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095B1 -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095B1
KR930009095B1 KR1019900007556A KR900007556A KR930009095B1 KR 930009095 B1 KR930009095 B1 KR 930009095B1 KR 1019900007556 A KR1019900007556 A KR 1019900007556A KR 900007556 A KR900007556 A KR 900007556A KR 930009095 B1 KR930009095 B1 KR 93000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remote control
switc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890A (ko
Inventor
겐지 도오다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1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제 1 도는 본 실시예인 가스급탕기의 제어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본 실시예인 가스급탕기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제 3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리모콘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 4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리모콘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메인리모콘에 관한 정판별전압을 나타내는 전압설명도.
제 6 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서브리모콘에 관한 판별전압을 나타내는 전압설명도.
제 7 도부터 제 11 도까지는 각 리모콘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압파형도.
제 12 도는 본 실시예인 가스급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급탕기(기기) 30 : 제어장치(제어부)
36 : 단자(제 1 접속점) 38 : 단자(제 2 접속점)
40A, 40B : 전선(두개의 전선) 40C, 40D : 전선(두개의 전선)
42 : 저항(제 1 저항) 42a : 저항(제 2 저항)
50 : 메인리코콘(제 1 조작부) 51 : 가변저항회로
52 : 스위치회로 SW1 : 운전스위치(상개형스위치)
53 : 표시회로(경보회로) L1 : 연소램프(경보소자)
L2 : 운전램프(경보소자) 60 : 서브리모콘(제 2 조작부)
61 : 가변저항회로(직렬회로) SW2 : 우선스위치(개폐스위치)
63 : 표시회로(경보회로) L3 : 연소램프(경보소자)
L4 : 운전램프(경보소자)
본 발명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에서 떨어진 곳에 기기의 운전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기를 갖춘 복수개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이들의 조작부가 2개의 전선에 의해 제어장치 본체와 접속된 원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기에서 떨어진 곳으로부터 운동상태를 조작 및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기기에 설치된 제어장치와 2개의 전선으로 접속된 원격조정장치 또는 원격제어장치에서는, 예를들면 특허공보 소와 64-8878호의 발명과 같이, 조작부에 있어서 제어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 회로와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회로가 병열로 설치됨과 동시에 운전의 개시를 지시하는 운전스위치가 이 병열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것이었다.
이 발명에서는, 운전스위치가 닫히면 표시회로의 구동신호를 겸한 직류전원으로 부터의 전력이, 전원선과 전송선과를 겸한 2개의 리모콘선(전선)에 의해 원격제어회로(리모콘 조작부)로 인가되고, 원격제어회로(리모콘조작부)의 설정상태에 따라 전압강하한 전류가 제어장치측의 전류검출회로에서 검출되어, 이 전류치에 근거하여 기기가 제어된다.
반대로, 운전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원격제어회로(리모콘 조작부)로는 신호가 일정 전송되지 않고 표시도 일절 행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상기한 원격제어장치에서는, 운전스위치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리모콘 선사이가 개방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어장치와 리모콘 조작부와의 사이가 단선상태와 같이되어, 리모콘선등이 단선되어 있어도 운전스위치가 닫혀지지 않는한 그것을 검출해 내기가 불가능하다.
또 운전스위치가 열린상태인 운전정지때에,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그것을 표시하려고 해도 리모콘 조작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를 행할 수 없다. 더욱이, 제어장치에 대하여 리모콘 조작부를 복수개 갖출 경우에, 스위치가 조작된 측의 리모콘 조작부의 운전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기기가 운전되도록 되어 있으면, 어느쪽이건 운전스위치가 조작될때마다 운전이되기 때문에, 예를들면 한쪽의 리모콘 조작부측에서 기기의 운전을 관리하가 불가능하며 안전관리의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2개의 전선으로 접속된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정장치에 있어서, 리모콘 조작부에서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리모콘의 접속상태를 판별할 수 있고, 경보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어도 한쪽의 리모콘 조작부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리모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기기의 운전개시 및 정지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회로를 갖는 제1 및 제 2 의 조작부와, 전기한 제1 및 제 2 의 조작부와 각각 2개의 전선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한 제1 및 제 2 조작부를 각각 제1 및 제 2 저항기를 개재시켜 일정한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한 제 1 조작부와 전기한 제 1 저항기가 접속된 제 1 접속점의 전압 및 전기한 제 2 조작부와 전기한 제 2 저항기가 접속된 제 2 접속점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여, 전기한 각 접속점의 검출전압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조작부에는, 상개형 스위치를 포함한 스위치회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때 경보를 행하는 경보회로가 전기한 가변저항회로에 병열접속하고, 전기한 제 2 의 조작부에는,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스위치가 전기한 가변저항회로와 직렬접속되어 직렬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때 경보를 행하는 경보회로가 전기한 직렬회로에 병열로 접속되어, 전기한 제어부는, 전기한 상개형 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한 제 1 접속점의 전압에 의거하여, 전기한 기기의 운전개시 및 정지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기한 개폐스위치의 개폐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한 제 2 접속점의 전압에 의거하여, 전기한 제 1 조작부 또는 전기한 제 2 조작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부의 가변저항회로의 설정상태 따라 전기한 제어목표치를 결정하는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조작부에서는, 상개형 스위치는 가변저항회로 및 경보회로와 병열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전선으로 제어부와 접속된 경우에는, 제 1 접속부는 상개형 스위치의 조작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통전상태가 된다. 또 2조작부에서는, 가변저항회로와 개폐스위치와의 직렬회로는, 경보회로와 병열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조작부는, 2개의 전선으로 제어부와 접속된 경우에는, 제 1 조작부에서와 같이 상폐스위치의 조작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통전상태가 된다.
한편, 제 1 조작부의 상개형 스위치가 닫히면, 기기의 운전개시 또는 정지가 제어되어, 운전중에 있어서는 제 2 조작부의 개폐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제어목표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각 조작부를 접속한 경우에는, 각 스위치의 개폐와 관계없이 각 조작부가 접속되어 있는지 또는 단선되어 있는지가 판별 가능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보신호를 각 조작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 운전중에는 제 2 조작부의 개폐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제어목표치가 결정되나 기기의 운전개시 및 정지는, 제 2 조작부에서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제 1 조작부의 상개형 스위치에 의해 지시된다.
따라서, 제 1 조작부에서, 기기의 운전개시 및 정지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2 도에 나타내는 가스급탕기(1)의 연소기케이스(10)내에는 복수개의 버너로 구성된 버너군(11)이 배치되고, 연소기 케이스(10)의 아래쪽에는 버너군(11)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케이스(10)내의 버너군(11)의 윗쪽에는 수관식 열교환기(13)가 설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물은 버너군(11)에 의한 연소열로 가열된다.
연소기케이스(10)내의 버너군(11)의 근방에는, 버너군(11)을 점화하는 스파커(14)가 설치되어 있고 또 가스급탕기(1)의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버너군(11)의 착화를 검지하는 후레임로드(15)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 케이스(10)의 윗쪽에는 연소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구(2)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군(11)의 아래쪽에는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관(16)이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관(16)에는 버너군(11)의 각 버너에 대응하여 연소가스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연료분출구(16a)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관(16)으로 연료가스를 인도하는 연료관(20)에는, 통전시에 연료가스를 통과시키는 2개의 전자밸브(21)(22)통전전류에 상응하여 공급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압비례밸브(23)가 상류쪽으로부터 차례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물공급원으로부터 열교환기(13)로 물을 인도하는 물공급관(17)에는 급탕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전동식 수량제어장치(18), 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수량을 납출하는 수류스위치(19)가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설치되어 있고 또 열교환기(13)로부터 유출하는 탕수를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급탕구로 인도하는 급탕관(17a)에는 열교환기(13)로부터 유출하는 탕수의 출탕온도를 검지하는 출탕은 써미스터(25)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스급탕기(1)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제어장치(30)로 제어된다. 제어장치(30)는 ROM내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시퀀스제어부(31) 온도조절 제어부(32), 연소제어부(33), 수량제어부(34), 표시제어부(35)등의 각기능부를 갖는 마이크로 콤퓨터를 중심으로 한 것으로 리모콘 구성회로(40), (40a)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가열 정보제공 수단인 메인리모콘 콘트롤러(이하[메인리모콘]이라한다)(50) 및 서브리모트콘트롤러(이하[서브리모콘]이라 한다) (60)의 조작상태에 상응하여 운동제어를 행한다. 제어장치(30)에는 메인리모콘(5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36) (37)와 서브리모콘(6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38)(39)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리모콘(50)에는 제어장치(30)의 단자(36)(37)를 접속하기 위하여 단자(50A)(50B)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30)와 메인리모콘(50)의 각 단자간은 2개의 전선(40A) (40B)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구성은 확실히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메인리모콘(50)의 단자(50A) (50B)은 제어장치(30)의 단자(36)(37)에 대하여 반대로 접속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같은 방법으로 서브리모콘(60)에는 제어장치(30)의 단자(38)(39)를 접속하기 위하여 단자(60A)와 (60B)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전선(40C)(40D)에 의해 각 단자간이 접속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서브리모콘(60)의 단자(60A)(60B)는 제어장치(30)의 단자(38)(39)에 대하여 반대로 접속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먼저, 메인리모콘(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리모콘(50)에는, 제 3 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50A)(50B) 사이에 가변저항회로(51), 운전스위치회로(52), 표시회로(53)이 병열로 설치되어 있다. 가변저항회로(51)는, 병열접속된 가변저항기(VR1)와 저항기(R1)가 저항기(R2)와 직렬접속된 것으로 사용자가 가변저항기(VR1)을 조작하므로써 변화하는 가변저항회로(51)의 저항치에 상응하여 설정온도가 정해진다. 운전스위치회로(52)는 가스급탕기(1)의 운전개시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운전스위치(SW1)와 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R3)로 구성되고, 운전스위치(SW1)에는 상개형 보턴스위치가 이용되어 조작할 때만이 회로가 닫힌다.
표시회로(53)는 단자(50A)(50B)가 제어장치(30)이 단자(36)(37)에 대하여 반대로 접속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전파정류회로를 형성한 6개의 다이오드(D1 내지 D6)로 구성된 브리지회로(54)와 브리지회로(54)의 출력측에 스위치회로(55)를 개재시켜 병렬로 설치된 연소램프(56)와 연소램프회로(57)로 구성된다. 브리지회로(54)는, 단자(50A) (50B)사이에 인가된 전압이 스위칭회로(55) 연소램프회로(56) 및 운전램프회로(57)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3)와 다이오드(D4) 또 다이오드(D5)와 다이오드(D6)와를 각각 직렬접속함으로써 표시회로(53)의 초기 상승전압을 높게 설정하여 표시회로(53)로 구동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에 표시회로(53)의 초기 상승전압을 높게 설정하여 표시회로(53)로 구동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에 표시회로(53)로 흐르는 전류를 적게하고 있다.
스위칭회로(55)는, 브리지 회로(54)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소정전압 이상일때, 연소램프(56) 및 운전램프(57)로 램프점등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서 저항기 저항기(R4)를 개재시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로의 인가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을 초과하면 트랜지스터(Q1) 및 트랜지스터(Q2)가 모두 ON이 되어가고 램프회로(56)(57)로 전력이 공급된다. 연소램프회로(56)는, 스위칭회로(55)로부터 램프점등용 전력이 공급되고 이때 다이오드(D7)를 거쳐 저항기(R5)로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교류성분이 포함되어, 이 교류 성분이 소정 전압 이상인 경우에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연소램프(L1)가 점등한다.
여기에서는, 저항기(R5)로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교류성분은 콘덴서(C1)를 통과하여 다이오드(D8) (D9)에 의해 배전압정류 된후, 저항기(R6)를 거쳐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일때에는, 콘덴서(C2)의 전하는 저항기(R7)를 거쳐 베이스 전류로서 트랜지스터(Q3)로 흐르고, 이때 트랜지스터(Q3)가 ON이 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코렉터에 접속된 연속램프(L1)가 점등한다. 운전램프회로(57)는 스위칭회로(55)로부터 램프점등용 전력이 공급되고, 이때의 직류전압의 실효치가 소정전압이상인 경우에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운전램프(L2)가 점등한다. 여기에서는, 저항기(R8)를 거쳐 스위칭 회로(55)로부터의 공급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공급전압이 충전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 다이오드(D10)에 의해 방전되는 콘덴서(C3)의 전위가 소정전압 이상일 때에 저항기(R9)를 거쳐 트랜지스터(Q4)에 베이스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4)의 코렉터에 접속된 운전램프 L2가 점등한다. 다음으로, 서브리모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리모콘(60)에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자(60A) (60B)사이에 가변저항회로(61)와 표시회로(6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가변저항회로(61)는, 가변저항회로(51)에서와 같이 병렬접속된 가변저항기(VR2)와 저항기(R11)가 저항기(R12)가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여기에 로타리식의 우선스위치(SW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우선스위치(SW2)는 제어장치(30)에서의 온도조절제어를 서브리모콘(60)의 설정온도에 의거하여 행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제어장치(30)에 있어서는 우선스위치(SW2)가 ON일때에는 서브리모콘(60)이 선택되고 OFF 상태일 때에는 메인리모콘(50)이 선택된다. 표시회로(63)는 메인리모콘(50)에서의 표시회로(53)와 같은 구성에 의한 브리지 회로(64), 브리지 회로(64)의 출력측에 스위치회로(65)를 개진시켜 병열로 연결되어, 연소램프(L3)를 갖춘 연소램프회로(66)와 운전램프(L4)를 갖춘 운전램프회로(67)로 구성되며, 또 브리지 회로(64)의 출력측에는 스위치회로(65)와 병열로 우선표시회로(68)가 설치되어 있다. 우선표시회로(68)는 표시스위치(SW3), 저항기(R13)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우선램프(L5)를 직렬접속시킨 것이다. 표시스위치(SW3)는 우선스위치(SW2)와 연동하는 로타리식의 스위치로서 서브리모콘(60)을 우선시킬 때에는, 우선스위치(SW2)와 함께 회로를 닫아 우선램프(L5)가 점등한다.
이들 메인리모콘(50), 서브리모콘(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장치(3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사용형태로서는 메인리모콘(50)과 서브리모콘(60)을 모두 갖추는 경우, 메인리모콘(50)만을 갖추는 경우, 리모콘을 전혀 갖추지 않는 경우로 3가지가 있다. 또한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디프스위치를 절환함으로써 메인리모콘(50)대신에 서브리모콘(60)을 단자(36) (37)에 바로 접속할 수 있으며, 서브리모콘(60)만을 사용하거나 서브리모콘(60)을 2대 갖추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자(36) (37)에 접속된 서브리모콘(60)의 우선스위치(SW2)가 운전스위치로 사용되나, 이하에서는 메인리모콘(50)이 접속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30) 및 제어장치(30)의 각 기능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30)에서는, 제어장치(30)이 전등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5V전원이 항상 작동하고 있어서 마이크로콤퓨터가 대기상태를 작동하고 있다. 시퀀스 제어부(31)에서는, 제어장치(30)가 전등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항상 시동대기 상태에 있어 저항(41)(41a)을 거쳐 각각 검출되는 단자(36)와 (37) 및 단자(38)(39)사이의 각 단자전압(V50)(V60)에 의거하여 소정의 작동모드를 결정한다. 시퀀스 제어부(31)에서는, 각 단자전압(V50)(V60)에 의거하여 소정의 작동모드를 결정한다. 시퀀스 제어부(31)에서는, 각 단자전압(V50)(V60)에 관하여 제 5 도 또는 제 6 도에 각각 나타내는 것과 같이 0.5 내지 2.5V을 설정온도 전압으로 3.5 내지 5V를 단선검지전압으로 0.05V이하를 단자(36)(37)사이, 단자 (38)(39)사이의 단락검지전압으로 읽어들인다.
또 메인리모콘(50)측의 단자 전압 V50에 관해서는, 설정온도 전압으로서 읽어들이는 최저 전압인 0.5V보다 훨씬 낮고 또한 단락검지전압으로서의 0.05V보다 높은 0.05 내지 0.3V의 전압을 운전스위치 조작전압으로서 읽어들인다.
한편, 서브리모콘(60)측의 단자전압(V60)에 관해서는 설정온도 전압으로서의 0.5 내지 5V가 검출되는 것은 우선스위치(SW2)가 닫혀있을 경우에 한정되는 점으로 인하여 설정온도 전압이 검출되었을 때를 서브리모콘(60)의 우선사용시간으로 한다.
반대로 우선스위치(SW2)가 닫혀있는 상태의 경우에는, 단자전압(V60)은 0.5 내지 2.5V가 설정온도 전압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3.5 내지 5V가 검출되는 경우를 메인리모콘(50)의 사용시간으로 한다. 이와같이, 단자전압(V50)에 관하여 3.5 내지 5V의 전압이 검출되었을때 이것이 단선등에 의한 것인지, 우선스위치(SW2)가 열려 있는 상태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없으나, 그 어떠한 경우에도, 서브리모콘(60)의 가변저항회로(61)의 설정상태는 제어상에 상관이 없기 때문에 실용상에 있어 어떠한 문제로 되지 않는다.
작동모드의 결정은, 각 단자전압(V50)(V60)이 상기한 대로, 각 설정된 단선검지전압인가 또는 설정온도전압인가에 따라 각각의 접속상태 또는 도전상태를 판별하여 결정된다. 작동모드로서는, 사용형태에 맞추어서, 메인리모콘(50)과 서브리모콘(60)이 함께 접속된 멀티모드, 어느 리모콘도 접속되어 있는 자동모드, 메인리모콘(50)만이 접속되는 단속모드가 있다. 시퀀스 제어부(31)는, 자동모드 이외의 경우에는, 운전스위치(SW1)의 조작신호가 검지되면 운전대기 상태로 되고, 자동모드의 경우에는 항상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멀티모드의 경우에는, 운전스위치(SW1)의 조작신호를 검지하여 운전대기 상태가 되면, 우선스위치(SW2)를 갖춘 서브리모콘(60)측의 단자전압(V60)에 따라 어느쪽 리모콘의 설정온도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선택된 리모콘으로 부터의 설정온도를 온도조절제어부(32)로 전송한다.
또 운전대기 상태에서는, 운전대기 상태에 있는것과 선택한 리모콘의 선택정보와를 표시제어부(35)로 전송한다. 운전대기상태에서는 가스급탕기(1)의 송풍기(12)나 각 밸브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의 전원이 가동하고, 수류스위치(19)에 의해 열교환기(13)으로의 통수가 검지되면, 소정의 점화시퀀스 제어를 연소를 개시하고, 통수정지가 검지되면 소화시퀀스 제어에 의해 연소를 정지한다.
온도조절제어부(32)는 운전대기 상태 및 운전상태가 되면 선택된 리모콘으로부터의 설정온도 전압을, 통수가 시작되기전에 미리 읽어들이고 또 출탕온 써미스터(25)에 의한 검출온도정보로부터 가열량을 결정하여 이를 연소제어부(33)으로 전송한다. 연소제어부(33)는 온도조절제어부(32)에서 결정된 가열량에 의거하여 성풍기(12) 및 정압비례밸브(23)을 제어하여 버너군(11)의 연소량을 제어한다.
또한, 자동모드에서는, 항상 운전대기 상태가 되고, 통수가 점지되면 일정온도(예를 들면 60℃ 또는 75℃)를 설정온도를 하여 작동하고, 단독모드에서는 시동대기 상태가 되어 상기한 멀티모드에서의 메인리모콘 우선시점에서와 같이 메인리모콘(50)의 조작상태에만 의거하여 작동한다. 표시제어부(35)는, 선택된 리모콘의 정보와 후레임로드(15)에 의해 검지되는 연소정보로부터 각각의 운전상태에 따라 각 리모콘(50) (60)의 각 램프를 점등, 소등, 점멸등의 3종류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리모콘 구동회로(40)(40a)로 각각 송출한다. 표시제어부(35)의 제어내용에 관한 설명에 들어가기전에 먼저, 표시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는 리모콘 구동회로(40) (40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리모콘 구동회로(40)(40a)에서는 5V전원으로부터의 공급전압이 저항(42) (42a)을 거쳐 각 단자(36)(38)로 각각 인가되어, 각 단자(36)(38)와 접속되는 각 리모콘(50)(60)으로 검출용전압(Vrem)으로서 항상 공급되고 있다.
리모콘 구동회로(40)(40a)에는 검출용전압(Vrem)외에 5V전원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각 단자(36)(38)로 직접 인가하여, 각 리모콘(50)(60)으로 직접공급하기 위하여 스위칭용 트랜지스터(43)(43a)가 다이오드(44)(44a)를 거쳐 각 단자(36) (38)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12V 전원에 의한 직류전압을 각 리모콘(50)(60)으로 직접공급하기 위하여 스위칭용 트랜지스터(45)(45a)가 각 단자(36)(38)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45)(45a)가 앞에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46)(46a)가 설치되어, 각 트랜지스터(43)(43a)(46)(46a)는 표시제어부(35)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리모콘 구동회로(40)에서는, 각 스위칭용 트랜지스터(43)(45)는 제어신호에 의해 ON이 될때에만, 각각의 전압을 단자(36)로 인가하고, 트랜지스터(43)(45)가 모두 OFF일때에는, 5V전원으로부터의 전압만이 검출용전압 Vrem으로서 저항(42)을 거쳐 단자(36)으로 인가된다.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직접공급하는 트랜지스터(43)와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트랜지스터(45)가 모두 OFF일때, 5V전원으로부터의 검출용전압(Vrem)은 메인리모콘(50)에서의 가변저항회로(51) 및 운전스위치 회로(52)의 병열회로와 저항(42)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에 인가되고, 단자(36)에는 메인 리모콘(50)에서의 가변저항회로(51)의 조작상태에 맞추어, 그 합성저항에 의거한 분압이 단자전압(V50)으로서 나타난다. 리모콘 구동회로(40a)에서도, 상기한 리모콘 구동회로(40)에서와 같이, 각각이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43a) (45a)가 모두 OFF일때에는, 단자(38)에는 리모콘(60)의 조작상태에 의거한 전압이 단자전압(V50)으로서 나타난다.
표시제어부(365)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리모콘 구동회로(40)(
40a)를 거쳐, 시퀀스제어부(31)의 제어상태에 의거하여 각 리모콘(50)(60)을 제어한다. 각 램프의 점등, 점멸 및 소등의 제어는, 가스급탕기(1)의 운전상태로서, 운전대기 상태인가 아닌가 연소중인가 아닌가, 이상이 발생하였는가 아닌가에 따라 또 리모콘이 우선 상태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각 리모콘(50)(60)별로 따로따로 표시가 행하여진다. 연소램프(L1) (L3)은 리모콘의 우선순서에 관계없이 후레임로드(15)에 의해 불꽃임 검지될때에 연소중일때는 연속하여 점등하고 점화잘못이나 연소중에 문제점이 있을때에는 점멸하여 이상 검지상태를 나타낸다. 운전램프(L2) (L4)는 운전대기중 및 연소중에는 우선이 되어 있는 리모콘에서는 점등하고, 우선이 아닌 리모콘에서는 이것이 메인리모콘(50)인 경우에는 점멸하고 서브리모콘(60)인 경우에는 점등한다. 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우선순서에 관계없이 점등하지 않고 소등상태로 된다. 서브리모콘(60)에서의 우선램프(L5)는, 우선스위치(SW2)와 표시스위치(SW3)가 닫히는 경우인 서브리모콘(60)이 우선일 때만 운전램프(L4)이 점등 또는 연소램프(L3)의 점멸에 응답하여 점등 또는 점멸한다. 각 리모콘(50)(60)에서의 표상태와 가스급탕기(1)의 운전상태와의 관계를 제 1 표에 정리하여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이하, 표시제어부(35)에 의한 리모콘 구동회로(40)호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리모콘 구동회로(40a)에 관해서는 괄호( )내에 함께 기술한다.
① 연소램프(L1(L3))를 점등하지 않고 운전램프(L2(L4))만을 점등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45(45a))를 ON으로 하고, 제 7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거의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경우에는, 이 제어를 받는 리모콘으로부터 설정온도신호가 읽혀지는 경우이기 때문에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미소시간만큼 정지하고 5V전원으로부터의 검출용 전압 Vrem만이 공급되는 시간이 3mS씩, 30mS간격으로 갖추어져 있다.
② 연소램프(L1(L3))을 점등하지 않고 운전램프(L2) (L4)만이 점멸하는 경우에는 점멸주기에 따라 트랜지스터(45(45a))를 ON, OFF시켜서 제 8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단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때의 점멸주기는, 예를 들면 2.7SecON, 2.7SecOFF로 한다.
③ 연소램프(L1(L#)) 및 운전램프(L2(L4))가 모두 점등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43(43a))를 ON으로 하여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45(45a))를 제어하여 예를들면, 펄스주기 10mS인 연속적인 일정한 펄스를 5mSON과 5mSOFF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제 9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펄스로 변환한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더불어 공급한다. 이 경우에도,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모두 정지되고 검출용 전압 Vrem만이 공급되는 시간이 3mS씩, 30mS간격으로 갖추어져 있다.
④ 연소램프(L1(L3)만이 연속해서 점등하고, 운전램프(L2)(L4)가 전멸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③과 같이, 예를들면 펄스주기 10mS인 연속적인 일정한 펄스로 변환한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연속해서 공급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43(43a))를 점멸주기에 따라 ON, OFF 시켜서 제 10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점멸주기에 따라 변화하도록 제어한다.
⑤ 운전램프(L2(L4))가 점등하지 않고 연소램프(L1(L3))만을 점멸시키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43(43a))를 OFF로 고정하고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정지하고, 제 11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펄스주기 10mS인 연속적인 일정한 펄스로 변환한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예를 들면 1SecON과 1SecOFF와를 반복하는 점멸주기에 따라 단속적으로 공급한다.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직접공급하는 트랜지스터(43(43a))와 12V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직접공급하기 위한 트랜지스터(45)(45a)가 모두 OFF이고, 5V전원으로부터의 검출용 전압 Vrem만이 연속적으로 공급될때에는, 연소램프(L1(L3)) 및 운전램프(L2(L4))는 모두 점등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2 내지 4의 각 경우에 있어서는, 각 램프가 점등중 또는 점멸중 일지라도 리모콘(50(60))의 조직상태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1의 경우와 같이 5V 전원으로부터의 검출용 전압 Vrem만이 공급되는 시간이 3mS씩, 30mS간격으로 갖추어져 있다.
이 경우, 검출용 전압 Vrem만이 공급되는 시간은 3mS라고 하는 아주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시각상으로도 아무런 문제없이 각 램프의 점등 및 점멸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시퀀스제어부(31)에 있어서, 단자(36)(37)사이의 단락검지 전압으로서 0.05V이하가 접지되었을 경우에는, 리모콘 구동회로(40)에서의 각 트랜지스터(43)(45)가 파손되는 것을 방치하기 위해, 각 트랜지스터(43)(45)를 ON으로 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단자(38)(39)사이의 단락검지전압으로서 0.05V이하가 검지되었을 리모콘 구동회로(40a)의 각 트랜지스터(43a) (45a)에 의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수량제어부(34)에서는 출탕온써미스터(25)에 의한 검출온도정보를 전동식 수량제어장치(18)로 제어하여 가열능력이상의 유량이 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것을 제한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인 가스급탕기(1)에 있어서의 모드 결정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리모콘(5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36)(37)간에 메인리모콘(50)이 정상으로 접속되어 있어, 전선(40A)(40B)나 메인리모콘 (50)내에서 단선되지 않고 통전하고 있을 경우에는, 단자전압(V50)의 전압치는, 검출용전압 Vrem이 저항(42)과 가변저항회로(51)에 의해서 분압되어 나타나고, 통상적으로 가변저항기(VR1)의 저항치에 따라 0.5 내지 2.5V사이의 값을 갖는다. 반대로, 단자(36) (37)간에, 메인리모콘(50)이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어 있지 않거나 전선등이 단선되어 통전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저항(42)를 거쳐 단자(36)에 인가되는 검출용 전압 Vrem은, 전압강하가 거의 없기 때문에, 5V에 아주 가까운 전압차로서 검출된다. 서브리모콘(60)에 관해서는, 우선스위치(SW2)가 닫힌 상태에서만, 메인리모콘(50)에서의 경우와 같이 통전상태에 따라 각각의 전압치가 검출된다. 반대로, 우선스위치(SW2)가 열린상태에서는, 전선(40C)(40D) 및 서브리모콘(60)이 통전상태일지라도, 가변저항회로(61)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표시회로(63)으로만 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에 의해 단자전압(V60)이 검출된다. 이 표시회로(63)에서는, 브리지 회로(64)는 다이오드(D3)(D4), (D5)(D6)이 각각 직렬로 접속되고 있어, 표시회로(63)이 초기상승전압이 높게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검출용 전압(Vrem)에 의해 표시회로(63)으로 흐르는 전류치는 매우 작다.
이 때문에 단자전압(V60)은 매우 높아진다. 그러나, 우선스위치(SW2)가 열린상태라고 하는 것은, 서브리모콘(60)으로부터의 설정신호에 의해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제어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들의 판별기능에 의해, 메인리모콘(50) 또는 서브리모콘(60)의 접속상태를 판별하고, 그에 의거하여 각 리모콘의 접속상태에 상응하는 작동모드가 결정된다. 따라서, 리모콘의 접속상태에 따라서 제어장치(30)의 모드를 별도로 절환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단락검지에 관계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리모콘(5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36)(37)사이가 단락하여 있는 경우에는, 단락검지기능으로서 운전개시를 위한 제어가 정지하는 동시에 리모콘 구동회로(40)의 트랜지스터(43)(45)를 모두 OFF로 하고 메인리모콘(50)의 운전램프(L2)와 염소램프(L1)은 일절 점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단락한 단자(36)(37)간으로는 각 트랜지스터(43)(45)로부터의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각 트랜지스터(43)(45)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이때, 리모콘 구동회로(40a)에서는, 트랜지스터(43a)를 OFF로 고정하고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정지하여 트랜지스터(45a)를 펄스주기 10ms인 연속적인 일정한 펄스로 1SecON과 1SecOFF를 반복제어하여 제 11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펄스로 변환한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점멸주기에 따라 단속적으로 서브리모콘(60)으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운전램프(L4)를 점등하지 않고 연소램프(L3)만을 점멸시켜서 이상을 알린다. 서브리모콘(6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38)(39)사이가 단락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락검지 상태로서 운전개시를 위한 제어가 정지함과 동시에 리모콘 구동회로(40a)의 트랜지스터(43a)(45a)를 모두 OFF로 하고 서브리모콘(60)의 운전램프(L4)와 연소램프(L3)은 일절 점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단락한 단자(38)(39)간으로는 각 트랜지스터(43a)(45a)로부터의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각 트랜지스터(43a)(45a)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이때, 리모콘 구동회로(40)에서는, 트랜지스터(43)을 OFF로 고정하고 5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정지하여 트랜지스터(45)를 펄스주기 10mS인 연속적인 일정한 펄스로 1SecON과 1SecOFF를 반복제어하여 제 11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펄스로 변환한 12V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점멸주기에 따라 단속적으로 메인리모콘(50)으로 공급한다.
이에의해 운전램프(L2)를 점등하지 않고, 염소램프(L1)만을 점멸시켜서 이상을 알린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가스급탕기(1)의 작동을 멀티모드의 경우에 관해서 제 12 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30)이 전등선과 접속되어 있어 시동대기 상태에 메인리모콘(50)의 운동스위치(SW1)가 조작되어 이것이 검지되면(스텝 1에서 YES), 운동대기 상태로서 우선스위치(SW2)의 설정상태때에 상응하여 선택된 리모콘의 운전램프가 점등함과 동시에 비우선리모콘의 운전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한다.(스텝2)
이때 서브리모콘(60)이 선택되어 있으면 우선램프(L5)가 운전램프(L4)와 함께 점등한다. 또 이때 선택된 리모콘으로는 제 7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소정의 주기를 검출용 전압 Vrem만이 인가되어 있어 각 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선택된 리모콘의 가변저항 회로로 출탕온도를 설정하면 가변저항 회로의 저항치에 상응하는 단자전압이 설정온도 신호로서 읽혀진다(스텝3)
또 이때 출탕서미스터(25)에 관해서도 검지온도신호가 함께 읽혀져 이들을 가열 정보로 하여 연소량이 결정된다. 그후, 그림에 나타나지 않은 급탕마개가 열려서 열교환기내의 통수가 검지되면 (스텝 4에서 YES) 소정의 시퀀스로서 점화 제어가 행하여져(스텝 5)연소가 개시된다.
이때 송풍기(12) 및 정압비례 밸브(23)는 이미 결정된 연소량에 의거하여 제어되어 설정온도에 상응하는 연소량으로 연소가 개시된다. 착화가 검지되면(스텝 6에서 YES), 각 리모콘의 연소램프가 함께 점등한다.(스텝7)
이때 소정시간내에 착화가 검지되지 않으면(스텝 6에서 NO) 운전램프가 소등됨과 동시에 연소램프가 점멸된다(스텝8) 이후, 연소램프의 점멸은, 운전스위치(SW1)가 조작되어 OFF 신호가 부여될때까지 계속되고(스텝 9에서 NO), 운전스위치(SW1)가 조작되어 OFF신호가 부여되면(스텝 9에서 YES)연소램프가 소등한다(스텝10), 또 연소가 행하여지고 있을때 실화( )가 검지된 경우에도(스텝 11에서 YES)스텝 8이후로 이행한다. 착화검지후, 실화( )가 검지되지 않고(스텝 11에서 NO), 또 통수가 정지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12에서 NO)스텝 7이후를 반복하고, 이후 소정의 주기로 계속하여 설정온도 및 출탕온도가 읽혀져 그에 상응하는 연소량이 결정된다. 통수가 정지되면(스텝 12에서 YES), 연소가 정지됨과 동시에 연소램프가 소등된다(스텝13).
그후, 운전스위치(SW1)에 의해 OFF신호가 부여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14에서 NO), 스텝 2로 이행하여 다시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연소가 정지된후에 운전스위치(SW1)에 의해 OFF신호가 부여되면(스텝 14에서 YES)운전램프가 소등되어(스텝 15), 제어를 끝낸다. 또한, 운전스위치(SW1)에 의해 운전개시의 지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통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연소는 개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리모콘(60)의 우선스위치(SW2)와 관계없이 메인리모콘(50)의 운전스위치(SW1)만에 의하여 운전개시 및 정지가 지시되기 때문에 메인리모콘(50)측에서 운전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 전선의 단선등의 각 리모콘과의 접속상태가 각 리모콘의 스위치와 관게없이 검지가능하며,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는 각 리모콘의 스위치와 관계없이 각 리모콘으로 표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보수단으로서 표시램프를 이용하였으나 이상이 생겼을 때에만 작동되는 부자등의 소리에 의한 경보소자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류스위치에 의하여 통수를 검지하였으나 유량센서의 유량검출 신호로 검지하여도 좋다. 급탕기등의 연소기기 뿐만 아니라 조작부에 경보소자를 갖춘 냉난방등의 공조장치나 조명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제어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회로를 갖는 제1 및 제 2 조작부와 전기한 제1 및 제 2 조작부와 각각 2개의 전선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한 제1 및 제 2 조작부로 각각 제1 및 제 2 저항기를 개재시켜 일정의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한 제 1조작부와 전기한 제 1 저항기와 접속된 제 1 접속점의 전압 및 전기한 제 2 조작부와 전기한 제 2 저항기가 접속된 제 2 접속점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여, 전기한 각 접속점의 검출전압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조작부에는, 상개형(常開型)스위치를 포함한 스위치회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때 경보를 행하는 전기회로가 전기한 가변저항회로에 병렬로 접속되고, 전기한 제 2 조작부에는,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스위치가 전기한 가변저항회로와 직렬로 접속되어 직렬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때 경보를 행하는 경보회로가 전기한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되며 전기한 제어부는, 전기한 상개형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한 제 1 접속점의 전압에 의거하여, 전기한 기기의 운전개시 및 정지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기한 개폐스위치의 개폐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한 제 2 접속점의 전압에 의거하여, 전기한 제 1 조작부 및 전기한 제 2 조작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부의 가변저항회로에 설정상태에 따라 전기한 제어목표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정장치.
KR1019900007556A 1989-05-25 1990-05-24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KR930009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1841 1989-05-25
JP1131841A JPH0777474B2 (ja) 1989-05-25 1989-05-25 複数の操作部を備えた遠隔操作装置
JP89-131841 198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890A KR900018890A (ko) 1990-12-22
KR930009095B1 true KR930009095B1 (ko) 1993-09-22

Family

ID=1506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556A KR930009095B1 (ko) 1989-05-25 1990-05-24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7474B2 (ko)
KR (1) KR9300090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7715A (ja) * 1989-01-27 1990-08-06 Mikuni Corp 給湯器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309898A (ja) 1990-12-25
JPH0777474B2 (ja) 1995-08-16
KR900018890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697A (en) Controller for combustible fuel burner
KR930010389B1 (ko) 원격 조작기 부착 제어장치
KR930009095B1 (ko) 복수개의 조작부를 갖춘 원격조작장치
KR950000927B1 (ko) 급탕기의 온도제어장치
KR920009231B1 (ko) 조작부에 경보소자를 갖춘 원격조작 장치
KR930005207B1 (ko) 조작부에 여러개의 표시소자를 구비한 리모콘 조작부의 제어방법
KR930005208B1 (ko) 가스급탕기기의 제어방법
KR920009230B1 (ko) 원격조작기능이 달린 제어장치
KR950000928B1 (ko) 급탕기의 온도 제어장치
KR950000926B1 (ko) 급탕기의 가열제어장치
KR930005206B1 (ko) 조작부에 표시소자를 구비한 가스급탕기의 표시소자 제어방법
KR930011730B1 (ko) 가스급탕기의 원격조작장치 제어방법
JPH0478891B2 (ko)
US5063374A (en) Simultaneous signal devices testing in response to periodic function of an operating device in a system
KR930006611B1 (ko) 조작부에 표시 소자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KR930006610B1 (ko)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원격 조작장치
JPH0326092A (ja) 遠隔操作装置
JPH0777475B2 (ja) 遠隔操作装置
JPH051261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