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39B1 -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39B1
KR890002339B1 KR1019860002668A KR860002668A KR890002339B1 KR 890002339 B1 KR890002339 B1 KR 890002339B1 KR 1019860002668 A KR1019860002668 A KR 1019860002668A KR 860002668 A KR860002668 A KR 860002668A KR 890002339 B1 KR890002339 B1 KR 89000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pulse
dial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15A (ko
Inventor
최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39B1/ko
Publication of KR87001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312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pulses produced by electronic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의 구체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출력부 20 : 드라이버부
30 : 마이크로 컴퓨터 40 : 기억부
50 : 톤발생부 60 : 펄스발생부
본 발명은 모뎀(MODEM)에 있어서 전화번호 다이얼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뎀에서 전화번호 다이얼링을 위한 부가회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데이타 터미널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의 키보드를 통해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Dealing)하여 국선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 모뎀에 있어서 전화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은 데이타 통신을 위한 장비로서 컴퓨터나 각종 데이타 터미널장치(이하 "DTE"이라 칭함)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송신하며, 또한 원거리 모뎀에서는 그 신호를 컴퓨터나 단말기기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디지탈신호로 복조하는 장치이다. 상기 모뎀이 전화교환망을 통해 통신할 경우 기설치된 통신회선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부가장치를 DTE와 모뎀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부가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는 망제어장치(Network Control Unit)이다. 상기 부가장치의 추가에 따라 종래의 모뎀의 구성회로가 복잡하였고, 시스템 자체의 크기가 커지며, 전화다이얼링에 있어서 국선교환기의 방식(기계/전자식)에 따라 쉽게 상호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모뎀에 부가되는 망제어장치(NCU)를 설치하지 않도고 DTE와 모뎀간의 RS-232C방식의 소정라인을 통해 DTE의 키보드에 의해 키 입력되는 톤/펄스방식에 구분없이 전화번호를 키(Key) 입력하면 국설교환기의 기계식 및 전자식의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펄스나 톤 다이얼신호를 국선교환기로 송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별된[톤/펄스, 단축(내장)]전화번호 명령어를 DTE의 키보드에서 입력되면 마이콤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어 국선으로 다이얼링 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모뎀내의 소정영역에다 통화가 작은 고객의 전화번호를 내장시켜 단축 다이얼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회로의 단순회로 시스템의 저렴화를 추구하고, 모든 통신시스템에서 호완성을 갖게 하는 모뎀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뎀(MODEN)의 데이타 단말장치(DTE)의 키보드를 통해 전화 다이얼신호가 톤/펄스, 단축(내장) 다이얼 모드별 전화번호가 구별되어 키 입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모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충분한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통신규격(RS-232C)에 맞게 전송라인상의 신호를 드라이빙 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의 출력을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선택명령어가 기정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것인지를 검색함과 동시에 다이얼신호의 톤/펄스에 따라 톤/펄스 다이얼신호의 출력을 위해 플랙을 세트시키며, 후크오프(Hook-off)에서 다이얼번호를 얽어 들이때 에러를 검출하고, 다이얼링을 위한 톤/펄스 신호용 데이타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고유번지에 내장된 전화번호가 독출할 수 있도록 고객의 전화번호를 내장하고 있는 기억부, 상기 기억부나 상기 입·출력부로 부터 입력된 전화번호가 톤일 경우 상기 마이콤에서 톤 플랙(flag)을 세트시키고, 전자식교환기로 다이얼톤에 대한 합성주파수를 출력하는 톤 발생부와, 상기 전화번호 기억부나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가 펄스일 경우 상기 마이콤부에서 펄스 플랙을 세트시키고 기계식 교환기로 다이얼신호에 대한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도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서, 입출력부(10)은 모뎀의 데이타 단말장치(DTE)의 키보드를 통해 전화번호가 톤 및 펄스형태로 입력되거나 단축다이얼링시 메모리(Memory)에 내장된 전화번호를 리드할 수 있도록 고유번호 지정명령어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에러가 발생될때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는 입력에 관한 것만 요구되므로 출력을 위한 구성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드라이버부(20)는 상기 입·출력부(10)에 EIA통신규격에 맞게 RS-232C방식으로 접속되어 상기 입출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드라이빙(Driving)한다. 상기 드라이버부(20) 출력단의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이어 단축다이얼링이 아닐때 톤과 펄스에 따라 플랙을 세팅하고 다이얼신호에 대해 에러가 없을때 송출하고 단축 다이얼링일때 입력신호중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인가를 검색하여 다이얼신호에 대해 톤과 펄스를 검색하여 플랙을 세트시키며 에러검색과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모드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고객용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처리에 따라 단축 다이얼링 방식에 의한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독출할 수 있는 저장장치인 기억부(4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로 전자식교환기에 대한 톤 전화번호 명령어가 입력될 시 제어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로부터 다이얼신호를 입력하여 톤 합성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부(5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으로 입력된 전화번호 명령어가 기계식 교환기에 대한 전화번호 명령어로 입력될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로 부터 다이얼신호를 받아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6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는 입·출력부(10)의 키보드에 의해 톤이나 펄스 다이얼번호를 입력하거나 단축 다이얼링시 내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위해 해당 명령어와 고유지정 번호를 입력하면, 드라이버부(20)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0)이 인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신호로 드라이빙 된다. 상기 드라이버부(20)의 출력신호를 받은 마이크로 컴퓨터(30)은 명령어 신호가 메모리에 내장된 전화번호일 경우 기억부(40)에서 상기 해당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후크오프(Hook off)상태에서 다이얼링 하면, 톤일 경우 톤발생부(50)를 구동하도록 세트하고, 펄스일 경우 펄스발생부(60)를 구동하도록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톤 및 펄스형태의 다이얼링에 대한 해당 디지트를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전화기 핸드세트의 후크오프상태에서 입·출력부(10)에서 상기 키 입력된 다이얼 디지트수가 모두 수신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전화번호에 대한 디지트를 모두 받지 못하고, 에러가 있을시 입·출력부(10)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에러 메세지를 보낸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검색결과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세팅된 톤·펄스방식의 모드별로 톤·펄스발생부(50,60)를 제어하는 다이얼에 대한 각각의 다이얼 디지트 데이타 신호를 출력시켜 국선을 통해 기계식, 전자식 교환기로 오동작 없이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의 블럭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키보드, 디스프레이(도시하지 않았음)장치와 결합된 DTE는 입·출력부(10)에 대응하고, 상기 DTE으로부터 ETA(Electrical Industry Association)의 RS-232C방식에 의해 인터페이싱 되어 이 라인으로 부터 캐패시터(C1)를 병렬로 결합하여 접지시키고, 이 출력을 EIA의 RS-232C방식에 의한 데이타 전송을 위한 상기 DTE와 인터페이스용으로 설계된 라이(Line)드라이버(LD)의 입력단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부분이 드라이버부(20)에 대응하며, 상기 드라이버부(20)의 라인드라이버(LD)의 출력단을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제 1 도와 동일하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입·출력포트(I/O Port)의 소정 영역을 설정하여 롬(ROM : Read Only Nemory)의 제어 및 데이타/어드레스버스가 연결되도록 부분이 기억부(40)에 대응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다른 입·출력포트를 설정하여 톤 발생회로(TG)를 접속한 후 톤 발생회로(TG)의 톤 출력단에 저항(R1)과 캐패시터(C2)를 직렬로 연결한 부분이 톤 발생부(50)에 대응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다른 입·출력포트에 반전버퍼(BC)를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반전버퍼(BC)의 출력단 릴레이(Ry)를 연결하여 구성된 부분이 펄스발생부(60)에 대응한다. 상기 반전버퍼(BC)는 인버터와 같다. 상기 롬(40)의 고객의 전화번호의 기억을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가진 일반 전화기에서 널리 사용하는 고객의 전화번호를 저장시키는 메모리 방법과 같다. 상기 메모리되는 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롬(40)은 롬(ROM)의 여러 종류중 GI사에서 개발된 ER5911칩으로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에 해당하며, 상기 롬(ROM)으로의 고객 전화번호 기억은 DTE의 키보드를 통해 메모리 모드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0)가 이를 감지하여 롬(40)을 프로그램 모드로 지정한 후 사용자가 DTE의 키보드를 통해 지정하는 단축번지와 고객전화를 입력할 시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제어에 의해 롬(40)으로 부터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지정번지를 지정하고 상기 저장할 고객의 전화를 받아 메모리 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단축 다이얼링시 DTE의 키보드를 통해 상기 단축 지정번호만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메모리된 다이얼번호가 리드된다. 즉, 상기 리드된 값이 다이얼신호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단지 다이얼링에만 해당하는 발명이므로 상기 롬(40)으로의 고객의 전화번호 메모리기능은 일반전화기에서 단축다이얼링시 메모리기능과 동일한 공지 기술이고,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전화번호 메모리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 상기 데이타 단말장치의 키보드를 통해 톤/펄스 및 고객의 저장된 지정 전화번호의 명령어를 받아 들이어 톤과 펄스를 검색하여 톤/펄스 플랙을 세트시키며, 저장된 고객의 번호와 명령어 입력시 메모리의 지정된 번지를 선택하는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과정과, 상기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과정에서 받아들어진 신호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에러처리 과정과, 상기 에러처리과정에서 에러가 없을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상기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과정에서 세트된 입·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톤/펄스 다이얼신호가 발생되어 국선교환기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모뎀에서 DTE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다이얼링 하는데, 여기서 아스키코드(ASC-II)로 명령어 ATDT, ATDP를 설정하여 제 3 도에서와 같이 톤 및 펄스를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구별하고, ATDN에 의해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지정번호를 롬(40)의 저장된 전화번호를 독출할 수 있다. 즉 ATDT이면 톤 다이얼이고, ATDP는 펄스 다이얼이며, ATDN이면 롬(40)에 저장된 단축 다이얼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하게 된다. DTE의 키보드에서 입력되는 다이얼방식에 따라 제 3 도에서 검색된 톤이나 펄스별로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인식하여 플랙을 세팅한다. 톤일 경우 라인드라이버(LD)를 거친 다이얼 톤 데이타가 마이크로 컴퓨터(30)의 내장된 메모리 버퍼에 저장하는데, 마이크로 컴퓨터(30)가 상기 다이얼 톤 데이타를 저장하는 시간은 다이얼 할 디지트수를 모두 수신 할때까지 진행한다. 물론 모두 수신했으면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상기 다이얼 톤 데이타를 톤 발생회로(TG)에 입력하면 다이얼 톤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톤 발생회로(TG)에서 발생된 톤신호가 저항(R1)과 캐패시터(C2)를 통해 상기 각 회로를 지나면 발생된 톤 잡음이 제거되어 데이타 억세스 어레인지먼트(DAA)측으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타 억세스 어레인지먼트(DAA)는 제 2 도에 생략하였지만 공중교환 회선네트 워크(PSTN)를 이용할때 이용자 공급장비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네트워크 보호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즉 톤 발생회로(TG)에서 다이얼 톤신호로 DAA로 입력되면 DAA에 연결된 모뎀에서 비로서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다이얼 펄스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이를 감지하여 플랙을 세팅한 후 다이얼 펄스 주기를 카운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0)내에 저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카운트한 다이얼 펄스가 규정된 해당 전화번호 갯수만큼 이상없이 입력되었을때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이를 반전버퍼(BC)를 통해 "로우" 또는 "하이"상태로 계속 출력할시 릴레이(RY)가 상기 "하이" 또는 "로우"펄스폭 만큼 온/오프로 구동되어 DAA측으로 다이얼 펄스를 송출시킨다. 단축 다이얼링시 단축 지정번호를 입력하며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제어에 의해 롬(40)에 이미 내장된 전화번호를 리드하여 톤 및 펄스발생부(50,60)에 입력하면 다이얼 톤 및 다이얼 펄스가 발생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DTE의 키보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때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전화다이얼 디지트를 모두 받지 못하게 되는 에러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국선교환기가 전자식 일때 명령어 ATDT을 키 입력하고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며, 기계식일때 명령어 ATDP를 입력한 후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며, 단축 다이얼링시 롬(ROM)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ATDN를 입력한 후 지정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직접 톤 및 펄스 다이얼 및 단축번호에 의한 다이얼링 처리는 제 3 도의 흐름도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시스템의 온(ON)과 동시에 제 3 도의 프로그램 및 비교용 기준 데이타가 마이크로 컴퓨터(30)내 롬(ROM)영역에서 램(RAM)영역으로 덤프(Dump)되어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들어간다. 이후 DTE의 키보드를 통해 다이얼링하면 상기 라인드라이버(LD)에서 드라이빙되어 마이크로 콤퓨터(30)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다이얼 디지트 데이타와 램(RAM)의 기준 데이타와 자동으로 비교처리되어 디폴트(Default)로 소정의 상태 값을 가진다. 예를들어 전화번호 547-6311을 모뎀에서 다이얼링 하고자 할 경우, 우선 국선교환기가 전자식, 기계식에 따라 전화기가 MFC 및 다이얼 펄스식으로 나누어진다. 전자식(MFC)다이얼인 경우 DTE의 키보드를 통해 ATDT 547-6311을 키 입력한다. 이때 라인드라이버(LD)에서 상기 ATDT 547-6311에 대한 디지트 신호가 전송로와 선로 저항에 따른 손실이 보상되도록 드라이빙된다. 그리고 캐패시터(C1)에서 잡음이 바이패스 되고, 상기 라인드라이버(LD)를 통해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입력되어 처리에 의해 이에 대한 톤 플랙(flag)으로 세팅시킨다. 이때 핸드세트가 후크오프(Hook off)상태로 된 것처럼 되므로 어느 정도 지연시간을 가지면서 전화번호가 받아 들여질때 전화번호의 에러 유무를 검색된 한다. 제 3 도에서와 같이 에러가 발생되었을때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에러처리 명령어에 의해 에러처리가 실행되는데, 에러처리 명령어가 세팅되어 있을시 에러발생에 대해 최종 출력단으로 에러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며, 에러처리 명령어가 없을때는 DTE측의 디스플레이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에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이에 대한 결과를 처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톤/펄스 및 입력에 대해 에러가 없을시 모두 다이얼링도어 졌으므로 전송 세팅 모드상태에서 다이얼 톤 모드(Mode)로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상기 에러 없이 받은 톤 다이얼 데이타를 톤 발생회로(TG)에 입력하여 톤 발생회로(TG)에서 합성주파수(DTMF)의 다이얼신호가 발생되어 저항(R1)과 캐패시터(C2)를 통해 DAA측 국선(Tip, Ring)으로 송출된다. 국선교환기가 기계식 이어서 펄스식 다이얼링인 경우 DTE의 키보드를 통해 ATDP 547-6311가 입력되어 라인드라이버(LD)를 지나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입력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프로그램과 같이 펄스 다이얼링에 대한 플랙(Pulse flag)이 세트되며, 이어서 핸드 세트 후크오프 상태에서 어느 정도 지연시간을 갖고 번호를 받아들이어 이에 대한 에러를 검색한다. 여기서 에러가 있을시 에러처리 명령어가 지정되어었으면 상기 다이얼 입력에 대한 에러발생을 최종 처리를 하며, 에러처리 명령어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DTE측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에러 메세지를 하여 사용자가 에러를 분석하여 최종 처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에러가 없을시는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를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입·출력포트를 통해 반전버퍼(BC)의 구동으로 릴레이(Ry)를 구동한다. 상기 릴레이(Ry) 온·오프에 따라 해당 다이얼의 펄스가 발생되어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Tip, Ring)과 연결된 라인을 통해 다이얼신호를 송출한다. 단축 다이얼링인 경우에는 롬(ROM)상에 통화기 잦은 고객의 전화번호를 저장시켜 둬야 한다.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 기술은 종래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가진 다기능 전화기등에서 널리 적용되어 왔던 종래 기술과 동일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단축 다이얼할 고객의 번호를 상기 롬(ROM)에 기억시키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의해 롬(ROM)을 프로그램모드로 지정해야 한다. 이는 DTE의 키보드에서 소정의 메모리 키를 입력하면 라인드라이버(LD)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입력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30)는서 롬(ROM)을 프로그램 모드로 지정한다. 상기 롬(ROM)을 ROM(Read Only Memory)의 여러 종류중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프로그램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롬(ROM)에 인가되는 프로그램 모드의 지정신호에 의해 고객 전화번호의 저장모드가 설정된다. 이후 DTE의 키보드에서 고객 전화번호마다 부여한 후 고객의 전화번호를 키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처리에 의해 롬(ROM)상이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된다. 이 기술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기억장치인 롬(ROM)에 고객의 전화번호의 기억이 완료되었으면 다이얼할시 에러처리 명령어와 전화번호를 모두 키 입력하지 않고 상기 롬(ROM)에 기억시 지정된 해당 지정번호만 키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이를 인식하여 롬(ROM)의 다이얼링 할 번호가 저장된 해당번지를 지정한다. 상기 지정에 의해 롬(ROM)의 다이얼번호를 리드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는 상기 롬(ROM)으로 읽은 값을 분석하여 톤 다이얼 일 경우 다이얼신호를 톤 발생회로(TG)에 인가시켜 톤 발생회로(TG)에서 국선(Tip, Ring)으로 송출할 톤 신호를 발생한된다. 펄스다이얼인 경우 반전버퍼(BC)를 통해 일정 주기의 다이얼번호에 대한 펄스가 발생되어 릴레이(Ry)를 온/오프하여 국선(Tip, Ring)으로 송출한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예를들어 롬(ROM)의 "5"번지에 547-6311 기억되었을 경우 DTE의 키보드를 통해 ATDN5를 키 입력하면 라인드라이버(LD)에서 구동되어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입력된다. 제 3 도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는 ATDN5의 "5"를 검색하여 롬(ROM)에 내장된 번지 "5"에 내장된 전화번호를 리드한다. 후크오프 상태에서 롬(ROM)상의 다이얼번호를 읽어들이어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정확하게 읽어 들이었는지 에러 유무를 체킹하고 동시에 원래 세팅된 모드에 따라 톤이나 펄스발생기(50,60)의 구동을 송출할 다이얼신호를 발생한다. 즉, 모뎀에서 펄스 다이얼 및 톤 다이얼링시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에러없이 다이얼번호를 받으면 펄스 다이얼링시 마이크로 컴퓨터(30)가 직접 일시 기억된 다이얼 펄스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반전버퍼(BC)를 통해 릴레리(Ry)를 온 또는 오프하여 DAA측 국선(Tip, Ring)을 통해 다이얼 펄스신호가 송출되고, 톤 다이얼링시 마이크로 컴퓨터(30)가 일시 기억된 다이얼 톤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직접 출력하여 톤 발생기(TG)에 입력한다. 상기 톤 발생기(TG)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서 출력되는 톤 다이얼 데이타에 따라 다이얼 톤 신호를 발생하여 저항(R1)을 통해 캐패시터(C2)에서 잡음이 제거되어 DAA측 국선(Tip, Ring)을 통해 송출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모뎀과 DTE사이 별도의 전화통신망을 구성하지 않고 DTE의 키보드를 통해 전자식이나 기계식 교환기에 적합한 톤/펄스 다이얼신호의 송출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므로 오동작이 방지되고 또한 고객의 전화번호를 다수 내장시켜 필요시 DTE의 키보드의 간단한 명령어 부여로 단축 다이얼링할 수 있으므로 모뎀의 기능을 고기능화한 장점과 별도의 통신망(NCU)이 구성되지 않는데서 원가절감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데이타 단말장치(DTE)의 키보드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데이타 단말장치의 키보드를 통해 톤/펄스 및 내장 전화번호에 따른 명령어 신호가 입력되고 에러발생시 에러 메세지가 출력되는 입력부(10)를 구비한 모뎀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의 신호를 전송속도와 전송손실에 따라 신호의 잡음 및 왜형을 제거하고 신호를 완충하는 드라이버부(20)와, 상기 드라이버부(20)의 출력을 받아 비교 선택하여 톤·펄스감지 및 단축 다이얼모드를 감지하고 톤/펄스 플랙을 세팅하고 에러발생시 이를 메세지하며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모드 세팅여부에 따라 입·출력포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부(30)와, 상기 마이콤(30)의 단축 다이얼모드에 따라 저장된 전화번호의 메모리 지정번지를 지정하여 상기 저장된 고객의 번지가 독출되어지도록 하는 전화번호 저장장치인 기억부(40)와, 상기 마이콤부(30)의 톤발생 신호에 의해 합성주파수가 발생되어 전자식교환기로 톤 다이얼신호를 송출하는 톤 발생부(50)와, 상기 마이콤부(30)의 펄스발생 신호에 의해 펄스가 발생되어 기계식 교환기로 펄스 다이얼신호를 송출하는 펄스발생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2. 데이타 단말장치(DTE)와 키보드를 구비한 모뎀의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단말장치의 키보드를 통해 톤/펄스 및 고객의 저장된 지정 전화번호의 명령어를 받아 들이어 톤과 펄스를 검색하여 톤/펄스 플랙을 세트시키며 저장된 고객의 번호와 명령어 입력시 메모리의 지정된 번지를 선택하는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상기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과정에서 받아들어진 신호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에러처리 과정과, 상기 에러처리 과정에서 에러가 없을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상기 다이얼번호 입력 및 모드선택 과정에서 세트된 입·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어 톤/펄스 다이얼신호를 발생시켜 국설교환기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방법.
KR1019860002668A 1986-04-08 1986-04-08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KR89000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668A KR890002339B1 (ko) 1986-04-08 1986-04-08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668A KR890002339B1 (ko) 1986-04-08 1986-04-08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15A KR870010715A (ko) 1987-11-30
KR890002339B1 true KR890002339B1 (ko) 1989-06-30

Family

ID=1924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668A KR890002339B1 (ko) 1986-04-08 1986-04-08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15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951A (en) Auto dialer for use with telecopiers or the like
KR890006046A (ko) 자동차 전화장치
US5086456A (en) Dial unit detachably mounted on public telephone for equal access
KR890002339B1 (ko) 모뎀에 있어서 전화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KR0138186B1 (ko) 전화기의 다이알 정보 저장 및 리다이알 방법
KR100186583B1 (ko) Tti 송신 자동 제어방법
CA2009016C (en) Dialer circuit
JP2680575B2 (ja) 通信装置
JPS6345946A (ja) 通信装置
KR920002951B1 (ko) 메모리전화기에 있어서 휴지호 탐색방법 및 그 회로
KR200166623Y1 (ko) 전화기에서 키패드 인식장치
KR0153372B1 (ko) 링패턴 분별회로를 가지는 팩시밀리 및 그 링패턴 분별방법
JPH0723090A (ja) 電話機
JP2970244B2 (ja) ディジタル交換通信装置
KR100590858B1 (ko) 키폰시스템의 프로그램 데이터 출력방법
KR920006147B1 (ko) 전화로 타이머예약 기능을 갖는 텔레콘트롤 방법
KR100258388B1 (ko) 교환시스템에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초기값 변경여부 표시방법
KR970078295A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0122877Y1 (ko) 자동음성응답장치
KR940001624A (ko) 사설교환기의 자동 재다이얼링 방법
JPH01177254A (ja) 通信装置
KR960032978A (ko) 키폰시스템의 다이얼방법
JPS6319376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GB2320847A (en) A facsimile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nected telephone extension with a memory dialling facility
KR970024784A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