톡시-3-[(R)-1-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아제티진-2-온의 제조]
1g의 (3R, 5R)-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진-2-온을 1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0.89g의 트리에틸아민 및 0.61g의 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9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의 완결 후, DMF를 감압하에 유거하고 30ml의 헥산을 가한다. 용액을 2.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수용액 및 포화염 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유거하여 액체 조생성물 1.24g을 수득한다. 수득한 액체 1.0g을 5ml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가하고, 0.85g의 디메틸아미노피리미딘 및 1.1ml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더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용액을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하여 0.8g의 조생성물액체를 수득하여,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 : 헥산=2 : 1)로 정제하여 액체상의(3R, 4R, 5R)-4-아세톡시-1-(t-부틸디메틸실릴)-3-(1-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 0.5g을 수득한다. 0.5g의 수득한 액체 2ml의 THF에 가하고, 0.4g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를 용해시킨 2ml의 THF 및 0.17g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2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5% NaHCO3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하여 0.30g의 결정상 목적 화합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결정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 : 에틸 아세테이트=6 : 1)로 정제하여 고체상인 목적 β-락탐 0.27g을 수득한다.
수득한 β-락탐은 하기의 특성을 갖는다.
융점 : 107°~108°
Figure kpo00007
[참고예2]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트리메틸실릴에테르의 제조]
8.0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틸알데히드를 40ml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가하고, 이 용액에 8.0g의 트리에틸아민 및 12ml의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13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의 완결후, 용매를 유거시키고 n-헥산을 가한다.
생성물을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하여 10g의 액체를 수득한다. 수득한 액체를 감압하에 유거하여 8.0g의 목적 생성물(비등점 85℃/3mmHg)을 수득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15 : 1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08
[참고예 3]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의 제조]
8.0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틸알데히드를 50ml의 DMF에 가하고, 여기에 12.0g의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및 16.0g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1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의 완결후, 감압하에 DMF를 유거하고 100ml의 n-헥산을 가하고, 이를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하여 8.0g의 액체를 수득한다.
수득한 액체를 감압하에 유거하여 5.0g의 목적 생성물(비등점 65℃/Hmmg)을 수득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3 : 2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09
[참고예 4]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t-부틸메틸페닐실릴 에테르의 제조]
10.0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틸알데히드를 40ml의 DMF에 가한다. 이 용액에 6.6g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10.4g의 t-부틸메틸페닐실릴 클로라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75℃에서 14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의 완결후, 감압하에 DMF를 유거하고 100ml의 n-헥산을 가하고, 이를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 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시킴으로써 10.2g의 액체를 수독한다. 수득한 액체를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20 : 1)로 정제하여 7.2g의 목적 생성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7 : 1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10
[참고예 5]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테-1-닐 디메틸이소부틸실릴 에테르의 제조]
20.0g의 (3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틸알데히드를 80.0ml의 DMF에 가하고, 이용액에 16.3ml의 TMEDA 및 14.8g의 이소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의 완결후, 용매를 유거하고 n-헥산을 가하고, 이를 5% NaHCO3수용액, pH3의 염산수용액 및 포화 염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시켜 16.5g의 액체를 수득한다. 수득한 액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20 :1)로 정제하여 10.6g의 목적 생성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5 : 1비율의 트랜스형 및 시스형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11

Claims (6)

  1.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 에놀실릴에테르를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그 생성물을 환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2
    (상기식중 R1은 히드록시기의 보호기이고, R2, R3및 R4는 C1~C4의 저급알킬기, 페닐기 및 아르알킬기로 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II)인 방법.
    Figure kpo00013
    (상기식중 R5, R6및 R7는 C1~C4의 저급알킬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t-부틸디메틸실릴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환원제를 이용하고 그 환원제가 금속수소화물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환원제가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환원제가 소듐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수소화물인 방법.
KR1019850004801A 1984-07-05 1985-07-04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9000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39797 1984-07-05
JP59139797A JPS6118791A (ja) 1984-07-05 1984-07-05 新規β−ラクタム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064A KR860001064A (ko) 1986-02-22
KR890004124B1 true KR890004124B1 (ko) 1989-10-21

Family

ID=1525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801A KR890004124B1 (ko) 1984-07-05 1985-07-04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167155B1 (ko)
JP (1) JPS6118791A (ko)
KR (1) KR890004124B1 (ko)
CN (2) CN85105097A (ko)
CA (2) CA1269388A (ko)
DE (1) DE3568578D1 (ko)
ES (1) ES8608484A1 (ko)
SU (1) SU1480772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1198A (en) * 1984-07-05 1988-12-13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Beta-lactam compound and preparation thereof
US4861877A (en) * 1984-07-05 1989-08-29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JPS62164689A (ja) * 1986-01-14 1987-07-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新規β−ラクタム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CA1256444A (en) * 1986-04-30 1989-06-27 Kazunori Ka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 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EP0259268A1 (de) * 1986-09-04 1988-03-09 Ciba-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 aktiver Beta-Lactame
US5145957A (en) * 1988-03-18 1992-09-08 Merck & Co., Inc.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a chiral cis 3-beta hydrogen (3R) 4-aroyloxy azetidinone
US4923982A (en) * 1989-06-21 1990-05-08 Merck & Co., Inc. Oxidation and reduction method to produce 4-acyloxyazetidin-2-one
US4940520A (en) * 1989-06-21 1990-07-10 Merck & Co.,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acyloxyazetidin-2-one by singlet oxygen oxidation
US4952288A (en) * 1989-06-21 1990-08-28 Merck & Co.,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acyloxyazetidin-2-on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5177201A (en) * 1989-06-21 1993-01-05 Merck & Co., Inc. Nitrogen deprotected 4-acyloxyazetidin-2-ones
JP2604897B2 (ja) * 1990-09-03 1997-04-3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β―ラクタム化合物の製造法
KR0132532B1 (ko) * 1994-07-29 1998-04-17 서치영 4-아실옥시-2-아제티디논 유도체의 신규 제조방법
CN101029056B (zh) 2006-02-28 2011-06-08 天津国韵生物材料有限公司 聚-3-羟基丁酸酯在制备β-内酰胺化合物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0855C3 (de) * 1961-03-23 1974-10-10 Chemie Gruenenthal Gmbh, 5190 Stolbe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Trialkylsilyl-6-aminopenicillansäuretrialkylsilylestern. Ausscheidung aus: 1420981
EP0180252B1 (en) * 1981-07-15 1989-04-26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Process of preparing azetidinone compounds
CA1190236A (en) * 1981-10-23 1985-07-09 Edward J.J. Grabowski Antibiotic synthesis
DE3375481D1 (en) * 1982-10-13 1988-03-03 Sumitomo Pharma Beta-lactam compounds and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17B (zh) 1989-06-07
CN85105097A (zh) 1987-01-14
JPS6118791A (ja) 1986-01-27
ES544863A0 (es) 1986-06-16
EP0167155A1 (en) 1986-01-08
CA1269388C (en) 1990-05-22
KR860001064A (ko) 1986-02-22
CA1315284C (en) 1993-03-30
EP0167155B1 (en) 1989-03-08
DE3568578D1 (en) 1989-04-13
ES8608484A1 (es) 1986-06-16
CA1269388A (en) 1990-05-22
SU1480772A3 (ru)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638A (en) Asymmetric synthesis of taxol side chain
KR890004124B1 (ko) β-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US5998612A (en) Antibiotic synthesis
JPH0557980B2 (ko)
EP0026816B1 (en)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thienamycin and process for preparing intermediates
KR900001170B1 (ko)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진-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739047A (en) Intermediates for 2-(1-oxo-3-thiolanyl)-2-penem antibiotics
KR940008748B1 (ko) 이환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H0737462B2 (ja) ペネム類の合成方法
US4791198A (en) Beta-lactam compound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886347B1 (ko) 키랄 보조제를 이용한 4-비엠에이의 입체선택적 제조방법
KR101059339B1 (ko) 경구 투여용 카르바페넴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4675396A (en) 7-Oxo-4-thia-1-azabicyclo(3,2,0)heptane derivatives
US4841043A (en)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1-β-alkyl carbapenem antibiotic intermediates
US4767853A (en) Synthesis of 1-(allyloxycarbonyl)-methyl-3-(hydroxyethyl)-4-beta-naphthoxythiocarbonylthio-2-azetidinones and hydroxy protected analogs thereof
US4769451A (en) Synthesis of carbapenems using n-substituted azetidinones
EP0230248A1 (en) Beta-lactam compoun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4861877A (e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US4948885A (en) Synthesis of azetidinones
US4794179A (en) 2-(1-oxo-3-thiolanyl)-2-penem antibiotics
US4870170A (en) Process for 2-(1-oxo-3-thiolanyl)-2-penem antibiotics
US5053502A (en) Anhydro penicillin derivatives
EP0091239A1 (en) Azetidine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JPH0343278B2 (ko)
US5075438A (en) Synthesis of azetidin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