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94B1 -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94B1
KR890003894B1 KR1019870001766A KR870001766A KR890003894B1 KR 890003894 B1 KR890003894 B1 KR 890003894B1 KR 1019870001766 A KR1019870001766 A KR 1019870001766A KR 870001766 A KR870001766 A KR 870001766A KR 890003894 B1 KR890003894 B1 KR 89000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ircuit
resistor
oil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286A (ko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청우공업 주식회사
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공업 주식회사, 정영식 filed Critical 청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894B1/ko
Publication of KR88001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제어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에 나타난 각 라인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에 이용되는 현황계수기의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에 이용되는 각 라인과 현황계수기의 다링턴 회로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접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운전상태를 숫자로 표시하는 업 디케이드 카운터의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업 디케이드 카운터에 입,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오일량 계측기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시이퀸스도.
제10도는본 발명의 모니터에 이용되는 각 라인의 환형 계수기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모니터
3 : 급유라인 4 : 제1오일펌프라인
4' : 제2오일펌프라인 4-1 : 제1오일펌프표시부
4-2 : 제2오일펌프표시부 5 : 오일공동라인
6 : 유량조절변 8 : 오일솔레노이드밸브
8-1 : 오일솔레노이드배브표시부 9 : 증기유입라인
9' : 분무증기라인 9-1 : 증기솔레노이드밸브
10 : 오일리턴라인 10-1 : 오일리턴라인 솔레노이드밸브 표시부
11 : 혼합분사라인 12 : 급수라인
12' : 수위표시부 13 : 점화 연료유입라인
13' : 점화라인 14 : 점화솔레노이드밸브
14-1 : 점화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 15 : 송풍기
15' : 에어라인 16 : 운전상태표시부
17 : 에어량 표시부 18 : 오일량 표시부
19 : 화염표시부 20 : 오일가열라인
A1-A6: 환형계수기회로 B : 업 디케이드 카운터 회로
IC1: 발지회로 IC2: 디케이드 카운터 회로
ICa-ICd: 낸드(NAND)집적회로 IC3: 데시말디코더회로
ICe-ICg: 업카운터회로 ICh-ICj: 7-세그먼트 구동회로
SG1-SG3: 7-세그먼트 Ampo : 주앰프
OP AMP1-OP AMP10: 줄력앰프 R2-R14: 저항
VR1-VR4: 가변저항 C : 콘덴서
DA-DE : 다링턴회로 PRL1-PRL2: 제1, 2오일펌프 릴레이
RL1-RL12: 릴레이 SS1, SS2: 셀렉터 스위치
본 발명은 대형 보일러의 급숙, 오일공급, 증기공급, 에어공급 및 버너동작 등의 종합적인 상황을 억제하고 육안으로 관측하는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장치의 상단 부에 상대관측용 모니터를 구성하여 대형 보일러를 제어함에 있어서 각종 동작상황을 일목요연하게 관측할 수 있는 동시에 제어가능토록 된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대, 소형 보일러에 따라 보일러의 동작상황을 다수의 표시램프를 이용하여 관측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된 세어판넬을 사용하여 왔는바, 소형보일러를 동작상황을 직접 율안으로 확인하여도 장치가 크지 아니하므로서 가능하였으나 시설 및 난방면적의 확대로 인해 보일러는 점차 대형화 되어 많은 조작기기가 설비 됨으로서 장치 또한 비대해지게 되고 이로인해 보일러에 소요되는 장치는 넓은 지역에 분산 됨으로서 중앙에서 관측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는바, 그 일례로 종래에 사용되어온 제어장치로서 제1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장치 전면에 각종 제어스위치 및 동작표시등에 의해서 보일러의 동작상황을 식별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표시등의 색채와 색인된 문자에 의해 동작상태를 관측하여야 함으로서 많은 번거로움을 유발하게 되고 또한 동작의 진행상태, 즉 동작의 중간점, 종반점 등 각 단계의 상황파악은 불가피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어의 단계에서도 오조작을 가할 우려가 발생되는 등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는 제어장치의 상단부에 상태관측용 모니터를 도식화 하여 각각의 라인을 구성하고 그 라인에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환형계수기와 정합하여 보일러의 각 제어부위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와 릴레이의 동작으로 보일러의 동작진행상황을 모니터에 표시되게 함으로서 보일러의 상태관측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업 디케이드 카운터에 의한 숫자표시로 보일러의 동작상황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의 순차 점멸에 의해 각 라인에 유체 또는 기체가 유입되는 실제의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효과적인 상태관측과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인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후술될 각종 회로가 실체화 되어 내장된 제어장치본체(1)와 본체(1)의 전면상단에 모니터(2)를 두되, 외부에서 투시가능 하도록 내장하고 전면공간에 각종 제어용 스위치와 표시등을 배치시켜서 된 것으로, 다음은 제3도를 통해 모니터(2)에 표시된 각 라인에 대해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도식화된 화면으로서 상단부에는 보일러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상태표시부(16)가 위치하고 중앙 좌단으로 부터 급유라인(3)을 통해 제1펌프와 제2펌프가 도시된 제1,2오일 펌프라인(4,4')과 이 오일펌프라인(4,4')을 거처 오일공동라인(5)을 구성하되 유량조절변(6)과 오일솔레노이드밸브(8)를 삽입하고 오일공동라인의 상부에 증기유입라인(9)과 분무증가라인(9')을 도시하고 오일공동라인(5)과 분무증기라인(9')의 교차점에 오일과 증기를 혼합 분사하는 혼합분사라인(11)을 형성하고 분무증기라인(9')의 우상단에 급수라인(12)과 수위표시부(12')를 두며 모니터(2)의 하단으로 점화연료 유입라인(13)과 점화라인(13')을 연장구성함에 있어 중단에 점화 솔레노이드밸브(14)를 개재하여 구성하고, 그 하단에 소풍기(15)로 부터 에어라인(15')을 로 내부로 배치하며 중단에 유입에어량을 표시하는 에어량 표시부(17)를 구성함과 동시에 오일 솔레노이드밸브(8)가 도시된 지점으로 부터 급유라인(3)에 이르는 오일 리턴라인(10)을 형성하고 유량조절변(6)하단에 유입오일량을 계측 표시하는 오일량 표시부(18)가 구성된다.
또한, 혼합분사라인(11)의 전단에는 오일이 연소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화염표시부(19)를 형성시키고 오일공동라인(5)의 중단에 증기에 의한 오일가열라인(20)을 두어 모니터(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술한 모든 라인과 각각의 표시부는 후술될 환형계수기회(A1-A6) 및 업 디케이드 카운터회로(B)에 정합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LED)와 7-세그먼터(SG1-SG3)를 삽지시킴으로서, 순차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7-세그먼터(SG1-SG3)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모니터(2)를 구성한 것이다.
다음에 제4도를 통해, 상술한 모니터(2)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순차 점멸시킬 수 있도록 된 환형 계수기 회로(A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동작전원(Vcc1)이 가해지는 선로에 시분할회로인 가변저항(VR1)과 저항(R2)를 직렵접속하고 콘덴서(C)를 저항(R2)과 접속하여 발진회로(IC1)에 연결하고 발진회로(IC1)의 출력을 디케이드 카운터 회로(IC2)에 접속시키며, 디케이드 카운터회로(IC2)의 출력을 데시말디코더회로(IC3)에 4단 입력되도록 연결하고 그 출력을 낸드(NAND) 집적회로(ICa, ICb, ICc)에 연결시키며 동작전원 (Vcc1)을 각 낸드(NAND) 집적회로(ICa, ICb, ICc)에 인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항(R3,R4,R5,R6,R7)을 각 낸드(NAND) 집적회로( ICc, ICb, ICa)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하여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다린톤회로(DA-DE)의 일측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각각 접속하고 타측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후술될 발광다이오드(LED)가 각 접속점 (A'1,B'1,C'1,D'1,E'1)에 연결되도록 된 것인바, 디케이드카운터회로(IS)의 동작전원 입력단자에 전원(Vcc1)이 단속될 수 있도록 단자 a, b사이에 제1,2오일펌프릴레이(PRL1-PRL2)의 a접점을 게재하여 놓아서 환형계수기 회로(A1)를 제어함으로서 발광다이오드(LED)로 표시되는 라인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제4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1,2오일 펌프라인(4,4')과 오일공동라인(5)의 제어를 표시하는 제1,2오일펌프릴레이 (PRL1-PRL2)의 a접점을 도시한 것임)
제5도는 모니터(2)에 이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 각 라인과 환형계수기의 다링턴회로 와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접속도로서 다수의 라인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고 그 전단에 저항(R7)을 통해 전술된 다링턴회로(DA-DE)의 각 접속점(A'1, B'1, C'1, D'1, E'1)에 결합되고 발광다이오드(LED)의 양극(+)쪽에 동작전원(Vcc2)를 접속시키되 필요한 동작방식에 따라 본체(1)에 세렉터스위치(SS1, SS2)의 접점이나 혹은 릴레이(RL5, RL6, RL7, RL8, RL10)의 a 또는 b접점을 게재하여 전원(Vcc2)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1오일펌프라인(4)의 발광다이오드(LEDP)와 제2오일펌프라인(4')의 발광다이오드(LEDP')는 모니터(2)의 제1,2오일펌프표시부(4-1, 4-2)에 표시되도록 접속하고 오일리턴라인(5)의 발광다이오드(LEDR)는 모니터(2)의 오일리턴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10-1)에 점소등 되도록 연결하며 오일, 증기혼합분사라인(11)의 발광다이오드(LEDg)는 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8-1)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분무 증기라인(9')의 발광다이오드(LEDs)는 증기 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9-1)에 연결하고 점화라인(13')의 발광 다이오드(LEDx)는 모니터(2)내의 점화 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14-1)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화염표시부(19)는 통상의 플레임아이(FLAME EYE)에 의해 연소상태를 상, 중, 하(H, M, L)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가 하면, 이 모든 라인의 발광다이오드는 필요한 수량만큼 구성하여 각 라인의 환형계수기회로(A1-A6)내의 다링턴접속점(A'1-A'6, B'1-B'6, C'1-C'6, D'1-D'6, E'1-E'6)에 순차적으로 5단 반복접속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다음은 보일러의 운전상태를 숫자로 표시하여 종합적인 상태를 숫치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업 디케이드 카운터회로(B)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Vcc1)이 입력되는 선로에 저항(R8)을 거쳐 낸드(NAND)집적회로(ICD)에 입력토록 구성하고, 업 카운터 회로(ICe, ICf, ICg)에 전원(Vcc1)이 공급되도록 저항(R8)전단에서 분기하여 접속시키며 낸드(NAND)직접회로(ICD)의 출력을 업카운터회로(ICe, ICf, ICg)에 전가시키는 한편,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의 출력을 7-세그먼트구동회로(ICh, ICi, ICj)에 인가함과동시에 7-세그먼트 구동회로(ICh, ICi, ICj)의 출력을 7-세그먼트에 각각 인가하도록 되어 7-세그먼터(SG1-SG3)가 전원(Vcc2)을 맡아 표시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저항(R8)의 후단에는 통상의 보조릴레이(MRL4) a접점을 낸드(NAND)집적회로(ICD)에 병렬연결하여 접지되도록 하여 구성된 업 디케이드 카운터(B)에 의해 모니터(2)상단의 보일러 운전상태표시부(16)에 숫자로 표시되도록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오일량 계측기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다수의 출력앰프(OP Amp 1-10)가 주 앰프(AMPO)에 상호병렬 접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전원(Vcc1)으로 부터 가변저항(VR2)과 저항(R10)을 통해 주앰프입력단에 연결시키되, 전원 입력단의 가변저항(VR2)에 직렬로 저항(R9)과 감지센서의 가변저항(VR3)을 접속하여 가변저항(VR3)을 주앰프에 저항(R13)을 통해 연결하고 일측 단자는 접시키게 되며 저항(R10)에 직렬접속된 가변저항(VR4)과 저항(R11)을 통해 접지시키되 가변 저항(VR4)을 주 앰프(AMPO)에 저항(R12)을 통해 결합하고 저항(R14)을 통해 출력을 궤환시키는 구성으로 주앰프(AMPO)를 형성하고 주앰프(AMPO)의 출력을 저항을 통해 출력앰프(OP Amp 1-1O)에 "+"단에 접촉하고 접지측의 가변저항을 통해 "-"단에 연결하여 출력단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순방향 접속하고 저항을 통해 출력의 일부를 궤환시키도록 된 출력앰프(OP Amp 1-10)를 병렬로 다수 접속하여 된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어장치의 시이퀀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술된 구성을 제어하도록 되어져 있으며, 각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모니터(2)가 동작되게 되며 시이퀀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모니터(2)에 사용되는 릴레이 접점을 위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0도는 제4도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모니터(2)의 각 라인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동작되는 환형계수기회로(A1-A6)를 포함하는 다이어그램으로서 모든 환형계수기회로(A1-A6)의 유니트(UNIT)는 제4도의 구성과 같게 되어지나 릴레이 동작접점이 상이한 구성을 이루고 있어 각각의 라인은 개별동작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MM은 모듀츄럴모터(MODUTROL MOTOR)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을 보일러의 동작순서에 입각하여 모니터(2)가 동자되는 등의 상태관측 및 제어의 실행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제어가 행하여 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대형보일러에 있어서 드럼의 수위는 버너의 동작과 별개로 항시 수위감지기에 의해 적정수위를 유지하게되며 수위의 부족에 의해 급수펌프(F.W PUMP)가 동작되어 항시 적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는바, 제9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어상태를 표시한 시이퀀스도를 참조하여 각 릴레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측에 배선용 차단기(MCB)를 설치하고 배선용 차단기(MCB)의 2차측을 통해 각종제저스위치와 릴레이가 설치되는데 릴레이1(RL1)은 모든 제어전원을 단속시킬 수 있도록 주전원선에 a접점을 삽입한다.
릴레이 12(RL12)는 자동수위감지스위치의 접점(예 : 수은접점등)에 연결되어 급수펌프(F.W PUMP)를 동작 또는 정지시게 되며 릴레이4(RL4)는 제동기 접점으로 사용되고 릴레이5(RL5)는 송풀디(F, D FAN)를 제어하는 마그네틱이며, 릴레이6(RL6)은 점화기(IGNITER)를 제어하고, 릴레이 7(RL7)은 분무증기 솔레노이드밸브(ATOMIZING STEAM S. V)를 개폐제어 하게된다.
또한, 릴레이8(RL8)은 오일 솔레노이드밸브(OIL S. V)의 정상 작동유로와 리턴유로를 전환 개폐하여 제어를 행하게 되고, 릴레이9(RL9)는 드럼내의 압축스팀을 제어하며, 릴레이 10(RL10)은 버너의 연소상태를 감지하는 프레임 아이(FLAME EYE)의 광전소자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게 되는 마그네트스위치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릴레이(RL1-RL12)의 접점(a 또는 b접점)을 본 발명의 모니터(2)에 사용되는 회로에 접속시켜 모니터(2)의 각 라인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 및 각 표시부를 동작시키게 되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의 모니터(2)에 각 라인과 각 표시부를 작동시키는 호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모니터(2)의 각 라인을 작동시키는 환형계수기회로(A1-A6)에 대해 알아보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계수기회로(A1)는 전원(Vcc1)선로에 변압된 전원(+5VDC)이 가해지면 가변저항(VR1), 저항(R2), 콘덴서(C)로 미분회로에 의해 시분할되고 발진회로(IC1)를 통해 디케이드 카운터회로(IC2)에 인가되면 디케이드 카운터(DECADE COUNTER)는 전단의 입력을 4단의 출력으로 변환하여 후단의 데시말 디코더회로(IC3)에 입력시키며, 데시말디코더(DECIMAL DECOPERS)는 그 출력을 5단 인출하여 낸드(NAND)로 구성된 집적회호(ICa, ICb, ICc)에 인가되며 낸드(NAND)집적회로((ICa, ICb, ICc)의 출력측에 다링턴접속된 다링턴회로(DA-DE)를 접속하여 접속점
Figure kpo00001
에 표시하고자 하는 라인의 발광다이오드(LED)의 부("-")측 단자를 각 접속점
Figure kpo00002
에 접속시키고 해당 릴레이 접점을(제4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에 접속함)디케이드 카운터 회로의 입력전원(Vcc1)을 단속하도록 접속하면 보일러의 제어상태에 따라 릴레이가 여자되거나 소자되어 환형계수기(A1-A6)가 동작되거나 정지되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접점은 제1,2오일펌프라인(4,4')과 오일 공동라인(5)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a접점(PRL1또는 PRL2)이 닫히게되면 디케이드 카운터회로(CC2)에 단자전압이 인가되고 전술한 작용을 통해 순차점결회로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기타 다른 라인의 환형계수기(A2-A6)유니도 릴레이 접점의 구성이 상이할뿐 이에 대한 설명은 제10도의 다이어그램을 참조하면 전술된 과정을 통해 알수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업 디케이드 카운터회로(B)에 대해 살펴보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Vcc1)은 저항(R8)을 통해 낸드(NAND)집적회로(ICD)에 입력되고 전원(Vcc1)이 분기되어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에 공급되는가 하면 미도시된 보조릴레이(MRL4)의 메이크 접점을 통해 낸드(NAND)집적회로(ICD)에 인가되는 전원는 1sec를 주기로 20ms의 클럭(CLOCK)펄스를 공급하게 된다(제7(a)도)
이때 불안정한 톱니파(나)는 낸드(NAND)집적회로(ICD)에서 안정된 구형파(다)로 출력되어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에 각각 공급되고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의 출력은 7-세그멘틀 구동회로(ICh, CIi, ICj)에 각각 입력되어 7-세그먼트(SG1,SG2, SG3)가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7-세그먼트가 0-55가지의 숫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현재 보일러로내에 잔류가스를 청소하는 시간임을 표시하는 것이며, 56-75가지의 단계는 통상의 점화용 버너가 작동하여 주오일버너가 점화되기 직전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76-100까지는 주오일버너 작동을 경고하는 것이다.
이때, 보일러드럼이 가열되어 소정의 가열목적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100에서 작동되고, 100의 숫치를 넘어서면 버너의 작동말기로서 로 내의 청소상태중임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125의 숫치를 넘어서면 리렛트 되어 0으로 되면서 재차 작동상태로 대기중임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오일량 표시부(18)의 작동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제8도에 있어서 전술된 바 있는 주앰프(AMPO)와 다수의 앰프(OP Amp 1-10)를 통해 순방향 접속된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오일량표시부(18)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통상의 유체 유입량을 체크하는 센서에 의해 주앰프(AMPO)의 입력단의 가변저항(VR3)이 변화하면서 출력앰프(OP Amp 1-10)에 부분적인 동작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버너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이 어느정도인가를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레벨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2)의 오일량 표시부(18)의 레벨은 실제 오일공동라인의 유량조절변에 설치된 모듀츄럴모터(MM)의 작동으로 유입 되는 오일이 조정되게 되는바, 에어량표시부(17)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작동되어 표시되게 된다.
이와같은 각 회로부의 동작으로 인해 보일러를 동작시키게 되면 모니터 예는 다음과 같은 표시가 행하여지게 된다.
즉, 보일러를 가동시키고자 주전원을 투입하면 전술한 바 있는 배선용차단기(MCB)가 여자되어 각 부분이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1 또는 제2오일펌프(4-1, 4-2)가 동작중임을 표시하는가하면 급유라인(3)과 제1 또는 제2오일펌프라인(4,4')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작되고 동시에 오일공동라인(5) 또한 동작되게 되고 송풍기가 최초단계에서 부터 작동 중임을 에어라인(15')이 표시하고 이때 에어량표시부(17) 또한 유입되는 에어량을 표시하게 된다.
소정의 조건하에서 점화연료유입라인(13)의 점화 솔레노이드밸브(14)가 열리고 릴레이(RL6)이 동작되어 번화기가 점화 불꽃을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점화라인(13')에도 점화용 연료가 로내로 유입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후, 주모일 버너가 동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분무증기라인(9')가 오일공동라인(5)의 전단에 혼합분사라인(11)이 작동되면서 플레임 아이(FLAME EYE)의 감지로 화염표시부(19)가 상(H), 중(M), 하(L)의 상태로 주오일버너의 연소상태를 표시하게 되고 불착화시는 동작되지 않아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알려주게 된다.또한 버너가동준비, 버너가동종료 단계와 보일러 동작 중 오일이 차단되는 상황에서는 릴레이8(RL8)의 동작으로 오일리턴 솔레노이드밸브표시부(10-1)가 정등되며 오일리턴라인(10)에 발광다이오드(LED)가 동작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든 유체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라인은 환형계수기회로(A1-A6)를 통해 발광다이오드(LED)가 연속적으로 점소등되면서 실제로 오일, 에어, 물, 증기 등이 유입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모니터(2)를 통해 중앙의 제어위치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숫자로 표시되는 운전상태표시부(16), 즉 업 디케이드 카운터회로(B)의동작으로 전반적인 보일러의 동작진행상황을 알수 있는등 상태관측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보일러의 상태관측이 일목요연하게 모니터(2)를 통해 파악되고 이에따라서 제어를 행하기가 용이해지며 기존의 보일러장치를 변경함이 없이 각종 릴레이 접점을 이용하여 제어박스를 형성하므로 기 시설된 보일러에 간단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등의 우수한 효과를 간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통상이 보일러에 사용되는 제어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어장치본체(1)의 전면 상단부에 모니터(2)를 구성하고 타단에 각종 표시등과 제어스위치를 구성하되, 모니터(2)는 내장회로에 정합된 발광다이오드(LED) 및 7-세그먼트(SG1, SG2, SG3)가 각각 급유라인(3), 제1오일펌프라인(4), 제2오일펌프라인(4'), 오일공동라인(5), 증기유입라인(9)과 분무 증기라인(9'), 혼합분사라인(11), 급수라인(12), 수위표시부(12'), 점화연료유입라인(13)과 접화라인(13'), 에어라인(15'), 에어량 표시부(17), 오일리턴라인(10), 오일량표시부(18), 화염표시부(19), 오일가열라인(20), 또한 각종솔레노이드 밸브표시부(8-1, 9-1, 10-1, 14-1)와 펌프(4-1, 4-2, 12,1, 12-2) 및 운전상태표시부(16)등이 도식화 되어 있어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순차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LDE)에 의해 관측하며, 보일러의 전반적인 작동상황을 숫자로 표시하는 운전상태표시부(16)에 의해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버너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장된 회로 중 유체의 흐름을 표시하도록 된 환형계수기회로(A1)는 입력단(Vcc1)에 의해 가변저항(VR1)과 저항(R2)콘덴서(C)로 구성된 시분할회로를 발진회로(IC)와 결합하고 발진회로(IC1)의 출력을 디케이드 카운터회로(IC2)에 접속시키며 디케이드 카운터회로(IC2)의 출력을 데시말디코더회로(IC3)에 4단 입력되도록 연결하고 그 출력을 낸드(NAND)집적회로(ICa, ICb, ICc)에 접속시키며 낸드(NAND)집적회로(ICa, ICb, ICc)의 각 출력단은 저항(R3-R7)을 전원에 병렬접속하여 다링턴회로(DA-DE)에 연결하고 다링턴회로(DA-DE)의 각 출력단에 릴레이접점과 조합된 발광다이오드(LED)를 접속시켜서 발광다이오드(LDE)가 순차 점멸하여 각 라인의 유체 증기, 에어등이 유입되는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환형 계수기회로(A1)를 다수 보유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업디케이드 카운터회로(B)는 입력(Vcc) 저항(R8)을 통해 낸드(NAND)집적회로(ICD)에 연결시키고 저항(R8)의 전단에서 분기하여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에 입력전원(Vcc1)을 인가하고 낸드(NAND)집적회로(ICD)의 200ms의 안정된 구형파의 출력을 업 카운터 회로(ICe, ICf, ICg)에 접속하고 업 카운터회로(ICe, ICf, ICg)의 출력을 7-세그먼트 구동회로(ICh, ICi, ICj)에 인가하여 그 출력으로 7-세그먼트(SG1, SG2, SG3)가 동작되어 변환되는 숫자에 의해 보일러의 운전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오일량 계측에 사용되는 회로의 입력전원(Vcc1)으로부터 가변저항(VR2)과 저항(R10)을 통해 주앰프(AMPO)입력단에 연결하되 가변저항(VR2)에 직렬로 저항(R9)과 감지센서의 가변저항(VR3)을 접속하여 가변저항(VR3)을 주앰프에 "-"입력단에 저항(R13)을 통해 연결하고 저항(R10)에 직렬로 가변저항(VR4)과 저항(R11)을 접속하여 가변저항(VR4)을 주앰프에 "+"입력단에 저항(R12)을 통해 결합하고 저항(R14)을 통해 주앰프의 출력을 궤환시키는 동시에 다수의 저항회로를 보유하는 출력앰프(OP AMP 1-10) "+"입력단에 주앰프(AMPO)의 추력을 인가하고 상호병렬연결된 각 출력앰프(OPAMP 1-10)의 출력단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순방향 접속하여 감지센서의 가변저항(VR3)의 변화에 따라 그에 상응 하는 발광다이오드(LDE)가 단계적으로 점등되고 소등되어 오일량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KR1019870001766A 1987-02-28 1987-02-28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KR89000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766A KR890003894B1 (ko) 1987-02-28 1987-02-28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766A KR890003894B1 (ko) 1987-02-28 1987-02-28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6A KR880010286A (ko) 1988-10-08
KR890003894B1 true KR890003894B1 (ko) 1989-10-10

Family

ID=1925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66A KR890003894B1 (ko) 1987-02-28 1987-02-28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948A (ko) * 2000-12-29 2002-07-10 김동선 보일러용 콘트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6A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086B2 (en) Automatic boiler level controller
US4986468A (en) Test circuit for system monitoring apparatus
CA2231935A1 (en) Sensor condition indicating system
GB2211331A (en) Water heater diagnostic apparatus
KR890003894B1 (ko) 보일러의 상태관측 및 제어장치
US4581697A (en) Controller for combustible fuel burner
WO1993024912A1 (en) Display apparatus for a first out type of fault status annunciator having a series string of interlock switches
US4487030A (en) Gas/electric operated absorption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flame detection and restart capability with visual indication of operating status
US5063374A (en) Simultaneous signal devices testing in response to periodic function of an operating device in a system
US3410646A (en) Fuel ignition system
CN219914884U (zh) 一种锅炉控制功能测试装置
CN215932386U (zh) 用于燃烧器系统的仿真调试装置
KR930006611B1 (ko)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KR920009230B1 (ko) 원격조작기능이 달린 제어장치
KR0155465B1 (ko) 표시장치
JPS59221550A (ja) 風呂釜つき瞬間湯沸器における遠隔制御装置
KR970021941A (ko) 전자식 가스오븐렌지의 제어방법 및 제어회로
JPH07135693A (ja) 給湯装置
RU2001117380A (ru) Микроконтролл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розжига горелки и горением
JPS61180852A (ja) 遠隔操作型給湯装置
CN113835359A (zh) 用于燃烧器系统的仿真调试装置
KR200218390Y1 (ko)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JPS5914879Y2 (ja) 感知器回線の常時監視回路
KR930009095B1 (ko)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JPS6016224A (ja) 燃焼装置の表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