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00B1 -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00B1
KR890003500B1 KR1019860006556A KR860006556A KR890003500B1 KR 890003500 B1 KR890003500 B1 KR 890003500B1 KR 1019860006556 A KR1019860006556 A KR 1019860006556A KR 860006556 A KR860006556 A KR 860006556A KR 890003500 B1 KR890003500 B1 KR 89000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photosensor
output
photo sensor
photo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481A (ko
Inventor
신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600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500B1/ko
Publication of KR88000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Landscapes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제1도는 종래 파형 발생장치의 구성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출력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개략도.
제4도는 제3도의 출력파형도.
제5도는 제3도 포토센서의 출력신호 비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포토센서
본 발명은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체의 회전범위와 회전방향을 판별할 수 있게한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된 것으로 즉 회전체(1)의 외주연부를 일정 각도(θ1)로 복수등분하여 반사부분(a1-an)과 비반사부분(b1-bn)이 교대로 위치하게 회전체(1)에 반사부분(a1-an)을 형성하고, 그 회전체(1)의 측부에는 포토센서(2)를 설치한 것으로 회전체(1)를 회전시키면 포토센서(2)로 부터의 광이 회전체(1)의 각 반사부분(a1-an)에서 반사되어 포토센서(2)에 입사되므로 포토센서(2)로 부터는 제2도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회전체(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CW)이든 반시계방향이든(CCW) 포토센서(2)로 부터 동형의 파형이 출력되게 되므로 회전방향에 대한 판별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감안하여 회전체의 회전범위는 물론 회전방향도 판별 가능하게 창안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체(1)의 외주연부를 일정각도(θ1)로 복수등분하고, 반사부분(a1-an)과 비반사부분(b1-bn)이 교대로 위치하게 회전체(1)의 외주연부에 반사부분(a1-an)을 형성하며, 그 회전체(1)이 측부에는 포토센서(2)(3)을 설치하는 바, 두 포토센서(2)(3)의 위치는 회전체(1)의 중심에 상호
Figure kpo00001
의 각도 또는
Figure kpo00002
의 홀수정수배만큼 차이가 나게 설치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체(1)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포토센서(2)(3)로 부터의 광이 회전체(1)각 반사부분(a1-an)에서 반사되어 해당 포토센서(2)(3)에 각기 입력되므로 포토센서(2)(3)로 부터는 일정 파형의 신호가 출력되는바. 포토센서(2)(3)의 상호 위치관계가 회전체(1)의 중심에 대해
Figure kpo00003
또는 그의 홀수정수배 만큼 차이가 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포토센서(2)(3)의 출력신호는 각기 제4(a)도,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된다. 즉, 회전체(1)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포토센서(2)로 부터는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신호가 출력되고, 포토센서(3)로 부터는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토센서(2)의 출력에 비해
Figure kpo00004
만큼 지연된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회전체(1)를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와는 반대로 포토센서(3)의 출력신호가 포토센서(2)의 출력보다
Figure kpo00005
만큼 앞선신호로 출력되어 포토센서(2)(3)의 출력신호는 각기 제4(a')도,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되게 된다.
이와같이 회전체(1)의 회전방향에 따라 포토센서(2)(3)로 부터 출력되는 양신ㅁ호의 위상차가 각기 다르게 되어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판별할 수 있게된다.
제5도는 상기 포토센서(2)(3)로 부터 출력되는 양신호의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체(1)를 시계방향(CW)로 회전시킬 때는 포토센서(2)(3)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기 [0, 0]→[1, 0]→[1, 1]→[0, 1]→[0, 0]의 순으로 순환하게 되고, 회전체(1)를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시킬 때는 포토센서(2)(3)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기[0, 0]→[0, 1]→[1, 1]→[1, 0]→[0, 0]의 순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와같이 출력되는 양신호간의 변화에 의해 회전체의 정방향/역방향을 판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각기 위상차가 다른 양신호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회전체(1)의 외주연부를 일정각도(θ1)로 복수등분하고, 반사부분(a1-an)과 비반사부분(b1-bn)이 교대로 위치하게 회전체(1)의 외주연부에 반사부분(a1-an)을 형성하며, 그 회전체(1)의 측부에 포토센서(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포토센서(3)를 상기 포토센서(2)에 대해
    Figure kpo00006
    만큼 차이가 나도록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 장치.
KR1019860006556A 1986-08-08 1986-08-08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KR89000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556A KR890003500B1 (ko) 1986-08-08 1986-08-08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556A KR890003500B1 (ko) 1986-08-08 1986-08-08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81A KR880003481A (ko) 1988-05-17
KR890003500B1 true KR890003500B1 (ko) 1989-09-22

Family

ID=1925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556A KR890003500B1 (ko) 1986-08-08 1986-08-08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5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81A (ko) 198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3316A (en) Rotary encoder
JPH03140821A (ja) 光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KR890003500B1 (ko) 회전체를 이용한 파형 발생장치
US4580130A (en) Rotary encoder
CN1330941C (zh) 旋转检测器
JPH0339736Y2 (ko)
JP2020200845A (ja) 噛み合いクラッチ
JPS61155918A (ja) 車両用角度検出装置
JPH0422262Y2 (ko)
JP2003344112A (ja) 光学式エンコーダ
JPH04346028A (ja) 光学式エンコーダ
JPS59102112A (ja) 回転角のデジタル変換装置
JPH05126601A (ja) 複数波長の光学式エンコーダ
SU1024860A1 (ru) Уголковый отражатель
JPS6273120A (ja) 回転検出装置
JPS62204123A (ja) 反射型回転検出器
JPS6337216A (ja) 光フアイバエンコ−ダのスリツト板
JPH0765908B2 (ja) 斜交縞による回転軸間の相対変位角検出装置
JPH0399221A (ja) 光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JPS60157015A (ja) 光反射型の回転体動作状態検出器
JPS6329213A (ja) 光学式エンコ−ダ
SU1064261A1 (ru) Ск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1674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глового положени излучател
KR910006691A (ko) 광로터리 엔코더
SU802900A1 (ru) Модул тор излуч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