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611B1 -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611B1
KR930006611B1 KR1019900001661A KR900001661A KR930006611B1 KR 930006611 B1 KR930006611 B1 KR 930006611B1 KR 1019900001661 A KR1019900001661 A KR 1019900001661A KR 900001661 A KR900001661 A KR 900001661A KR 930006611 B1 KR930006611 B1 KR 93000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ght emitting
circuit
uni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35A (ko
Inventor
유지 곤도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7/00Arrangements for obtaining smoot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automatic control
    • G05B7/02Arrangements for obtaining smoot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automatic control electr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제1도는 본 실시예의 가스 급탕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리모콘 호로와 각 콘트롤러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가스 연소식 급탕기의 개략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제4도는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5도는 발광 다이오드의 순전류와 상대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6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의 리모콘 콘트롤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 설명도.
제7도는 본 실시예의 작동 설명을 위한 타임챠트.
제8도는 종래의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 급탕기(기기) 15 : 화염 로드(작동 검지 수단)
30 : 제어 장치(원격 조작 장치) 31 : 제어 회로(제어부)
41 : 안정화 전원(전압 공급부) 42 : 전압 검출부
50 : 메인 콘트롤러(조작부) 50 : 운전 스위치
51 : 조절 회로(가변 저항 회로) 57 : 발광 다이오드(발광 소자)
59 : 발광 회로 71,72 : 접속선(전선)
80 : 스위칭 회로(전압 변경 수단)
본 발명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의 지시를 제어 회로에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조작부에서 부여하는 동시에,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소자를 조작부에 원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 장치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공소 64-8878호의 발명이 있다.
이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리모트 콘트롤선 X, Y로 접속된 본체 제어 회로(110)와 원격 제어 회로(120)로 이루어지며, 원격 제어 회로(120)는 운전 스위치(121), 저항(122), 발광 소자(123)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와, 저항(122) 및 발광 소자(123)에 병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 회로(1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본체 제어 회로(110)에서 원격 제어 회로(120)로 상시 직류 전원에서 일정 전압이 공급되고 있고, 운전 스위치(121)를 닫으면, 본체 제어 회로(110)로 부터의 전류가 발광 소자(123)에 흘러서 발광 소자(123)가 발광하는 도시에 본체 제어 회로(110)의 접속 단자(111), (112)사이에서는 직렬 회로를 흐른 전류에 의한 전압이 검출되어, 연소 제어 회로(130)가 버너팬 등의 연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140)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본체 제어 회로(110)의 온도 설정 회로(113)에서는 가변 저항 회로(124)의 설정 저항치에 따라 강하하는 접속단자(111), (112)간의 전압치에 따라 목표 온도가 설정되어, 연소 제어 회로(130)는 그 목표 온도에 따라서 연소 장치를 제어한다.
그후 예를들어 연소 제어 회로(130)에 의해 이상이 검지되면, 연소 장치가 정지되는 동시에 원격 제어 회로(120)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이 단속되어 발광 소자(123)가 점멸한다.
이처럼 상기 발명에서는 운전 스위치(121)가 닫히면 연소 장치의 작동 상태와는 관계없이 발광 소자(123)가 점등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광 소자(123)가 점등한 시점에서 연소 장치가 확실하게 작동한 것으로 판단해 버린다.
그러나, 예를들어 가스 급탕기의 경우 연소는 통수에 수반해서 동시에 개시되며, 통수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는 연소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가스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면, 운전 스위치를 조작했을때 예를들어 발광 소자가 점등한 것에 의해 가스 급탕기의 작동이 개시된 것으로 생각하며, 그 자리를 떠라 버리거나 다른 일을 시작하거나 하여, 가스 급탕기에 주의를 덜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가스 급탕기가 작동한 다음, 정상적으로 연소가 개시되지 않아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그것이 발광 소자로 표시되어도 가스 급탕기에 주의하는 일이 적으므로 사용자에게는 충분히 전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운전 스위치를 투입한 다음에 기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 스위치에 직렬로 접속된 가변 회로와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병렬로 발광 소자를 갖춘 발광 회로를 구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공급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절된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를 구비하여 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정 전압 범위내의 전압치에 의거하여 기기의 운전은 개시하는 동시에 기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조작부에 표기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가 작동한 것을 검지하는 작동 검지 수단과, 상기 작동 검지 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압 공급부에서 상기 조작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전압 변경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변경 수단은 상기 작동 검지 수단이 기기의 작동을 검지하기 전에는 상기 조작부에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불능 전압이 인가되게 하고, 상기 작동 검지 수단이 기기의 작동의 검지한때에는 상기 조작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발광 소자의 발광 가능 전압으로 변경하는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 스위치가 닫혀서 전압 검출부에서 전압이 검출되면 운전이 개시된다. 이때, 전압 공급부에서 조작부로는 발광 소자의 발광 불능 전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는 발광하지 않는다.
기기가 작동하여 그것이 작동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면 전압 공급부에서 조작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발광 가능 전압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발광 소자는 발광한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 스위치를 넣어도 기기의 작동이 검지되지 않는한 발광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때문에 운전을 지시한 다음에 기기가 작동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 장치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서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가스 급탕기(1)의 연소기 케이스(10)내에는 복수의 버너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버너군(11)이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 케이스(10)의 아래쪽에는 버너군(1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 케이스(10)내의 버너군(11)의 윗쪽에는 수관식의 열교환기(13)가 설치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물은 버너군(11)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다. 연소기 케이스(10)내의 버너군(11)의 근방에는 버너군(11)을 점화하는 스파커(14)가 구비되며, 또 가스 급탕기(1)의 작동 확인을 위해 버너군(11)의 착화를 검지하는 화염 로드(15)가 구비되어 있다. 연소기 케이스(10)의 윗쪽에는 연소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군(11)의 아래쪽에는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관(16)이 구비되며, 노즐관(16)에는 버너군(11)의 각 버너에 각기 대응해서 연료 가스를 분출하는 복수의 연료 분출구(16a)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관(16)에 연료 가스를 인도하는 연료관(20)에는 통전시에 연료 가스를 통과시키는 2개의 전자 밸브(21), (22) 통전 전류에 따라서 공급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연료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비례 밸브가 상류측에서 순서대로 각기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물공급원에서 열교환기(13)에 물을 인도하는 물공급관(17)에는 급탕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전동식 수량 제어 장치(18), 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수량을 검출하는 수류 스위치(19)가 상류측에서 순서대로 구비되며, 또 열교환기(13)에서 유출하는 온수를 도시하지 않은 급탕구로 인도하는 급탕관(17a)애는 열교환기(13)에서 유출하는 탕수의 출탕 온도를 검지하는 출탕온 서미스터(25)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3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회로(31)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며, 입력 회로(32)에 의해 출탕온 서미스터(25) 및 화염 로드(15)의 검지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 회로(33)에 의해 송풍기(12), 유량 조절 비례 밸브(23)등을 구동한다.
또, 제어 장치(30)는 운전 개시를 지시하는 동시에 출탕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부엌등에 설치되는 메인 콘트롤러(50)와, 예를들어 욕실내에 설치되는 서브 콘트롤러(6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콘트롤러(50), (60)는 리모트 콘트롤러 인터페이스 회로(40)를 통해 제어 회로(31)와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 인터페이스 회로(40)(이하 리모트 콘트롤러 회로(40) 라고 함)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화 전원(41), 안정화 전원(41)의 전압을 2단계로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80), (80a)와, 각 콘트롤러(50)(60)로 부터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2)(43)의 각 기능부를 갖는다.
안정화 전원(41)은 제어 장치(30)가 전등선과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상시, 직류의 소정 전압 Va을 발생한다. 여기서는 소정 전압 Va으로서, 12[V]가 설정되어 있다.
스위칭 회로(80)(80a)는 안정화 전원(41)의 소정 전압 Va을 제어 회로(31)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환하여 단자(41A)(41B)를 통해 각 콘트롤러(50)(60)에 인가한다.
스위칭 회로(80)는 제너 다이오드(81), 스위치용의 트랜지스터(82)(83), 저항기(84)로 이루어진다.
제너 다이오드(81)는 안정화 전원(41)과 단자(41A) 사이에서 캐소드를 안정화 전원(41)측에 애노드를 단자(41A)측으로 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제너 다이오드(81)는 항복 전압 Vbd가 10[V]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81)의 캐소드 및 애노드에는 PNP 형의 트랜지스터(82)의 에미터 및 콜렉터가 각기 접속되며,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와 접지간에는 NPN 형의 트랜지스터(83)가 에미터 접지되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83)의 베이스에는 저항기(84)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트랜지스터(82)(83)에는 제어 회로(31)로 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며, 각 트랜지스터(82)(83)가 온일 경우에는 단자(41A)에는 소정 전압 Va 가 인가되고, 오프의 경우에는 제너 다이오드, (81)의 항복 전압 Vbd분만큼 저하한 2[V]가 인가된다.
스위칭 회로(80a)는 스위칭 회로(80)와 동등한 구성을 가지며, 제어 회로(31)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단자(41B)에의 인가 전압을 변경한다.
전압 검출부(42)는 단자(42A)를 통해 저항기(44)의 양단에 나타내는 메인 콘트롤러(50)로 부터의 전압V50)을 검출하여 운전 개시 지시 신호 및 온도 설정 신호로서 제어 회로(31)에 전송한다.
전압 검출부(43)는 단자(42B)를 통해 저항기(45)의 양단에 나타나는 서브 콘트롤러(60)로 부터의 전압 V60을 검출하여, 콘트롤러 선택 신호 및 온도 설정 신호로서 제어 회로(31)에 전송된다.
메인 콘트롤러(50)는 단자(50A)(50B)가 접속선(71)(72)을 통해 리모트 코트롤 회로(40)의 단자(41A)(42A)와 각기 접속되어 있어서, 운전 스위치(50a)가 닫혀 있을때 단자(50A)에 인가되는 전압 Va를, 복수의 저항기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51)에 의해 저하시켜 단자(50B)에서 리모트 콘트롤 회로(40)에 송출된다.
조절 회로(51)는 단자(50A)(50B)간에 운전 스위치(50a)를 통해 설치되어 있으며, 온도 조절용의 가변 저항기(52), 고정 저항기(53), 미조정용의 반고정 저항기(54)가 직렬 접속된 간단한 구성이다.
또 메인 콘트롤러(50)에는 조절 회로(51)에 병렬로 접속된 브리지 다이오드(55)의 출력 회로에 저항기(56), 발광 다이오드(57), 반고정 저항기(58)로 이루어진 발광 회로(59)가 설치되어 가스 급탕기(1)의 작동에 따라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 Va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57)가 점등하여 작업중임을 알리기 위한 연소 램프로 되어 있다.
서브 콘트롤러(60)는 단자(60A)(60B)가 접속선(73)(74)를 통해 리모콘 회로(40)의 단자(41B)(42B)와 각기 접속되어 있어서, 복수의 저항기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61)에 의해 공급 전압을 저하시켜 단자(60B)에서 리모콘 회로(40)에 송출된다.
서브 콘트롤러(60)에는 메인 콘트롤러(50)와 같이 온도 조절용의 가변 저항기(62), 고정 저항기(63), 미조정용의 반고정 저항기(64)가 직렬 접속된 조절 회로(61)와, 단자(60A)(60B)간에 병렬로 접속된 브리지 다이오드(65)의 출력 회로에 저항기(66), 발광 다이오드(67), 반고정 저항기(68)로 이루어진 발광 회로(6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서브 콘트롤러(60)에서는 조절 회로(61)에서 조절되는 전압을 소정 전압 범위밖으로 전환하기 위해 이 조절 회로(61)와 단자(60A)(60B)와의 사이에 연동하는 전환 스위치(91)(92)가 각기 직렬로 접속되며, 또 전환 스위치(92)의 접점(92a)(92b)간에는 고정 저항기(93)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단지 조절되는 전압을 소정 전압 범위 외로 전환하기 위한 것뿐이라면 전환 스위치(92)만을 설치하여 서브 콘트롤러(60)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되지만 발광 다이오드(67)에 의해 가스 급탕기(1)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서브 콘트롤러(60)에도 알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환 스위치(91)를 열므로써 조절 회로(61)를 불능하게 하는 한편, 고정 저항치(93)에 의해 전압 강하를 크게하여 단자(6B)로부터는 소정 전압범위외의 낮은 전압이 송출되도록 하고 있다.
각 콘트롤러(50)(60)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57)(67)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순전압 Vf를 인가했을때, 상승 전압 Vtr 이하에서는 순전류 If는 흐르지 않으며 상승 전압 Vtr을 넘으면 비로서 순전류 If가 흐른다. 또, 순전류 If에 대한 상대 휘도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순전류 If에 대략 비례한 것이다.
따라서, 상승 전압 Vtr 이하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발광 다이오드(57)(67)에는 상승 전압 Vtr이 약 1.0[V]의 것을 사용했다.
제어 회로(31)는 리모트 콘트롤 선택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단자(42B)를 통해 저항기(45)의 양단에 나타나는 서브 콘트롤러(60)로 부터의 전압 V60에 따라서 온도 제어에 있어서의 설종 온도 신호를 얻기 위한 콘트롤러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제6도의 사선 A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 콘트롤러(60)로 부터의 전압 V60 이 2[V]미만일 경우에는 메인 콘트롤러(50)를 선택하며, 2-4[V]범위일 경우에는 서브 콘트롤러(60)를 선택하여, 각각의 콘트롤러(50)(60)의 전압 V50, V60을 설정 온도 신호로 한다.
이 결고, 서브 콘트롤러(60)에서는 출탕 온도의 설정을 우선해야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가스 급탕기(1)의 작동을 제어 회로(31)의 제어를 중심으로 하여 제7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30)는 상시 운전 대기 상태에 있으며, 또 안정화 전원(41)에는 소정 전압 Va가 발생하고 있다. 이때 각 스위칭 회로(80)(80a)에서는 각 트랜지스터가 오프로 되어 있다.
시간 t1에, 사용자가 메인 콘트롤러(50)의 운전 스위치(50a)를 닫으면 단자(41A), 접속선(71), 단자(50A)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50)내의 조절 회로(51)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단자(41A)의 전압 V1은 제너 다이오드(81)에 의해 전압 강하한 2[V]이며, 발광 회로(59)에서는 발광 다이오드(57)에 상승 전압 Vtr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며, 발광 다이오드(57)는 도통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57)는 발광하지 않는다. 한편, 저항기(44)의 양단에는 조절 회로(51)의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V50이 나타나기 때문에 제어 회로(31)에서는 운전 스위치(50a)가 닫힌 것을 검지하여, 시동 대기 상태로서의 제어를 개시하여 수류 스위치(19)에 의한 통수 신호에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시간 t2에 사용자가 급탕전을 열어 열교환기(13)내에 물이 유입하여, 그것이 수류 스위치(19)에 의해 검지되면, 소정의 시켄스로 점화 제어가 행해진다.
점화 제어의 결과 시간 t3에 프레임 로드(15)에 의해 버너군(11)에서의 착화가 검지되면, 제어 회로(31)에서 각 스위칭 회로(80)(80a)에 스위칭 신호가 송출된다. 그러면 스위칭 회로(80)(80a)에서는 각 트랜지스터(82)(83)가 온으로 되기 때문에 각 콘트롤러(50)(60)에는 소정 전압 Va으로서의 12[V]가 인가된다.
따라서, 각 콘트롤러(50)(60)에서는 상승 전압 Vtr 이상의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57)(67)에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57)(67)가 발광하여 연소가 개시된 것을 알린다.
이 결과, 사용자는 운전 스위치(50a)의 조작후에 연소가 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소가 개시되면 서브 콘트롤러(60)의 전환 스위치(91)(92)의 상태에 따라서 콘트롤러가 선택되고, 선택된 콘트롤러의 설정 상태에 의거한 설정 온도에 따라서 온도 제어가 행해져서 연소량이 조절된다.
예를들어 연소중의 시간 t4에, 파선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어떤 원인으로 실화하여 화염 로드(15)에 의해 불길이 검지되지 않게되면, 각 전자 밸브(21)(22)가 닫혀서 연료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는 동시에 각 스위칭 회로(80)(80a)에는 제어 회로(31)에서 일정 간격으로 온과 오프를 반복하는 펄스 형상의 스위칭 신호가 송출되며, 단자(41A)의 전압 V1은 파선 C에 나타낸 바와같이 변화한다. 그러면 각 콘트롤러(50)(60)의 발광 다이오드(57)(67)는 파선 D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점멸하여 이상 상태임을 알린다.
이때 사용자가 이상 경보를 알아차려 운전 스위치(50a)를 오프로 하면, 저항기(44)의 양단에는 전압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운전 중지가 지시된 것이 제어회로(31)에 의해 검지되어 운전을 정지한다.
한편, 급수를 개시하여 점화 제어가 행해져도 연료 가스가 공급되지 않거나 불꽃 방전이 행해지지 않는 따위, 어떤 원인에 의해 착화가 행해지지 않거나 하며 일점 쇄선 E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염 로드(15)에 의해 불길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각 스위칭 회로(80)(80a)에의 스위칭 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단자(41A)의 전압 V1은 일점 쇄선 F에 나타낸 바와같이 2[V] 그대로 계속되기 때문에 각 발광 다이오드(57)(67)는 일점 쇄선 G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소가 행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 스위치(50a)를 닫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를 해도 연소는 개시되지 않으며 가열되지 않는 물을 급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소 표시용의 발광 다이오드는 운전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가 아니라 연소가 개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발광 표시를 하기 때문에 연소 개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착각하여 가열되지 않은 물을 공급하는 일은 없다.
또 각 콘트롤러(50)(60)와 제어 장치(30)와의 사이에는 각기 2개의 접속선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배선 공사의 시간과 노력을 적게할 수 있는 동시에 오배선의 염려가 없다.
또 각 콘트롤러(50)(60)와 제어 장치(30)와의 사이에는 각기 2개의 접속선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배선 공사의 시간과 노력을 적게할 수 있는 동시에 오배선의 염려가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화 검지 수단으로서 화염 로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열전대를 연소 검지에 사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가습 급탕기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연소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냉난방 등의 공조 장치나 조명 기구라도 좋다.

Claims (1)

  1. 운전 스위치(50a)에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 회로(51)와 상기 가변 저항 회로(51)에 병렬로 접속된 발광 소자(57)를 갖춘 발광 회로(59)를 구비한 조작부(50)와, 상기 조작부(5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공급부(41)와 상기 조작부(50)에 의해 조절된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42)를 구비하여 이 전압 검출부(42)에서 검출되는 소정 전압 범위내의 전압치에 의거하여 기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기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는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기가 작동한 것을 검지하는 작동 검지 수단(31)과, 상기 작동 검지 수단(31)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압 공급부(41)에서 상기 조작부(50)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전압 변경 수단(80)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변경 수단(80)은 상기 작동 검지 수단(31)이 기기의 작동을 검지하기 전에는 상기 조작부(50)에 상기 발광 소자(57)의 방향 불능 전압이 인가되게 하고, 상기 작동 검지 수단(31)이 기기의 작동을 검지한때에는 상기 조작부(50)에 인가되는 전압을 발광 소자(57)의 발광 가능 전압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 장치.
KR1019900001661A 1989-04-20 1990-02-09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KR930006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200A JPH0777471B2 (ja) 1989-04-20 1989-04-20 操作部に表示素子を備えた遠隔操作装置
JP1-101200 1989-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35A KR900016835A (ko) 1990-11-14
KR930006611B1 true KR930006611B1 (ko) 1993-07-21

Family

ID=1429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661A KR930006611B1 (ko) 1989-04-20 1990-02-09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7471B2 (ko)
KR (1) KR9300066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797A (ja) * 1989-01-31 1990-08-10 Noritz Corp 2芯遠隔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80499A (ja) 1990-11-16
KR900016835A (ko) 1990-11-14
JPH0777471B2 (ja) 199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697A (en) Controller for combustible fuel burner
KR930006611B1 (ko)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TWI740879B (zh) 加熱調理器
KR100293533B1 (ko) 보일러의원격조작방법및그장치
KR930006610B1 (ko)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KR930010389B1 (ko) 원격 조작기 부착 제어장치
KR930011730B1 (ko) 가스급탕기의 원격조작장치 제어방법
JPH0777475B2 (ja) 遠隔操作装置
KR950000928B1 (ko) 급탕기의 온도 제어장치
KR920009230B1 (ko) 원격조작기능이 달린 제어장치
JPH0777463B2 (ja) 遠隔操作装置
KR920007072B1 (ko) 전동기 제어장치
KR920009231B1 (ko) 조작부에 경보소자를 갖춘 원격조작 장치
KR930009095B1 (ko)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KR950000926B1 (ko) 급탕기의 가열제어장치
JPH05272751A (ja) 燃焼装置の燃焼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91487B1 (ko) 가스보일러의 응답방식에 의한 자기진단 표시장치
KR930004520B1 (ko) 난방기
JP3539020B2 (ja) ガス燃焼機器
KR930007833Y1 (ko) 전동기의 제어장치
KR930005207B1 (ko) 조작부에 여러개의 표시소자를 구비한 리모콘 조작부의 제어방법
KR900008428B1 (ko) 가스히터의 초기점화 폭발 방지장치 및 방법
KR930005206B1 (ko) 조작부에 표시소자를 구비한 가스급탕기의 표시소자 제어방법
GB2165347A (en) Burner air/gas ratio control
JP2001004217A (ja) 温度検出式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