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76Y1 -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76Y1
KR890002376Y1 KR2019850004457U KR850004457U KR890002376Y1 KR 890002376 Y1 KR890002376 Y1 KR 890002376Y1 KR 2019850004457 U KR2019850004457 U KR 2019850004457U KR 850004457 U KR850004457 U KR 850004457U KR 890002376 Y1 KR890002376 Y1 KR 890002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error
transistor
phase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014U (ko
Inventor
서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4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76Y1/ko
Publication of KR860014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2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detecting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obtained from inpu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 영상회로 PE : 위상 오차신호
R1-R6: 저항 C1: 콘덴서
C2: 바렉터 Q1, Q2, Q3: 트랜지스터
OP : 연산증폭기 10 : 위상 변조회로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나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어 등의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헤드로서 재생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디스크에 실린 정보 신호를 읽어 복조하는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어는 회전체에 의하여 영상 신호를 얻기 때문에 흔들림이나 떨림에 의한 지터(JITTER)잡음이 존재하여 최대40-50정도의 위상오차가 생기므로 재생시에 동일한 색이면서도 같은 색이 나타나지 않는 등 색상이 불균일해지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지터 잡음에 의한 위상보상을 행하도록 하여 재생시에 균일한 색상을 얻을 수 있는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것으로 위상오차 신호로 영상신호의 전위를 조절하여 위상변조 회로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시켜 위상변조 회로에서 바렉터의 역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위상을 변화시켜 연산증폭기에서 위상오차가 보상된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영상신호(V)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저항(R1)(R3)(R4)의 분배에 따라 직류 차단용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영상신호(Vi)로 인가되게 구성하고 이때의 영상신호(Vi)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인가되는 위상오차신호(PE)에 의하여 그 전위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전위변화는 곧 버퍼용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위상변조회로(1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위 변화가 된다.
이러한 바이어스 전위는 바렉터(C2)에 역바이어스 전위로 인가되어 커패시턴스의 값을 변화시키게 되고, 바렉터(C2), 인덕턴스(L), 저항(R6)으로 구성된 위상변조회로(10)의 출력은 증폭도가 2인 연상증폭기(OP)에 인가되어 위상오차가 보정된 영상신호(Vo)로 출력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때 위상오차신호(PE)는 디스크나 테이프에서 읽어낸 영상신호중의 등기신호와 기기자체내의 발진회로에서 발생시킨 동기신호와의 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태신호이며 저항(R1)(R3)의 저항값은 저항(R4)의로 설정한다.
즉, 위상오차 신호의 펄스폭은 영상신호중의 동기신호와 기기자체의 발진회로에서 발생시킨 동기 신호와의 시간적인 차가 크게 될수록 큰 펼스폭을 갖고 그 시간적인 차가 적게 될수록 작은 펄스폭을 갖게 되므로, 이러한 위상오차신호(PE)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 영상신호의 재현을 이룩할수 있으나, 재생기기의 구성상 위상오차 신호가 발생되므로 이를 보정시켜 위상오차를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디스크에 실린 신호를 읽은후 그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낸 영상신호(V)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고 디스크에서 읽어내어 분리시킨 동기신호와 기기자체내의 발진회로에 의해서 발생시킨 동기신호와의 시간적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위상오차신호(PE)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한후 저항(R3)(R4)으로 분배되어 인가되는 영상신호(Vi)전위를 조절하게 하므로써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에서 위상 변조회로(10)의 바렉터(C2)에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할수 있게된다.
이러한 위상 변조회로(10)의 출력은 연산증폭기(OP)타측단자(-)에 인가되므로써 차동증폭기처럼 동작하는 연산증폭기(OP)에서는 위상오차신호(PE)가 없을 경우에는 영상신호(V)를 그대로 출력시키게된다.
이같이 위상오차신호(PE)가 발생되지 않아 영상신호(V)가 그대로 출력 영상신호(Vo)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이상적인 상태가 되나 실제적으로는 위상오차(PE)신호가 발생하여 색상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위상오차신호(PE)가 발생되면 영상신호(Vi)의 전위를 낮추어 주므로써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위상변조회로(10)에 인가되는 전위가 낮게 인가되게 되고 이는 바렉터(C2)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변화시키게 되므로바렉터(C2)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하게 되어 연산증폭기(OP)에서는 위상오차를 보상시킨 영상신호(Vo)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위상오차신호(PE)와 각 영상신호(V)(Vi)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영상신호(V)는 디스크에서 읽어낸 복합 영상신호이고 영상신호(Vi)는 상기 영상신호(V)를 저항(R1)(R3)(R4)의 분배에 따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에 기준 직류레벨은 원래의 영상신호(V)와 같으나 다만 교류 성분이 비데오 신호가 증가되어 인가되는 영상신호이며, 위상오차신호(PE)는 기기자체내의 발진회로에서 일정하게 발진시킨 동기 신호와 상기 영상신호(V)에서 분리시킨 동기신호를 비교되게 하여 시간적으로 두 신호가 벗어나게 될때 발생시키는 펄스인것이다.
이같이 위상오차신호(PE)발생시 위상오차를 보정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차동증폭기로 동작하는 연산증폭기(OP)의 타측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은
가 되고 (여기서 R은 저항(R6)의 저항값이고 C는 바렉터(C2)의 케패시턴스값이며 Vi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 영상신호 전위이다.)
연산증폭기(OP)의 일측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2)은 V2=Vi가 된다.
이 때 V2=Vi의 식이 성립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항(R1)(R3)의 저항값을 저항(R4)의값으로 설정하여준 후 DC 적인 전위변화가 아닌 AC적인 파형변되나 위상오차 신호의 진폭이 적게 되면 트랜지스터(Q2)의 "턴온" 되는 기간이 짧게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 전위V4를 상승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으로 인가되는 전위가 상승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위상오차가 크게 발생되면 위상변조 회로(10)내의 바렉터(C2)에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위가 낮게되고 위상오차가 적게 발생되면 바렉터(C2)에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위가 높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전달할수 H(jw)의 위상을 구하는
의 수식에서 C값을 변화시키게 됨을 의미하며, 이는 곧 위상오차가 크고 작음에 따라 바렉터(C2)의 커패시턴스C값 변화를 의미하게 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위상오차 변화에 따라 출력 비데오신호(Vo)의 전달함수 위상을 변화시켜 진폭은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오차를 변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즉, 위상변조 회로(10)의 바렉터(C2)는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변하는 것으로 지터잡음에 의한 위상오차신호(PE)에 의하여 그 값이 변하여 결국 영상신호의 위상오차를 줄일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상신호(V)는 진폭은 변하지 않으나 위상오차신호(PE)에 의하여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바렉터(C2)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하게되므로 그 위상이 의하여 연산증폭기(OP)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위상오차를 최소 8정도까지 줄일수 있어 종래 40- 50의 위상오차를 줄여주므로써 영상신호의 색상을 보정시킬수 있게된다.
이때 위상오차를 8까지 줄인다는 것은 크게 벗어났었던 종래의 위상오차를 상기와 같이 적은 값으로 줄여준다는 것이며 8라는 값은 실험치에 의한 결과인 것이다.
이와같이 전달함수의 진폭은 그대로 두고 위상오차만 줄인다는 것은 진폭 변화가 휘도신호 변화를 의미하고 위상변화는 색도신호가 변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결국 위상오차만 줄인다는 것은 휘도 신호는 그대로 두고 색도신호만을 보정시키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위상오차 신호에 따라 위상변조회로의 바렉터의 역바이어스값은 변화시켜 위상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진폭을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만을 보정시킬수가 있어 재생시에 균일한 색상을 얻을 수 있는 비데오 신호의 색상보정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영상신호(V)는 연산증폭기(OP)의 일측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1)(R3)(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전위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인가되는 위상오차신호(PE)로 제어되게 구성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출력은 인덕턴스(L)와 저항(R6)및 역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커패시 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바렉터(C2)로 구성된 위상변조회로(10)에 인가되게 구성한후 상기 위상변조회로(10)의 출력이 연산증폭기(OP)의 타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여 연산증폭기(OP)에서 위상보정된 영상신호(Vo)가 출력되게 구성한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KR2019850004457U 1985-04-19 1985-04-19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KR890002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457U KR890002376Y1 (ko) 1985-04-19 1985-04-19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457U KR890002376Y1 (ko) 1985-04-19 1985-04-19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14U KR860014014U (ko) 1986-11-20
KR890002376Y1 true KR890002376Y1 (ko) 1989-04-20

Family

ID=1924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457U KR890002376Y1 (ko) 1985-04-19 1985-04-19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14U (ko) 198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1389B2 (ja) 信号処理装置
US4198650A (en) Capacitive-type nonlinear emphasis circuit
JPS6151346B2 (ko)
CA1065484A (en) Velocity correction circuit for video discs
JP2507821B2 (ja) キャリアリセットfm変調器
US3949414A (en) Gain control device of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890002376Y1 (ko) 비데오 신호의 색상 보정회로
US4641206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noise reduction circuit
JPH0150159B2 (ko)
FI65680C (fi) Hastighetskorrektionsanordning foer videoskivor
US4433255A (en) Signal sampling gate circuit
US4500931A (en) Signal sampling gate circuit
JP264239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5636B2 (ko)
KR870001477Y1 (ko) 비데오 신호의 연속 보정회로
EP0122632A2 (en) FM signal demodulation circuit
KR920008996Y1 (ko) 휘도펄스 부가방식에 의한 휘도제어회로
JPS5986789U (ja) 時間軸変動補正装置
KR900007388Y1 (ko) 재생과 녹화시 저역 통과 필터의 겸용회로
JPS6311839B2 (ko)
JPH0444802B2 (ko)
JPH0713330Y2 (ja) 基準信号発生回路
JPS5857604A (ja) ビデオテ−プレコ−ダ用再生増増幅器
JPH027228B2 (ko)
JPS5935873Y2 (ja) 映像信号の波形整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