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367Y1 - 공기 편향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편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367Y1
KR890003367Y1 KR2019860007610U KR860007610U KR890003367Y1 KR 890003367 Y1 KR890003367 Y1 KR 890003367Y1 KR 2019860007610 U KR2019860007610 U KR 2019860007610U KR 860007610 U KR860007610 U KR 860007610U KR 890003367 Y1 KR890003367 Y1 KR 890003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eflection plate
hinge
air stream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304U (ko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이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화 filed Critical 이동화
Priority to KR2019860007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367Y1/ko
Publication of KR870018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편향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요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 예시도.
제3도는 공기를 편향시킨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사용치 않을때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양지지대3 : 실린더
3-1, 3-2 : 피스톤 4 : 편향판
5 : ""자형 작동간5-1 : 연결간
5-2 : 연동힌지6 : 핀
7 : 고정힌지8 : 연동간
본 고안은 차량 부착용 공기편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의 피스톤을 두개의 작동축에 각각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일측 피스톤의 회동축을 중심으로한 후단에 설치하여 선단과 후단이 서로 반작용할수 있게하여 피스톤이 밑면 편향판은 접쳐 질수 있게 연결힌지를 설치시키고 타측 피스톤은 편향판 연결 유착봉에 축설하여서된 것이다.
종래의 차량부착용 공기 편향장치는 고정식으로된 것과 수동식으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자의 고정식은 항상 공기를 편향시키는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콘테이너등의 화물을 달고 운행할때 편향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차체만 운행시킬때는 바람의 저항을 받아 속도가 느리고 연료의 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으며, 후자의 수동식으로 절첩이 가능한 장치는 우선 접첩이 가능하여 불사용시에는 공기흐름과 수평으로 하여 공기 저항을 줄여 줄수 있는 효과는 얻을 수 있다하겠으나 볼트와 너트를 나해하여 일일이 손으로 절첩 또는 전개시켜야 되는 복잡성이 있어 사용에 많은 불편이 있어 실용적이 못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간단히 조작하여 수평상태와 편향상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지지대(1)(2) 중앙에 실린더(3)를 장착하되 일측 피스톤(3-1)은 지지대에 핀(6)으로 축설된 ""자형 작동간(5)하단 연결간(5-1)에 축삽되어 상단 연동힌지(5-2)는 편향판(4)의 고정힌지(7)와 연동간(8)으로 연결하였으며 타측 피스톤(3-2)은 편향판(4)에 고정된 선단축(4-1)에 축삽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는 차체, 10은 콘테이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실린더(3)의 운동으로 피스톤(3-1)(3-2)이 작동하게 되면 제3도에서와 같이 피스톤이 축소되며 작동간(5)을 적립시켜 부면 편향판(4)이 차체 부착 콘테이너(10)에 직접 받는 공기 저항을 편향시켜 주어 연료소모를 줄여주게 되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피스톤이 늘어나며 지지대(1)(2)에 ""형 작동간(5)을 유착하고 있는 핀(6)을 축으로 하여 작동간(5)의 하단 연결간(5-1)을 후진시켜주어 이와 반대로 작용하는 작동간(5)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며 연동힌지(5-2)와 고정힌지(7) 사이에 유설된 연동간(8)도 제4도에서와 같이 연동힌지(5-2)를 축으로 하여 절첩되어져 편향장치가 수평상태를 이루어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게 한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군데의 중심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편향판(4)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형 작동간(5)은 핀(6)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작동간(5)의 하단 연결간(5-1)은 작동간(5)과 반대로 지렛대 작용을 하게 피스톤이 전진하여 연결간(5-1)이 뒤로 밀어리면 연동힌지(5-2)와 고정힌지(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편향판(4)은 제4도에서와 같이 원주의 길이가 다름에 따라 연동간(8)은 연동힌지(5-2)를 측으로 하여 ""형 작동간(5)에 절첩되어지며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편향판(4)의 회전각도를 넓혀주어 제4도와 같이 수평된 상태가 되어져 사용시와 불사용시 공기저항을 최소로 줄어줄수 있게하여 연료를 절약함은 물론 운전자의 레버 또는 보턴에 의한 조작으로 자동 절첩되어 지므로 사용이 간편한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지지대(1)(2) 중앙에 실린더(3)를 장착하되 일측 피스톤(3-1)은 지지대에 핀(6)으로 축설된 ""형 작동간(5) 하단 연결간(5-1)에 축삽되고 상단 연동힌지(5-2)는 편향판(4)의 고정힌지(7)와 연동간(8)으로 연결하였으며, 타측 피스톤(3-2)은 편향판(4)에 고정된 선단측(4-1)에 축삽하여서된 두중심점이 각각 회동하여 편향판을 작동시킬수 있게됨을 특징으로한 공기 편향장치.
KR2019860007610U 1986-05-30 1986-05-30 공기 편향 장치 KR890003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610U KR890003367Y1 (ko) 1986-05-30 1986-05-30 공기 편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610U KR890003367Y1 (ko) 1986-05-30 1986-05-30 공기 편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04U KR870018304U (ko) 1987-12-23
KR890003367Y1 true KR890003367Y1 (ko) 1989-05-20

Family

ID=1925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610U KR890003367Y1 (ko) 1986-05-30 1986-05-30 공기 편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3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04U (ko) 198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520A (en) Helicar
CA1192933A (en) Guide for collapsible drag reducer
US7399026B2 (en) Air guiding system for a vehicle
US5904342A (en) Landing gear crank handle
EP0451910A1 (en) Aft cantilevered wing landing gear for heavy airplane with aft center of gravity
CA1201467A (en) Support for collapsible drag reducer
KR890003367Y1 (ko) 공기 편향 장치
KR910000464A (ko) 차량의 타각제어장치
US4170332A (en) Retractable undercarriage especially for the fuselage of an aircraft
US5519915A (en) Vehicular vacuum collector with boom height adjustment
JPS6014817Y2 (ja) 掘削積込機の掘削積込装置
US4449667A (en) Apparatus for folding an outboard boom on a liquid spraying implement
JPS585337B2 (ja) グラブバケツト装置を備えた移動式堀削機
JPH09177112A (ja) 掘削作業装置およびパワーショベル
CN207875381U (zh) 拖拉机
US6019178A (en) Field marker
JPS6237772Y2 (ko)
JPS6122508Y2 (ko)
JPH0315634Y2 (ko)
USRE33817E (en) Apparatus for folding an outboard boom on a liquid spraying implement
JPS6042123Y2 (ja) 油圧式掘削機
JPS6027163Y2 (ja) 油圧式掘削機
JPH051511Y2 (ko)
JPH0511080Y2 (ko)
JPS6027165Y2 (ja) 油圧式掘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