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722Y1 -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722Y1
KR890003722Y1 KR2019860004615U KR860004615U KR890003722Y1 KR 890003722 Y1 KR890003722 Y1 KR 890003722Y1 KR 2019860004615 U KR2019860004615 U KR 2019860004615U KR 860004615 U KR860004615 U KR 860004615U KR 890003722 Y1 KR890003722 Y1 KR 890003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huck
workpiece
lath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215U (ko
Inventor
이경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4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722Y1/ko
Publication of KR870016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6Alig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2017/001Measurement or correction of run-out or eccen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공구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
제4도는 종래 선반 척에 고정된 공작물이 편심 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누름대 2 : 몸체
3 : 스프링 4 : 진퇴봉
4' : 걸림턱 5 : 누름편
6 : 고정나사 7 : 지지봉
T : 공구대 Th : 공구홀더
본 고안은 NC 선반의 척(Chuck)에 공작물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공작물의 중심이 척의 중심과 편심 고정되는 것을 정 중심으로 바로 잡을 목적으로 고안된 NC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진퇴자재되는 누름편을 구비한 누름대를 공구대에 장착하여, 공구대의 전진력에 의해 척 죠우에 허실하게 몰려있는 공작물을 밀어 누를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공작물의 중심이 척의 중심과 동일 축 선상으로 일치되게 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작기계에 대한 자동화 추세의 일환으로 공작대상물을 척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로보트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로보트에 의해 척에 공급되는 공작물은 로보트의 핸드에 구비되어 있는 쿠션장치만으로 공작물의 중심으로 척의 중심과 일치토록 하므로서, 척중심과 공작물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공작물의 불량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즉, 로보트 핸드에 의해 척 죠우 내에 끼워지는 공작물은, 로보트 핸드에 형성되어 있는 쿠션장치에 의해 척 방향으로 압압력을 받음과 아울러 죠우로 하여금 고정하게 되나, 쿠션장치의 압압력의 한계, 또는 공작물의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 등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죠우에 고정된 공작물의 중심이 척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편심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서,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누름대(1)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2)내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3)의 전방으로는 걸림턱(4')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진퇴봉(4)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누름편(5)이 고정나사(6)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 후방의 몸체(2)에는 지지봉(7)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내지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대(T)의 공구홀더(Th)에 누름대(1)의 지지봉(7)을 끼운 다음 고정볼트(B)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미 설명 부호(C)는 척이며, (J)는 죠우, (W)는 미가공된 공작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보트에 의해 공급되어 척(C) 중심과 어긋나게 죠우(J)에 끼워져 있는 공작물(W)(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을 NC 선반의 공구대(T)를 이송시켜 누름대(1)로 하여금 공작물(W)의 외측 단면부를 밀어 누르게 한다.
즉, 누름대(1)의 누름편(5)이 공작물(W)의 외측단부를 밀어 누르게 되므로, 하방으로 처져 있던 공작물(W)은 제 위치를 바로 잡게 되어 어긋나 있던 척(C) 중심과 공작물(W)의 중심은 일치하게 된다.
한편, 누름편(5)이 공작물(W)을 밀어 누르는 상태에서의 스프링(3)은 완충 역활을 하게 되어 각 부품의 접촉에 따른 충격 완화를 도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어 누르는 누름대(1)에 의해 척(C)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공작물(W)은, 상기 누름대(1)가 공작물(W)을 밀고 있는 상태에서 죠우(J)를 작동시켜 공작물(W)을 고정하게 되므로, 죠우(J) 고정시 공작물(W)의 중심이 척(C) 중심과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진퇴봉(4) 선단에 고정나사(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누름편(5)은 공작물(W)의 크기에 적당한 크기의 누름편(5)으로 교환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누름대(1)를 사용하면, 척(C) 중심에 공작물(W)의 중심이 일치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공 불량율을 최대로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는 물론, NC 선반과 로보트의 자동화 장치의 가동율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몸체(2)내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3)의 전방으로는 걸림턱(4')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진퇴봉(4)이 삽입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누름편(5)이 고정나사(6)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 후방 몸체(2)에는 지지봉(7)이 나사 결합된 누름대(1)를 공지된 공구대(T)의 공구홀더(Th)에 고정시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 교정장치.
KR2019860004615U 1986-04-10 1986-04-10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KR890003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615U KR890003722Y1 (ko) 1986-04-10 1986-04-10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615U KR890003722Y1 (ko) 1986-04-10 1986-04-10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215U KR870016215U (ko) 1987-11-24
KR890003722Y1 true KR890003722Y1 (ko) 1989-06-02

Family

ID=1925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615U KR890003722Y1 (ko) 1986-04-10 1986-04-10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7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215U (ko) 198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202A (en) Pivoted jaw members
KR890003722Y1 (ko) Nc 선반에서의 공작물 편심(偏心) 교정장치
WO2011059945A1 (en) Compensating workholding equipment
CA1123633A (en) Tool presetting device
US3359840A (en) Extension tool holder
JP2001191253A (ja) 汎用加工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KR100599568B1 (ko) 선반 가공물 가공 기준 위치 지그 유니트
JPS58192728A (ja) ワ−ククランプ装置
CN209998823U (zh) 用于工件开槽的辅助装置
US3663003A (en) Milling vise
CN113399712B (zh) 一种夹具及车床
US3771392A (en) Combination steady-rest and tool holder
JP2001025902A (ja) 旋盤加工用汎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GB2110965A (en) Jaws for use in clamping devices
CN218800496U (zh) 方形工件夹持工装及方形工件加工装置
US3315551A (en) Lathe tool
KR900003464B1 (ko) NC선반의 공작물 척킹(Chucking)장치
CN219542330U (zh) 一种弯管接头用加工工装
CN216681248U (zh) 一种用于加工偏心轴的工装
KR200153196Y1 (ko)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
JP7383278B2 (ja) 加工機用ワークホルダー
JPH045223Y2 (ko)
JP3100333B2 (ja) 旋盤の心押台
KR200227467Y1 (ko) 정위치결정수단을갖는공작물감지장치
US2491571A (en) Parting toolholder for la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