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122A -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 Google Patents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122A
KR890002122A KR1019870006901A KR870006901A KR890002122A KR 890002122 A KR890002122 A KR 890002122A KR 1019870006901 A KR1019870006901 A KR 1019870006901A KR 870006901 A KR870006901 A KR 870006901A KR 890002122 A KR890002122 A KR 89000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arboxylate
pyridine
dimethyl
dihyd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362B1 (ko
Inventor
기요또모 세또
사꾸야 다나까
료조 사꼬다
도시노리 사까이
마스다유끼노리
Original Assignee
나까이 다께요
닛산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이 다께요, 닛산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이 다께요
Priority to KR101987000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62B1/ko
Publication of KR89000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8)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이 화합물과 염의 용매화물
    [식중,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는 R1,R2,R3,R4,R5및 R6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 X1및 X2중의 하나는 니트로, 플루오로, 염소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이거나, X1및 X2는 둘다 염소이며 : Y는
    (식중, A는 C2~C6알킬렌이고, 같거나 서로 다를수 있는 Ar1및 Ar2는 각각 염소, 플루오르 또는 C1~C3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이고, m은 0~4의 정수이다)이거나, X1이 수소이고, X2가 디플루오로메톡시일때, 또는 X1및 X2가 모두 염소일때 Y는
    (식중, A, Ar1및 Ar2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같다)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중의 하나는 니트로 또는 염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이거나, X1및 X2가 모두 염소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는 R1,R2,R3,R4,R5및 R6가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A가 -CH2CH2-, -(CH2)- 또는 -CH(CH3)CH2-이고, m이 1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는 Ar1및 Ar2가 각각 페닐 또는 p-플루오로페닐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C(R1)(R2)C(R3)(R4)(R5)(R6)-가 -CH2C(CH3)2CH2-,-C(CH3)2CH2C(CH3)2- 또 -CH(CH3)CH2CH(CH3)-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X1이 니트로이고, X2가 수소이거나, X1 및 X2가 모두 염소이고 : -C(R1)(R2)C(R3)(R4)(R5)(R6)-가 -CH2C(CH3)2CH2-,-C(CH3)2CH2C(CH3)2- 또 -CH(CH3)CH2CH(CH3)-이며 ; A가 CH(CH3)2CH2-또는 -CH2CH2-이고 : 및 Y=가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X1이 니트로이고, X2가 수소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X1이 수소이고, X2가 디플루오로메톡시이거나, X1 및 X2가 모두 염소이고 : -C(R1)(R2)C(R3)(R4)(R5)(R6)-가 -C(CH3)2CH2-,-CH(CH3)CH2CH(CH3)- 또 -CH2C(CH3)2CH|2-이며, A가 -CH(CH3)CH2- -CH2CH2-또는 -CH2CH2CH2-이고, ; 같거나 서로 다를수 있는 Ar1및 Ar2는 페닐 또는 p-플루오로페닐이며 ; Y는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X1이 수소이고, X2가 모두 염소이고 ; -C(R1)(R2)C(R3)(R4)(R5)(R6)-가 -C(CH|3)2CH2-이며 ; A가 -CH2CH2-또는 -CH2CH2CH2이며 ; Ar1및 Ar2는 페닐 또는 p-플루오로페닐이며 ; Y는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그의 염.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식중, 용매는 벤젠 또는 톨루엔이다)
  13. 하기 일반식을 갖는 제1항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식중, 용매는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이다)
  14. 제1항에 있어서, 2-(4-디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틸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3-(4-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피페라지닐)프로필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1-메틸, 2-(N-벤질-N-페닐아미노)에틸 5-(1,13,3-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메틸-1,4-디히드로-4-(3-니트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2-(N-벤질-N-페닐아미노)에틸 5-(1,1,3,3-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3-니트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1-메틸-2-(N-벤질-N-페닐아미노)에틸5-(1(R), 3(R)-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2-(N-벤질-N-페닐아미노)에틸 5-(1(R), 3(R)-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3-니트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2-(N,N-디페닐아미노)에틸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3-(4-디페닐메틸-1-피페라지닐)프로필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2-(4-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피페라지닐)프로필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1-메틸-2-(N-벤질-N-페닐아미노)에틸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2,6-디메틸-1,4-디히드로-4-(2,3-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또는 2-(4-디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틸 5-(2,2-디메틸프로필렌디옥시포스피닐_2,6-디메틸-1,4-디히드로-4-(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이 화합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인 화합물.
  15. (a) 항고혈압, 관상 또는 대뇌혈관 확장에 유효한량의 제1항의 화합물 ; 및 (b)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함유한 항고혈압, 관상 또는 대뇌혈관 확장조성물.
  16. 항고혈압효과를 얻기 위해 항고혈압에 유효한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대상물에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서의 고혈압의 치료방법.
  17. 관상혈관 확장효과를 얻기 위해 관상혈관 확장에 유효한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의 관상혈관 확장을 일으키는 방법.
  18. 대뇌혈관 확장효과를 얻기 위해 대뇌혈관 확장에 유효한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의 대뇌혈관 확장을 일으키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06901A 1987-07-01 1987-07-01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KR94000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901A KR940003362B1 (ko) 1987-07-01 1987-07-01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901A KR940003362B1 (ko) 1987-07-01 1987-07-01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122A true KR890002122A (ko) 1989-04-08
KR940003362B1 KR940003362B1 (ko) 1994-04-21

Family

ID=1926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901A KR940003362B1 (ko) 1987-07-01 1987-07-01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362B1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926A (ko) 신규한 퀴나조린 유도체 및 그의 부가염의 제조방법
ATE94065T1 (de) Diazepin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mit plaettchen aktivierender faktor (paf)-antagonistischer wirkung.
MX154758A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cion de derivados de succinimida
KR840004741A (ko)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ATE126216T1 (de) Pyrazol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tellung.
ATE63914T1 (de) N6-disubstituierte pur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KR890014516A (ko) 피페라진 유도체 또는 이의 염, 이의 제조방법 및 활성 성분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870010030A (ko) 치환된 벤즈아미드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970701722A (ko) 포스폰산 디에스테르 유도체(phosphonic diester derivative)
KR920021547A (ko) 아졸 유도체
RU2000123169A (ru) Бензотиадиазолы и их производные
NO161174C (no) Analogifremgangsm te ved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1-4 dihydropyridin-derivater.
KR890004701A (ko) 항레트로비루스 카스타노스페르민 에스테르
ATE33831T1 (de) Analgesia wirkende 5-hydroxytryptophan-derivate.
KR900018113A (ko) 티에노-트리아졸로-디아제핀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치료 조성물
RU2005100761A (ru) Амид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ксантина, обладающие модуля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 отношении биосинтеза глюкозы из неуглеводных субстратов
ATE28862T1 (de) Aktive kompositionen gegen motten, weisse fliegen und holzwuermer, pharmazeutische kompositionen und benzoylharnstoffderivaten.
KR870005641A (ko) 고혈압 치료용 조성물
KR900016178A (ko) 2-치환 n,n'-디트리메톡시벤조일 피페라진,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치료 조성물
KR890002122A (ko) 디히드로피리딘-5-포스폰산 고리형 프로필렌 에스테르
KR920014780A (ko) 1,4-디하이드로피리딘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제 조성물
KR880002828A (ko) 디하이드로피리딘 유도체 및 이것의 약학적 조성말
ES8106725A1 (es) Procedimiento de preparar derivados 1,2,4-oxadiazolin-5-oni-cos
NO167029C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pyridinkarboksylsyrederivater
KR880008995A (ko) 2-알킬설피닐-4(3h)-퀴나졸리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20

EXPY Expiration of term