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79B1 -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79B1
KR890002979B1 KR8203294A KR820003294A KR890002979B1 KR 890002979 B1 KR890002979 B1 KR 890002979B1 KR 8203294 A KR8203294 A KR 8203294A KR 820003294 A KR820003294 A KR 820003294A KR 890002979 B1 KR890002979 B1 KR 89000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lag
fluorspar
desulfuriz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651A (ko
Inventor
함머 루돌프
마이히스너 발터
렐러마이어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발터메이어-칼렌·칼-하인즈 발켄홀
티센 아크티엔 게젤 샤프트(구명칭 : 아우그스트 티센-휴테)
하인리히 릭·호르스트 프리쩰
에스 카우 트로스트 베르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터메이어-칼렌·칼-하인즈 발켄홀, 티센 아크티엔 게젤 샤프트(구명칭 : 아우그스트 티센-휴테), 하인리히 릭·호르스트 프리쩰, 에스 카우 트로스트 베르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발터메이어-칼렌·칼-하인즈 발켄홀
Publication of KR84000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선철 (crude iron)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slag)의 철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십년이전부터, 용광로 밖에서 선철의 탈황이 행하여져 왔다. 초기에는, 주로 선철을 용광로로부터 배출하여 수송 레이들(ladles)로 흘려넣는 조작도중에 소다를 첨가하므로서 수행하엿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침적-랜스 공정(immersion-lance process)을 이용한 선철의 탈황방법이 점차 호평을 받아왔다.
이 방법에서는 탄화 칼슘이나 석회등의 탈황제를 선철욕네에 침적된 랜스를 이용하여 취입(吹入)하는 것으로, 이러한 취입은 선철이 용광로로부터 제강장치로 수송되는 레이들내에서 수행 될 수 있다.
선철의 소위 " 외부" 탈황처리 즉, 용융 장치 외부에서 탈황처리를 하는데 드는 총 비용은 이 탈황처리 도중에 철이 유실됨으로 인해 상당히 증가된다.
탈황 슬래그내에 미세하게-분산된 철의 입자가 다량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을 보다 큰 입자로 응집되지 못하며 따라서 선철욕내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슬래그 내부에 함유된 채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선철의 탈황 공정은 매우 비경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탈황 슬래그에서 철을 회수하는 것은 이미 제안된 바 있다(독일 특허 명세서 제750, 334호)
그러나, 슬래그의 탈황도중에 철을 회수하는 이 공정은 임시적인 조치에 불과하였다.
즉 철은 계속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회수공정후에 재용융되지 않으면 않되었다.
소다를 함유하지 않은 탈황제가 사용될때, 탈황슬래그가 CaO함량이 높고 또 철하량이 높으면, 용율물의 처리와 레이들을 비우는데 시간이 지연이되면, 고체상태로 존재하는 슬래그가 그 속에 포함된 철이 냉각 및 응고 되면서, 비교적 큰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렇게되면, 이들 덩어리가 레이들벽에 달라붙어 굳어서 이를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나 어뢰형 레이들(torpedo ladle)의 경우에 이와같은 현상때문에 선철을 포함하는 슬래그가 흘러나오지 못하고 레이들내에 축적되어, 사용가능한 레이들의 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페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철을 탈황할때, 수송 레이들내에 슬래그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독일 특허 제 2,247,475호에 기재되었으나, 이 또한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철이의 탈황중에 형성되 CaO가 풍부한 슬래그에 가능한 철의 함량을 적도록하여 탈황용기내에 슬래그의 부착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들중의 용융물에 미세히게 분쇄된 형석(fluorspar)을 슬래그가 유동성을 갖지않을 정도로 가함으로서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가 았었다.
탈황정도, 슬래그의 양, 및 슬래그의 조성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첨가되는 형석은 선철 톤당 0.05내지 1.5kg이 바람직하다.
형성 첨가량은 슬래그가 유동성을 갖지 않는범위이어야 한다. 만일에 탈황중 소량의 슬래그만이 형성될 경우에는, 형성 사용량을 낮추며, 또 다량의 슬래그가 생성될 경우는 이를 다량으로 첨가한다.
형석은 선철 용율물로 붙어 넣는 취입 방법으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형석은 용융물을 탈황시키기 전에 용융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석을 첨가하는 방법은 다음 두가지가 있다 : 탈황이 개방 레이들에서 수행될때, 탈황처리의 개시전에 선철 용융물 표면에 형성을 참가하는 것이다.
그런후 탈황제를 선철 용융물내로 취입한다.
CaO가 풍부한 탈황 슬래그가 형성되면서 선철 용융물의 표면으로 떠올가 거기서 먼저 첨가된 형석과 만나게 된다.
탈황을 어뢰형 레이들에서 행할 경우, 형석을 빈 레이들에 도입한다. 선철 용융물을 어되형 레이들내에 부으면, 이 형석은 선철 용융물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게된다. 그런후, 탈황제를 선철 용융물내로 취입한다. 형성된 CaO가 충부한 탈황 슬래그는 선철용융물의 표면으로 떠올라 용융물에 균일하게 분포된 형석과 작용하게 된다.
다음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선철 용웅물을 탈황시키는데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탈황 슬래그는 평균적으로 42.0%의 Fe을 함유하며, 적절한 염기도 (CaO : SiO2)는 4.3이었다.
입자 크기가 최대 0.5mm인 형석을 선철단위 톤당0.25kg취입시키면 염기도치는 동일하면서 철의 함량을 약10%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레이들내에 슬래그의 부착량을 감소시켜, 한번에 운반되는 선철의 양을 평균 약 10%까지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사용된 형석은 통상의 황산바륨 불순물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CaO가 풍부한 슬래그가 유동성을 각기에 필요한 농도 이하의 양으로 형석을 첨가하면, 탈황 슬래그중의 철함량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사실은 이 기술분야의 사람들에게는 놀라운 사실이었다. 이와이 형석의 양을 첨가함으로서, 탈황 슬래그는 보다 분말형태를 갖게되며, 그러한 결과 냉각될때 용기벽에 달라붙는 경향이 감소된다.

Claims (4)

  1. 미세하게 분쇄한 형석을 슬래그(slag)가 유동성이 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레이들내의 용융물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철의 탈황중에 형성된 CaO풍부한 슬래그 철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형석을 선철의 단위통단 0.05 내지 1.5kg의 양으로 응용물에 첨가하는 방법.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형석을 선철내에 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형석을 용윰물의 탈황전에 그 용융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3294A 1981-07-27 1982-07-23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KR89000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5,910.4/81 1981-07-27
EP105.910.4/81 1981-07-27
EP19810105910 EP0070912B1 (de) 1981-07-27 1981-07-27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s Eisengehaltes von bei der Entschwefelung von Roheisen entstehenden CaO-reichen Schlack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51A KR840000651A (ko) 1984-02-25
KR890002979B1 true KR890002979B1 (ko) 1989-08-16

Family

ID=818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294A KR890002979B1 (ko) 1981-07-27 1982-07-23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31444A (ko)
EP (1) EP0070912B1 (ko)
JP (1) JPS5867814A (ko)
KR (1) KR890002979B1 (ko)
AT (1) ATE11572T1 (ko)
AU (1) AU553026B2 (ko)
BR (1) BR8204349A (ko)
CA (1) CA1193441A (ko)
DE (1) DE3168626D1 (ko)
ES (1) ES8305421A1 (ko)
IN (1) IN1566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5280A1 (de) * 1985-10-03 1987-04-09 Hoechst Ag Entschwefelungsgemisch fuer metallschmelzen,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4738715A (en) * 1987-01-02 1988-04-19 Hart Metals, Inc. Desulfurizing reagent for hot metal
UA32411C2 (uk) * 1991-08-28 2000-12-15 Тіссен Шталь Аг Спосіб обробки розплавів доменного чавуну в резервуарі (варіант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0334C (de) * 1937-12-07 1945-01-05 Verfahren zur Aufarbeitung von bei der Sodaentschwefelung des Roheisens anfallenden Schlacken
BE669135A (ko) * 1965-09-02 1966-03-02
AT313333B (de) * 1970-02-20 1974-02-11 Voest Ag Verfahren zum Frischen von flüssigem Roheisen in einer Sprühfrischanlage sowie Sprühfrisch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820768A (en) * 1971-07-19 1974-06-28 Pennsylvania Engineering Corp Stee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US3827880A (en) * 1971-12-07 1974-08-06 British Steel Corp Inclusion of hydroboracite in addit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steel refining
JPS5832209B2 (ja) * 1976-04-15 1983-07-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改質転炉スラグおよび改質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70912A1 (de) 1983-02-09
ES513868A0 (es) 1983-04-16
BR8204349A (pt) 1983-07-19
ATE11572T1 (de) 1985-02-15
CA1193441A (en) 1985-09-17
IN156686B (ko) 1985-10-12
DE3168626D1 (en) 1985-03-14
AU553026B2 (en) 1986-07-03
ES8305421A1 (es) 1983-04-16
US4431444A (en) 1984-02-14
JPS6364484B2 (ko) 1988-12-12
EP0070912B1 (de) 1985-01-30
KR840000651A (ko) 1984-02-25
AU8643782A (en) 1984-10-18
JPS5867814A (ja) 198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895B1 (en) Basic tundish flux composition for steelmaking processes
US5279639A (en) Compositions for synthesizing ladle slags
US4209325A (en) Desulphuration of metals
US4695318A (en) Method of making steel
US4600434A (en)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ferrous metal melts
KR890002979B1 (ko) 선철의 탈황과정중에 형성된 CaO가 풍부한 슬래그의 철함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US4687512A (en) Desulfurizing mixture for metal melts, process for making it, and process for desulfurizing liquid metal therewith
US4842642A (en) Additive for promoting slag formation in steel refining ladle
US4874428A (en) Fluidizing a lime-silica slag
JPH0141681B2 (ko)
US3340045A (en) Methods of slag and metal treatment with perlite
JP7107292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100226901B1 (ko) 레이들 슬래그를 이용한 용선 탈황제
US4790872A (en) Additive for promoting slag formation in steel refining ladle
US3948648A (en) Method of removing slag incrustations containing calcium oxide
JPS5952201B2 (ja) 塩基性酸素炉用の容器ライニングの寿命を延長する為の方法
RU2181382C2 (ru) Способ обессеривания жидкого чугуна
US4067729A (en) Desulfurization of liquid iron melts
CN110964870B (zh) 一种用于油渣铁水预脱硫的方法
SU1362749A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металлошихты к конверторной плавке
KR100314842B1 (ko) 전로 용강의 정련방법
KR880001080B1 (ko) 용선 탈황제
SU1497234A1 (ru) Шлакообразующа смесь
KR19990053869A (ko) 알루미늄 탈산강의 정련방법
SU929709A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чугу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