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22Y1 - 카셋트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셋트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22Y1
KR890002622Y1 KR2019880016840U KR820003756U KR890002622Y1 KR 890002622 Y1 KR890002622 Y1 KR 890002622Y1 KR 2019880016840 U KR2019880016840 U KR 2019880016840U KR 820003756 U KR820003756 U KR 820003756U KR 890002622 Y1 KR890002622 Y1 KR 890002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torage case
rail
rid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미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946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97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947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97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949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977U/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3014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57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948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976U/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셋트 보관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관 케이스내에 함유될 수 있는 카셋트의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시한 카셋트의 측면도.
제3도는 카셋트의 다른 측면도.
제4도는 카셋트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따른 보관케이스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보관 케이스의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보관 케이스의 평면도.
제8도는 제5도의 보관 케이스의 저면도.
제9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10도는 권취리일(reel) 정지기의 확대 부분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보관케이스의 사시도.
제12도는 변형예에 따른 보관케이스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 상반부 2 : 불투명 하반부
3 : 투명 전면 덮개 또는 뚜껑 4 : U형 스프링
5 : 슬라이드 바아 6 : 원형 개구
7 : 공급 리일 8 : 원형 구멍
9 : 권취리일 10 : 저부 플랜지
11 : 원주형 톱니 12 : 리세스
13 및 14 : 횡단 슬롯트 30 : 저면
31 : 후면 벽 32 및 33 : 측벽
34 : 원통형 돌출부 35 : 수직벽 또는 고정 휜
36 : 릿지 37 : 피보트 핀
38 : 반구형 돌출부 39, 40, 41 및 42 : 수직 릿지
43 : 릿지 부분 50 : 상부
51 : 전면벽 52 및 53 : 측벽
54 및 55 : 공동 56 : 얕은 리세스
본 고안은 한쌍의 연속 자기 테이프 리일을 내부에 갖고 있는 팩케이지 또는 콘테이너로 구성된 카셋트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항상 실수없이 적당하게 카셋트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도록 적당한 위치에 공급 및 권취리일을 고정시켜 이 공급 및 권취리일 주위에 감긴 자기 테이프에 바람직하지 않게 느슨해지지 않게 하는 장치를 갖고 있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셋트가 손쉽고도 용이하게 꺼내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리일이 바람직하지 않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안정되게 카셋트 콘테이너를 탄성적으로 누르기 위해 카셋트 보관 케이스의 저면으로 부터 떨어진 카셋트의 공급리일의 하부면을 유지시키는 장치를 갖고 있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의 같은 카셋트의 보관 케이스는 저면, 후면 벽 및 일정거리 격리된 한쌍의 측벽을 가진 저부와, 상부, 저면벽 및 일정거리 격리된 한쌍의 측벽을 갖고 있으며, 저부에 관련해서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각 운동을 하기 위해 저부에 피보트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로 구성된다. 원통형 돌출부는 저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저부의 측벽들중의 한 측벽이 다른 측벽에 더욱 밀접하게 배치된다.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삽입되면, 원통형 부분은 공급 리일을 배치시키도록 카셋트의 공급 리일내의 구멍에 삽입된다.
원통형 부분은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도록 공급 리일을 고정시키어 공급 리일상에 감긴 자기 테이프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느슨해지지 않도록 공급 리일내에 구멍을 정하는 내부벽내의 홈에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각이 있게 일정거리로 떨어진 고정 휜을 갖고 있다. 고정 휜은 홈속에 유연하게 삽입되기 위해 저부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테이퍼 단부를 갖고 있다. 저부의 측벽들은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의 내외로 유연하고도 손쉽게 삽입, 제거될 수 있도록 저부의 선단부를 향해 개방된 리세스를 갖고 있다. 저부의 저면은 이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진 공급 리일의 돌출 하부면을 유지시키기 위해 보관 케이스내에 놓이도록 카셋트를 결합시키는 연속 또는 중단 릿지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카셋트 콘테이너 내의 탄성장치의 힘이 공급리일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안정하게 하는 상하에 공급 리일이 카셋트 콘테이너를 탄성적으로 누르게 한다. 저부의 측벽들은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있을 때 카셋트가 흔들림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보관 케이스내에 카셋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셋트 콘테이너내의 한쌍의 대향 슬롯트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수직 릿지를 갖고 있다. 다른 측벽은 카셋트의 권취리일의 플랜지상의 톱니와 맞물릴때 권취리일 정지기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릿지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넣어지면 권취리일은 권취리일 정지기에 위해서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자기 테이프는 권취리일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보관 케이스의 배열에 의해서 저부는 후면벽과 대향한 전면벽을 갖지 않게 되므로 카셋트는 보관 케이스의 내외로 손쉽고 유연하게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저부상에 전면벽이 없으므로 본 고안의 보관 케이스는 부품의 수가 최소로 되어 보다 저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보관 케이스내에 보관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와 같은 카셋트를 도시한 것이다. 카세트는 투명 상반부(1), 이 상반부에 부착된 불투명 하반부(2) 및 상반부(1)위에 피보트 가능하게 장착된 투명 전면 덮개 또는 뚜껑(3)으로 구성된 팩케이지 또는 콘테이너를 포함한다. 전면 뚜껑(3)은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로 각 이동 가능하며, 이 전면 뚜껑(3)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면 뚜껑(3)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부(1)내에 장착된 U형 스프링(4)와 전면 뚜껑(3)에 고착되고, U형스프링(4)과 미끄럼 접촉되는 단부를 가진 슬라이드 바아(5)를 포함한 함유기 메카니즘에 의해 원하는 대로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래치(latch) 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반부(2)는 기록 재생기의 공급 리일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원형 개구(6)를 갖고 있다. 카셋트는 원형 개구(6)에 동축관계로 배치되고, 개구(6)보다 직경이 큰 원형 플랜지(7a)를 갖고 있는 공급 리일(7)과 기록 재생기의 공급 리일 디스크가 꼭 끼이게 될 수 있는 원형 구멍(8)을 포함한다. 공급 리일(7)은 통상적으로 이 공급 리일이 상반부(1)사용하지 않을 때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반부(1)에 부착된 탄성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하반부(2)를 누른다. 카셋트가 기록 재생기내에 놓이면, 이것의 공급 리일 디스크는 공급 리일(7)내의 구멍(8)속에 끼이게 되고, 후에 공급 리일(7)을 해재시키도록 탄성장치의 탄성에 의해 상반부(1)을 향해 하반부(2) 밖으로 공급 리일(7)을 승강시킨다. 공급 리일디스크가 회전하면 공급 리일(7)은 이 위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를 풀도록 구동된다.
권취리일(9)는 하반부(2)에 고착된 축(9a)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 리일(7)에 평행관계로 카셋트내에 배치되어 있다. 권취리일(9)는 기록 재생기의 권취리일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는 일련의 원주형 톱니(11)을 갖고 있는 저부 플랜지(10)을 포함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반부(2)는 권취리일 플랜지(10)위에 톱니(9)가 권취리일 디스크에 구동된 기어와 맞물리기 위해 노출되는 리세스(12)를 갖고 있다. 권취리일(9)는 탄성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하반부(2)를 누른다.
제2도에서 공급 리일(7)은, 카세트가 기록 재생기에 적재되지 않았을 때 탄성장치의 힘이 공급 리일(7) 위에서 작용하는 상태하에서 하반부(2)의 저면위에 외향으로 돌출하는 단면부(7b)를 갖고 있다.
한쌍의 횡단 슬롯트(13, 14)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뚜껑(3)에서 멀리 떨어진 상반부 및 하반부(1, 2)의 측벽내에 각각 정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카셋트에 기록을 하거나 이 카셋트로부터 재생을 하기 위해서, 카셋트는 우선 기록 재생기가 이 형태의 카셋트, 혹은 다른 형태의 기록 재생기에는 아답터를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을때 직접 기록 재생기 속에 적재된다. 스위치가 기록 또는 재생 모우드를 하기 위해 온 되면, 공급 리일(7)은 자기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공급 리일 디스크에 의해 구동된다. 권취리일(9)는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주어진 통로를 따라 공급 리일(7)로 부터, 이동된 자기 테이프를 감도록 톱니(11)과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통하는 권취리일 디스크에 의해 구동된다.
제5도 내지 제10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설계된 카셋트를 사용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보관 케이스는 저면(30), 이 저면(30)의 후면연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후면 벽(31) 및 저면(30)의 전면연부를 향해 후면 벽(31)로부터 연장되고, 저면(30)의 전면 연부를 향해 각각 개방되는 테이퍼 부분(32a, 33a)을 제공하도록 절단된 전면 부분을 갖고 있는 평행하게 일정거리로 격리된 한쌍의 측벽(32, 33)을 포함하는 저부를 포함한다. 저면(30)은 상향으로 연장되고, 측벽(32)보다는 측벽(33)에 더 밀접하게 배치된 원통형 돌출부(34)를 갖고 있다.
특히 원통형 돌출부(34)는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전면 뚜껑(3)이 후면 벽(31)에 마주보고 하반부(2)가 저면(30)위에 놓일 때, 원통형 돌출부(34)가 보관 케이스내에서 흔들림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카셋트를 배치시키기 위해 카셋트의 공급 리일(7)내의 구멍(8)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다수의 수직 벽, 또는 고정 휜(35,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임)은 원통형 돌출부(34)의 원주벽에 부착되고, 등각 배치로 일정거리 격리되어 있으며, 테이퍼 상단부를 갖고 있다. 원통형 돌출부(34)가 공급 리일(7)내의 구멍(8)내에 수용되면, 휜(35)은 원통형 돌출부(34)주위에서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도록 공급 리일(7)을 고정시키기 위해 공급 리일(7)내의 구멍(8)을 경계짓는 내부벽 내에 정해진 홈에 끼이게 된다.
원통형 돌출부(34)는 공급 리일(7)내의 구멍(8)의 깊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보관되면, 공급 리일(7)은 상반부(1)를 향해 하반부(2) 밖으로 원통형 돌출부(34)에 의해 상승되지 않게 된다.
저면(30)은 측벽(32, 33) 사이에 종방향으로 완전히 연장되고, 원통형 돌출부(34)의 보다 훨씬 낮은 높이를 가진 연속 트랙형 릿지(36)을 위에 갖고 있다. 카셋트가 저면(30)위에 배치되면, 릿지(36)은 공급 리일(7)의 저부면(7a)가 저면(30)의 상부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일정상향 격리된 상태에 있게 한다. 그러므로 공급 리일(7)은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있는 동안 탄성장치의 탄성하에 하반부(2)위에 놓이게 된다.
각각의 측벽(32, 33)은 선단 절결부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계단식으로 되어 있다. 측벽(32)은 후면벽(31)에 인접한 피보트 핀(37)과 반구형 고정돌출부(38)를 외부면에 갖고 있다. 측벽(32)은 또한 이것의 전면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 릿지(39)와 테이퍼 리세스(32a)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리일 정지기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수직 릿지(40, 41, 제7도)를 내부면에 갖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벽(33)은 후면벽에 인접한 피보트 핀(도시 하지 않음)과 반구형 고정돌출부(도시 하지 않음)를 외부면에 갖고 있고, 이것의 전면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 릿지(42)를 내부면에 갖고 있다. 수직 릿지(39, 42)는 저면(30)을 가로 질러 서로 대향관계로 정렬된다.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적당한 위치에 놓이면, 수직 릿지(39, 42)는 슬롯트(13, 14)내에 각각 끼이게 되고, 수직 릿지(40, 41)는 카셋트의 하반부(2)내에 리세스(12)를 통해 노출되는 권취리일(9)의 플랜지(10)상에 있는 톱니(11)와 고정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30)은 보관 케이스가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파지하는 마디 또는 릿지 부분(43)을 저부면에 갖고 있다.
카셋트 보관 케이스의 저부는 예를 들어 ABS수지와 같은 불투명 재질로 주형된다.
보관 케이스는 상부(50), 상부(50)의 전면 연부로 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전면벽(51) 및 전면벽(51)으로 부터 상부(50)의 후면 연부로 연장된 한쌍의 측벽(52, 53)으로 구성된 덮개를 포함한다. 측벽(52, 53)은 저부의 측벽(32, 33)상의 피보트 핀(37)을 각각 수용하는 구멍을 각각 갖고 있다.
그러므로, 덮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 사이로 피보트 핀(37) 주위에서 피보트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측벽(52, 53)은 또한 덮개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저부에 관련해서 덮개를 고정시키도록 측벽(32, 33)상의 반구형 돌출부(38)을 수용하는 공동(54, 55)를 각각 갖고 있다. 덮개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에 있어서 외부힘이 덮개에 제공되지 않으면, 반구형 돌출부(35)는 덮개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덮개의 측벽(52, 53)의 저부 연부와 결합된다. 덮개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면,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에 보관되거나, 보관 케이스나 카셋트가 넣어져 있다는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제6도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벽(51)은 중심 저부분에 얕은 리세스(56)을 갖고 있다. 덮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얕은 리세스(56)내에 넣고 덮개를 위로 당기면 손쉽게 개방될 수 있다.
덮개는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투명 재질로 주조된다.
측벽(32, 33)상의 피보트 핀(37)과 이 피보트 핀(37)을 수용하는 측벽(52, 53)내의 구멍들은, 저부에 부착된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제5도)에 있을 때 덮개의 후면 연부가 저부의 후면벽(31)의 저부 연부를 향해 유지되어 덮개가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덮개가 완전히 개방되면, 카셋트 보관 케이스는 안정하게 평면위에 놓이게 되고 덮개는 추출되어 보관 케이스 내외로 카셋트를 보관 또는 제거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큰 넓은 개구가 제공된다.
보관 케이스가 이렇게 구성되면, 원통형 돌출부(34)가 카셋트의 공급 리일(7)에만 결합하게 되기 때문에 카셋트가 전면 뚜껑(3)이 닫힌 상태로 보관 케이스내에 부주의하게 배치된 위험이 없게 되어, 카셋트는 실수가 없이 항상 보관 케이스내에 적당하게 놓이게 된다.
보관 케이스내에 카셋트를 적당히 배치할 때, 전면 뚜껑(3)은 저부의 후면벽(31)과 대향하고, 보관 케이스의 덮개가 일부 개방되어 있을 때라도 자기 테이프는 카셋트 외부로 우연히 밀려 나오지 못하고 안전하게 된다.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보관 되면, 공급 리일(7)은 적재된 보관 케이스가 거칠게 취급될 때 외부힘이 공급 리일(7)을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원통형 돌출부(34)에 의해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공급 리일(7)은 탄성장치의 힘이 자기테이프가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느슨해지지 못하게 하는 상태하에 하반부(2)와 대향하게 된다. 공급 리일(7)은 이 공급 리일(7)내의 구멍(8)의 내부벽내의 홈내에 끼워진 휜(35)에 의해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자기 테이프는 공급 리일(7)에서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적당하게 놓여 있는 한 공급 리일(7)이 회전하여 자기 테이프가 풀리는 일이 없게 된다. 수직 휜(35)의 테이퍼 상단부는 공급 리일(7)내의 구멍(8)속에 유연하게 삽입될수 있다.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보관되면, 저부의 저면(30)상의 트랙형 릿지(36)는 저면(30)의 상부면 밖으로 공급 리일(7)의 저부면(7a)을 상승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공급 리일(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연히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탄성장치의 편의력하에서, 하반부(2)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배열은 탄성장치의 탄성에 반작용 하도록 부당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공급 리일(7) 상에서 작용하는 탄성 장치가 오랜 기간동안 효과적으로 되게 한다.
투명 덮개는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놓일 때 사용자가 카셋트의 상부 또는 후부면상의 표지 또는 그외의 따른 표시를 알아볼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보관 케이스에 함유된 카셋트에 따라 다수의 보관 케이스를 배열하기가 매우 쉽게 된다.
수직 릿지(40, 41)는 권취리일 플랜지(10)상의 톱니(11)가 맞물릴 때 권취리일 정지기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권취리일(9)은 우연히 회전하지 않게 되고, 그위에 자기 테이프는 일단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배치되면,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 릿지는 권취리일 플랜지(10)상의 톱니(11)과 유연하게 결합되게 하여, 카셋트를 보관 케이스속에 삽입하는 동작을 유연하게 해주는 테이퍼 상단부를 갖고 있다.
보관 케이스의 저부는 전면벽이 없고 측벽(32, 33)은 각각 리세스(32a, 33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카셋트는 유연하고도 손쉽게 보관 케이스속에 배치되거나 후면 단부 양단의 대향 측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가 지지된 보관 케이스로부터 제거 될 수 있다. 전면 벽이 없기 때문에 보관 케이스는 최소의 부품으로 만들어지므로 값이 싸게 구성될 수 있다. 카셋트는 보관 케이스의 덮개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을 때에도 보관 케이스의 내외로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셋트는 덮개가 절반 개방될 때에는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또는 덮개가 완전히 개방될 때에는 수직방향으로 보관 케이스에 집어 넣거나 밀어낼수 있다. 카셋트를 전후 방향으로 보관 케이스내에 배치할 때, 카셋트는 전면 뚜껑(3)이 보관 케이스의 후면 벽(31)에 닿을 때까지 저면(30)상을 가로질러 전진하고, 그 후 카셋트는 저면(30)상으로 하강되는데, 이 동작은 매우 간단하고 유연하다.
보관 케이스내에 보관된 카셋트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소자로서 작용하는 수직 릿지(39, 40)는 후면벽(31)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있다. 수직 릿지(39, 40)의 칫수를 이렇게 제한하면 카셋트가 후면벽(31)과 측벽(32, 33)에 의해 보관 케이스에 관련해서 배치된 수직 릿지(39, 40)가 슬롯트(39, 40) 속으로 삽입되기 시작될 때 이 수직 릿지(39, 40)들이 카셋트내의 슬롯트(14, 13)속으로 각각 유연하게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수직 릿지(39, 40)가 보관 케이스의 저부의 선단 부근에 배치되면, 보관 케이스에 배치된 카세트는 후면벽(31)과 그로부터 일정거리 격리된 수직 릿지(39,40)에 의해 적당한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1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셋트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보관 케이스는 저면(60), 이 저면(60)의 후면 연부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후면벽(61) 및 서로 일정 거리로 격리되어 저면(60)의 전면 연부를 향해 후면벽(61)으로 부터 연장된 한쌍의 측벽(62,63)을 포함하고, 원통형 돌출부(64)는 저면(60)으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이 원통형 돌출부(64)의 외주 원주벽 상에 등각도로 일정거리 격리된 다수의 수직 휜(65)를 갖고 있다. 저면(60)은 원통형 돌출부(64)를 둘러싸고 있는 장방형 릿지(66)를 갖고 있다.
측벽(62, 63)은 저면(60)의 전면 및 후면 연부사이의 중간에 배치된 경사 연부(62a, 63a)를 각각 갖고 있다. 측벽(62, 63)은 또한 후면벽(61)에 인접하여 배치된 각각의 피보트핀(67, 한개만 도시되어 있음)과 경사 연부(62a, 63a) 부근에 각각 배치된 각각의 반구형 돌출부(68, 한개만 도시되어 있음)도 갖고 있다. 보관 케이스는 또한 상부(69)와 이 상부(69)의 저면 외부로 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전면벽(70) 및 상부(69)와 전면벽(70)의 대향 단부에 부착된 한쌍의 측벽(71, 72)을 가진 피보트 가능한 이동 덮개도 포함한다.
측벽(71, 72)은 덮개가 개방 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로 피보트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각각 피보트 핀(67)위에 맞추어져 끼인 한쌍의 구멍과 덮개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반구형 돌출부(68)위에 맞추어져 끼이는 한쌍의 공동(73, 74)를 각각 갖고 있다. 전면벽(70)은 덮개를 폐쇄위치로 뽑아낼 때 사용자가 손을 넣기 위한 얕은 리세스(75)를 갖고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보관 케이스는 측벽(62, 63)이 저면(60)의 전면과 후면 연부 사이의 중간인 저면(60)의 전면 연부에 못미치는 곳까지 연장되며, 카셋트의 권취리일 플랜지상의 톱니와 측벽을 고정적으로 계합하기 위해 측벽(62, 63)상에 수직벽이 없으며, 릿지(66)가 장방형으로 된 것을 제외하면 구조 및 동작이 동일하다.
제12도에 도시한 변형예를 따르면, 보관 케이스 저부에 저면(76)은 전체적으로 트랙형으로 되는 일련의 중단 또는 분리 릿지 부재(77)을 위에 갖고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배경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면 뚜껑을 포함한 콘테이너와 콘테이너내에 수용된 한쌍의 병렬 공급 및 권취리일을 갖고 있고, 공급 리일이 기록 재생기의 공급리일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고 있으며, 전면 및 후면 연부를 가진 저면(30)과 저면의 상기 후면 연부로부터 연장된 후면벽(31) 그리고, 상기 후면벽으로 부터 저면의 상기 전면 연부를 향해 연장된 한쌍의 격리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저부와, 공급리일이 보관 케이스내에 배치되어 전면 뚜껑(3)이 상기 후면벽(31)과 접할 때 공급리일을 위치시키기 위해 카셋트의 공급리일(7)내의 구멍(8) 속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저면상에 장착된 돌출부(34)와, 전면 및 후면 연부를 가진 상부(50)와 상부의 전면 연부로부터 연장된 전면벽(51) 그리고 상부의 상기 후면 연부를 향해 상기 전면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저부에 대해 개방위치에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각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부의 상기 측벽상에 피보트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격리된 측벽(52, 53)을 구비한 덮개를 포함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가 권취리일(9)의 플랜지(10)상에 형성되어 콘테이너내의 리세스(12)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된 톱니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부는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있을 권취리일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권취리일 플랜지(10)상의 톱니(11)와 계합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정지기(40, 41)를 갖고 있고, 또 상기 카셋트는 콘테이너(2)의 저부면 너머로 탄성 돌출한 공급 리일(7)의 저부면(7b)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은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있을 때 공급 리일(7)의 저부면(7b)이 상기 저면(30)에 맞닿지 못하도록 카셋트의 콘테이너와 계합하기 위한 릿지(36)를 갖고 있고, 상기 카셋트가 콘테이너내에 한쌍의 대향 슬롯트(13, 14)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부는 카셋트가 보관 케이스내에 있을 때 보관 케이스내의 카셋트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콘테이너내의 슬롯트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릿지(39, 42)를 갖고 있고, 상기 릿지(39,42)가 상기 저부의 상기 후면벽(31)과 측벽(32, 33)의 높이보다 , 작은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30) 상의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저부의 측벽(32, 33)중 다른 쪽 보다는 한쪽에 더욱 밀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정지기(40, 41)는 상기 저부의 상기 다른 측벽(32)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기(40, 41)가 권취리일 플랜지(10)상의 톱니(11)와 유연하게 계합하기 위해 상기 저부의 상기 저면으로부터 격리된 테이퍼 단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36)가 상기 저면(30)상에 장착된 상기 돌출부(34)를 둘러싸고, 저부의 상기 측벽(32, 33)사이로 완전히 연장된 연속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36)가 트랙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66)가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77)가 전체적으로 트랙형태로 된 다수의 분리 릿지 부재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36)가 상기 저면(30)상의 상기 돌출부(34)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39, 42)가 서로 정렬 되어 상기 저부의 상기 측벽(32, 33)상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39, 42)가 상기 저면(30)상의 상기 돌출부(34)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보관 케이스.
KR2019880016840U 1981-08-21 1982-08-21 카셋트 보관 케이스 KR8900026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30140 1981-08-21
JP12294681U JPS5830974U (ja) 1981-08-21 1981-08-21 カセツト収納ケ−ス
JP12294781U JPS5830975U (ja) 1981-08-21 1981-08-21 カセツト収納ケ−ス
JP56-122947 1981-08-21
JP12294981U JPS5830977U (ja) 1981-08-21 1981-08-21 カセツト収納ケ−ス
JP56-122946 1981-08-21
JP56130140A JPS5835771A (ja) 1981-08-21 1981-08-21 カセツト収納ケ−ス
JP56-122948 1981-08-21
JP56-122949 1981-08-21
JP12294881U JPS5830976U (ja) 1981-08-21 1981-08-21 カセツト収納ケ−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622Y1 true KR890002622Y1 (ko) 1989-04-29

Family

ID=275269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3756A KR840001366A (ko) 1981-08-21 1982-08-21 카셋트 보관 케이스
KR2019880016840U KR890002622Y1 (ko) 1981-08-21 1982-08-21 카셋트 보관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3756A KR840001366A (ko) 1981-08-21 1982-08-21 카셋트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28482A (ko)
KR (2) KR840001366A (ko)
DE (2) DE3231041A1 (ko)
FR (1) FR2512252B1 (ko)
GB (1) GB2105306B (ko)
HK (1) HK453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636A (en) * 1983-03-22 1988-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ver for rack cabinets, particularly for data processing equipment
NL8303077A (nl) * 1983-09-05 1985-04-01 Philips Nv Opbergdoos voor een magneetbandcassette.
JPS60120968U (ja) * 1984-01-25 1985-08-1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業務用ビデオテープカセットの収納ケース
US4598824A (en) * 1984-08-31 1986-07-08 Innovative Concepts, Inc. Storage container for floppy disks and the like
FR2571169B1 (fr) * 1984-10-01 1987-01-09 Posso Sa Boite pour le rangement, la presentation et la selection des disquettes ou autres supports magnetiques.
NL8503463A (nl) * 1985-12-17 1987-07-16 Polygram Bv Opbergdoos voor een magneetbandcassette.
US4753347A (en) * 1986-05-09 1988-06-28 Zbs Industries, Inc. Storage container for video cassettes
US4729475A (en) * 1986-07-03 1988-03-08 Acco World Corporation Snap-together storage container with nesting elements
DE3624347C1 (de) * 1986-07-16 1987-11-12 Krone Ag Gehaeuse,insbesondere Verteilergehaeuse fuer die Fernmeldetechnik
US4863026A (en) * 1988-05-13 1989-09-05 Perkowski Thomas J Storage cases for information recording devices
US4871064A (en) * 1988-07-18 1989-10-03 Alpha Enterprises, Inc. Cassette storage container
US4928825A (en) * 1989-05-31 1990-05-29 Alpha Enterprises, Inc. Cassette storage container
JPH0748552Y2 (ja) * 1989-09-20 1995-1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セット収納ケース
DE9100607U1 (ko) * 1991-01-19 1991-10-17 Basf Magnetics Gmbh, 6800 Mannheim, De
US5383557A (en) * 1991-04-10 1995-01-24 Alpha Enterprises, Inc. Cassette storage container with hub engaging fingers and adjacent stops
JP2559799Y2 (ja) * 1991-12-19 1998-01-19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597911Y2 (ja) * 1993-09-10 1999-07-2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597474Y2 (ja) * 1993-10-14 1999-07-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用ケース
NL9302024A (nl) * 1993-11-23 1995-06-16 Avc Nederland B V Opbergdoos voor een videocassette.
DE20021132U1 (de) * 2000-12-13 2001-04-19 Emtec Magnetics Gmbh Transportsicherungselement für Datenspeicherkassetten, Datenspeicherkassettenstapel mit Transportsicherungselementen
US6618224B2 (en) * 2001-04-26 2003-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data tape cartridge for transport
CN109123954A (zh) * 2018-08-30 2019-01-04 嘉善旅选贸易有限公司 一种充电宝存放装置及具有其的拉杆箱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7841A (en) * 1969-09-04 1971-06-28 Kevork Devejian Cassette packaging
GB1440180A (en) * 1972-06-16 1976-06-23 Sobey Developments Ltd Martin Cassette holder
US3876071A (en) * 1974-04-22 1975-04-08 Amaray Int Corp Storage container for tape cassette with self-locking spring to prevent tape spillage
GB1536206A (en) * 1975-04-01 1978-12-20 Sony Corp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
JPS5731399Y2 (ko) * 1977-12-19 1982-07-09
DE2832557C3 (de) * 1978-07-25 1981-02-19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Behälter für eine Magnetbandkassette
US4184594A (en) * 1978-12-22 1980-01-22 Hehn Bruce A Video cassette storage container
US4291801A (en) * 1980-10-03 1981-09-29 Plastic Reel Corporation Of America Video cassette storage container
FR2503667A1 (fr) * 1981-04-08 1982-10-15 Std Vrac Coffret pour video-cassette
FR2514187A1 (fr) * 1981-10-05 1983-04-08 Demo Boite de rangement pour objets plats tels que des cassettes a bandes magnet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66A (ko) 1984-04-30
HK45390A (en) 1990-06-22
US4428482A (en) 1984-01-31
DE3231041C2 (ko) 1987-03-12
GB2105306B (en) 1985-04-24
FR2512252A1 (fr) 1983-03-04
DE3231041A1 (de) 1983-03-10
GB2105306A (en) 1983-03-23
FR2512252B1 (fr) 1988-08-26
DE3249869C2 (ko) 198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622Y1 (ko) 카셋트 보관 케이스
SU934917A3 (ru) Кассета дл хранени видеопластинки
US4805770A (en) Cassette with tray ejection means
US4875743A (en) Recording media storage apparatus
US4694448A (en) Disc case
SU1017176A3 (ru) Кассета дл гибкого носител информации
US4496048A (en) Video cassette carrier
JPH0612390U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EP0225879A1 (en) STORAGE DEVICE FOR TAPE OR DISK RECORDING CARRIER.
US4905217A (en) Enclosure for optical disk or the like
US5285897A (en) Tape cassette case
JPS6333830Y2 (ko)
KR910006359Y1 (ko) 테이프 카세트
CA2110203A1 (en) Disk cartridge
US5109982A (en) Cassette container case with recessed walls
WO1990004549A1 (en) Enclosure for optical disk or the like
JPH05198154A (ja) 電池蓋の二重ロック装置
JPS5843100Y2 (ja) 記録円盤保持装置
JP3644501B2 (ja) 記録再生装置
JPH0523511Y2 (ko)
WO1989012895A1 (en) Split carrier for data storage disks
JPH0118542Y2 (ko)
JPS6134285Y2 (ko)
JP2565244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44781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