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039Y1 -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 Google Patents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039Y1
KR890004039Y1 KR2019860000402U KR860000402U KR890004039Y1 KR 890004039 Y1 KR890004039 Y1 KR 890004039Y1 KR 2019860000402 U KR2019860000402 U KR 2019860000402U KR 860000402 U KR860000402 U KR 860000402U KR 890004039 Y1 KR890004039 Y1 KR 890004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ltration
inflow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106U (ko
Inventor
신경식
Original Assignee
신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식 filed Critical 신경식
Priority to KR2019860000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039Y1/ko
Publication of KR870012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종단면도.
제3도는 종단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가"부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의 "나"부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7도는 종래 정수기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 정수조 2 : 여과재
3 : 저수실 4 : 유입관
5 : 수직연결관 13 : 미량 조절밸브
7 : 도수관 12 : 수직연결관
13 : 유입표시판 22 : 점적기
23 : 연결관부 24 : 점적관부
25 : 통기공 27 : 배수밸브
28 : 일류관
본 고안은 수도물등을 여과정수하는 정수기에 관하여 새로운 상향류식 완속 여과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이온교환식, 약품처리식, 특수광물과 활성탄소를 이용한 흡착식 및 여과식으로 구분되는바, 이온교환식, 약품처리식, 흡착식은 구입비와 유지비가 고가로 되고, 취급 사용이 곤란하므로 가정용으로는 적합치 못하며, 여과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식 정수기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여과정수조(31)내에 여과재(32) (예컨대, 모래, 자갈, 활성탄소)를 중간에 설치하여 여과실(33)과 정수실(34)로 구획하고, 여과할 물(W1)을 여과정수조(31)상단에 도수관(35)으로부터 여과실(33)내에 유입시켜 여과재(32)의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켜 여과하며 여과된 물(W2)을 정수실(34)에 수용하며, 필요에 따라 배수밸브(37)을 열어서 배수관(36)을 통해 컵이나 용기에 받아 사용하는 소위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식 다시 말하면 하향류식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여과 처리된 물(W1)이자중에 의해 여과재(32)를 통과하는 것이므로 여과실(33)내의 수위를 일정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그 만큼 용기의 높이가 높게 되며,
둘째, 물의 자중에 의해 여과재(32)를 급속통과되므로 여과시간이 짧아서 여과효율이 저하되고,
셋째, 물에 함유된 불순물(유기물통)이 물에 쓸려서 여과재(32)에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어 정수 효율이 저하되며,
넷째, 여과실(33)내의 수위 변동에 따라 물(W1)의 여과재(32)를 통과하는 시간즉 여과 시간이 변동되어 여과, 정수 실에 분균일하게 되고,
다섯째, 사용에 따라 정수실(34)바닥에 여과재를 통과한 미여과불순물이 혼입, 침전된 사수층(38)이 생겨서 배수관(36)을 통해 여과정수된 물(W2)과 함께 배출되며,
여섯째, 배수관(36)이 정수실(34)하단부에 있으므로 물(W2)을 컵이나 용기에 옮기기 위해서는 별도의 받침대(39)상에 올려놓아 배수관(36)의 높이를 바닥으로 부터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아니라, 이에 따라 여과 정수조의 높이(받침대 포함)가 높아져서 씽크대 위에 설치할 경우 그 상단이 천정보다 높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과정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여과재를 적층하고 여과할 물을 여과정수조 바닥 또는 하부로부터 한방울씩 지속적으로 완속 유입시켜 물이 여과재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재 상부의 자수실에 저류토록 함으로써 균일하고 질 높은 여과 정수를 행할 수 있으며, 여과재 상단측에서 여과 정수된 물을 배출토록 함으로써 사수층 형성을 방지하고, 여과정수조의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도록 한 상향류식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여과 정수의 원리를 설명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로 된 여과 정수조(1)내에 바닥으로부터 여과재(2) (예컨대 굵은 자갈, 작은자갈, 모래, 활성탄소, 모래 굵고 작은 자갈순)를 적층내장하고, 여과 처리할 물(W1)을 여과 정수조(1)의 하단 유입관(4)를 통해 하부로부터 한방울씩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그물(W1)이 여과재(2)의 사이로 스며 올라가면서 그 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여과를 행하게 되며, 여과 처리된 물(W2)은 여과재(2)상부에 형성되는 저수실(3)에 저류시키고, 필요에 따라 여과재(2)상단에 관통되는 배수관(5)을 통해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유입관(4)은 기존 수도관(WL)에 미량 조절밸브(6)와 도수관(7)을 통해 연결하고 미량조절밸브(6)를 하는 것에 의하여 여과할 물(W1)이 한방울씩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미량조정밸브(6)에서 한방울씩 떨어지는 여과할 물(W1)은 도수관(7)을 통해 유입관(4)을 통해 여과 정수조(1)내부로 유입되며, 도수관(7)과 여과정수조(1)내의 수위가 통해 스며 올라가면서 여과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불순물은 여과재(2)사이에 걸리게 되고 여과된 물(W2)만 여과재(2)상부의 저수실(3)에 저류된다.
이때 여과할 물(W1)은 하방울 서서히 상승되면서 여과되므로 여과시간이 길게 되며, 불순물은 종래 하향류식에서와 같이 물과 함께 저수실(3)으로 혼입되는 일 없이 불순물의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되므로 여과, 정수 효율이 매우 높고, 항상 균등하게 되며, 배수관(5)부분(여과재(2)상면 즉, 저수실(3)바닥)에 사수층이 생기지 않게 되어 정수된 물(W2)만이 배수관(5)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정수된 물(W2)을 배출하여 용기(C)에 옮겨 담는 경우에도 배수관(5)이 여과재(2)상부에 위치되어 저면으로부터 H만큼의 높이를 가지므로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높은 용기(C)에도 쉽게 옮겨담을 수 있으며, 씽크대 위에서 사용하더라도 천정에 걸려서 사용 불능상태로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종래의 하향류식 정수기(제7도 참조)와 동일 높이와 여과정수조로써도 여과층을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여과, 정수 효율이 높으면서도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과정수조(1)의 상부에는 정수된 물(W2)의 배출시 부압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 공간(10)이 형성됨과 아울러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편(9)이 달린 뚜껑(8)을 덮어둔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상술한 원리에 따른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과 정수조(1)는 스테인 레스 강제 앵글 프레임에 사방은 투명유리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판을, 저면은 스테인레스강판을 끼우고 씨일링한 것이며, 여과 정수조(1)내에는 바닥으로 부터 중간부에 이르기까지 여과재(2)를 장입하며, 그 상부에 저수실(3)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여과할 물의 유입관(4)을 관통하여 그 내단부가 하향만곡되게 설치하며, 여과재(2)의 상단부에 관통되는 배수관(5)을 일측변에 설치한다.
유입관(4)은 기존 수도관(WL)에 미량 조절밸브(6)와 도수관(7)을 통해 연결하되, 도수관(7)과 유입관(4)사이에는 수평연결관(11)과 수직연결관(4)사이에는 수평연결관(11)과 수직연결관(12)및 유입표시관(13)으로 연결한다.
수직연결관(12)과 유입표시관(13)은 여과정수조(1)의 일축 상하단에 부착된 지지대(14) (15)에 지지하는바, 상단부는 상단 지지대(14)에 관통시키고, 하단은 하단 지지대(15)에 고정된 지지링(16) (17)에 끼워서 지지한다.
유입표시관(13)은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관이나 투명 합성수지관으로 한다.
수직 연결관(12)의 하단과 유입표시기(13)의 하단에는 각각 연결부(18) (19)를 끼워서 수평연결관(11)과 유입관(4)에 연결한다.
유입표시기(13)의 상단에는 유입연결관부(23) 및 점적관부(24)와 통기공(25)으로 구성된 점적기(22)를 삽입하여 점적기(22)의 유입연결관부(23)와 수직 연결관(12) 상단을 호오스(26)로써 서로 연결한다.
배수관(5)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배수 밸브(27)를 설치한다.
여과 정수조(1)의 상단 개구부에는 정수된 물(W2)의 배출시 저수실(3)내에 부압 발생방지와 생물학적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통기공간(10)을 형성함과 아울러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달린 뚜껑(8)을 덮어 둔다.
여과 정수조(1)내에는 저수실(3)상부측에 상단 개구부가 임하는 일류관(28)를 바닥에서 관통되게 설치하고 그 하단에 호오스(29)를 끼워 정수된 물(W2)이 여과 정수조(1)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미설명부호 30은 여과 정수조(1)의 저면을 바닥에서 이격시켜 그 사이로 연결관(11), 호오스(20) (21) (29)등이 통과되도록 한 받침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량조정밸브(6)를 미량 개방하여 여과할 물(W1)이 한방울씩 떨어지게 하면 도수관(7)과 수평연결관(11), 연결호오스(20)를 통해 수직연결관(12)의 하단부에 이르게 되며 그 수위가 상승하여 그 상단에 이르면 호오스(26)를 통해 점적기(22)측으로 넘어가게 된다.
점적기(22)측에서는 연결관부(23)와 점적관부(24)를 통해 유입표시관(13)내로 한방울씩 떨어지게 되고, 유입표시관(13)내로 떨어진 물(W1)은 수위가 상승되면서 호오스(21)를 통해 유입관(4)으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유입관(4)을 통해 여과 정수조(1)내로 유입된 물(W1)은 여과재(2)사이로 스며올라가면서 상술한 원리에 따라 여과, 정수되는 것이다.
정수된 물(W2)은 필요에 따라 배수 밸브(27)를 개방하여 컵이나 용기에 옮겨 담아서 음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입표시관(13)은 투명유리관 또는 투명 합성수지관으로 된 것으로 한방울씩 떨어져 유입되는 물(W1)의 상태로 식별할 수 있어 완속 여과를 미량 조절 밸브(6)로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상단의 점적기(22)에는 통기공(25)이 천공되어 있어 유입표시관(13)내의 물이 유입관(4)측으로 유입될때 부압이 발생되는 일없이 또한 유입표시관(13)내의 물이 유입관(4)측으로 유입될 때 부압이 발생되는 일 없이 또한 유입표시관(13)내의 수면에 또 대기압이 작용하여 유입이 원활하게 된다.
수위가 계속 상승되고, 정수된 물(W2)을 배출하여 사용치 않는 경우에는 일류관(28)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여과 정수조(1)상부로 넘쳐서 그 주위를 적시는 일이 없게되는 것이다.

Claims (2)

  1. 여과정수조(1)의 내부에 바닥으로부터 여과제(2)를 장입적치하여 그 상부에 저수실(3)을 형성하고 그저면에 유입관(4)를 관통설치하며 여과정수조(1)의 한쪽에 수직연결관(12)과 투명한 유입표시관(13)을 수직으로 지지하고, 수직연결관(12)하단은 기존수도관(WL)에 연결된 미량 조정밸브(6)및 도수관(7)을 통하여 서로 연결하며 유입표시관(13)하단은 유입관(4)과 연결하며 유입표시관(13)상단에는 통기공(25)이 있는 점적기(22)를 삽입하여 수직연결관(12)과 서로 상단에서 연결하고 여과정수조(1)의 여과제(2)상단부 위치에 배수관(5)과 배수밸브(27)를 설치하며, 여과정수조(1)의 내에는 저수실(3)의 물을 일류하는 일류관(28)을 설치하여서된 상향류식 완속여과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점적기(22)는 유입연결관부(23), 점적관부(24)및 통기공(25)이 일체로 구성된 것인 상향류식 여과정수기.
KR2019860000402U 1986-01-17 1986-01-17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KR890004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02U KR890004039Y1 (ko) 1986-01-17 1986-01-17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02U KR890004039Y1 (ko) 1986-01-17 1986-01-17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06U KR870012106U (ko) 1987-08-03
KR890004039Y1 true KR890004039Y1 (ko) 1989-06-17

Family

ID=1924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402U KR890004039Y1 (ko) 1986-01-17 1986-01-17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0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06U (ko) 198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293Y1 (ko) 정 수 기
US5006230A (en) Dual-action aquarium filter
US6387260B1 (en) Filtration device for liquid purification
JPH05111606A (ja) 水槽用濾過装置
US6015488A (en) Filter system for septic tank
US5871640A (en) Filter and housing
JPS5950367B2 (ja) 濾過装置
KR890004039Y1 (ko) 상향류식 완속 여과 정수기
US5047146A (en) Bidirectional flow vacuum filter for a swimming pool having influent and effluent conduits as structural members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US71604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coir filter
KR100495694B1 (ko)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200216477Y1 (ko)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RU2617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17015443U (zh) 一种径向分离器
CN214106119U (zh) 污水沉降处理装置
KR102554951B1 (ko) 초기빗물 배제 및 여과처리가 가능한 빗물이용장치
JPS6312212Y2 (ko)
AU2011201935A1 (en)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ystem and filtration system
CN209493403U (zh) 一种净水系统
JPS5946649B2 (ja) 水平流深層ろ過装置
JP2590515Y2 (ja) 重力式濾過池における気泡による循環流防止装置
JPH0143124Y2 (ko)
JPS5854177Y2 (ja) 連続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滌装置
JPH0621525Y2 (ja) 連続式砂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